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송응경(宋應慶)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은진(恩津). 사헌부 대사헌(司憲府大司憲) 송인수(宋麟壽)의 아들이며, 단양수(丹城守) 이진(李鎭)과 지퇴당(知退堂) 이정형(李廷馨)의 장인.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은진 , 인명>문사>유학
-
송응기(宋應期)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은진(恩津). 송귀수(宋龜壽)의 아들이며, 병조 좌랑(兵曹佐郞) 송방조(宋邦祚)와 사옹원 봉사(司饔院奉事) 송갑조(宋甲祚)의 아버지로, 의빈부 도사(儀賓府都事)를 지냄.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은진 , 인명>관인>문신
-
송응서(宋應瑞)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은진(恩津). 승사랑(承仕郞) 송세영(宋世英)의 아들이며, 신녕 현감(新寧縣監) 송이창(宋爾昌)의 아버지. 성제원(成悌元)의 문인으로, 중추부 경력(中樞府經歷) 등을 지냄.
1530~1608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회덕 , 인명>관인>문신
-
송응창(宋應昌)
중국 명(明) 나라 신종(神宗) 때의 문신ㆍ장군. 병부 우시랑(兵部右侍郞)ㆍ대사마(大司馬)를 지내다가,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경략 군문(經略軍門)으로 임명되어 제독 군무(提督軍務) 이여송(李如松) 등과 명군(明軍) 4만여 명을 이끌고 참전함.
1536~1606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무신ㅣ인명>관인>문신
-
송의(宋儀)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야성(冶城). 송복기(宋福基)의 아버지로, 충순위(忠順衛)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관인>무신
-
송의(宋義)
중국 진(秦) 나라 때의 장군. 초(楚) 회왕(懷王)의 상장군(上將軍)이 되었으나 항우(項羽)에게 살해당하고 멸족(滅族)까지 당함.
중국>진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송이원귀반곡서(送李愿歸盤谷序)
중국 당(唐) 나라 당송팔대가(唐宋八大家)의 한 사람인 한유(韓愈)의 문장. 사도(司徒) 이원(李愿)이 벼슬을 그만두고 반곡(盤谷)으로 돌아갈 때 한유가 지어 준 글로, 도통(道統)과 학(學)의 노정(路程)을 서술한 명문.
중국>당 , 중국 , 문헌>작품명
-
송이창(宋爾昌)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은진(恩津). 은율 군수(殷栗郡守) 송응서(宋應瑞)의 아들로, 이이(李珥)ㆍ송익필(宋翼弼)의 문인. 광해군 때 신녕 현감(新寧縣監)으로 재임 중에 칠서지옥(七庶之獄) 사건에 연루되어 파직된 뒤 시주(詩酒)로 여생을 보냄.
1561~1627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회덕 , 인명>관인>문신
-
송익(宋翼)
중국 삼국시대 위(魏) 나라의 서예가. 명필(名筆) 종요(鍾繇)의 제자로, 그의 글씨가 놀랜 뱀이 물을 통과하는 것(驚蛇透水)과 같았다고 함.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예술인>서화가
-
송익손(宋益孫)
조선 단종(端宗)~성종(成宗) 때의 무신. 본관은 여산(礪山). 처남 홍달손(洪達孫)을 따라 계유정난(癸酉靖難)에 가담하여 정난공신(靖難功臣)에 책록되고, 세조(世祖) 때 나주 목사(羅州牧使)로 여산군(礪山君)에 봉해짐.
1419~1482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고부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송익지(宋益祉)
조선 명종(明宗) 때의 유학. 소세양(蘇世讓)의 《양곡집(陽谷集)》에 그의 당호(堂號)에 대한 제시(題詩)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송익필(宋翼弼)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학자. 본관은 여산(礪山). 신사무옥(辛巳誣獄)을 일으킨 판관(判官) 송사련(宋祀連)의 아들. 이이(李珥)ㆍ성혼(成渾) 등과 교제하며 성리학과 예학(禮學)에 통달하였고, 문장에 뛰어나 선조대(宣祖代)의 팔문장(八文章)으로 불렸으며, 김장생(金長生)ㆍ김집(金集) 등 많은 문하생을 배출함.
