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안녹산(安祿山)
중국 당(唐) 나라 현종(玄宗) 때의 무장(武將). 현종의 신임을 얻어 절도사(節度使)가 된 후 병력을 장악하여 난을 일으킴. 중원(中原)까지 쳐들어갔으나, 아들 안경서(安慶緖)와 공모한 측근에 의해 피살됨.
703?~757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안담(安曇)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광주(廣州)로, 안민학(安敏學)의 아버지. 조광조(趙光祖)의 문인으로 성수침(成守琛)과 교류하고, 성현도 찰방(省峴道察訪)을 지냄.
?~156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안담(安霮)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순흥(順興). 안여지(安汝止)의 동생이며 김용(金涌)의 사돈으로, 구봉령(具鳳齡) 등과 시문(詩文)으로 교유하고, 첨정(僉正)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풍기 , 인명>관인>문신
-
안당(安瑭)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순흥(順興)으로, 우의정ㆍ영중추부사 등을 지냄. 신사무옥(辛巳誣獄)에 연루되어 아들 안처겸(安處謙)ㆍ안처근(安處謹)과 함께 사사(賜死) 되었으나, 명종(明宗) 때 복관됨.
1461~1521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안돈후(安敦厚)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순흥(順興). 검참판(檢參判) 안경(安璟)의 아들이고 좌의정(左議政) 안당(安瑭)의 아버지이며, 안관후(安寬厚)의 동생. 성균관 사예(成均館司藝)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풍기 , 인명>관인>문신
-
안동(安東)
경상북도 중북부에 있는 고을 이름. 경주(慶州)와 함께 경상좌도(慶尙左道)의 대읍(大邑)으로 정치ㆍ행정ㆍ문화의 중심지 역할을 하였으며, 유교 문화의 본고장임.
경상도>안동 , 지명>행정지명
-
안동권씨(安東權氏)
고려 창업(創業)에 큰 공을 세운 태사공(太師公) 권행(權幸)을 시조로 하는 성씨. 원래 김알지(金閼智)의 후손인 김씨(金氏)였으나 권씨(權氏)로 사성(賜姓)됨.
한국>고려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집단>성씨
-
안동김씨(安東金氏)
신라 경순왕(敬順王)의 손자 김숙승(金叔承)을 시조로 하는 구안동(舊安東) 계통과, 신라 말에 고려 태조(太祖)를 도와 공을 세운 김선평(金宣平)을 시조로 하는 신안동(新安東) 계통을 아울러 이르는 성씨.
한국>통일신라 , 경상도>안동 , 인명>집단>성씨
-
안락당집(顔樂堂集)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인 김흔(金訢)의 문집. 4권 2책. 목판본. 아들 김안로(金安老)가 편집하여, 영천 군수(榮川郡守) 권오기(權五紀)가 간행함. 남곤(南袞)ㆍ강흔(姜渾)의 서문과 김안국(金安國)의 발문(跋文)이 전함.
151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천(榮川) , 문헌>서명
-
안로(安璐)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인. 본관은 순흥(順興). 안당(安瑭)의 손자이며 안처겸(安處謙)의 아들로, 《기묘당적보(己卯黨籍補)》 등을 지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천 , 인명>문사>문인
-
안망지(安望之)
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죽산(竹山). 안숙로(安叔老)의 아들이며, 안맹담(安孟耼)의 아버지. 함길도 관찰사(咸吉道觀察使)와 공안부 윤(恭安府尹)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죽산 , 인명>관인>문신
-
안맹담(安孟耼)
조선 세종(世宗)의 부마ㆍ서예가. 본관은 죽산(竹山). 함길도 관찰사(咸吉道觀察使) 안망지(安望之)의 아들로, 세종의 딸 정의공주(貞懿公主)와 혼인함. 초서(草書)를 잘 쓰고 활쏘기와 말타기에 능하며, 음률(音律)ㆍ약물(藥物)에도 밝음.
1415~1462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죽산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왕실>인척
-
안명세(安名世)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순흥(順興)으로, 박영(朴英)의 문인. 사관(史官)으로서 을사사화(乙巳士禍)의 전말을 직필(直筆)한 시정기(時政記)를 작성하였으나, 한지원(韓智源)의 밀고로 체포되어 사형당함.
