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쌍당집(雙塘集)
고려 말~조선 초의 문신인 권홍(權弘)의 문집. 문학에 뛰어났던 저자의 시문이 수록됨.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쌍매당협장집(雙梅堂篋藏集)
고려 말~조선 초의 학자인 이첨(李詹)의 시문집. 25권. 활자본. 아들 이소축(李少畜)이 편집ㆍ간행함. 원본은 극히 희귀하여 현재 일부만 전해짐.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쌍봉유고(雙峰遺稿)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인 소세검(蘇世儉)의 시문집. 2권 1책. 활자본. 1935년 후손 소학규(蘇學奎)ㆍ소진문(蘇鎭文) 등이 편집ㆍ간행함.
1935 한국>근대 , 문헌>서명
-
쌍석불(雙石佛)
고려시대에 경기도 파주(坡州)의 용암사(龍巖寺)에 조성한 석불입상(石佛立像). 고려 선종(宣宗)의 비(妃)인 원신궁주(元信宮主)가 이 석불을 조성한 후 아들을 낳았다 하여 기도처로 널리 알려짐.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파주 , 유적>기타유적
-
쌍성(雙城)
함경도 영흥(永興)에 있는 성. 1258년 원(元) 나라가 이곳에 쌍성총관부(雙城摠管府)를 설치하고 100여 년간 고려 정무에 간섭함. 1356년(공민왕 5) 유인우(柳仁雨)와 이자춘(李子春)을 보내 탈환함.
함경도>영흥 , 유적>시설>성,진,책
-
쌍성호(雙成湖)
강원도 양양(襄陽) 북쪽 간성(杆城) 경계에 있는 호수 이름. 속초(束草)에서 바다로 나가는 지리적인 특수성으로 인해 만호영(萬戶營)을 설치하여 병선(兵船)을 정박시켰으며, 《택리지(擇里志)》에서 관동팔경(關東八景)의 하나로 꼽을 정도로 호수 경치가 훌륭함.
강원도>양양 , 지명>자연지명
-
쌍순(雙淳)
조선 명종(明宗) 때의 승려. 1558년(명종 13) 선과(禪科)에 급제하였으며, 시(詩)에 능하여 신응시(辛應時)ㆍ고경명(高敬命)ㆍ윤근수(尹根壽) 등과 시문을 주고받으며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종교인>승려
-
쌍천서원(雙泉書院)
조선 숙종(肅宗) 때 충청도 청주(淸州)에 건립한 서원.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인 신식(申湜)을 배향함.
1695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청주 , 유적>건물>서원,향교
-
쌍청루(雙淸樓)
고려 말~조선 초의 문신인 박흥생(朴興生)이 충청도 영동(永同)에 지은 누정. 박흥생은 부친의 상을 당한 후 관직을 사임하고 귀향하여 이 누정을 지은 뒤 여생을 보냄.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영동 , 유적>건물>누정
-
아^묵(阿^墨)
중국 춘추전국시대 제(齊) 나라의 고을인 아(阿) 고을과 즉묵(卽墨) 고을을 함께 부르는 말. 담당 수령의 선정(善政) 여부에 따라 잘 다스려지고 그렇지 못한 고을을 가리킴.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아^민(峨^岷)
중국 사천성(四川省)에 있는 아미산(峨眉山)과 민산(岷山)을 함께 부르는 말. 두 산이 모두 높고 우뚝하여 곧은 절개와 뛰어난 자질을 표현할 때 비유하는 말로 쓰임.
중국 , 지명>기타지명
-
아^포(牙^抱)
충청도 아산(牙山)과 경기도 포천(抱川)을 함께 부르는 말.
충청도>아산ㅣ경기도>포천 , 지명>기타지명
-
아계유고(鵝溪遺稿)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인 이산해(李山海)의 시문집. 6권 3책. 목판본. 〈기성록(箕城錄)〉ㆍ〈종현록(鍾峴錄)〉ㆍ〈쌍문록(雙門錄)〉 등으로 구성됨.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아달라이사금(阿達羅尼師今)
신라 제8대 왕. 재위 154~184. 최초로 감물(甘勿)ㆍ마산(馬山)의 두 현을 두었고, 계립령(鷄立嶺)ㆍ죽령(竹嶺)의 길을 개척함.
