“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소사(簫史)
중국 전설상의 퉁소의 명인. 유향(劉向)의 《열선전(列仙傳)》에 의하면, 춘추전국시대 사람으로 퉁소를 잘 불어 봉황을 춤추게 하였는데, 진(秦) 나라 목공(穆公)의 딸인 농옥(弄玉)과 혼인한 후 함께 신선이 되어 날아갔다 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소사식(蘇斯軾)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소우석(蘇禹錫)의 아들로, 1474년(성종 5) 식년시(式年試)에 급제하였고, 예조 좌랑(禮曹佐郞)ㆍ온성 판관(穩城判官) 등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소상(蘇庠)
중국 송(宋) 나라의 시인ㆍ학자. 소식(蘇軾)이 그를 이백(李白)에 비유할 만큼 시(詩)로 명성을 떨침. 고종(高宗) 때 여러 차례 부름을 받았으나 나아가지 않고 여산(廬山)에 은거함.
1065~1147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문사>문인
-
소서비탄수(小西飛彈守)
일본 도산시대(桃山時代)의 무장. 임진왜란 때 왜장 소서행장(小西行長)의 부장으로, 평안도 병마절도사(平安道兵馬節度使) 김경서(金景瑞)와 의기(義妓) 계월향(桂月香)이 함께 도모한 유인책으로 인해 죽임을 당했다고 전함.
1550~1626 일본>도산시대 , 일본 , 인명>관인>무신
-
소서행장(小西行長)
일본 도산시대(桃山時代)의 무장. 임진왜란 때 선봉장으로 평양(平壤)까지 침공하였으며, 풍신수길(豊臣秀吉)의 두터운 신임을 받음. 덕천가강(德川家康)에 맞서 싸우다가 패하여 참수형을 받았으며, 카톨릭 신자로서 신앙심이 깊었음.
?~1600 일본>도산시대 , 일본 , 인명>관인>무신
-
소성제(昭成帝)@남북조(북연)
중국 남북조시대 오호십육국(五胡十六國)의 하나인 북연(北燕)의 제2대 왕. 풍발(馮跋)의 아우로, 북위(北魏)의 침략으로 용성(龍城)이 함락되자 고구려(高句麗)로 도망하였으나, 후에 장수왕(長壽王)에게 죽임을 당함.
?~438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소성제(昭成帝)@남북조(북위)
중국 남북조시대 북위(北魏)의 추존왕. 전진(前秦)의 부견(苻堅)과의 싸움에서 패하여 도망쳐 떠돌다가 아들인 탁발식군(拓拔寔君)에게 피살됨.
320~376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소세검(蘇世儉)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소자파(蘇自坡)의 아들로, 좌랑(佐郞) 등을 역임하였으며, 《쌍봉유고(雙峰遺稿)》를 저술함.
1483~1573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익산 , 인명>관인>문신
-
소세량(蘇世良)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소자파(蘇自坡)의 아들로, 대사간(大司諫)ㆍ남원 부사(南原府使) 등을 지내고, 박학다식하고 문장에 능하다는 평을 들음.
1476~1528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익산 , 인명>관인>문신
-
소세양(蘇世讓)
조선 연산군(燕山君)~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인종(仁宗) 때 윤임(尹任) 일파의 탄핵을 받아 사직하였다가 명종 때 재등용되어 좌찬성(左贊成) 등을 지냄. 문명(文名)이 높고 율시(律詩)에 뛰어났으며, 송설체(松雪體)를 잘 씀.
1486~1562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익산 , 인명>관인>문신
-
소소(簫韶)
중국 고대 전설상의 제왕인 순(舜) 임금이 지었다는 음악 이름. 아홉 곡조를 연주하자 봉황새가 날아와 춤을 추었다 함.
고대 , 중국 , 기타>가무
-
소송(蘇頌)
중국 송(宋) 나라 인종(仁宗)~철종(哲宗) 때의 문신ㆍ학자. 우복야 겸 중서시랑(右僕射兼中書侍郞) 등을 지냈으며, 경사(經史)와 제자백가(諸子百家)는 물론 여러 분야에 능통하였고, 특히 의약학(醫藥學)과 천문학(天文學) 분야에 크게 공헌함.