1518~154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풍기 , 인명>관인>문신
-
안목(安牧)
고려 충숙왕(忠肅王)~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본관은 순흥(順興)으로, 검교찬성사(檢校贊成事)를 지낸 안우기(安于器)의 아들. 정당문학(政堂文學)ㆍ진현관 대제학(進賢館大提學) 등을 지내고, 충숙왕 때 이군해(李君侅) 등과 함께 인사권을 관장함.
1290~1360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영천(榮川)ㅣ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
-
안몽원(安夢黿)
조선 전기의 유학. 송암(松巖) 권호문(權好文)과 시문(詩文)을 주고받으며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안몽윤(安夢尹)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순흥(順興). 임진왜란 때 왜군을 토벌하였으며, 이괄(李适)의 난이 일어나자 군량보급에 힘쓰고 서울 안현(鞍峴) 전투에서 공을 세워 순양군(順陽君)에 봉해짐.
1571~1650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관인>문신
-
안몽익(安夢益)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순흥(順興). 순계군(順溪君) 안세복(安世復)의 첫째 아들이자, 순양군(順陽君) 안몽윤(安夢尹)의 형.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풍기 , 인명>문사>유학
-
안몽척(安夢陟)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순흥(順興). 순계군(順溪君) 안세복(安世復)의 셋째 아들이자, 순양군(順陽君) 안몽윤(安夢尹)의 동생.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풍기 , 인명>문사>유학
-
안문개(安文凱)
고려 충렬왕(忠烈王)~충숙왕(忠肅王) 때의 문신. 본관은 순흥(順興)으로, 안향(安珦)의 재종질(再從姪). 충숙왕이 원(元) 나라에 억류되어 있을 때 충절을 바친 공으로 일등공신에 책록되고, 순흥부원군(順興府院君)에 봉해짐.
1273~1338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안민학(安敏學)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학자ㆍ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박순(朴淳)의 문인으로 경(經)ㆍ사(史)ㆍ백가(百家)를 섭렵함. 이이(李珥)ㆍ정철(鄭澈) 등과 교유하고, 임진왜란 때는 소모사(召募使)로 활동하였으며, 만년에는 학문에 전념함.
1542~1601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홍주ㅣ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안방걸(安邦傑)
고려 태조(太祖) 때의 무신. 광주안씨(廣州安氏)의 시조. 통일신라 말기에 귀화한 중국 당(唐) 나라 종실(宗室) 출신인 이원(李瑗)의 둘째 아들로, 태조 때 모반(謀叛)을 진압하여 대장군(大將軍)에 오르고, 광주군(廣州君)으로 봉해짐.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광주 , 인명>관인>무신
-
안방경(安方慶)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죽산(竹山)으로, 안순(安恂)의 아들. 명종(明宗) 때 《인종실록(仁宗實錄)》 편찬에 참여하였으나 문정왕후(文定王后)와의 불화로 외직으로 나감. 영흥 부사(永興府使) 등을 지낸 후 용인(龍仁)에 낙향함.
1513~1569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용인 , 인명>관인>문신
-
안방준(安邦俊)
조선 선조(宣祖)~효종(孝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죽산(竹山). 임진왜란(壬辰倭亂) 등 국난을 당할 때마다 의병을 일으켜 항쟁함. 관직을 여러 번 제수받았으나 나아가지 않고 보성(寶城) 우산(牛山)에 들어가 후진 양성에 전념함.
1573~1654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보성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안방형(安邦炯)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죽산(竹山). 연창위(延昌尉) 안맹담(安孟耼)의 손자이자, 종친부 전첨(宗親府典籖) 안종전(安從㙉)의 아버지로, 사헌부 감찰(司憲府監察)을 지냄.
1465~?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양주 , 인명>관인>문신
-
안범(安範)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죽산(竹山). 군수(郡守)를 지낸 안수잠(安秀岑)의 아버지로, 현감(縣監)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죽산 , 인명>관인>문신
-
안변(安邊)
함경도 남부에 있는 고을 이름. 고려 현종(顯宗) 때 도호부를 설치했으나 조선 태종(太宗) 때 조사의(趙思義)가 반란을 일으켜 감무(監務)로 강등되었다가 다시 도호부로 환원됨. 경원선(京元線)과 동해 북부선(北部線)의 분기점(分岐點).