?~184 한국>신라 , 경상도>경주 , 인명>왕실>국왕
-
아라불화(阿羅不花)
조선 개국공신(開國功臣) 이지란(李之蘭)의 아버지. 여진의 금패천호(金牌千戶).
중국>원 , 인명>관인>무신
-
아라한(阿羅漢)
불교에서 열반(涅槃) 또는 깨달음에 이른 성자(聖者)를 가리키는 말. 원래는 석가(釋迦)의 가까운 제자 16명을 지칭하였으나 뒤에는 500명까지 늘어났으며, 후대에는 개인적인 깨달음에 만족한 소승(小乘)의 수행자들을 가리키기도 함.
사상>술어>핵심어
-
아랄첩목아(阿剌帖木兒)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 봉익대부(奉翊大夫) 판도판서(版圖判書)를 지낸 이효신(李孝臣)의 장남. 원(元) 나라 조정에서 벼슬하여 연안군(延安君)에 봉해짐.
한국>고려후기 , 황해도>연안 , 인명>관인>문신
-
아미산(峨眉山)
중국 사천성(四川省)에 있는 산 이름. 청량산(淸凉山)ㆍ보타산(普陀山)과 함께 중국 불교의 3대 영산(靈山)으로 숭상됨. 미인의 아름다운 눈썹처럼 산세가 수려하여 이백(李白) 등 여러 문인들의 시문(詩文)에 자주 인용됨.
중국 , 지명>자연지명
-
아방궁(阿房宮)
중국 진(秦) 나라 때 시황제(始皇帝)가 장안(長安) 서쪽에 세운 궁전 이름. 진을 정복한 항우(項羽)에 의해 전소되었는데, 석 달에 걸쳐 불탔다고 함. 호화로움의 극치를 상징함.
B.C.212~B.C.206 중국>진 , 중국 , 유적>건물>궁궐
-
아방궁부(阿房宮賦)
중국 당(唐) 나라의 시인인 두목(杜牧)이 지은 부(賦). 진(秦) 나라 시황제(始皇帝)가 세운 아방궁(阿房宮)을 소재로 경종(敬宗)에게 충간하고자 지음.
중국>당 , 중국 , 문헌>작품명
-
아부공신(亞父功臣)
고려 태조(太祖) 13년에 태조를 도와 고창(古昌) 전투에서 공을 세운 안동(安東)의 호족인 김선평(金宣平)ㆍ권행(權幸)ㆍ장길(張吉)에게 내린 공신 칭호.
930 한국>고려전기 , 법제>제도
-
아사달(阿斯達)
고조선(古朝鮮) 때 단군(檀君) 왕검(王儉)이 도읍으로 삼았다는 지명.
고대 , 지명>기타지명
-
아산(牙山)
충청도 서북부에 있는 고을 이름. 고려 초기에는 인주(仁州)ㆍ아주(牙州)라 불렀으며, 이순신(李舜臣)의 영정(影幀)을 모신 현충사(顯忠祠)가 있음.
충청도>아산 , 지명>행정지명
-
아아록(我我錄)
조선 후기의 처사(處士) 남기제(南紀濟)가 사색분당(四色分黨)의 시말(始末)과 사화(士禍) 등의 전말(顚末)을 기록한 책. 4권 4책. 필사본. 노론(老論)을 옹호하는 편파적인 내용이 많이 실려 있음.
1849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아자개(阿慈介)
통일신라 말기의 장군. 경상도 상주(尙州) 출신으로 진흥왕(眞興王)의 아들인 구륜공(仇輪公)의 후손이라 전함. 후백제를 세운 견훤(甄萱)의 아버지로, 918년(태조 1)에 고려로 망명함.
한국>통일신라 , 경상도>상주 , 인명>관인>무신
-
아차산(峨嵯山)
경기도 양주(楊州)에 있는 산 이름. 삼국시대의 전략적 요충지였으며, 조선 명종(明宗) 때 점술가 홍계관(洪啓寬)을 잘못 죽인 데서 ‘아차’라는 이름이 붙여졌다는 고사가 전함. 지금의 서울 광진구(廣津區)와 경기도 구리시(九里市)에 속함.