1534~1599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고양 , 인명>문사>학자
-
송인(宋因)
고려 후기의 문신. 한양부 판관(漢陽府判官)에 제수되었으며, 효성이 지극하였음.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보성ㅣ경기도>과천 , 인명>관인>문신
-
송인(宋寅)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여산(礪山). 중종의 부마로, 이황(李滉)ㆍ조식(曺植) 등과 교유하고, 시문(詩文)과 해서(楷書)에 뛰어남.
1517~158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송인(宋絪)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인. 본관은 신평(新平). 면앙정(俛仰亭) 송순(宋純)의 동생. 고향인 담양(潭陽)에 제승정(濟勝亭)을 짓고 은거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담양 , 인명>문사>문인
-
송인수(宋麟壽)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은진(恩津). 엄용공(嚴用恭)ㆍ김안국(金安國)의 문인(門人). 성리학(性理學)의 대가로 선비들에게 추앙을 받았으나, 정미사화(丁未士禍)에 연루되어 사사(賜死)됨.
1499~1547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ㅣ서울 , 인명>관인>문신
-
송인충(宋仁忠)
고려 후기의 무신. 본관은 여산(礪山). 송간(宋侃)의 할아버지로, 중랑장(中郞將)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여산 , 인명>관인>무신
-
송일(宋馹)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여산(礪山). 사성(司成) 송승희(宋承禧)의 아들로, 1595년(선조 28)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 등을 지냄.
1557~1640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송자강(宋自剛)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여산(礪山). 부사직(副司直) 송호례(宋好禮)ㆍ장령(掌令) 송호의(宋好義)ㆍ교리(校理) 송호지(宋好智)의 아버지로, 회양 부사(淮陽府使)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여산 , 인명>관인>문신
-
송자대전(宋子大全)
조선 인조(仁祖)~숙종(肅宗) 때의 문신ㆍ학자인 송시열(宋時烈)의 시문집. 236권 102책. 목판본. 《우암집(尤庵集)》과 《경례문답(經禮問答)》, 부록ㆍ연보 등을 합하여 1787년(정조 11)에 간행됨. 《주자대전(朱子大全)》의 편찬 방식을 따랐으며, 주로 소(疏)ㆍ차(箚)ㆍ서(書)ㆍ명(銘)ㆍ축문ㆍ제문ㆍ신도비명(神道碑銘)ㆍ묘갈명(墓碣銘) 등으로 구성됨.
1787 한국>조선후기 , 평안도>평양ㅣ서울 , 문헌>서명
-
송재서원(松齋書院)
조선 숙종(肅宗) 때 전라도 나주(羅州)에 건립한 서원. 1702년(숙종 28)에 건립되었으며, 나세찬(羅世纘)ㆍ임형수(林亨秀)를 배향함.
1702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나주 , 유적>건물>서원,향교
-
송재유고(松齋遺稿)
조선 전기의 문신ㆍ학자인 나세찬(羅世纘)의 시문집(詩文集). 16세기 문인(文人)의 정치관과 사상이 잘 나타나 있음.
1777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송재집(松齋集)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인 이우(李堣)의 시문집. 원집 3권, 속집 3권, 별집 3권, 총 9권 3책. 목판본. 원집은 1584년(선조 17) 저자의 외종손(外從孫) 오운(吳澐), 속집은 1900년 12대손 이원로(李元魯), 별집은 1937년 후손 이종수(李鍾洙)에 의해 간행됨.
1584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충주 , 문헌>서명
-
송전(宋琠)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여산(礪山). 송화 현감(松禾縣監) 송복흥(宋復興)의 아버지로, 충의위(忠義衛)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여산 , 인명>관인>무신
-
송정순(宋庭筍)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신평(新平). 유희춘(柳希春)과 경사(經史)를 강론(講論)하고 송징(宋徵) 등의 문하생을 배출하였으며, 동복(同福)에 물염정(勿染亭)을 짓고 그곳에서 여생을 마침.
1521~1584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동복ㅣ전라도>담양 , 인명>관인>문신
-
송정황(宋庭篁)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홍주(洪州). 동복 현감(同福縣監) 송구(宋駒)의 아들이고 구례 현감(求禮縣監) 송정순(宋庭筍)의 동생으로, 교서관 정자(校書館正字)를 지냄.