1020~1101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소쇄원(瀟灑園)
조선 중종(中宗) 때 전라도 담양(潭陽)에 건립한 정원. 1530년(중종 25) 소쇄(瀟灑) 양산보(梁山甫)가 기묘사화(己卯士禍)로 스승인 조광조(趙光祖)가 사사되자 낙향한 후 계곡을 중심으로 원림(園林)을 조영함.
1530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담양 , 유적>건물>누정
-
소수(疏受)
중국 전한(前漢) 선제(宣帝) 때의 문신. 태자태부(太子太傅)로 있었던 소광(疏廣)의 조카로, 소부(小傅)를 지냄. 관직과 명성이 높아졌으나 그만두지 않으면 후회할 일이 생길 것이라며 사직하고 고향으로 돌아감.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소수(蘇遂)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소세양(蘇世讓)의 아들. 음사(蔭仕)로 면천 군수(沔川郡守)를 지냄.
1517~1592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익산 , 인명>관인>문신
-
소수림왕(小獸林王)
고구려의 제17대 왕. 재위 371~384. 고국원왕(故國原王)의 아들. 전진(前秦)과 평화적 관계를 수립하고, 불교 수용ㆍ태학(太學) 설립ㆍ율령(律令) 반포 등을 통하여 고대국가 체제를 정비하였으며, 백제의 수곡성(水谷城)을 침공하여 견제함.
?~384 한국>고구려 , 인명>왕실>국왕
-
소수서원(紹修書院)
조선 중종(中宗) 때 경상도 순흥(順興)에 건립된 우리나라 최초의 서원. 1542년(중종 37) 주세붕(周世鵬)이 창건하고, 1550년(명종 5)에 사액됨. 안향(安珦)ㆍ안축(安軸)ㆍ주세붕(周世鵬) 등을 배향함. 현재 경상북도 영주시(榮州市)에 속함.
154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풍기 , 유적>건물>서원,향교
-
소순(蘇洵)
중국 송(宋) 나라의 문인ㆍ학자. 당송팔대가(唐宋八大家)의 한 사람으로, 예리한 논법(論法)과 정열적인 평론(評論)으로 구양수(歐陽修)의 인정을 받아 명성을 떨쳤으며, 아들 소식(蘇軾)ㆍ소철(蘇轍)과 함께 ‘삼소(三蘇)’로 일컬어짐.
1009~1066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문사>문인
-
소순흠(蘇舜欽)
중국 송(宋) 나라 인종(仁宗) 때의 문신ㆍ문인. 집현전 교리(集賢殿校理)ㆍ호주장사(湖州長史) 등을 지냄. 고문시가(古文詩歌)를 숭상하고 초서(草書)에 뛰어났으며, 매요신(梅堯臣)과 이름을 나란히 함.
1008~1049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소식(蘇軾)
중국 송(宋) 나라 신종(神宗)~철종(哲宗) 때의 문신ㆍ시인. 당송팔대가(唐宋八大家)의 한 사람으로, 왕안석(王安石)의 신법(新法)에 반대하여 수차례 유배되었으며, 문장에 능하여 〈적벽부(赤壁賦)〉 등 명작을 남김.
1037~1101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소신(蘇紳)
중국 송(宋) 나라 진종(眞宗)~인종(仁宗) 때의 문신. 소송(蘇頌)의 아버지로, 한림 학사(翰林學士)ㆍ하양 지사(河陽知事) 등 내직과 외직을 두루 지냄.
999~1046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소신신(召信臣)
중국 전한(前漢)의 문신. 남양 태수(南陽太守)로 있을 때 어진 정사를 펼쳐 교화가 크게 행해짐.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소안(紹安)
고려 말~조선 초의 승려. 혼수(混脩)에게 배워 출가했으며, 스승이 입적한 후 유방(遊方)함.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인명>종교인>승려
-
소암집(疎菴集)
조선 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인 임숙영(任叔英)의 시문집. 목판본. 초간본은 권임(權恁)이 유고를 수집하고 이식(李植)이 편정(編定)하였으며, 1635년(인조 13)에 이배원(李培元)ㆍ강여재(姜與載) 등이 충주(忠州)에서 간행함.