경기도>양주 , 지명>자연지명
-
아황(娥皇)
중국 고대 전설상의 왕비. 요(堯) 임금의 딸로, 아우 여영(女英)과 더불어 순(舜) 임금의 비(妃)가 되었는데, 순 임금이 창오(蒼梧)에서 죽자 여영과 함께 소상강(瀟湘江)에 빠져 죽었다 함.
고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악광(樂廣)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문신. 삼국시대 위(魏) 나라 하후현(夏侯玄)의 막료였던 악방(樂方)의 아들로, 명교(名敎)를 숭상하여 당대에 왕연(王衍)과 함께 중망을 받았으며, 왕융(王戎)의 천거로 수재(秀才)가 되고, 상서좌복야(尙書左僕射) 등을 역임함.
?~304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악기(樂記)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학자인 양걸(楊傑)의 문집. 총 5권.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악기도(樂記圖)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학자인 손석(孫奭)의 저서. 경술(經術)에 밝았던 저자의 편찬서로 《오경절해(五經節解)》등과 함께 전함.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악무목왕정충록도(岳武穆王精忠錄圖)
중국 남송(南宋)의 명장 악비(岳飛)를 그린 그림. 명(明) 나라 때 간행된《회찬송악악무목왕정충록(會纂宋岳鄂武穆王精忠錄)》에 수록된 36편의 화도(畵圖)로, 악비의 초상ㆍ전투모습 등이 그려져 있음.
중국>명 , 중국 , 문헌>작품명
-
악방(樂方)
중국 삼국시대 위(魏) 나라의 문신.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문신인 악광(樂廣)의 아버지로, 하후현(夏侯玄)의 막료로 활동함.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악비(岳飛)
중국 송(宋) 나라 고종(高宗) 때의 무신ㆍ학자. 남송(南宋) 초에 금군(金軍)의 침략을 저지하는 전공(戰功)을 세웠으나, 주화파(主和派)인 진회(秦檜)와의 불화로 무고한 누명을 쓰고 살해됨. 후에 신원되어 구국의 영웅으로 추앙됨.
1103~1142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무신
-
악소봉(樂韶鳳)
중국 명(明) 나라 태조(太祖) 때의 문신. 시강학사(侍講學士)를 지냈으며 송렴(宋濂) 등과 함께 《홍무정운(洪武正韻)》을 편찬함.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악양(岳陽)
중국 호남성(湖南省) 북쪽에 있는 항구 도시. 동정호(洞庭湖)와 장강(長江)이 교차하는 곳으로 중요한 역사․문화의 도시이며, 산수풍경이 뛰어나 많은 문인들이 이곳에서 시를 읊고 작품을 남김. 강남(江南)의 3대 누각 중 하나인 악양루(岳陽樓)가 있음.
중국 , 지명>행정지명
-
악양(樂羊)
중국 춘추전국시대 위(魏) 나라 문후(文侯) 때의 장군. 악의(樂毅)의 선조로, 수많은 참소에도 흔들리지 않은 문후의 절대적 신임 속에 중산(中山)을 정벌하고 3년 만에 돌아왔으며, 영수(靈壽)에 봉해짐.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악양루(岳陽樓)
중국 호남성(湖南省) 악양(岳陽)의 서문(西門)에 있는 성루(城樓). 당(唐) 나라 현종(玄宗) 때 세워졌으며, 동정호(洞庭湖)와 양자강(揚子江)을 전망하는 뛰어난 경관으로 인해 유명 문인(文人)들의 글 소재로 자주 등장함.
716 중국>당 , 중국 , 유적>건물>누정
-
악양루기(岳陽樓記)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학자인 범중엄(范仲淹)이 악양루(岳陽樓)를 소재로 지은 기문(記文). 목민관(牧民官)들의 마음가짐을 계도하는 '선우후락(先憂後樂)'의 구절로 유명함.
중국>송 , 중국 , 문헌>작품명
-
악왕묘(岳王廟)
중국 서호(西湖)에 있는 송(宋) 나라의 명장 악비(岳飛)를 모신 사당. 북방의 금(金)을 물리친 악비의 공을 기리기 위해 건립함.
