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수암유고(守庵遺稿)
조선 선조(宣祖) 때의 학자인 박지화(朴枝華)의 문집. 1684년(숙종 10) 용강 현령(龍岡縣令) 김구(金構)가 2권 1책 목판으로 간행함.
1684 한국>조선후기 , 평안도>용강 , 문헌>서명
-
수양산(首陽山)@중국
중국 산서성(山西省) 서남쪽에 있는 산 이름. 고죽국(孤竹國)의 백이(伯夷)ㆍ숙제(叔齊) 형제가 절의(節義)를 지키다가 굶어 죽었다는 고사로 유명함.
중국 , 지명>자연지명
-
수양산(首陽山)
황해도 해주(海州)와 벽성(碧城)의 경계에 있는 산 이름.
황해도>해주 , 지명>자연지명
-
수양산성(首陽山城)
통일신라 경덕왕(景德王) 때 황해도 해주(海州)의 수양산(首陽山)에 쌓은 산성 이름. 1674년(숙종 2)에 수축함. 고죽군(孤竹君)의 옛 터가 있다는 전설이 전함.
762 한국>통일신라 , 황해도>해주 , 유적>시설>성,진,책
-
수양자집(睢陽子集)
중국 송(宋) 나라 인종(仁宗) 때의 문신ㆍ학자인 손복(孫復)의 문집. 10권.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수옥집(漱玉集)
중국 송(宋) 나라의 여류 문인인 이청조(李淸照)의 문집. 1권.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수옹일기(睡翁日記)
조선 인조(仁祖) 때의 문신인 송갑조(宋甲祚)가 쓴 일기. 1624년(인조 2)부터 1628년(인조 6)까지의 내란ㆍ외침 등 중요한 변란이 수록됨. 1800년(정조 24)에 5대손 송구상(宋龜相)이 2권 2책으로 편집하고 송환학(宋煥學)이 개간함.
1800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수우(豎牛)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 대부인 숙손표(叔孫豹)의 가신(家臣). 숙손표의 서자인 숙손야(叔孫婼)에게 적통을 잇게 하였으나 숙손야에게 죽임을 당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수원(水原)
경기도 중남부에 있는 고을 이름. 사도세자(思悼世子)의 능(陵)이 수원 읍치의 진산인 화산(華山)에 있음.
경기도>수원 , 지명>행정지명
-
수원백씨(水原白氏)
중국 당(唐) 나라에서 이부 상서(吏部尙書) 등을 지내고 신라로 온 송계공(松溪公) 백우경(白宇經)을 시조로 하고, 신라 경덕왕(景德王) 때 중랑장(中郞將)을 지낸 백창직(白昌稷)을 중시조로 하는 성씨.
한국>통일신라 , 경기도>수원 , 인명>집단>성씨
-
수윤(守允)
일본 실정시대(室町時代) 때의 승려. 조선에 있을 때 이행(李行)이 소를 타고 노닐던 모습을 담은 〈월하기우도(月下騎牛圖)〉를 그렸는데, 권근(權近)이 기우도(騎牛圖)에 대한 시를 지어줌.
일본>실정시대 , 일본 , 인명>종교인>승려
-
수은(袖隱)
고려 후기의 승려. 원천석(元天錫)의 《운곡행록(耘谷行錄》에 그의 시권(詩卷)에 써준 시가 실려 있음.
한국>고려후기 , 인명>종교인>승려
-
수은집(睡隱集)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인 강항(姜沆)의 문집. 1658년(효종 9) 금구 현령(金溝縣令)으로 있던 문인 윤순거(尹舜擧)에 의해 4권 4책 목판으로 간행됨.
1658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금구 , 문헌>서명
-
수재집(睡齋集)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인 유인귀(柳仁貴)의 문집.