1532~?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담양 , 인명>관인>문신
-
송제민(宋齊民)
조선 선조(宣祖) 때의 학자ㆍ의병장. 본관은 홍주(洪州). 교서관 정자(校書館正字) 송정황(宋庭篁)의 아들이고 토정(土亭) 이지함(李之菡)의 문인.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의병장으로 활약하고, 저서로 《와신기사(臥薪記事)》ㆍ《해광집(海狂集)》이 있음.
1549~1601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문사>학자
-
송조속명신언행록(宋朝續名臣言行錄)
조선 전기의 문신 정유일(鄭惟一)이 주자(朱子)의 《송명신언행록(宋名臣言行錄)》에 누락된 기타 영웅호걸(英雄豪傑)과 절의문장(節義文章)을 모아 엮은 책.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송준길(宋浚吉)
조선 인조(仁祖)~현종(顯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은진(恩津). 김장생(金長生)의 문인(門人)으로 기해예송(己亥禮訟) 때 기년제(朞年祭)를 주장함. 송시열(宋時烈)과 동종(同宗)이면서 학문 경향을 같이한 성리학자로 이이(李珥)의 학설을 지지함.
1606~1672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송지(宋祉)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여산(礪山). 내자시 소윤(內資寺少尹) 송진생(宋辰生)의 아버지로, 서운관 정(書雲觀正)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여산 , 인명>관인>문신
-
송지문(宋之問)
중국 당(唐) 나라 고종(高宗)~중종(中宗) 때의 문신ㆍ문인. 심전기(沈佺期)와 함께 시(詩)로 명성을 떨치며 율시(律詩)의 형식을 완성시킴. 수문관 직학사(修文館直學士)를 지냄.
656~712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송지문집(宋之問集)
중국 당(唐) 나라 측천무후(則天武后) 때의 문신ㆍ문인인 송지문(宋之問)의 문집. 10권.
중국>당 , 중국 , 문헌>서명
-
송지수(宋志洙)
조선 헌종(憲宗) 때의 문인. 선조(先祖) 송인수(宋麟壽)의 《규암집(圭庵集)》을 교정하고 보충하여 1844년에 재편찬함.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은진 , 인명>문사>문인
-
송진생(宋辰生)
조선 태조(太祖)~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여산(礪山). 서운관 정(書雲觀正)을 지낸 송지(宋祉)의 아들로, 내자시 소윤(內資寺少尹)을 지냄.
1371~1444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여산 , 인명>관인>문신
-
송징(宋徵)
조선 광해군(光海君)~인조(仁祖) 때의 유학(幼學). 본관은 신평(新平). 송정순(宋庭筍)의 문인(門人). 정철(鄭澈)과 교유하였으며 이이첨(李爾瞻)의 폐모론(廢母論)에 맞서 유생으로 항소(抗疏)를 올림.
1564~1643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담양 , 인명>문사>유학
-
송찬(宋贊)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진천(鎭川). 《중종실록(中宗實錄)》ㆍ《명종실록(明宗實錄)》의 편찬에 참여하였고, 진위사(陳慰使)와 진하사(進賀使)로 두 차례에 걸쳐 명(明) 나라에 다녀옴.
1510~1601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진천 , 인명>관인>문신
-
송처종(宋處宗)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문신. 연주 자사(兗州刺史)를 지냄. 《유명록(幽冥錄)》에 장명계(長鳴鷄)를 사다가 서재 창가에서 길렀는데 얼마 후 닭과 담론(談論)하면서 깨달은 것이 많았다는 고사(故事)가 실려 있음.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송천서원(松泉書院)
조선 숙종(肅宗) 때 충청도 청주(淸州)에 건립한 서원. 1711년(숙종 37)에 사액되었으며, 김사렴(金士廉)ㆍ최유경(崔有慶)ㆍ이정간(李貞幹)ㆍ박광우(朴光佑) 등을 배향함. 현재 충청북도 청원군(淸原郡)에 속함.
1695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청주 , 유적>건물>서원,향교
-
송천언행록(松川言行錄)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문인인 송천(松川) 양응정(梁應鼎)의 언행을 기록한 책. 문인 옥봉(玉峯) 백광훈(白光勳)이 기록했으나 전하지 않으며, 손자 양만용(梁曼容)이 그 대략을 채록함.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송천유집(松川遺集)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문인인 양응정(梁應鼎)의 문집. 7권 3책. 목활자본. 1842년(헌종 8)에 9대손 양찬영(梁纘永)이 전라도 나주(羅州)에서 간행함.