1635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충주 , 문헌>서명
-
소양(蘇瓖)
중국 당(唐) 나라 중종(中宗) 때의 재상. 소정(蘇頲)의 아버지로, 우복야(右僕射)를 거쳐 동중서문하평장사(同中書門下平章事) 등을 지냄.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소양강(昭陽江)
강원도 중부지역을 남서류하여 춘천(春川) 북쪽에서 북한강(北漢江)으로 흘러드는 강 이름. 경관이 아름다워 시(詩)에 자주 차운(次韻) 되었음.
강원도>춘천ㅣ강원도>인제ㅣ강원도>양구 , 지명>자연지명
-
소양서원(瀟陽書院)
조선 숙종(肅宗) 때 경상도 문경(聞慶)에 건립된 서원. 정언신(鄭彥信)ㆍ심대부(沈大孚)ㆍ김낙춘(金樂春)ㆍ남영(南嶸) 등을 배향함.
1712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문경 , 유적>건물>서원,향교
-
소양왕(昭襄王)
중국 춘추전국시대 진(秦) 나라의 제후. 재위 BC.306~B.C.251. 주(周)의 난왕(赧王)을 항복시키고 육국(六國)의 합종(合縱) 세력을 격파하여 진 제국의 기초를 닦음. 조(趙) 나라의 화씨벽(和氏璧)을 취하려다 인상여(藺相如)로 인해 실패한 일로 유명함.
B.C.324~B.C.251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소열제(昭烈帝)
중국 삼국시대 촉(蜀)의 제1대 황제. 재위 221~223. 후한(後漢)의 영제(靈帝) 때 황건적을 쳐서 공을 세우고, 후에 제갈량(諸葛亮)의 도움을 받아 오(吳) 나라의 손권(孫權)과 함께 조조(曹操)의 대군을 적벽(赤壁)에서 격파함.
161~223 중국>삼국시대ㅣ중국>후한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소옹(少翁)
중국 한(漢) 무제(武帝) 때의 방사(方士). 방술(方術)로 무제의 총애를 받았으나, 효력이 점점 없어지자 몰래 백서(帛書)를 소에게 먹이고는 소를 잡아 백서를 꺼내게 해 신통력을 과시하려다가 들통나 결국 죽임을 당함.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기타인명>도사
-
소옹(邵雍)
중국 송(宋) 나라 인종(仁宗) 때의 학자. 이지재(李之才)에게 천문(天文)ㆍ역수(易數) 등을 배우고, 도가사상의 영향을 받아 유교의 역철학(易哲學)을 발전시켜 특이한 수리철학(數理哲學)을 완성함.
1011~1077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소왕(昭王)@춘추전국(연)
중국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 연(燕) 나라의 제후. 재위 B.C.312~B.C.279. 곽외(郭隗)와 악의(樂毅)를 등용하여 부국강병을 꾀했으며, 연 나라를 멸망시키려 한 제(齊) 나라와 전쟁을 일으켜 제 나라의 국력을 약화시킴.
?~B.C.279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소왕(昭王)@주
중국 주(周) 나라 제4대 왕. 재위 B.C.995~B.C.977. 강왕(康王)의 아들로, 남쪽으로 초(楚) 땅을 정벌하였는데, 초인(楚人)들이 아교를 칠해 놓은 배를 타고 한수(漢水)를 건너다가 물에 빠져 죽었다 함.
중국>주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소왕(昭王)@춘추전국(초)
중국 춘추전국시대 초(楚) 나라의 제후. 재위 B.C.515~B.C.489. 평왕(平王)의 아들. 공자(孔子)에게 서사(書社)의 땅을 봉하려 하다가 영윤(令尹) 자서(子西)의 간을 듣고 그만둠.
?~B.C.489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소요당일고(逍遙堂逸稿)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인 박하담(朴河淡)의 시문집(詩文集). 5권 2책. 목판본. 초간본(初刊本)은 1838년(헌종 4)에 박시묵(朴時默)ㆍ박정영(朴廷瑛) 등이 편집하여 간행함.