함경도>안변 , 지명>행정지명
-
안보(安輔)
고려 충숙왕(忠肅王)~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본관은 순흥(順興)으로, 첨의찬성사(僉議贊成事)를 지낸 안축(安軸)의 동생. 원(元) 나라의 제과(制科)에 합격하여 벼슬하다가 귀국한 뒤, 정당문학(政堂文學)ㆍ동경 유수(東京留守) 등을 지냄.
1302~1357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관인>문신
-
안보문(安普文)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동궁 시직(東宮侍直)을 지낸 안숙량(安叔良)의 아들로, 현량(賢良)으로 천거되어 통례원 인의(通禮院引儀) 등을 지냄.
1427~151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밀양 , 인명>관인>문신
-
안봉서원(安峰書院)
조선 선조(宣祖) 때 경상도 성주(星州)에 세워진 서원. 이장경(李長庚)ㆍ이조년(李兆年)ㆍ이직(李稷) 등을 배향함.
157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성주 , 유적>건물>서원,향교
-
안봉조(安奉祖)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죽산(竹山). 사헌부 감찰(司憲府監察) 안계담(安季耼)의 아들이자 동부 주부(東部主簿) 안세희(安世熙)의 아버지로, 예빈시 참봉(禮賓寺參奉)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죽산 , 인명>관인>문신
-
안분(安奮)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순흥(順興). 정도전(鄭道傳)의 아버지인 정운경(鄭云敬)의 외삼촌으로, 한림학사(翰林學士) 등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풍기 , 인명>관인>문신
-
안분당시집(安分堂詩集)
조선 연산군(燕山君)~명종(明宗) 때의 문신인 이희보(李希輔)의 시집. 일부 시편(詩篇)이 정사본(精寫本)으로 전해짐. 2권 1책.
한국>조선시대 , 문헌>서명
-
안빈세(安貧世)
조선 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죽산(竹山). 연창위(延昌尉) 안맹담(安孟聃)의 아들이며, 세종(世宗)의 외손.
1445~1478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죽산 , 인명>관인>문신
-
안사(顔駟)
중국 전한(前漢) 문제(文帝)~무제(武帝) 때의 문신. 문제(文帝)ㆍ경제(景帝)ㆍ무제(武帝) 등 3세(世)를 섬겼으나 관운(官運)이 트이지 않아 평생 낭서(郞署)에 머물렀음.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안사경(安社卿)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죽산(竹山)으로, 죽성군(竹城君) 안극인(安克仁)의 아버지. 벽상공신(壁上功臣) 및 삼한삼중대광(三韓三重大匡)에 책록되고, 판호조사(判戶曹事)ㆍ문하좌시중(門下左侍中) 등을 역임하였음.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죽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안사공신(安社功臣)
고려시대 사직(社稷)을 안정시켰다고 인정된 신하에게 내린 공신 칭호. 유숙(柳淑)ㆍ최영(崔瑩)ㆍ심덕부(沈德符)ㆍ정몽주(鄭夢周)ㆍ이성계(李成桂) 등에게 하사함.
한국>고려시대 , 법제>제도
-
안사언(安士彦)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안자흠(安子欽)의 아들로, 1522년(중종 17) 식년시(式年試)에 문과(文科)급제하여 이조 좌랑(吏曹佐郞)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안사웅(安士雄)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제검(提檢) 안자흠(安子欽)의 아들이자 이조 좌랑(吏曹佐郞) 안사언(安士彦)의 동생으로, 병조 참의(兵曹參議) 등을 지내고 청빈(淸貧)한 생활을 함.
1529~1592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광주 , 인명>관인>문신
-
안사지란(安史之亂)
중국 당(唐) 나라 현종(玄宗) 때 안녹산(安祿山)과 사사명(史思明) 등이 일으킨 반란. 이후 당 나라는 절도사(節度使)가 병권(兵權)을 장악하여 지방분권화 현상이 강화되고, 양세법(兩稅法)으로 전환됨.
755~763 중국>당 , 중국 , 사건>역모
-
안산(安山)
경기도 남서부 서해안에 인접해 있는 고을 이름.