1842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나주 , 문헌>서명
-
송천집(松川集)
조선 숙종(肅宗) 때의 문신인 김천일(金千鎰)의 문집. 1901년(광무 5) 후손들의 주선으로 4권 2책 고활자본(古活字本)으로 간행됨.
1901 한국>근대 , 문헌>서명
-
송천희(宋千喜)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여산(礪山). 경상도 관찰사ㆍ이조 판서(吏曹判書) 등을 역임하였고, 중종 때 하성절사(賀聖節使)로 명(明) 나라에 다녀옴.
?~1520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여산 , 인명>관인>문신
-
송첨(宋詹)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여산(礪山). 좌명공신(佐命功臣) 송거신(宋居信)의 아버지로, 전법판서(典法判書)를 지냄.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여산 , 인명>관인>문신
-
송춘경(宋春卿)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은진(恩津). 사헌부 집의(司憲府執義)를 지낸 송명의(宋明誼)의 아버지로, 보성 군사(寶城郡事)를 지냄.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은진 , 인명>관인>문신
-
송치규(宋稚圭)
조선 정조(正祖)~헌종(憲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은진(恩津). 김정묵(金正默)의 제자로, 일생을 벼슬을 사양하다가 말년에 이조 참판(吏曹參判) 등을 지냄. 저서로 《강재집(剛齋集)》이 있음.
1759~1838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은진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송탄집(松灘集)
조선 인조(仁祖) 때의 문신인 정홍서(鄭弘緖)의 문집.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송태(宋泰)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신평(新平). 면앙정(俛仰亭) 송순(宋純)의 아버지로, 이조 판서(吏曹判書)에 추증됨.
1475~1523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담양 , 인명>문사>유학
-
송평(宋平)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진천(鎭川). 만포 첨사(滿浦僉使)를 지낸 송복견(宋福堅)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진천 , 인명>문사>유학
-
송하(宋賀)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진천(鎭川). 조지서 사지(造紙署司紙) 송세증(宋世曾)의 아들로, 옥당(玉堂)과 승지(承旨)를 지냄.
1524~1594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송학사전집(宋學士全集)
중국 명(明) 나라 태조(太祖) 때의 문신ㆍ학자인 송렴(宋濂)의 문집. 36권.
중국>명 , 중국 , 문헌>서명
-
송학서원(松鶴書院)
조선 숙종(肅宗) 때 경상도 청송(靑松)에 건립한 서원. 이황(李滉)ㆍ김성일(金誠一)ㆍ장현광(張顯光)을 배향함.
1702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청송 , 유적>건물>서원,향교
-
송한필(宋翰弼)
조선 선조(宣祖) 때의 학자. 본관은 여산(礪山). 신사무옥(辛巳誣獄)을 일으킨 판관(判官) 송사련(宋祀連)의 아들. 형 송익필(宋翼弼)ㆍ송부필(宋富弼)과 함께 문장이 뛰어나고 성리학(性理學)에 정통하여 이이(李珥)ㆍ박인로(朴仁老) 등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여산 , 인명>문사>학자
-
송해관(宋海寬)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신평(新平). 의정부 우참찬(議政府右參贊)을 지낸 송순(宋純)의 아들로, 건원릉 참봉(健元陵參奉)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담양 , 인명>관인>문신
-
송현(宋鉉)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야로(冶爐). 송희규(宋希奎)의 아들로, 1556년(명종11)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성균관 권지(成均館權知)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합천 , 인명>관인>문신
-
송현수(宋玹壽)
조선 단종(端宗) 때의 문신. 단종의 장인. 본관은 여산(礪山). 1457년(세조 3) 금성대군(錦城大君)이 사사된 뒤 주살(誅殺)됨.
?~1457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여산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송호례(宋好禮)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여산(礪山). 1496년(연산군 2)에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하여 부사직(副司直) 등을 역임하였으나, 기묘사화(己卯士禍)에 연루되어 관직이 삭탈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송호시고(松湖詩稿)
조선 선조(宣祖) 때의 서예가ㆍ시인인 백진남(白振南)의 시문집. 1권.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송호유고(松湖遺稿)
조선 선조(宣祖) 때의 학자인 허강(許橿)의 시문집. 1680년(숙종 6) 후손인 허목(許穆)이 필사본으로 엮은 시가집 《선조영언(先祖永言)》에 〈송호유고부록(松湖遺稿附錄)〉으로 시조 7수가 실려 있음.
