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반표(班彪)
중국 후한(後漢) 때의 문신ㆍ학자. 《한서(漢書)》를 쓰기 시작하여 아들 반고(班固)가 작업을 잇고 딸 반소(班昭)가 저술을 완성함.
3~54 중국>후한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반홍(潘洪)
조선 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거제(巨濟). 1582년(선조 15)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함. 권호문(權好文)의 《송암집(松巖集)》에 화답시(和答詩)가 실려 있음.
152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유학
-
반황(班況)
중국 전한(前漢) 때의 문신. 반표(班彪)의 조부이자, 성제(成帝) 때의 후궁 반첩여(班婕妤)의 아버지로, 교위(校尉)를 지냄.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발^길(潑^洁)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인 이발(李潑)과 이길(李洁) 형제를 함께 부르는 말. 형제간의 우애가 좋았으나 함께 기축옥사(己丑獄事)에 연루되어 장살(杖殺)당함.
한국>조선전기 , 사상>술어>관용어
-
발^립(潑^立)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인 이발(李潑)과 정여립(鄭汝立)을 함께 부르는 말. 기축옥사(己丑獄事)에 연루되어 서인(西人)에 의해 제거된 동인(東人)의 대표적 인물을 가리킴.
한국>조선전기 , 사상>술어>관용어
-
발해(渤海)
고구려 유민(遺民) 대조영(大祚榮)이 699년에 세운 나라. 중국 동북(東北) 지방ㆍ연해주(沿海州)ㆍ한반도 북부를 차지하였으며, 신라와 함께 남북국시대(南北國時代)를 이룸. 14대 228년간 존속.
698~926 한국>발해 , 시간>국명
-
발해고(渤海考)
조선 정조(正祖) 때 유득공(柳得恭)이 지은 역사책(歷史冊). 한국ㆍ중국ㆍ일본의 사서 22종을 참고하여 한국사 최초로 발해사(渤海史)를 저술함.
1784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방^간(逄^干)
중국 하(夏) 나라 걸왕(桀王) 때의 충신인 관용방(關龍逄)과 은(殷) 나라 주왕(紂王) 때의 충신인 비간(比干)을 함께 부르는 말.
중국>은ㅣ중국>하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방^두(房^杜)
중국 당(唐) 나라 태종(太宗) 때의 재상인 방현령(房玄齡)과 두여회(杜如晦)를 함께 부르는 말. 어진 정승을 가리킴.
중국>당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방^봉(方^蓬)
중국 전설 속의 신선이 산다는 방장산(方丈山)과 봉래산(蓬萊山)을 함께 부르는 말. 영주산(瀛洲山)과 함께 삼신산(三神山)에 속함.
중국 , 지명>기타지명
-
방^서(坊^舒)
중국 섬서성(陝西省)에 있는 방주(坊州)와 안휘성(安徽省) 남서부에 있는 서주(舒州)를 함께 부르는 말.
중국 , 지명>기타지명
-
방^소(方^召)
중국 주(周) 나라 선왕(宣王) 때의 명장(名將)인 방숙(方叔)과 소호(召虎)를 함께 부르는 말. 어진 장수를 가리킴.
중국>주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방^위(房^魏)
중국 당(唐) 나라 태종(太宗) 때의 재상인 방현령(房玄齡)과 위징(魏徵)을 함께 부르는 말. 어진 신하를 가리킴.
중국>당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방^저(房^氐)
28수(宿)의 하나인 방성(房星)과 저성(氐星)을 함께 부르는 말.
자연물>기타자연물
-
방각(方慤)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저서로 《예기해의(禮記解義)》20권이 있음.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방간(方干)
중국 당(唐) 나라의 시인. 추한 외모를 가졌으나 요합(姚合) 등에게 재능을 인정받았으며, 만나는 사람마다 삼배(三拜)를 하여 ‘방삼배(方三拜)’라 불림. 죽은 후 장문울(張文蔚)에 의해 추존되고 ‘현영선생(玄英先生)’이라 사시(私諡)됨.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방계(房啓)
중국 당(唐) 나라 현종(玄宗) 때의 주석가. 한유(韓愈)와 교유함.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방곡(坊谷)
경상도 함양(咸陽)에 있는 계곡 이름. 전라도 운봉(雲峯)의 팔량현(八良峴)에서 발원(發源)하며, 김종직(金宗直)이 서계(西谿)로 이름을 고침.
경상도>함양 , 지명>자연지명
-
방관(房琯)
중국 당(唐) 나라의 문신. 형부 상서(刑部尚書) 등을 지내고 태위(太尉)로 추봉(追封)되었으며, 두보(杜甫)와 친교(親交)함.