중국>송 , 중국 , 유적>건물>사당
-
악의(樂毅)
중국 춘추전국시대 연(燕) 나라의 무신. 악양(樂羊)의 후손으로, 소왕(昭王)의 아경(亞卿)이 되고 상장군(上將軍)에 제수되어 연(燕)ㆍ조(趙)ㆍ초(楚)ㆍ한(韓)ㆍ위(魏) 다섯 나라의 군사를 이끌고 제(齊) 나라의 70여 성을 함락시킴.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악의론(樂毅論)
중국 삼국시대(三國時代) 위(魏) 나라의 하후현(夏侯玄)이 연(燕) 나라의 명장 악의(樂毅)에 대해 쓴 글. 이것을 동진(東晉)의 왕희지(王羲之)가 해서(楷書)로 써서 유명함.
중국>삼국시대 , 중국 , 문헌>작품명
-
악장가사(樂章歌詞)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인 박준(朴浚)이 편찬하였다고 전하는 가집(歌集). 목활자본. 현전하는 가집 중 악장(樂章)과 속악가사(俗樂歌詞)를 엮은 순수 가집으로는 가장 오래됨.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악재집(樂齋集)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인 서사원(徐思遠)의 문집. 주자학(朱子學)에 밝았던 저자의 시문을 수록함.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악정자춘(樂正子春)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학자ㆍ효자. 증삼(曾參)의 문인(門人)으로, 효성이 지극하여 모친상을 당하자 5일 동안 음식을 먹지 않았고, 당(堂)을 내려가다 발을 다치자 효심을 망각한 것이라 하여 수개월 동안 두문불출하며 근심하였다 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효자ㅣ인명>문사>학자
-
악정집(樂靜集)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학자인 이소기(李昭玘)의 시문집. 총 30권.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악학궤범(樂學軌範)
조선 성종(成宗) 때 왕명(王命)에 의해 성현(成俔)ㆍ신말평(申末平)ㆍ유자광(柳子光) 등이 편찬한 악서(樂書). 9권 3책. 조선시대 음악의 지침서.
1493 한국>조선전기 , 서울 , 문헌>서명
-
악후(鄂侯)
중국 은(殷) 나라 주왕(紂王) 때의 문신. 구후(九侯)ㆍ서백(西伯)과 함께 ‘삼공(三公)’이라 불리고, 주왕이 구후를 죽이자 강력히 간하다가 죽임을 당함.
중국>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안^계(顔^季)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현인(賢人)인 안회(顔回)와 계유(季由) 중유(仲由)를 함께 부르는 말. 공자(孔子)의 뛰어난 제자로 꼽힘.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안^공^맹(顔^孔^孟)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현인(賢人)인 안회(顔回)와 공자(孔子), 추(鄒) 나라의 맹자(孟子)를 함께 부르는 말. 유교(儒敎)의 대표적인 성현(聖賢).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안^맹(顔^孟)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안회(顔回)와 추(鄒) 나라의 맹자(孟子)를 함께 부르는 말. 유교(儒敎)의 성현(聖賢)으로 꼽힘.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안^민(顔^閔)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현인(賢人)인 안회(顔回)와 민손(閔損)을 함께 부르는 말. 공자(孔子)의 제자로, 공문십철(孔門十哲)에 속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안^변(顔^卞)
중국 당(唐) 나라 현종(玄宗) 때의 안고경(顔杲卿)과 남북조시대 서진(西晉)의 변곤(卞壼)을 함께 부르는 말. 반란군과 싸우다 순절함.
중국>당ㅣ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안^사(顔^謝)
중국 남북조시대 송(宋) 나라의 시인인 안연지(顔延之)와 사영운(謝靈運)을 함께 부르는 말. 시와 문장이 뛰어나 쌍벽을 이룸.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안^염(顔^冉)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현인(賢人)인 안회(顔回)와 염경(冉耕)을 함께 부르는 말. 공문십철(孔門十哲)에 속했으나, 모두 요절(夭折)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안^우(顔^禹)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현인(賢人)인 안회(顔回)와 하(夏) 나라의 왕인 우(禹)을 함께 부르는 말.
중국>춘추전국시대ㅣ중국>하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안^우(顔^虞)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현인(賢人)인 안회(顔回)와 중국 고대 황제인 순(舜)을 함께 부르는 말.
중국>춘추전국시대ㅣ고대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안^유(顔^柳)
중국 당(唐) 나라의 서예가인 안진경(顔眞卿)과 유공권(柳公權)을 함께 부르는 말. 안진경의 글씨에는 살이 많은 반면 유공권의 글씨에는 뼈가 많아, 세간에서 안유(顔柳)라 함께 불리며 주목을 받음.