1680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송호의(宋好義)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여산(礪山). 지평(持平)ㆍ장령(掌令)을 역임하였으며, 이극돈(李克墩)의 추탈(追奪)을 주장하는 등 성품이 강직하였음.
?~151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송호지(宋好智)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여산(礪山).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조광조(趙光祖)의 구원을 요청하였다가 관직이 삭탈되었으나, 뒤에 복관됨.
1474~1526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여산 , 인명>관인>문신
-
송호집(松湖集)
조선 영조(英祖) 때의 문신인 유언술(兪彦述)의 문집. 1832년(순조 32) 상주 목사(尙州牧使)로 있던 손자 유병주(兪秉柱)가 6권 3책 활자본으로 간행함.
1832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상주 , 문헌>서명
-
송홍(宋泓)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여산(礪山). 사헌부 감찰(司憲府監察)을 지낸 송유순(宋惟諄)의 아버지로, 풍저창 주부(豊儲倉主簿)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여산 , 인명>관인>문신
-
송환기(宋煥箕)
조선 정조(正祖)~순조(純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은진(恩津). 송시열(宋時烈)의 5대손이며 송능상(宋能相)의 문인으로, 우찬성(右贊成) 등을 지냄. 학덕을 겸비하여 조야의 존경을 받았으며, 시문집으로 《성담집(性潭集)》이 있음.
1728~1807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문의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송회석(宋晦錫)
조선 숙종(肅宗) 때의 유학. 본관은 은진(恩津). 송시열(宋時烈)의 손자이자 송무원(宋婺源)의 아버지. 《송자대전(宋子大全)》에 송시열이 지은 〈제오손회석묘표(第五孫晦錫墓表)〉가 실려 있음.
1658~1688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은진 , 인명>문사>유학
-
송흠(宋欽)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신평(新平). 판중추부사 겸 지경연사(判中樞府事兼知經筵事) 등을 역임하였고, 청백리(淸白吏)에 녹선(錄選)됨.
1459~1547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영광 , 인명>관인>문신
-
송희경(宋希璟)
조선 태종(太宗)~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신평(新平). 문과에 급제하여 사간원 정언(司諫院正言) 등을 역임하였고, 회례사(回禮使)가 되어 일본(日本)을 왕래함.
1376~1446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담양 , 인명>관인>문신
-
송희규(宋希奎)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야로(冶爐). 이언적(李彦迪)과 교유하였으며, 윤임(尹任)을 옹호하고 윤원형(尹元衡)의 전횡을 탄핵하였음.
1494~155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성주 , 인명>관인>문신
-
송희업(宋熙業)
조선 광해군(光海君)~인조(仁祖) 때의 문신. 여성군(礪城君) 송인(宋寅)의 증손이고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를 지낸 송기(宋圻)의 아들로, 간성 현감(杆城縣監)을 역임함.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여산 , 인명>관인>문신
-
송희원(宋希遠)
조선 광해군(光海君)~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은진(恩津). 임천 군수(林川郡守)를 지낸 송남수(宋柟壽)의 아들로, 율봉도 찰방(栗峯道察訪) 등을 지냄.
1565~1623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은진 , 인명>관인>문신
-
수(垂)
중국 고대 순(舜) 임금의 신하. 순 임금의 공공(共工)이 되어 활과 화살을 처음으로 만들었다고 함.
고대 , 중국 , 인명>기술인>장인
-
수(隋)
중국 남북조시대(南北朝時代)에 이어지는 통일 왕조. 양견(楊堅)이 북주(北周)의 정제(靜帝)로부터 양위를 받아 건국하였으며, 3대 38년간 존속.
581~618 중국>수 , 중국 , 시간>국명
-
수^명(壽^銘)
조선 선조(宣祖) 때의 어의(御醫)인 양예수(楊禮壽)와 손사명(孫士銘)을 함께 부르는 말. 두 사람의 공저로 《의림촬요(醫林撮要)》가 있음.