697~762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방국진(方國珍)
중국 원(元) 말~명(明) 초의 무신. 원래 소금 행상이었으나 원 나라 말에 절동(浙東) 지방을 점령한 무장 세력의 우두머리가 되고, 명 나라 초까지도 반란과 귀순을 되풀이하면서 벼슬을 유지함.
1319~1374 중국>명ㅣ중국>원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방귀온(房貴溫)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 조광조(趙光祖)의 문인으로, 1519년(중종 14) 현량과(賢良科)에 천거되어 예조 좌랑(禮曹佐郞)ㆍ사간원 정언(司諫院正言) 등을 지냈으나, 기묘사화(己卯士禍)로 유배됨.
1465~?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문신
-
방귀화(房貴和)
조선 예종(睿宗) 때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 수운 판관(水運判官) 방순문(房恂文)의 아들로, 부사맹(副司猛)과 호조 좌랑(戶曹佐郞)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관인>문신
-
방덕(龐德)
중국 삼국시대 위(衛) 나라의 장수. 조조(曹操)에게 귀부하여 장수가 되어 싸우다가 관우(關羽)에게 죽임을 당함.
?~219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방덕공(龐德公)
중국 후한(後漢) 때의 처사(處士). 유표(劉表)가 벼슬하기를 청하였으나 사절하고 양양(襄陽)의 녹문산(鹿門山)에 은거함.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기타인명>은자
-
방덕기(房德驥)
조선 전기의 유학. 정황(丁熿)의 《유헌집(遊軒集)》에 송시(送詩)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방덕일(房德馹)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남양(南陽). 방처인(房處仁)과 방득인(房得仁)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남원 , 인명>문사>유학
-
방득세(方得世)
고려 충선왕(忠宣王) 때의 문신. 본관은 상주(尙州). 방신우(方臣祐)의 아버지로, 영록대부(榮祿大夫) 주국(柱國)에 임명되고 의국공(義國公)에 봉해졌음.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상주 , 인명>관인>문신
-
방득인(房得仁)
조선 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남양(南陽). 방덕일(房德馹)의 아들이고, 방처인(房處仁)의 동생.
한국>조선시대 , 전라도>남원 , 인명>문사>유학
-
방뢰(方耒)
중국 남송(南宋) 때의 문신ㆍ학자. 주자(朱子)의 문인(門人)으로, 연강 현령(連江縣令)을 지냄.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방봉신(方逢辰)
중국 송(宋) 이종(理宗)~도종(度宗) 때의 문신ㆍ학자. 방봉진(方逢振)의 형으로, 《교봉선생문집(蛟峰先生文集)》을 저술함.
1221~1291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방봉진(方逢振)
중국 송(宋) 나라 이종(理宗) 때의 문신ㆍ학자. 방봉신(方逢辰)의 동생으로, 1262년(경정 3)에 진사로 입격하여 태부시 주부(太府寺主簿) 등을 지내다가 송 나라가 망하자 은거하며 석협서원(石峽書院)에서 강학함. 저서로 《산방집(山房集)》이 있음.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방성(房星)
28수(宿)의 하나. 동남방(東南方)에 있는 창룡칠수(蒼龍七宿)의 네 번째 별로, 이 별의 정기가 땅에 내려와 준마(駿馬)가 된다고 하여 거마(車馬)를 주관하는 별로 알려짐.
자연물>천체
-
방숙(方叔)
중국 주(周) 나라 선왕(宣王) 때의 경사(卿士). 왕명을 받아 북쪽으로 험윤(玁狁)을 정벌하고 남쪽으로 형초(荊楚)를 정복하여 공로를 세움.
중국>주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방순(方恂)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본관은 온양(溫陽). 방언휘(方彦暉)의 아들로, 관찰사(觀察使)와 판전교시사(判典校寺事) 등을 역임함.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온양 , 인명>관인>문신
-
방신우(方臣祐)
고려 충렬왕(忠烈王)~충숙왕(忠肅王) 때의 환관. 원(元) 나라에 들어가 망고태(忙古台)라는 이름을 하사받고 수원황태후(壽元皇太后)의 시중을 들었으며, 고려로 돌아와 중모군(中牟君)에 봉해짐.
?~1343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상주 , 인명>관인>환관
-
방씨여교(方氏女敎)
중국의 여성 수신서(修身書). 저자나 편찬 연대를 알 수 없으나, 후한(後漢)의 반소(班昭)가 지은 《여계(女誡)》의 영향을 받음. 조선 성종(成宗) 때 인수대비(仁粹大妃)가 《내훈(內訓)》을 편찬할 때 참고함.
중국 , 문헌>서명
-
방악(方岳)
중국 송(宋) 나라 이종(理宗) 때의 문신ㆍ학자. 지남강군(知南康軍)ㆍ지소무군(知邵武軍) 등을 지내고, 《추애집(秋崖集)》을 저술함.