중국>당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안^장(顔^張)
중국 당(唐) 나라 현종(玄宗) 때의 충신인 안고경(顔杲卿)과 장순(張巡)을 함께 부르는 말. 안녹산(安祿山)이 반란을 일으켰을 때 맞서 싸우다가 순절함.
중국>당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안^장^이(晏^臧^李)
중국 춘추전국시대 제(齊) 나라의 재상인 안영(晏嬰)과 노(魯) 나라의 대부인 장손진(臧孫辰), 당(唐) 나라의 재상인 이필(李泌)을 함께 부르는 말. 훌륭한 재상이었으나 공자(公子)나 유하혜(柳下惠), 육지(陸贄)와 같은 인재를 알아보지 못함.
중국>당ㅣ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안^증(顔^曾)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학자인 안회(顔回)와 증삼(曾參)을 함께 부르는 말.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안견(安堅)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화가. 본관은 지곡(池谷). 안평대군(安平大君)의 후원을 받았으며, 몽유도원도(夢遊桃源圖)를 그림. 산수화에 뛰어나 곽희파(郭熙派) 화풍을 토대로 한국적인 화풍을 완성하며 일본 실정시대(室町時代)의 수묵화에까지 영향을 미침.
한국>조선전기 , 인명>예술인>서화가
-
안경(安慶)
중국 안휘성(安徽省) 남서부에 있는 도시 이름. 양자강(揚子江) 연안에 위치하여 예로부터 상업이 발달하였으며, 차(茶)와 임산물(林産物)의 집산지임.
중국 , 지명>행정지명
-
안경(安璟)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순흥(順興). 경상도 관찰사(慶尙道觀察使) 안관후(安寬厚)와 사헌부 지평(司憲府持平) 안중후(安重厚)의 아버지로, 검참판(檢參判)과 검교 한성윤(檢校漢城尹)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풍기 , 인명>관인>문신
-
안경공(安景恭)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태조(太祖) 때 개국공신(開國功臣)에 책록되고, 집현전 대제학(集賢殿大提學)을 지냄. 정도전(鄭道傳)ㆍ남은(南誾)의 죄를 감해줄 것을 요청했다가 탄핵을 받음.
1347~1421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안경량(安敬良)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조(太祖) 때의 문신. 본관은 순흥(順興). 판문하부사(判門下府事)를 지낸 안종원(安宗源)의 아들. 태조(太祖) 때 《향약제생집성방(鄕藥濟生集成方)》 편찬에 참여함.
?~1398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관인>문신
-
안경률(安景嵂)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순흥(順興). 충청도 관찰사(忠淸道觀察使) 안종도(安宗道)의 아버지로, 익위사 익위(翊衛司翊衛)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풍기 , 인명>관인>무신
-
안경빈(安敬賓)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순흥(順興). 1558년(명종 13) 식년 문과(式年文科)에 급제하였고, 회덕(懷德) 등 여러 지방을 다스릴 때 선정을 베풀었으며, 부사(府使) 등을 역임함.
1526~157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천 , 인명>관인>문신
-
안경서(安慶緖)
중국 당(唐) 나라 현종(玄宗) 때의 무장(武將). 안녹산(安祿山)의 둘째 아들로, 편애에 불만을 갖고 아버지인 안녹산을 살해하였다가 사사명(史思明)에게 죽임을 당함.