1838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소우석(蘇禹錫)
조선 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소인달(蘇仁達)의 아들이며, 소사식(蘇斯軾)의 아버지. 1459년(세조 5)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였으며, 승문원 판교(承文院判校)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소원명(蘇源明)
중국 당(唐) 현종(玄宗) 때의 문신. 집현전 학사(集賢殿學士)를 거쳐 국자 사업(國子司業)을 지냄. 두보(杜甫)와 절친하게 지내, 두보가 그를 포함한 여덟 명의 명신(名臣)을 애도하여 지은 팔애시(八哀詩)가 있음.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소육(蕭育)
중국 전한(前漢) 성제(成帝) 때의 문신. 태자태부(太子太傅)를 지낸 소망지(蕭望之)의 아들. 친구인 주박(朱博)과 서로 추천하여 높은 벼슬에 오름.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소윤(小尹)
조선 인종(仁宗)의 이복동생 경원대군(慶原大君)의 외숙인 윤원로(尹元老)ㆍ윤원형(尹元衡) 일파를 지칭하는 말. 인종의 외숙 윤임(尹任) 일파인 대윤(大尹)과 세력다툼을 벌이다가 을사사화(乙巳士禍)를 일으켜 대윤 일파를 몰아냄.
한국>조선전기 , 사상>술어>핵심어
-
소의문(昭義門)
조선 태조(太祖) 때 건립한 사소문(四小門)의 하나. 숭례문(崇禮門)과 돈의문(敦義門) 사이, 즉 지금의 서소문동 큰길에 있던 서남간문(西南間門)으로, 일반적인 통행로이면서 광희문(光熙門)과 함께 시신(屍身)을 성 밖으로 운반하는 통로 구실을 함.
1396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유적>시설>성,진,책
-
소이간(蘇易簡)
중국 송(宋) 나라 태종(太宗) 때의 문신ㆍ문인. 한림학사(翰林學士)ㆍ참지정사(參知政事) 등을 지냈으며, 재능이 뛰어나고 문장(文章)으로 이름을 떨침.
958~997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소자량(蕭子良)
중국 남북조시대 제(齊) 나라의 왕자ㆍ문인. 무제(武帝)의 둘째 아들로, 경릉군왕(竟陵郡王)에 봉해졌으며, 《사부요략(四部要略)》을 편찬함. 문인들을 모아놓고 시 짓기 놀이를 할 때 촛불 일촌(一寸)이 탈 동안 완성하기로 규정을 삼은 고사가 전해짐.
460~494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왕실>왕자
-
소자성헌황후(昭慈聖獻皇后)
중국 송(宋) 나라 철종(哲宗)의 황후(皇后). 철종ㆍ휘종(徽宗) 때 폐출되었으나 복위되어 흠종(欽宗)ㆍ고종(高宗)에 걸쳐 두 차례 수렴청정(垂簾聽政)을 함.
1073~1131 중국>송 , 중국 , 인명>왕실>왕비
-
소자파(蘇自坡)
조선 전기의 문신. 소효식(蘇效軾)의 아들로, 의빈부 도사(儀賓府都事)ㆍ구례 현감(求禮縣監) 등을 지냈으며, 소세량(蘇世良ㆍ소세검(蘇世儉)ㆍ소세양(蘇世讓) 등 일곱 아들이 모두 벼슬에 나가 현달하였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소장로(蘇長老)
고려 말~조선 초의 승려. 《독곡집(獨谷集)》에 〈차역암시운(次櫟菴詩韻)〉의 시(詩)가 수록되어 있음.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인명>종교인>승려
-
소재집(疎齋集)
조선 숙종(肅宗) 때의 문신인 이이명(李頤命)의 시문집(詩文集). 20권 10책. 활자본. 1725년(영조 1) 수습한 유집(遺集)을 바탕으로 1759년(영조 35)에 손자 이봉상(李鳳祥)이 다시 편차(編次)하여 간행함.
1759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소재집(穌齋集)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인 노수신(盧守愼)의 시문집(詩文集). 나흠순(羅欽順)이 쓴 발문(跋文)이 있음.
1602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천안 , 문헌>서명
-
소정(蘇頲)
중국 당(唐) 나라 중종(中宗)~현종(玄宗) 때의 문신. 중서사인(中書舍人)ㆍ익주장사(益州長史) 등을 지내고, 문학에 조예가 깊어 현종의 총애를 받음.
670~727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소제(昭帝)
중국 한(漢) 나라 제8대 황제. 재위 B.C.87~B.C.74. 여덟 살에 즉위하였으나 곽광(霍光) 등의 보필을 받아 여러 차례 농민의 부담을 경감하였고, 흉노(匈奴)와 우호관계를 유지함.