경기도>안산 , 지명>행정지명
-
안산서원(安山書院)
조선 선조(宣祖) 때 경상도 성주(星州)에 세운 영당(影堂)으로, 1624년(인조 2)에 서원으로 승격됨. 1680년(숙종 6)에 사액되었으며, 이장경(李長庚)ㆍ이백년(李百年)ㆍ이인복(李仁復)ㆍ이숭인(李崇仁)ㆍ이직(李稷) 등을 배향함.
158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성주 , 유적>건물>서원,향교
-
안석(安碩)
고려 후기의 유학. 본관은 순흥(順興). 과거에 급제하였으나 향리(鄕里)에 은거하고, 세 아들 안축(安軸)ㆍ안보(安輔)ㆍ안집(安輯)과 함께 4현(四賢)으로 불림.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풍기 , 인명>문사>유학
-
안선(安璿)
조선 세조(世祖)~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순흥(順興). 관기(官紀)의 확립과 풍속(風俗)의 교화에 힘쓰고, 사헌부 장령(司憲府掌令)으로서 언관(言官)의 임무를 수행함.
1440~1498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광주 , 인명>관인>문신
-
안선무(安善武)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순흥(順興). 충좌위 호군(忠佐衛護軍)을 지낸 안인(安禋)의 아들로, 1513년(중종 8)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안선원(安善元)
조선 전기의 유학. 이산해(李山海)의 《아계유고(鵝溪遺稿)》에 안선원의 전기(傳記)인 〈안당장전(安堂長傳)〉이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평해 , 인명>문사>유학
-
안섬(安暹)
조선 전기의 유학. 송암(松巖) 권호문(權好文)과 시문(詩文)을 주고받으며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안성(安省)
고려 우왕(禑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문과에 급제하여 보문각 직학사(寶文閣直學士)ㆍ상주 판관(尙州判官)을 지내고, 조선 개국 후 청백리에 녹선되었으며 참찬(參贊) 등을 지냄.
?~1421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광주 , 인명>관인>문신
-
안성철(安成哲)
고려 후기의 유학. 본관은 순흥(順興). 순흥부원군(順興府院君) 안문개(安文凱)의 아버지.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풍기 , 인명>문사>유학
-
안세복(安世復)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순흥(順興). 1570년(선조 4)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하여 풍저창 직장(豊儲倉直長)을 지내고, 순계군(順溪君)에 봉해짐.
1541~1614 한국>조선후기 , 서울ㅣ충청도>예산 , 인명>관인>문신
-
안세준(安世俊)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순흥(順興). 첨정(僉正)을 지낸 안담(安霮)과 중종(中宗) 때의 문신인 안여지(安汝止)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풍기 , 인명>문사>유학
-
안세형(安世亨)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순흥(順興). 주서(注書) 안함(安馠)의 아버지로, 사포(司圃)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풍기 , 인명>관인>문신
-
안세희(安世熙)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죽산(竹山). 참봉(參奉) 안봉조(安奉祖)의 아들로, 음보(蔭補)로 벼슬하여 동부 주부(東部主簿) 등을 지냄.
1481~1534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죽산 , 인명>관인>문신
-
안수(安琇)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순흥(順興). 울진 훈도(蔚珍訓導)를 지낸 안처정(安處貞)의 아들로, 사간원 정언(司諫院正言)ㆍ사섬시 첨정(司贍寺僉正) 등을 역임하였음.
1489~154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안수(安璲)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순흥(順興). 안처명(安處明)의 아들로, 1549(명종 4)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홍문관 박사(弘文館博士) 등을 지냄.
1521~?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광주 , 인명>관인>문신
-
안수(晏殊)
중국 송(宋) 나라 진종(眞宗)~인종(仁宗) 때의 재상ㆍ문인. 범중엄(范仲淹)의 스승이자 부필(富弼)의 장인으로, 재상을 지내고 한기(韓琦)ㆍ구양수(歐陽修) 등을 추천함. 시문(詩文)에 뛰어나 고아한 풍격의 사(詞)를 지음.
991~1055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안수잠(安秀岑)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죽산(竹山). 전함사 별좌(典艦司別坐)를 지낸 안범(安範)의 아들로, 1522년(중종 17)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군수(郡守)를 지냄.