한국>조선시대 , 사상>술어>관용어
-
수간(守侃)
조선 중종(中宗) 때의 승려. 고봉(孤峯) 김정(金淨)과 동년생(同年生)으로 금강산 유점사(楡岾寺)에 있을 때 서로 교유하였음.
1486~?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고성 , 인명>종교인>승려
-
수강사(壽岡祠)
조선 숙종(肅宗) 때 전라도 영광(靈光)에 건립한 사당. 송흠(宋欽)ㆍ이만영(李萬榮)ㆍ이장영(李長榮) 등을 배향함.
1702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영광 , 유적>건물>사당
-
수경주(水經注)
중국 송(宋) 나라 철종(哲宗) 때의 문신ㆍ문인인 유이(劉彛)가 지은 책. 중국의 하천지(河川誌)인 《수경(水經)》에 대한 주석서. 4권.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수계집(須溪集)
중국 송(宋) 말~원(元) 초의 문신ㆍ시인인 유진옹(劉辰翁)의 문집. 10권.
중국>원 , 중국 , 문헌>서명
-
수도군(守道君)
조선 제2대 정종(定宗)의 일곱 번째 서자. 숙의윤씨(淑儀尹氏)의 소생으로, 관직을 삭존(削尊)당한 뒤 사후에 신원되어 영종정경(領宗正卿)의 벼슬과 군(君)에 추봉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왕자
-
수도산(修道山)
경상북도 김천(金泉)과 경상남도 거창(居昌)에 걸쳐 있는 산 이름. 숙종(肅宗)의 비(妃)인 인현왕후(仁顯王后)의 원당(願堂)인 청암사(靑巖寺)가 있음.
경상도>금산 , 지명>자연지명
-
수도암(修道庵)
통일신라 헌안왕(憲安王) 때 수도산(修道山) 정상 부근에 도선국사(道詵國師)의 수도 도량으로 창건한 사찰. 현재 경상북도 김천시(金泉市)에 속함.
859 한국>통일신라 , 경상도>거창 , 유적>건물>사찰
-
수락산(水落山)
경기도 양주(楊州)에 있는 산. 사적으로 쌍암사(雙岩寺)ㆍ석림사(石林寺)ㆍ계림암(鷄林庵)ㆍ흥국사(興國寺) 등이 있음. 지금은 서울시 노원구(蘆原區), 경기도 의정부시(議政府市)ㆍ남양주시(南楊州市)에 속함.
경기도>양주 , 지명>자연지명
-
수렴천(水簾泉)
중국 강서성(江西省) 여산(廬山)의 강왕곡(康王谷)에 있는 샘 이름. 당(唐) 나라 육우(陸羽)가 천하제일천(天下第一泉)이라고 품평함.
중국 , 지명>자연지명
-
수령궁주(壽寧宮主)
고려 제22대 강종(康宗)의 딸. 1212년(강종 1) 하원공(河源公) 왕춘(王瑃)에게 출가함.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공주
-
수령옹주(壽寧翁主)
고려 후기의 옹주(翁主). 본관은 경주(慶州). 밀직승지(密直承旨) 김신(金信)의 딸로, 예성부원대군(蘂城府院大君) 왕온(王昷)에게 출가함.
1281~1335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종친
-
수로왕(首露王)
금관가야(金官伽倻)의 시조. 재위 42~199. 관직을 정비하고 도읍을 정하여 국가의 기틀을 확립함. 《삼국유사(三國遺事)》〈가락국기(駕洛國記)〉에 탄생과 치적에 관한 기사가 전함. 김해김씨(金海金氏)의 시조.
?~199 한국>가야 , 경상도>김해 , 인명>왕실>국왕
-
수린(秀藺)
일본 실정시대(室町時代) 때의 승려. 1465년(세조 11) 조선에 와서 세조(世祖)에게 받은 서계(書契)ㆍ예폐(禮幣)를 가지고 돌아가 왜왕(倭王)에게 전달함.
일본>실정시대 , 일본 , 인명>종교인>승려
-
수몽(壽夢)
중국 춘추전국시대 오(吳) 나라 제19대 제후. 재위 B.C.585~B.C.560. 넷째 아들인 계찰(季札)을 어질게 여겨 왕위를 물려주려 하였으나 적자(適子)가 왕위를 이어야 한다며 계찰이 사양하여 제번(諸樊)에게 왕위를 물려줌.