B.C.94~B.C.74 중국>전한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소조천융경(小早川隆景)
일본 도산시대(桃山時代)의 무장. 임진왜란 때 선봉장으로 벽제관(碧蹄館)에서 이여송(李如松)의 명(明) 나라 군사를 대패시켰으나, 금산(金山) 이치(梨峙)에서는 권율(權慄)에게 대패당함.
일본>도산시대 , 일본 , 인명>관인>무신
-
소종(昭宗)@북원
중국 북원(北元)의 제2대 황제. 재위 1370~1378. 원(元) 나라의 마지막 황제인 순제(順帝)와 고려 출신인 기황후(奇皇后)의 소생. 주원장(朱元璋)에게 원이 함락되자 아버지 순제와 함께 몽고(蒙古) 지방으로 도주하여 북원을 세우고, 순제가 죽자 시호를 혜제(惠帝)로 고치고 2대 황제로 즉위함.
1339~1378 중국>명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소종(昭宗)@당
중국 당(唐) 나라 제19대 황제. 재위 888~904. 재임 중 번진(蕃鎭)의 세력다툼과 잦은 농민봉기로 인해 실권을 잃고 결국에는 시해됨.
867~904 중국>당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소주(蘇州)
중국 강소성(江蘇省) 남동부 태호(太湖) 동쪽에 있는 도시. 춘추전국시대 오(吳) 나라의 국도(國都)였으며, 그후 역대에 걸쳐 주변 지역의 행정 중심지로 중시됨. 수(隋) 나라 때 운하망(運河網)이 개통되어 항주(杭州)와 함께 번영함.
중국 , 지명>행정지명
-
소준(蘇峻)
중국 남북조시대 동진(東晉) 원제(元帝)~성제(成帝) 때의 무신. 왕돈(王敦)의 반란을 진압할 때 공을 세우고 관군장군(冠軍將軍)이 되었으나, 성제 때 반역을 꾀하다가 유량(庾亮) 등에 의해 토벌됨.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소지(小止)
고려 충혜왕(忠惠王) 때의 선종(禪宗) 승려. 혜감국사(慧鑑國師) 만항(萬恒)의 수제자이며, 무학대사(無學大師) 자초(自超)의 스승. 1344년(충혜왕 5)에 자초에게 구족계(具足戒)를 내림.
한국>고려후기 , 인명>종교인>승려
-
소지마립간(炤知麻立干)
신라 제21대 왕. 재위 479~499. 각 지방에 우역(郵驛)을 두고 경주(慶州)에 시장을 설치함. 고구려ㆍ말갈ㆍ왜적의 침입을 자주 받자, 백제와 연합하여 고구려에 대항함.
?~499 한국>신라 , 경상도>경주 , 인명>왕실>국왕
-
소진(蘇秦)
중국 춘추전국시대 연(燕) 나라의 경대부. 낙양(洛陽) 출신으로 귀곡자(鬼谷子) 왕허(王詡)의 문하생이며, 각국에 진(秦) 나라에 대항하는 합종론(合縱論)을 유세하여 육국(六國)의 재상이 됨.
?~B.C.317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소천작(蘇天爵)
중국 원(元) 나라 인종(仁宗)~순제(順帝) 때의 문신ㆍ문인. 이부 상서(吏部尙書)ㆍ강절행성참지정사(江浙行省參知政事) 등을 지냈으나, 홍건적(紅巾賊)을 진압하다가 군중에서 사망함.
1294~1352 중국>원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소철(蘇轍)
중국 송(宋) 나라 인종(仁宗)~휘종(徽宗) 때의 문신ㆍ학자. 소순(蘇洵)의 아들이자 소식(蘇軾)의 동생으로, 당송팔대가(唐宋八大家)의 한 사람. 왕안석(王安石)의 신법(新法)에 반대하여 좌천되었으나 복귀 후 문하시랑(門下侍郞) 등을 지냄.
1039~1112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소총유고(篠䕺遺稿)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인인 홍유손(洪裕孫)의 시문집(詩文集). 1책. 활자본. 1810년(순조 10) 저자의 8세손인 홍술조(洪述祖)가 구본(舊本)을 얻은 후 재편집하여 간행함.
1810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소추시집(蕭秋詩集)
중국 남송(南宋) 광종(光宗) 때의 문인인 서문경(徐文卿)의 시집. 1권. 1191년에 조번(趙蕃) 등 13인과 창화(唱和)한 시가 실려 있으며, 1223년에 간행됨.