한국>조선시대 , 문헌>서명
-
수조(豎刁)
중국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 제(齊) 나라 때의 환관. 환공(桓公)이 죽은 뒤 역아(易牙)ㆍ개방(開方) 등과 함께 제(齊) 나라를 혼란에 빠뜨림.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환관
-
수주대토(守株待兎)
나무의 그루터기를 지켜보며 토끼가 나오기를 기다린다는 뜻으로, 융통성 없이 어리석고 완고함을 비유함. 《한비자(韓非子)》 〈오두편(五蠹篇)〉에 나옴.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사상>술어>고사성어
-
수징(水澄)
조선 전기의 승려. 신응시(辛應時)ㆍ백광훈(白光勳) 등과 시(詩)로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장흥 , 인명>종교인>승려
-
수춘군(壽春君)
조선 제4대 세종(世宗)의 여섯째 서자. 어머니는 혜빈양씨(惠嬪楊氏)이고 1437년(세종 19) 수춘군(壽春君)에 봉해졌으나 일찍 죽음.
1431~1455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왕자
-
수충사(酬忠祠)
조선 정조(正祖) 때 휴정(休靜)의 공덕을 기리기 위하여 묘향산(妙香山)에 건립한 사우(祠宇). 1794년(정조 18)에 수충사라는 현판을 하사받음. 휴정(休靜)ㆍ유정(惟政) 등을 제향함.
1794 한국>조선후기 , 평안도>영변 , 유적>건물>사당
-
수해(豎亥)
중국 고대 우(禹) 임금 때의 인물. 걸음이 빨라서 우 임금이 그에게 동극(東極)에서 서극(西極), 또는 남극(南極)에서 북극(北極)까지의 걸음 수를 헤아리게 했다고 함.
고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수헌집(睡軒集)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인 권오복(權五福)의 문집. 1585년(선조 18)에 달성 부사(達城府使)로 있던 후손 권문해(權文海)에 의해 3권 2책 목판본으로 간행됨.
158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대구 , 문헌>서명
-
숙경옹주(淑慶翁主)
조선 제3대 태종(太宗)의 아홉 번째 서녀(庶女). 어머니는 신빈신씨(信嬪辛氏). 파평군(坡平君) 윤암(尹巖)과 혼인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공주
-
숙근옹주(淑謹翁主)
조선 제3대 태종(太宗)의 열두 번째 서녀(庶女). 어머니는 신빈신씨(信嬪辛氏). 화천군(花川君) 권공(權恭)과 혼인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공주
-
숙녕궁주(肅寧宮主)
고려 제34대 공양왕(恭讓王)의 첫째 딸. 순비노씨(順妃盧氏)의 소생으로, 익천군(益川君) 왕즙(王緝)과 혼인함.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공주
-
숙량흘(叔梁紇)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대부. 안징재(顔徵在)와 야합(野合)하여 유학(儒學)의 개조(開祖)인 공자(孔子)를 낳음. 계성사(啓聖祠)에서 제향함.
?~B.C.549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숙손교여(叔孫僑如)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대부. 선공(宣公)의 부인인 목강(繆姜)과 통정(通情)하고 나라를 혼란하게 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숙손무숙(叔孫武叔)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대부(大夫). 자공(子貢)이 공자(孔子)보다 훌륭하다고 평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숙손씨(叔孫氏)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공족(公族). 맹손씨(孟孫氏)ㆍ계손씨(季孫氏)와 함께 노 나라의 세 공족 중 하나. 환공(桓公)의 아들인 숙아(叔牙)의 후손으로, 대대로 대부의 벼슬을 계승하고 노 나라의 국정을 농단(弄斷)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집단>성씨
-
숙손야(叔孫婼)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대부. 숙손표(叔孫豹)의 서자(庶子). 가신(家臣) 수우(豎牛)에 의해 적통을 계승하였으나 난역지죄(亂逆之罪)를 물어 수우를 주벌함.
?~B.C.517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숙손통(叔孫通)
중국 진(秦) 말~한(漢) 초의 문신. 한(漢) 고조(高祖) 때 조의(朝儀)를 제정하였으며, 혜제(惠帝) 때 종묘(宗廟) 등의 의법(儀法)을 정하고 태자 태부(太子太傅)를 지냈음.
중국>전한ㅣ중국>진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숙손표(叔孫豹)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대부. 가신(家臣) 수우(豎牛)의 농간으로 서자(庶子)인 숙손야(叔孫婼)에게 적통을 물려주었으며, 병이 들자 수우에 의해 아사(餓死) 당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숙순옹주(淑順翁主)
조선 제3대 태종(太宗)의 열세 번째 서녀(庶女). 어머니는 덕숙옹주 이씨(德淑翁主李氏). 파원위(坡原尉) 윤평(尹泙)과 혼인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공주
-
숙아(叔牙)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 환공(桓公)의 아들. 장공(莊公)의 이복동생. 장공이 아들인 반(般)을 태자로 삼으려 할 때 형 경보(慶父)를 지지하였으므로 아우인 계우(季友)에게 독살당함.