?~B.C.560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수몽집(守夢集)
조선 인조(仁祖) 때의 문신인 정엽(鄭曄)의 문집. 1661년(현종 2) 해주 목사(海州牧使)로 있던 외손 나성두(羅星斗)가 8권 2책 목판으로 간행함.
1661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해주 , 문헌>서명
-
수백재유고(守白齋遺稿)
조선 정조(正祖) 때의 문신인 홍주익(洪柱翼)의 문집. 40권.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수범(修梵)
통일신라 성덕왕(聖德王) 때 아미타불(阿彌陀佛)로 화현한 승려 달달박박(怛怛朴朴)의 아버지.
한국>통일신라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수봉(琇峯)
고려 우왕(禑王) 때의 승려. 나옹화상(懶翁和尙) 혜근(惠勤)의 문도로, 승려 무급(無及)과 함께 해인사(海印寺)에 가서 대장경(大藏經)을 인경(印經)함.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합천 , 인명>종교인>승려
-
수서(隋書)
중국 수(隋) 나라의 역사를 기록한 정사(正史). 당(唐) 나라의 장손무기(長孫無忌)ㆍ위징(魏徵)ㆍ공영달(孔穎達) 등이 칙명으로 편찬함. 제기(帝紀) 5권, 열전(列傳) 50권, 지(志) 30권으로, 총 85권.
636 중국>당 , 중국 , 문헌>서명
-
수서집(水西集)
조선 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인 박선장(朴善長)의 문집. 1810년(순조 10) 현손 박제안(朴齊顔) 등이 4권 2책으로 간행함.
1810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수선사(修禪社)
고려 명종(明宗) 때의 승려인 보조국사(普照國師) 지눌(知訥)이 결성한 신앙결사단체, 혹은 그 사찰. 1190년(명종 20) 경상도 대구(大丘) 공산(公山) 거조사(居祖社)에서 정혜사(定慧社)라는 명칭으로 결성하였으며, 이후 조계산(曹溪山)으로 옮기고 수선사로 개칭함.
1190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순천 , 유적>건물>사찰ㅣ인명>집단>조직
-
수성(水星)
초저녁의 서쪽 하늘 혹은 새벽의 동쪽 하늘에서 잠깐 동안만 보이는 별 이름. 오성(五星) 가운데 북방(西方)을 상징하며, 겨울ㆍ흑색(黑色) 등에 해당함.
자연물>천체
-
수성지(愁城誌)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인 임제(林悌)가 지은 한문 단편소설. 인간의 심정인 천군(天君)이 수기(愁氣) 가득한 수성(愁城)을 술로 공격하여 물리쳐 이상국을 건설한다는 내용. 《임백호집(林白湖集)》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문헌>작품명
-
수승대(搜勝臺)
경상도 거창(居昌) 위천면(渭川面)에 있는 누대(樓臺). 원래 삼국시대(三國時代) 때 백제에서 신라로 보내는 사신을 송별하던 곳으로, 조선 중종(中宗) 때 이황(李滉)이 개명을 권하여 ‘수승대’로 바꿈.
한국>백제 , 경상도>거창 , 유적>건물>누정
-
수신기(搜神記)
중국 남북조시대 동진(東晉)의 문신ㆍ학자인 간보(干寶)가 지은 지괴소설집(志怪小說集). 본래는 30권이었으나, 당(唐) 나라 때 흩어져 있던 것을 모아서 다시 편집하여 현재는 20권이 전함.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문헌>서명
-
수신대(隨身臺)
전라도 광산(光山)의 무등산(無等山) 정상 부근에 있는 바위 이름.
전라도>광산 , 지명>자연지명
-
수안(遂安)
황해도 동북부에 있는 고을 이름. 고려시대에 몽고군(蒙古軍)과 거란군(契丹軍)에게 자주 침략을 당한 고을 중의 하나.
황해도>수안 , 지명>행정지명
-
수암(睡菴)
고려 후기의 승려. 해인사(海印寺)에서 대장경(大藏經)을 인경할 때 이숭인(李崇仁)이 지어 준 시가 《도은집(陶隱集)》에 실려 있음.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합천 , 인명>종교인>승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