1223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소축집(小畜集)
중국 송(宋) 나라 태종(太宗) 때의 문신이자 문인인 왕우칭(王禹偁)의 시문집(詩文集). 30권. 1147년에 심우경(沈虞卿)이 황주(黃州)에서 간행하였으며, 부(賦) 2권, 시(詩) 11권, 문(文) 17권으로 구성됨.
1147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소탐(蘇耽)
중국 전한(前漢) 문제(文帝) 때의 선인(仙人). 인효(仁孝)로 널리 알려졌으며 득도하여 승천하기 전에 모친에게 미래에 닥칠 전염병에 대한 비방(秘方)을 알려 주어 백성을 구제하게 했다는 전설이 있음.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기타인명>도사
-
소통(蕭統)
중국 남북조시대 양(梁) 나라의 태자ㆍ문인. 제1대 황제인 무제(武帝)의 맏아들로, 유교(儒敎)와 불교(佛敎)에 조예가 깊고 특히 시문(詩文)에 뛰어났으며, 양 나라 이전 문인들의 명작을 모아 《문선(文選)》을 편찬함.
501~531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왕실>왕자
-
소평(邵平)
중국 진(秦) 나라의 제후. 진 나라의 몰락한 귀족 출신으로 한(漢) 나라의 승상인 소하(蕭何)와 친교가 깊었지만 안분지족(安分知足)의 생활을 즐김.
중국>전한ㅣ중국>진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소하(蕭何)
중국 전한(前漢) 고조(高祖) 때의 재상. 고조를 도와 천하를 통일한 개국공신(開國功臣)으로, 한 나라 왕조 경영의 기초를 다졌으며, 진(秦) 나라의 법률을 참고하여 《구장률(九章律)》을 편찬함.
?~B.C.193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경대부
-
소하진(蘇賀辰)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진주(晉州). 양곡(陽谷) 소세양(蘇世讓)의 손자이며, 면천 군수(沔川郡守) 소수(蘇遂)의 아들.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익산 , 인명>문사>유학
-
소학(小學)
중국 송(宋) 나라 때 지은 아동용 수신서(修身書). 주희(朱熹)가 제자인 유청지(劉淸之)에게 어린아이들을 교화시킬 수 있는 내용의 서적을 편집하게 한 후 자신이 직접 교열하고 가필하여 1187년에 완성함.
1187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소학연의(小學衍義)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인 정탁(鄭琢)이 송(宋) 나라 주희(朱熹)의 책을 간추려 만든 책. 《소학(小學)》의 입교(立敎)ㆍ명륜(明倫)ㆍ경신(敬身)의 의미를 확충하기 위해 만든 것이나 완성하지 못함.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소학집설(小學集說)
중국 명(明) 나라의 학자인 정유(程愈)가 지은 《소학(小學)》에 대한 주석서.
중국>명 , 중국 , 문헌>서명
-
소학집주(小學集註)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인 율곡(栗谷) 이이(李珥)가 지은 《소학(小學)》에 대한 주석서.
1579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소학집해(小學集解)
중국 명(明) 나라 영종(英宗) 때의 문신 오눌(吳訥)이 지은 《소학(小學)》의 주석서(註釋書). 10권.
중국>명 , 중국 , 문헌>서명
-
소한당집(所閑堂集)
조선 문종(文宗)~세조(世祖) 때의 문신인 권람(權攬)의 문집. 2질(帙).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소해(少海)
《산해경(山海經)》에 무고산(無皐山)의 남쪽에 있다는 바다. 천자(天子)는 대해(大海)에 비유하고 태자(太子)는 소해(少海)에 비유했음.
중국 , 지명>자연지명
-
소헌왕후(昭憲王后)
조선 제4대 세종(世宗)의 비. 본관은 청송(靑松). 심온(沈溫)의 딸로, 1418년 세종이 즉위하자 왕후로 봉해짐. 심온이 대역(大逆)의 혐의를 받고 사사되자 폐비(廢妃)의 논의가 있었으나 내조의 공이 인정되어 일축됨.