1486~?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죽산 , 인명>관인>문신
-
안숙량(安叔良)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통례원 인의(通禮院引儀)를 지낸 안보문(安普文)의 아버지로, 동궁 시직(東宮侍直)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안 , 인명>관인>문신
-
안숙손(安叔孫)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충주((忠州). 청주 목사(淸州牧使)를 지낸 안홍(安鴻)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충주 , 인명>문사>유학
-
안숙천(安叔千)
중국 오대십국(五代十國) 후당(後唐) 장종(莊宗)~명종(明宗) 때의 무신. 무예에 뛰어났으나 글자를 깨우치지 못해 하는 짓이 비루하였으므로, 당시 사람들에게 몰자비(沒字碑)라고 불렸음.
881~952 중국>오대십국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안순(安恂)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죽산(竹山). 영흥 부사(永興府使) 안방경(安方慶)의 아버지로, 전함사 별좌(典艦司別坐)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죽산 , 인명>관인>문신
-
안순(安純)
조선 태조(太祖)~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순흥(順興). 조선의 개국공신 안경공(安景恭)의 아들로, 판호조사(判戶曹事)ㆍ의정부 찬성사(議政府贊成事) 등을 지냈으며 국가 재정 관리에 뛰어나 명성을 얻음.
1371~1440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금천 , 인명>관인>문신
-
안순왕후(安順王后)
조선 제8대 예종(睿宗)의 계비(繼妃). 청주부원군(淸川府院君) 한백륜(韓伯倫)의 딸로, 1462년(세조 8)에 세자빈에 간택되고 예종이 즉위하자 왕비에 책봉되었으나 이듬해에 병사함. 소생으로는 제안대군(齊安大君)과 현숙공주(顯肅公主)가 있음.
?~149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왕비
-
안숭선(安崇善)
조선 세종(世宗)~문종(文宗) 때의 문신. 본관은 순흥(順興)으로, 흥녕부원군(興寧府院君) 안경공(安景恭)의 손자. 1420년(세종 2)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의정부 좌참찬(議政府左參贊)ㆍ병조 판서(兵曹判書)를 지냄.
1392~1452 한국>조선전기 , 인명>관인>문신
-
안숭세(安崇世)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죽산(竹山). 단양 군수(丹陽郡守)를 지낸 안중담(安仲聃)의 첫째 아들로, 참군(參軍)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죽산 , 인명>관인>무신
-
안승명(安承命)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광주(廣州). 황해도 관찰사(黃海道觀察使)을 지낸 안용(安容)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광주 , 인명>문사>유학
-
안승종(安承宗)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유학. 본관은 순흥(順興)으로, 어모장군(禦侮將軍) 안건(安建)의 아들. 1525년(중종 20)에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하고, 예천(醴泉)에 은거하며 이황(李滉)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천 , 인명>문사>유학
-
안시성전투(安市城戰鬪)
고구려 보장왕(寶藏王) 때 안시성(安市城)에서 고구려와 당(唐) 나라 사이에 벌어진 싸움. 당 태종(太宗)이 이적(李勣)과 함께 안시성을 공격하였으나, 성주(城主) 양만춘(楊萬春)이 성을 굳게 지켜 함락시키지 못하고 철수함.
645 한국>고구려 , 사건>전쟁
-
안씨가훈(顔氏家訓)
중국 남북조시대 양(梁)~수(隋) 나라의 문인ㆍ학자인 안지추(顔之推)가 후손들에게 남긴 유훈서(遺訓書). 2권 20편. 가족제일주의에 입각하여 유교ㆍ불교 사상을 절충한 학문 연구방법을 제시하고, 귀족들의 처세 방침과 정치ㆍ사회ㆍ사상ㆍ풍속 등에 걸친 남북조 사회를 묘사하여 사료적 가치가 높음.
중국>수 , 중국 , 문헌>서명
-
안약우(顔若愚)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진덕수(眞德秀)의 제자로, 《심경(心經)》에 찬주(贊註)를 달아 1234년 천주(泉州)에서 간행함.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안양군(安陽君)
조선 제9대 성종(成宗)의 셋째 아들. 갑자사화(甲子士禍) 때 연산군(燕山君)의 생모를 폐출(廢黜)시켰다는 이유로 어머니 귀인정씨(貴人鄭氏)와 동생 봉안군(鳳安君)과 함께 사사(死賜) 되었으나 1506년(중종 1)에 복직(復職)됨.