?~759 중국>당 , 중국 , 인명>기타인명>역적
-
안경윤(安景尹)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죽산(竹山). 동부 주부(東部主簿) 안세희(安世熙)의 큰아들.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죽산 , 인명>문사>유학
-
안경인(安景仁)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광주(廣州). 권호문(權好文)의 장인으로, 어려서부터 유자(儒者)의 행실이 있었으나, 26세의 젊은 나이에 죽음.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광주 , 인명>문사>유학
-
안경창(安慶昌)
조선 후기의 처사(處士). 천민 출신으로 어렸을 때 화장사(花庄寺)에서 공부하며 기이한 행적을 남기고, 이언적(李彦迪)ㆍ이황(李滉)ㆍ이이(李珥) 및 조식(曺植)ㆍ노사신(盧思愼) 등 당시 명유들과 교유하였다고 함.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안계담(安季耼)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죽산(竹山). 예빈시 참봉(禮賓寺參奉) 안봉조(安奉祖)의 아버지이자 동부 주부(東部主簿) 안세희(安世熙)의 할아버지로, 사헌부 감찰(司憲府監察)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죽산 , 인명>관인>문신
-
안계송(安繼宋)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순흥(順興). 음직(蔭職)으로 돈녕부 직장(敦寧府直長)을 지냄. 남효온(南孝溫)의 〈사우명행록(師友名行錄)〉에 행적이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관인>문신
-
안고경(顔杲卿)
중국 당(唐) 나라 현종(玄宗) 때의 충신. 상산군(常山郡)의 태수(太守)로 있을 때 종제(從弟)인 안진경(顔眞卿)과 함께 안녹산(安祿山)의 반란군에 맞서 싸웠으나, 성이 함락되자 붙잡혀 낙양(洛陽)으로 압송된 뒤 죽임을 당함.
692~756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안곡사(安谷祠)
조선 현종(顯宗) 때 경기도 남양(南陽)에 세워진 사당. 1721년(경종 원년)에 사액(賜額)되었으며, 홍섬(洪暹)ㆍ박세훈(朴世勳)ㆍ박세희(朴世熹)를 배향함.
1668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남양 , 유적>건물>사당
-
안공신(安公信)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순흥(順興). 안영(安瑛)의 아들로 부정(副正)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관인>문신
-
안관(安灌)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순흥(順興). 갑자사화(甲子士禍)ㆍ을묘사화(乙卯士禍)를 목격한 뒤 여항산(艅航山)에 은거하여 산수를 읊으며 세간의 일에 전혀 관여하지 않음.
1491~155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안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안관(安瓘)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광주(廣州). 사도시 첨정(司䆃寺僉正) 안민학(安敏學)의 첫째 아들로, 양배선(楊拜善) 등과 교류함.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홍주 , 인명>문사>유학
-
안관후(安寬厚)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순흥(順興). 검참판(檢參判)을 지낸 안경(安璟)의 아들로, 예조 참의(禮曹參議)ㆍ대사간(大司諫)ㆍ경상도 관찰사(慶尙道觀察使)를 지냄. 다섯 형제가 모두 과거에 급제함.
141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관인>문신
-
안광종(安光宗)
조선 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순흥(順興). 안전(安琠)의 아들이며, 이이(李珥)의 문인(門人).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왜적을 만나 아버지를 보호하다 같이 해를 입었는데, 이 사실이 알려져 정려(旌閭)가 내려짐.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해주 , 인명>문사>유학
-
안구(安覯)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로, 안보문(安普文)의 아들이자 안증(安嶒)의 아버지. 김종직(金宗直)의 문인으로, 청도 군수(淸道郡守)와 사간(司諫) 등을 지냄.
1458~152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밀양ㅣ서울 , 인명>관인>문신
-
안국공신(安國功臣)
고려시대 나라를 구한 공(功)을 세운 사람에게 내린 공신 칭호. 현종(顯宗) 때 거란(契丹)의 침입을 막아낸 강감찬(姜邯贊)에게 사여됨.
한국>고려시대 , 법제>제도
-
안국사(安國寺)
고려 충렬왕(忠烈王) 때 전라도 무주(茂朱)에 월인(月印)이 세운 사찰. 조선시대 무학대사(無學大師)가 세웠다고도 하며, 조선 영조(英祖) 때 조성된 괴불(掛佛)이 있음.
1277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무주 , 유적>건물>사찰
-
안국신(安國信)
고려 전기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대장군(大將軍) 안방걸(安邦傑)의 아들로, 문하시중(門下侍中)을 지냄.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광주 , 인명>관인>문신
-
안국제(安國堤)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인 김안국(金安國)이 경상도 의성(義城) 비안(比安)에 만든 저수지 이름. 경상 감사(慶尙監司)로 있을 때 비안의 시내와 못을 막고 둑을 쌓아 저수지를 만들어 상국제(相國堤)라 하였다가 뒤에 안국제(安國堤)로 고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비안 , 유적>시설>기타시설
-
안규(安規)
고려 후기의 문신. 이색(李穡)의 《목은고(牧隱稿)》에 충숙왕(忠肅王) 복위(復位) 5년에 채홍철(蔡洪哲)과 함께 과거 시험을 관장한 기록이 있음.