?~B.C.662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왕자
-
숙용심씨(淑容沈氏)
조선 제9대 성종(成宗)의 후궁. 이성군(利城君)ㆍ영산군(寧山君)ㆍ경순옹주(慶順翁主)ㆍ숙혜옹주(淑惠翁主) 등 2남 2녀를 낳음.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후궁
-
숙의이씨(淑儀李氏)
조선 제11대 중종(中宗)의 후궁. 본관은 경주(慶州). 사섬시 첨정(司贍寺僉正) 이형신(李亨臣)의 딸로, 덕양군(德陽君) 이기(李岐)를 낳음.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후궁
-
숙정공주(淑靜公主)
조선 제17대 효종(孝宗)의 다섯째 딸. 어머니는 인선왕후(仁宣王后). 동평위(東平尉) 정재륜(鄭載崙)과 혼인함.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왕실>공주
-
숙정문(肅靖門)
조선 태조(太祖) 때 건립한 서울 성곽의 사대문(四大門) 가운데 북쪽 성문. 경복궁(景福宮)의 주산(主山)인 백악산(白岳山) 동쪽 고개에 위치하며, 풍수설에 의해 항상 닫혀 있어서 이를 대신하여 창의문(彰義門)을 흔히 북문(北門)으로 부름.
1396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유적>시설>성,진,책
-
숙정옹주(淑貞翁主)
조선 제3대 태종(太宗)의 넷째 서녀(庶女). 어머니는 신빈신씨(信嬪辛氏). 일성군(日城君) 정효전(鄭孝全)과 혼인함.
?~1456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공주
-
숙제(叔齊)
중국 은(殷) 나라의 충신ㆍ은자. 주(周) 나라 무왕(武王)이 은 나라를 치려할 때 형 백이(伯夷)와 함께 말리다가 듣지 않자, 주에서 나는 곡식을 먹는 것도 부끄럽게 여겨 수양산(首陽山)에 들어가 고사리를 캐 먹다가 죽음.
중국>은 , 중국 , 인명>기타인명>은자ㅣ인명>왕실>왕자
-
숙종(肅宗)@고려
고려 제15대 국왕. 재위 1095~1105. 조카인 헌종(獻宗)이 어린 나이에 즉위한 뒤 이자의(李資義)가 거사하자 그를 주살하고 선위(禪位)를 받아 왕위에 오름.
1054~1105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숙종(肅宗)@당
중국 당(唐) 나라의 제7대 국왕. 재위 756~762. 안녹산(安祿山)의 난을 진압하는데 주력했지만 병으로 재위 7년 만에 사망함.
711~762 중국>당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숙종(肅宗)@조선
조선 제19대 국왕. 재위 1674~1720. 절정에 달한 붕당정치(朋黨政治) 속에서 뛰어난 능력을 발휘하여 왕권을 강화하고 민생안정책의 시행에 주력함.
1661~1720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왕실>국왕
-
숙천(肅川)
평안도 서부에 있는 고을 이름.
평안도>숙천 , 지명>행정지명
-
숙혜옹주(淑惠翁主)
조선 제3대 태종(太宗)의 여섯째 서녀(庶女). 어머니는 소빈노씨(昭嬪盧氏). 성원위(星原尉) 이정녕(李正寧)과 혼인함.
?~146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공주
-
숙흥야매잠(夙興夜寐箴)
중국 송(宋) 나라의 진백(陳栢)이 스스로를 경계하기 위해 지은 글. 208자(字)로 이루어져 있으며, 주희(朱熹)의 〈경재잠(敬齋箴)〉과 서로 표리(表裏)를 이룸.
중국>송 , 중국 , 문헌>작품명
-
숙흥야매잠주해(夙興夜寐箴註解)
조선 전기의 문신ㆍ학자인 노수신(盧守愼)이 중국 송(宋) 나라 진백(陳栢)의 〈숙흥야매잠(夙興夜寐箴)〉을 주해한 책.