1480~1505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왕자
-
안여지(安汝止)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순흥(順興). 1531년(중종 26)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고, 임억령(林億齡)ㆍ나세찬(羅世纘) 등과 교유함. 《석천시집(石川詩集)》과 《송재유고(松齋遺稿)》에 증시(贈詩)ㆍ송시(送詩)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문신
-
안연언(安延偃)
중국 당(唐) 나라의 무인(武人). 이란계 사람으로, 안녹산(安祿山)의 아버지, 혹은 양아버지라고 함.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안연지(顔延之)
중국 남북조시대 송(宋) 나라의 문신ㆍ문인. 중서시랑(中書侍郞) 등을 지내고, 유교(儒敎)와 불교(佛敎)에 통달하여 삼세인과(三世因果)의 설을 주장함. 문장에 뛰어나 사영운(謝靈運)과 함께 ‘안사(顔謝)’로 불림.
384~456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안영(安瑛)@조선후기
조선 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순흥(順興). 임진왜란(壬辰倭亂)이 일어나자 고경명(高敬命)의 의병(義兵)에 들어가 싸우다가 전사함.
1565~1592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남원 , 인명>문사>유학
-
안영(安瑛)@조선전기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순흥(順興). 중종(中宗) 때의 문신인 안공신(安公信)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풍기 , 인명>문사>유학
-
안영(晏嬰)
중국 춘추전국시대 제(齊) 나라 영공(靈公)~경공(景公) 때의 재상. 제 나라의 어진 재상으로 관중(管仲)과 비견되고, 어떤 권력에도 굽히지 않는 지조가 있었음.
?~B.C.500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안용(安容)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안승명(安承命)의 아들로, 1558년(명종 36)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황해도 관찰사(黃海道觀察使) 등을 지냄.
1522~?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광주 , 인명>관인>문신
-
안용지(安勇智)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선산 부사(善山府使) 안우(安宇)의 아버지로, 순천 부사(順天府使)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광주 , 인명>관인>문신
-
안우(安宇)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1524년(중종 19)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밀양(密陽)ㆍ평산(平山)ㆍ선산 부사(善山府使)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의령 , 인명>관인>문신
-
안우(安祐)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무신. 본관은 탐진(耽津). 최영(崔瑩) 등과 함께 조일신(趙日新)의 난을 평정하고 기철(奇轍)을 주살한 공으로 일등공신에 책록됨. 재상 김용(金鏞)과 함께 정세운(鄭世雲)을 살해한 뒤, 그 또한 김용의 하수인에게 살해됨.
?~1362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강진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안우(安遇)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탐진(耽津). 김종직(金宗直)에게 수학하고 김굉필(金宏弼)ㆍ남효온(南孝溫) 등과 교유하였으며, 효행(孝行)으로 당대에 이름이 높았음.
1449~1527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강진 , 인명>관인>문신
-
안우기(安于器)
고려 충렬왕(忠烈王)~충숙왕(忠肅王) 때의 문신. 본관은 순흥(順興). 문성공(文成公) 안향(安珦)의 아들. 충렬왕 때 국학좨주(國學祭酒)로 최응(崔凝)과 함께 과거를 주관하였고, 우부승지(右部承旨)ㆍ밀직부사(密直副使) 등을 역임하였음.
1265~1329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관인>문신
-
안원(安瑗)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본관은 순흥(順興). 조선 건국 후 정치 참여를 거부하였으나, 태종(太宗)의 간청으로 사은사(謝恩使)가 되어 명 나라에 다녀왔으며, 외척으로서 횡포를 부리던 민무구(閔無咎) 형제를 탄핵하였음.
1346~1411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관인>문신
-
안원린(安元璘)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탐진(耽津). 중서평장정사(中書平章政事) 안우(安祐)의 아버지로, 검교중추원사(檢校中樞院事)를 지냄.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강진 , 인명>관인>문신
-
안원숭(安元崇)
고려 충혜왕(忠惠王)~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본관은 순흥(順興). 정당문학(政堂文學)ㆍ예문관 대제학(藝文館大提學) 등 요직(要職)을 지내고, 순성군(順城君)에 봉해짐.