한국>고려후기 , 인명>관인>문신
-
안규용(安圭容)
한말의 성리학자. 본관은 죽산(竹山). 송병선(宋秉璿)ㆍ송병순(宋秉珣)의 문인으로, 죽곡정사(竹谷精舍)를 짓고 강학하면서 성리서(性理書)를 집필하였으며, 박광전(朴光前)의 《죽천집(竹川集)》 삼간(三刊) 때 발문(跋文)을 지음.
1873~1959 한국>근대 , 전라도>보성 , 인명>문사>학자
-
안극가(安克家)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탐진(耽津)으로, 찰방(察訪) 안기(安沂)의 아들. 이정(李楨)의 문인으로, 삼가 현감(三嘉縣監) 등을 지냄. 호호정(浩浩亭)을 짓고 경전 연구와 후진 양성에 힘씀.
1547~1614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강진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안극변(安克辨)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형조 참판(刑曹參判) 안윤손(安潤孫)의 아버지로, 용안 현감(龍安縣監)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광주 , 인명>관인>문신
-
안극상(安克相)
통일신라시대 거문고의 명인. 아버지인 안장(安長)으로부터 거문고 연주를 전수받아 동생 안극종(安克宗)과 이름을 떨침.
한국>통일신라 , 인명>예술인>음악인
-
안극성(安克誠)
조선 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순흥(順興)으로, 군기시 판관(軍器寺判官)을 지낸 안한(安翰)의 아들. 1568년(선조 1)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1541~?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충주 , 인명>문사>유학
-
안극인(安克仁)
고려 충목왕(忠穆王)~우왕(禑王) 때의 문신. 본관은 죽산(竹山). 공민왕의 비(妃)인 정비(定妃)의 아버지. 노국공주(魯國公主)의 영전(影殿) 축조 중지를 간하다가 왕의 노여움을 사서 관직에서 물러났으나, 뒤에 죽성군(竹城君)에 봉해짐.
?~1383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죽산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안극종(安克宗)
통일신라시대 거문고의 명인. 아버지인 안장(安長)으로부터 거문고 연주를 전수받아 형 안극상(安克相)과 함께 이름을 떨치고, 거문고 연주곡 일곱 곡을 지음.
한국>통일신라 , 인명>예술인>음악인
-
안기(安沂)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탐진(耽津). 안극가(安克家)의 아버지로, 행기도 찰방(行麒道察訪)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강진 , 인명>관인>문신
-
안기(安璣)
조선 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순흥(順興). 안지귀(安知歸)의 아들이자, 안처순(安處順)의 아버지로, 성균관 전적(成均館典籍) 등을 지냄.
1451~1497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광주 , 인명>관인>문신
-
안기도(安奇道)
경상도 안동(安東)에 있는 역로(驛路) 이름. 안동의 안기역(安奇驛)에서 영해(寧海)의 영양역(寧陽驛) 등 11개 역에 이르는 역로.
한국>조선시대 , 경상도>안동 , 지명>행정지명
-
안기도(晏幾道)
중국 송(宋) 나라 인종(仁宗)~휘종(徽宗) 때의 문인. 안수(晏殊)의 일곱째 아들로, 아버지와 함께 이안(二晏)이라 불림. 섬세하고 애상적인 시풍을 보임.
1031~1106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안기생(安期生)
중국 진(秦) 나라 시황(始皇) 때의 선인(仙人). 시황이 동쪽으로 순유(巡遊)할 때 그와 사흘밤을 함께 이야기하고서 황금(黃金)과 백벽(白璧)을 주었는데, 다 두고 가면서 “천년 후에 나를 봉래산(蓬萊山)에서 찾아달라.”는 글을 남겼다 함.
중국>진 , 중국 , 인명>기타인명>도사
-
안기역(安奇驛)
경상도 안동(安東) 북쪽 3리 지점에 있던 역(驛) 이름.
경상도>안동 , 지명>행정지명
-
안노공집(顔魯公集)
중국 당(唐) 나라 현종(玄宗)~덕종(德宗) 때의 문신ㆍ서예가인 안진경(顔眞卿)의 문집. 15권. 안진경의 대표적 저술과 장중(莊重)한 문장을 볼 수 있음.
중국>당 , 중국 , 문헌>서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