1568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진도 , 문헌>서명
-
순(舜)
중국 고대 전설상의 황제. 요(堯) 임금의 선양(禪讓) 후 사흉(四凶)인 곤(鯀)ㆍ공공(共工)ㆍ환두(驩兜)ㆍ삼묘(三苗) 등을 주벌하고 천하를 잘 다스려 태평시대를 이룬 성군(聖君)으로 칭송받음.
고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순^문(舜^文)
중국 고대 전설상의 황제인 순(舜) 임금과 주(周) 나라를 창건한 무왕(武王)의 아버지인 문왕(文王)을 함께 부르는 말. 성군(聖君)을 가리킴.
중국>은ㅣ고대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순^배(荀^裵)
중국 삼국시대 위(魏) 나라의 문신인 순유(荀攸)와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문신ㆍ학자인 배수(裵秀)를 함께 부르는 말. 건국에 공이 있는 모사(謀士)를 가리킴.
중국>남북조시대ㅣ중국>삼국시대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순^소(淳^紹)
중국 송(宋) 나라 효종(孝宗) 때 연호의 하나인 순희(淳熙)와 광종(光宗) 때의 연호인 소희(紹熙)를 함께 부르는 말.
중국>송 , 중국 , 시간>기타시간
-
순^양(荀^揚)
중국 춘추전국시대 조(趙) 나라의 학자인 순황(荀況)과 전한(前漢) 말의 학자ㆍ문인인 양웅(揚雄)을 함께 부르는 말.
중국>전한ㅣ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순^양(荀^楊)
중국 춘추전국시대 조(趙) 나라의 학자인 순황(荀況)과 위(魏) 나라의 학자인 양주(楊朱)를 함께 부르는 말. 정통 유학자들에게 이단시되는 유학자를 가리킴.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순^진(順^珍)
전라남도에 있는 순천(順天)과 진도(珍島)를 함께 부르는 말.
전라도>진도ㅣ전라도>순천 , 지명>기타지명
-
순^척(舜^跖)
중국 고대 전설상의 황제인 순(舜)과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도둑인 도척(盜跖)을 함께 부르는 말. 선인(善人)과 악인(惡人)을 가리킴.
중국>춘추전국시대ㅣ고대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순^철(淳^澈)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인 박순(朴淳)과 정철(鄭澈)을 함께 부르는 말. 서인(西人)의 대표 인물들로, 절친하며 절개가 곧은 학자들로 유명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사상>술어>관용어
-
순^혼(淳^渾)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인 박순(朴淳)과 성혼(成渾)을 함께 부르는 말. 당파를 같이한 절친한 사이로 절개가 곧은 학자들로 유명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사상>술어>관용어
-
순^혼^철(淳^渾^澈)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인 박순(朴淳)ㆍ성혼(成渾)ㆍ정철(鄭澈)을 함께 부르는 말. 절친한 사이로 절개가 곧은 학자들로 유명하며, 같은 당파에 속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사상>술어>관용어
-
순^황(純^滉)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인 민순(閔純)과 최황(崔滉)을 함께 부르는 말.
한국>조선시대 , 황해도>해주ㅣ경기도>여주 , 사상>술어>관용어
-
순경태후(順敬太后)
고려 제24대 원종(元宗)의 비. 성은 김(金)이며, 본관은 경주(慶州). 장익공(莊翼公) 김약선(金若先)의 딸. 충렬왕(忠烈王)의 어머니.
?~1236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왕비
-
순로(蓴鱸)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 장한(張翰)이 가을바람을 맞고는 고향 강동(江東)의 순채국과 농어회 맛을 잊지 못하여 벼슬을 버리고 고향으로 돌아갔던 데서 나온 고사로, 고향을 그리워함을 뜻함.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사상>술어>고사성어
-
순비허씨(順妃許氏)
고려 제26대 충선왕(忠宣王)의 제6비. 공암허씨(孔巖許氏)로 첨의중찬(僉議中贊) 허공(許珙)의 딸. 평양공(平陽公) 왕현(王眩)에게 출가하여 3남 4녀를 낳고 사별한 후, 충선왕에게 재가함. 충선왕과의 사이에는 자녀가 없음.