1309~?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관인>문신
-
안원형(安元衡)
고려 충혜왕(忠惠王) 때의 문신. 본관은 죽산(竹山). 1341년(충혜왕 후2)에 급제하여 밀직사사(密直司事)ㆍ문하시중(門下侍中)을 지냄.
1318~?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안위(安瑋)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순흥(順興). 명종 때 병조 판서가 되어 국방을 주관하면서 병학(兵學)에 재능을 나타내고, 양계(兩界)에 대한 국방을 강화하고자 진보(鎭堡)의 설치를 장려함.
1491~156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관인>문신
-
안유자(晏孺子)
중국 춘추전국시대 제(齊) 나라의 왕자. 경공(景公)의 총첩(寵妾)인 예희(芮姬)의 소생으로, 경공이 죽자 국하(國夏)와 고장(高張)의 도움으로 왕에 올랐으나, 천첩 출신임을 꺼려 양생(陽生)을 추대한 대부 전걸(田乞) 등에 의해 살해됨.
?~B.C.489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왕자
-
안윤덕(安潤德)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로, 안동 판관(安東判官) 안팽로(安彭老)의 아들. 삼포왜란(三浦倭亂) 때 부원수(副元帥)가 되어 지휘하고, 평안도 관찰사(平安道觀察使) 시절 단군(檀君)과 기자(箕子)의 사당을 수축(修築)함.
1457~1535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광주 , 인명>관인>문신
-
안윤손(安潤孫)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성종 때 사헌부 장령(司憲府掌令)이 되어 기강을 확립하고, 회령 통판(會寧通判)으로 있을 때 선정으로 칭송을 받음. 중종 때 한성부 좌윤(漢城府左尹)ㆍ형조 참판(刑曹參判) 등을 지냄.
1450~1520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광주 , 인명>관인>문신
-
안음(安陰)
경상도 함양(咸陽)과 거창(居昌)의 일부 지역을 관장했던 조선 전기의 행정구역명.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음 , 지명>행정지명
-
안응국(安應國)
조선 전기의 양인. 이산해(李山海)가 유배된 평해(平海)의 황보리(黃保里)에 살던 사람으로, 이산해의 《아계유고(鵝溪遺稾)》에, 그의 전기(傳記)인 〈안주부전(安主簿傳)〉이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평해 , 인명>기타인명>양인
-
안응규(安應奎)
조선 전기의 유학. 향교(鄕校)의 훈도(訓導)를 역임하였으며, 백담(栢潭) 구봉령(具鳳齡)과 시문을 주고받으며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안응세(安應世)
조선 성종(成宗) 때의 유학. 본관은 죽산(竹山)으로, 단양군수(丹陽郡守)를 지낸 안중담(安仲聃)의 아들. 남효온(南孝溫)ㆍ김시습(金時習) 등과 교유하고 악부(樂府)에 뛰어났으나, 26세의 나이에 요절함.
1455~1480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죽산 , 인명>문사>유학
-
안응창(安應昌)
조선 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순흥(順興). 순양군(順陽君) 안몽윤(安夢尹)의 아들로, 대군 사부(大君師傅) 등을 지냄.
1593~?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관인>문신
-
안인(安禋)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순흥(順興). 중종(中宗) 때의 유학인 안선무(安善武)의 아버지로, 충좌위 호군(忠佐衛護軍)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풍기 , 인명>관인>무신
-
안임(安恁)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순흥(順興). 지돈녕부사(知敦寧府事) 등을 지낸 안자유(安自裕)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풍기 , 인명>문사>유학
-
안자미(安子美)
고려 신종(神宗) 때의 무신. 순흥안씨(順興安氏)의 시조로, 흥위위(興威衛) 보승별장(保勝別將) 등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풍기 , 인명>관인>무신
-
안자성(安子誠)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죽산(竹山). 호조 참판(戶曹參判)을 지낸 안초(安迢)의 아들로, 공주 목사(公州牧使)를 지냈음.
1447~1514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죽산 , 인명>관인>문신
-
안자온(安自溫)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광주(廣州). 유학(幼學) 안경인(安景仁)의 아버지로, 부장(部將)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광주 , 인명>관인>무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