1395~144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청송ㅣ서울 , 인명>왕실>왕비
-
소현(蕭顯)
중국 명(明) 나라 헌종(憲宗)~효종(孝宗) 때의 문신ㆍ서예가. 진녕동지(鎭寧同知)ㆍ복건안찰첨사(福建按察僉事) 등을 지냈으며, 만년에 산해관(山海關) 위춘산(圍春山)의 별장에서 시서(詩書)로 소일하며 여생을 보냄.
1431~1506 중국>명 , 중국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소현서원(紹賢書院)
황해도 해주(海州) 고산면(高山面)에 있는 서원. 조선 선조(宣祖) 때 세워지고 광해군(光海君) 때 사액(賜額)되었으며, 고종(高宗) 때 철폐되었다가 1950년대 이후에 복원됨. 주희(朱熹)ㆍ조광조(趙光祖)ㆍ이이(李珥) 등을 배향함.
1578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해주 , 유적>건물>서원,향교
-
소현세자(昭顯世子)
조선 제16대 인조(仁祖)의 맏아들. 효종(孝宗)의 형이며, 부인은 민회빈강씨(愍懷嬪姜氏). 병자호란 때 아우인 봉림대군(鳳林大君) 등과 함께 심양(瀋陽)에 끌려가 9년간 고초를 겪다가 귀국하였으나, 두 달 만에 원인 모를 병으로 급사함.
1612~1645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왕실>왕자
-
소혜(蘇蕙)
중국 남북조시대(南北朝時代) 전진(前秦) 부견(符堅) 때의 열녀. 연파장군(連波將軍)을 지낸 두도(竇滔)의 아내로 두도가 죄를 입어 귀양가자, 남편을 그리워한 나머지 비단을 짜서 회문선도(回文旋圖)를 만들어 시(詩)를 써 보내주었다는 고사가 있음.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열녀
-
소혜왕후(昭惠王后)
조선 제7대 세조(世祖)의 장남인 덕종(德宗)의 비. 본관은 청주(淸州). 서원부원군(西原府院君) 한확(韓確)의 딸로, 불경(佛經)에 조예가 깊어 불경을 언해(諺解)하였고, 부녀자가 지켜야 할 도리인 《내훈(內訓)》을 간행함.
1437~1504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ㅣ서울 , 인명>왕실>왕비
-
소호(召虎)
중국 주(周) 나라 선왕(宣王) 때의 현신(賢臣). 군사(軍事)에 유능하여 회이(淮夷)를 정벌하는 등 공을 세우고, 방숙(方叔)과 함께 중흥(中興)의 시대를 이끎.
중국>주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소호(少昊)
중국 고대의 전설적 황제. 삼황오제(三皇五帝)의 하나로, 황제(黃帝)와 누조(嫘祖) 사이에서 태어났으며, 태호(太昊)의 법을 닦았기 때문에 소호(少昊)라 일컬어짐.
고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소호헌(蘇湖軒)
조선 전기에 경상도 안동(安東)에 건립된 건물. 함재(涵齋) 서해(徐嶰)의 별당(別堂)으로, 원래는 서해의 장인 이고(李股)가 건립하여 물려준 집이라 하며, 동편에 약봉(藥峰) 서성(徐渻)의 태실(胎室)이 있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유적>건물>사제
-
소홀(召忽)
중국 춘추전국시대 제(齊) 나라의 인물. 관중(管仲)과 함께 공자규(公子糾)의 가신(家臣)이 되어 그를 섬겼는데, 왕위 다툼 때 공자규가 형인 환공(桓公)에게 죽음을 당하자 그를 위해 죽음.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소환(蘇渙)
중국 당(唐) 나라의 문신ㆍ문인. 과거에 급제하여 어사(禦史)를 지냄. 두보(杜甫)와 시문(詩文)에 대해 논함에 서로 의기(意氣)가 잘 부합했음. 저서에 《소환시(蘇渙詩)》가 있음.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소환시(蘇渙詩)
중국 당(唐) 나라의 문신이자 문인인 소환(蘇渙)의 시집(詩集). 1권. 두보(杜甫)의 서(序)가 있음.
중국>당 , 중국 , 문헌>서명
-
소회유황후(昭懷劉皇后)
중국 송(宋) 철종(哲宗)의 계후(繼后). 소자황후 맹씨(昭慈皇后孟氏)를 이어 철종의 황후(皇后)가 됨.