1271~1335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왕비
-
순상(荀爽)
중국 후한(後漢) 때의 문신. 12세에 《춘추(春秋)》와 《논어(論語)》에 정통한 영재로, 순가팔룡(荀家八龍) 중에서도 가장 명성이 높았음.
128~190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순숙(荀淑)
중국 후한(後漢) 순제(順帝)~환제(桓帝) 때의 문신. 순제 사망 후 전횡을 휘두른 외척 양기(梁冀)를 비난하다 지방으로 좌천되었고, 낭릉후(朗陵侯)의 재상이 되었을 때 일을 명쾌하게 처리하여 신군(神君)이라는 칭호를 얻음.
83~149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순씨팔룡(荀氏八龍)
중국 후한(後漢) 환제(桓帝) 때의 문신인 순숙(荀淑)의 여덟 명의 아들, 순검(荀儉)ㆍ순곤(荀緄)ㆍ순정(荀靖)ㆍ순도(荀燾)ㆍ순왕(荀汪)ㆍ순상(荀爽)ㆍ순숙(荀肅)ㆍ순전(荀專)이 모두 훌륭했기 때문에 함께 부르는 말.
중국>후한 , 중국 , 인명>집단>조직
-
순암(珣巖)
고려 후기의 승려. 원천석(元天錫)의 《운곡행록(耘谷行錄》에 그의 시권(詩卷)에 써준 시가 실려 있음.
한국>고려후기 , 인명>종교인>승려
-
순암집(順菴集)
조선 정조(正祖) 때의 문신ㆍ학자인 안정복(安鼎福)의 문집. 1900년 저자의 후손인 안종엽(安鍾曄)이 활자본으로 간행함. 15책.
1900 한국>근대 , 문헌>서명
-
순언(荀偃)
중국 춘추전국시대 진(晉) 나라의 대부. 난서(欒書)와 함께 여공(厲公)을 시해하고 망명해 있던 도공(悼公)을 영립(迎立)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순오지(旬五志)
조선 영조(英祖) 때의 문신ㆍ학자인 홍만종(洪萬宗)이 지은 문학평론집. 정철(鄭澈)ㆍ송순(宋純) 등의 시가(詩歌), 속담, 한국의 역사, 유ㆍ불ㆍ선에 관한 일화, 훈민정음(訓民正音) 창제에 대한 견해, 속자(俗字)에 대한 기술 등 다양한 내용을 실음. 2권 1책. 필사본.
1678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순우곤(淳于髡)
중국 춘추전국시대 제(齊) 나라의 변사(辯士). 학문이 깊고 넓어 섭렵하지 않은 것이 없었으며, 초(楚) 나라가 제 나라를 치려 할 때 조왕(趙王)을 설복(說服)해 정병(精兵) 십만을 얻어서 위기를 모면함.
B.C.386~B.C.310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순우분(淳于棼)
중국 당(唐) 나라의 정의중(程毅中)이 지은 소설 《이문집(異聞集)》에 등장하는 주인공 이름. 남가일몽(南柯一夢)의 고사(故事)로 잘 알려진 인물.
중국>당 ,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순우의(淳于意)
중국 전한(前漢) 문제(文帝) 때의 명의(名醫). 공손광(公孫光)과 공승양경(公乘陽慶)의 문인으로, 태창장(太倉長)을 지내고 의술에 정통함. 죄를 지어 사형을 당하게 되었을 때 딸 제영(緹縈)의 호소로 처벌을 면함.
B.C.215~B.C.159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기술인>의원
-
순욱(荀彧)
중국 후한(後漢) 때의 문신. 순가팔룡(荀家八龍) 중 한 명인 순곤(荀緄)의 아들로 조조(曹操)를 도와 패업을 이룩하였으나, 위왕(魏王)이 되려는 조조의 속셈을 반대하다가 미움을 사 자결함.
163~212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순유(荀攸)
중국 삼국시대 위(魏) 나라의 문신. 순욱(荀彧)의 조카. 지모(智謀)와 정략(政略)이 뛰어나 조조(曹操)의 모사(謀士)로서 많은 공을 세우고, 군사(軍師)ㆍ상서령(尙書令)을 지냄.
157~214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순자(荀子)
중국 춘추전국시대 조(趙) 나라의 학자인 순황(荀況)의 사상서. 20권. 예치주의(禮治主義)를 강조하고, 성악설(性惡說)을 담고 있어 유자(儒者)들의 비판을 받음. 후에 한비자(韓非子) 등이 계승하여 법가(法家) 사상을 낳음.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문헌>서명
-
순자강(鶉子江)
전라남도 곡성(谷城)에 있는 강. 섬진강(蟾津江)의 상류로 자연 경관이 빼어남.
전라도>곡성 , 지명>자연지명
-
순재고(純齋稿)
조선 제23대 순조(純祖)의 시문집. 20권 10책. 서문과 발문이 없음. 순조 연간의 정치ㆍ경제ㆍ사회ㆍ문화에 관한 다양한 내용을 담고 있으며, 임금의 문집이라는 점에서 사료적 가치가 있음.
1836 한국>조선후기 , 서울 , 문헌>서명
-
순제(順帝)@원
중국 원(元) 나라의 제11대 마지막 황제. 재위 1333~1370. 한 문화(漢文化)를 존중해 원 문화의 최성기(最盛期)를 이루었으나, 정치적ㆍ재정적 실책과 연속적인 천재지변으로 인해 주원장(朱元璋)에게 패망함.
1320~1370 중국>원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순제(順帝)@후한
중국 후한(後漢)의 제7대 황제. 재위 125~144. 재위기간에 외척인 양기(梁冀) 등으로 인해 내정이 문란하고, 천재지변의 속출로 사회가 혼란해짐.
?~144 중국>후한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순조(純祖)
조선 제23대 국왕. 재위 1800~1834. 형인 문효세자(文孝世子)가 일찍 죽어 1800년(정조 24) 왕세자에 책봉되고 즉위했으나, 홍경래(洪景來)의 난과 외척세력의 견제로 아들 효명세자(孝明世子)에게 대리청정(代理聽政)을 시킴.
1790~1834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왕실>국왕
-
순조(順祖)
중국 송(宋) 나라의 추존 황제. 송 태조(太祖) 조광윤(趙匡胤) 증조부로, 부인은 혜명황후(惠明皇后) 상씨(桑氏).
중국>송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순종(順宗)@고려
고려 제12대 국왕. 재위 1083~1083. 1054년(문종 8) 왕태자(王太子)에 책봉되고, 문종(文宗)이 죽자 즉위하나 그해에 죽음.
1046~1083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순종(順宗)@당
중국 당(唐) 나라의 제10대 황제. 재위 805~805. 병중에 즉위하여 8개월간 재위했지만, 간신과 환관들이 권세를 농간하여 왕실이 위태롭게 되자 아들 헌종(憲宗)에게 왕위를 물려주었음.
761~805 중국>당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순종(順宗)@원
중국 원(元) 나라의 추존 황제(追尊皇帝). 제9대 황제인 무종(武宗)의 아버지로, 1307년에 추존 황제가 됨.
중국>원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순창(淳昌)
전라북도의 남부 노령산맥(蘆嶺山脈)의 동쪽에 있는 고을 이름. 구암사(龜巖寺)와 강천사(剛泉寺) 등의 사찰이 있음.
전라도>순창 , 지명>행정지명
-
순창설씨(淳昌薛氏)
초기 신라의 육촌(六村) 중 명활산(明活山) 고야촌(高耶村)의 촌장인 설거백(薛居伯)을 시조로 하는 성씨. 원적(原籍)은 경주(慶州)인데, 고려시대에 순창(淳昌)으로 이관(移貫)함.
한국>신라 , 전라도>순창ㅣ경상도>경주 , 인명>집단>성씨
-
순창조씨(淳昌趙氏)
고려시대에 순창(淳昌)의 호장(戶長)을 지낸 조자장(趙子長)을 시조로 하는 성씨. 5세손 조인평(趙仁平)에서부터 순창을 본관으로 삼음.
한국>고려시대 , 전라도>순창 , 인명>집단>성씨
-
순천(順天)
전라도 동남부에 있는 고을 이름. 세조(世祖) 때 편제된 진관(鎭管) 체제에 따라 주진(主鎭)으로서 전라도 동남부 지역의 중심지가 됨.