중국>송 , 중국 , 인명>왕실>왕비
-
소효식(蘇效軾)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소희(蘇禧)의 아들이며, 소자파(蘇自坡)의 아버지이자, 소세양(蘇世讓)의 조부로, 한성부 판관(漢城府判官)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소후(昭侯)
중국 춘추전국시대 채(蔡) 나라 제19대 제후. 재위 B.C.518~B.C.491. 오(吳) 나라를 도와 초(楚) 나라를 정벌하게 했으나, 초 나라를 두려워하여 오 나라에 가까운 주래(州來)로 나라를 옮기려고 하다 대부들에게 살해됨.
?~B.C.491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소희(紹熙)
중국 송(宋) 나라 제12대 광종(光宗) 때의 연호. 기간 1190~1194.
1190~1194 중국>송 , 중국 , 시간>연호
-
속고내(速古乃)
조선 전기의 여진족(女眞族) 수령. 회령(會寧) 일대를 자주 침범하였으나 조선의 북벌(北伐)에 의하여 신복(臣服)함.
한국>조선전기 ,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속국조보감(續國朝寶鑑)
조선 연산군(燕山君) 때 홍귀달(洪貴達)ㆍ권건(權健) 등이 왕명을 받들어 편찬한 역사서. 1500년(연산군 6)에 찬술(撰述)하여 올림.
1500 한국>조선전기 , 서울 , 문헌>서명
-
속근사록(續近思錄)
중국 송(宋) 나라 이종(理宗) 때의 문신ㆍ학자인 채모(蔡模)가 주희(朱熹)의 말을 모아 편찬한 책. 14권. 목판본. 1227년에 찬집하였으며, 1710년에 간행됨.
1710 중국>청 , 중국 , 문헌>서명
-
속대전(續大典)
조선 영조(英祖) 때 편찬된 법전. 6권 4책. 목판본. 김재로(金在魯) 등이 왕명(王命)을 받아 편찬함. 《경국대전(經國大典)》 편찬 이후 최초로 개정된 정식 법전으로 《대전통편(大典通編)》ㆍ《대전회통(大典會通)》과 함께 조선시대 4대 법전의 하나로 꼽힘.
1746 한국>조선후기 , 법제>법률ㅣ문헌>서명
-
속대학혹문(續大學或問)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ㆍ학자인 이언적(李彦迪)의 저서. 주희(朱熹)의 《대학혹문(大學或問)》의 예에 따라 《대학장구보유(大學章句補遺)》에서 《대학장구(大學章句)》와 서차나 해석을 다르게 한 이유를 문답 형식으로 풀이함. 1책. 목판본.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속동문선(續東文選)
조선 중종(中宗) 때 신용개(申用漑) 등이 서거정(徐居正)의 《동문선(東文選)》 취지를 이어 편찬한 시문집(詩文集). 23권 11책. 목판본.
151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문헌>서명
-
속리산(俗離山)
충청도 보은(報恩)ㆍ괴산(槐山), 경상도 상주(尙州)의 경계에 있는 산 이름.
충청도>보은ㅣ경상도>상주 , 지명>자연지명
-
속몽구(續蒙求)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이자 문인인 유희춘(柳希春)이 지은 아동용 교육서. 중국 당(唐) 나라 학자 이한(李瀚)의 《몽구(蒙求)》를 보고 감명을 받아 지은 것으로, 1570년(선조 3)에 안동(安東)에서 간행함.
157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문헌>서명
-
속무정보감(續武定寶鑑)
조선 성종(成宗) 때부터 명종(明宗) 초기까지의 전란과 분쟁을 진압한 전말을 기록한 책. 8권 4책. 목활자본. 1548년(명종 3) 왕명으로 홍언필(洪彦弼)ㆍ윤인경(尹仁鏡)ㆍ정순붕(鄭順朋) 등이 편찬함.
154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문헌>서명
-
속사미인곡(續思美人曲)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시인인 정철(鄭澈)이 지은 가사. 〈사미인곡(思美人曲)〉에 이어 임금을 그리는 정을 두 여인의 문답형식으로 표현하였는데 뜻이 더욱 간절해짐. 두 작품을 함께 '전후미인곡(前後美人曲)'으로 부르며, 《송강가사(松江歌辭)》에 실려 전함.
1585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창평 , 문헌>작품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