전라도>순천 , 지명>행정지명
-
순천(順川)
평안남도 중부에 있는 고을 이름. 안국사(安國寺)ㆍ자모산성(慈母山城)ㆍ이성(泥城) 등의 사적이 있음.
평안도>순천 , 지명>행정지명
-
순천김씨(順天金氏)
통일신라 헌안왕(憲安王) 때 평양군(平陽君)에 봉해진 김총(金摠)을 시조로 하는 성씨. 조선 단종(端宗) 때 계유정난(癸酉靖難)으로 김종서(金宗瑞)가 화를 입어 멸문지화(滅門之禍)를 당함. 김윤인(金允仁)과 김대영(金臺泳)을 중시조로 하는 두 파가 있음.
한국>통일신라 , 전라도>순천 , 인명>집단>성씨
-
순천박씨(順天朴氏)
고려의 개국공신 박영규(朴英規)를 시조로 하고 대제학(大提學) 박숙정(朴淑貞)을 중시조로 하는 성씨. 대표적인 인물로 박팽년(朴彭年)ㆍ박원종(朴元宗)ㆍ박이장(朴而章) 등이 있음.
한국>고려전기 , 전라도>순천 , 인명>집단>성씨
-
순평군(順平君)
조선 제2대 정종(定宗)의 두 번째 서자. 숙의기씨(淑儀奇氏)의 소생으로, 설존(薛存)의 딸과 혼인함.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왕실>왕자
-
순화군(順和君)
조선 제14대 선조(宣祖)의 여섯 번째 서자. 순빈김씨(順嬪金氏)의 소생으로, 임진왜란 때 왜군에게 포로로 붙잡혔다 풀려났으며, 사람을 함부로 죽이고 재물을 약탈하는 등 불법을 저질러 양사(兩司)의 탄핵을 받음.
1580~1607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왕실>왕자
-
순황(荀況)
중국 춘추전국시대 조(趙) 나라의 학자. 성악설(性惡說)을 주장해 유자(儒者)들의 비판을 받았고, 강력한 예치주의(禮治主義)를 주장함.
B.C.298~B.C.238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순회세자(順懷世子)
조선 제13대 명종(明宗)의 외아들. 인순왕후(仁順王后)의 소생으로, 7살에 세자로 책봉되었으나 13살의 나이로 요절함.
1551~1563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왕자
-
순흥(順興)
경상도 영천(榮川) 북쪽에 있는 고을 이름. 조선 초기에는 도호부(都護府)였으나, 세조(世祖) 때 부사(府使) 이보흠(李甫欽)이 단종복위사건에 연루되어 폐부됨.
경상도>풍기ㅣ경상도>영천(榮川) , 지명>자연지명
-
쌍경당(雙鏡堂)
경상도 밀양(密陽) 용평동(龍平洞)에 있는 당우(堂宇) 이름. 조선 중종(中宗) 때 이태(李迨)가 건립하였으며,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소실되었다가 영조(英祖) 때 복원됨.
152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밀양 , 유적>건물>누정
-
쌍계루(雙溪樓)
전라도 장성(長城) 백암사(白巖寺) 내에 있는 교루(橋樓). 1377년(우왕 3)에 승려 징공(澄公)이 중수(重修)한 적이 있고, 정도전(鄭道傳)ㆍ이색(李穡) 등이 지은 기문(記文)이 전함.
전라도>장성 , 유적>건물>누정
-
쌍계사(雙磎寺)
통일신라 문성왕 2년에 진감선사(眞鑒禪師) 혜소(慧昭)가 경상도 하동(河東)에 창건한 사찰. 경내에 국보 진감선사대공탑비(眞鑑禪師大空塔碑) 등의 문화재가 전함.
840 한국>통일신라 , 경상도>하동 , 유적>건물>사찰
-
쌍계집(雙溪集)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학자인 왕염(王炎)의 문집. 27권.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쌍기(雙冀)
고려 광종(光宗) 때 중국 후주(後周)에서 귀화한 인물. 956년(광종 7)에 귀화하여 원보 한림학사(元補翰林學士) 등을 지내고, 958년(광종 9)에 당(唐) 나라의 관리임용제도를 따라 과거제도를 창설함.
한국>고려전기 , 인명>기타인명>귀화인ㅣ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