1199~1262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방언휘(方彦暉)
고려 후기의 문신. 충목왕(忠穆王)의 장인이며 방순(方恂)의 아버지로, 직제학(直提學)을 역임함.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온양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방옥정(房玉精)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 방유륜(房有倫)의 아들로, 1472년(성종 3)에 춘당대시(春塘臺試)에 급제하여 문학(文學)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관인>문신
-
방온(龐蘊)
중국 당(唐) 무종(武宗)~선종(宣宗) 때의 승려. 황벽(黃蘗) 희운선사(希運禪師)에게 불법, 특히 선도(禪道)를 닦아 깨달음을 얻음.
?~808 중국>당 , 중국 , 인명>종교인>승려
-
방원정(房元井)
조선 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 1646년(인조 24) 식년시(式年試)에 급제하여 직강(直講)을 지냄.
1593~?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관인>문신
-
방유녕(方有寧)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온양(溫陽). 김종직(金宗直)의 문인으로, 1489년(성종 20)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병조 참판(兵曹參判)ㆍ동지성균관사(同知成均館事) 등을 지냄.
1460~1529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온양 , 인명>관인>문신
-
방유륜(房有倫)
조선 전기의 문신. 성종(成宗) 때 문학(文學)을 지낸 방옥정(房玉精)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관인>문신
-
방유심(方惟深)
중국 송(宋) 휘종(徽宗) 때의 문인. 시가 매우 정교하고 뛰어나다는 평을 받았고, 저서로는 《방비교집((方秘校集)》이 있음.
1040~1122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방융(房融)
중국 당(唐) 나라 측천무후(則天武后) 때의 재상. 형부 상서(刑部尙書)를 지낸 방관(房琯)의 아버지로, 불교에 심취하였으며, 《능엄경(楞嚴經)》을 필수(筆受)함.
?~705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방응현(房應賢)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인. 본관은 남양(南陽). 조식(曺植)ㆍ이항(李恒)의 문하에서 수학하였으나 과거(科擧)에 뜻을 두지 않았으며, 임란의병장 변사정(邊士貞)과 친교가 두터웠음.
1524~1589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남원 , 인명>문사>문인
-
방의(方誼)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주희(朱熹)와 주고받은 문답이 《주희집(朱熹集)》 〈답방빈왕서(答方賓王書)〉에 실려 있음.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방일유고(放逸遺稿)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박동량(朴東亮)의 문집.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방장산(方丈山)
중국 고대 전설 속의 신선이 산다는 산 이름. 발해(渤海)의 동쪽에 있다는 오도(五島) 중의 하나.
고대 , 중국 , 지명>기타지명
-
방정학선생집(方正學先生集)
중국 명(明) 태조(太祖)~혜제(惠帝) 때의 학자 방효유(方孝儒)의 저서. 13권 6책.
중국>명 , 중국 , 문헌>서명
-
방주(坊州)
중국 섬서성(陝西省) 중서부 일대에 있는 고을 이름.
중국 , 지명>행정지명
-
방처인(房處仁)
조선 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남양(南陽). 방덕일(房德馹)의 아들로, 1576년(선조 9)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함. 하항(河沆)의 《각재집(覺齋集)》에 차운한 시가 실려 있음.
1549~1595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구례 , 인명>문사>유학
-
방촌영당(厖村影堂)
조선 세조(世祖) 때 경기도 파주(坡州)에 건립한 전각. 조선 전기 문신인 황희(黃喜)의 영정(影幀)을 모시고, 황희의 호를 따서 이름함.
1455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유적>건물>사당
-
방촌집(厖村集)
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인 황희(黃喜)의 문집. 원집ㆍ별집ㆍ외집ㆍ연보ㆍ부록을 합쳐 14권 7책. 1935년 황의창(黃義昌)이 편집ㆍ교열해 간행함. 이건방(李建芳)이 서문을, 이승규(李昇圭)가 발문을 씀.
1935 한국>근대 , 문헌>서명
-
방통(龐統)
중국 삼국시대(三國時代)의 모사(謀士). 제갈량(諸葛亮)에 버금가는 지략가로, 유비(劉備)의 를 도와 활약하다가 낙성(洛城) 전투 때 낙봉파(落鳳坡)에서 전사함.
179~214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방한걸(房漢傑)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남양(南陽). 방귀화(房貴和)의 아들이며, 인조(仁祖) 때 직강(直講)을 지낸 방원정(房元井)의 조부. 《소재집(穌齋集)》에 그의 묘갈명(墓碣銘)이 있음.
1482~1529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남원 , 인명>문사>유학
-
방현령(房玄齡)
중국 당(唐) 나라 태종(太宗) 때의 재상. 정관(貞觀)의 치세(治世)를 이끈 핵심 인물로, 두여회(杜如晦)를 천거함.
578~648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방호인(房好仁)
조선 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남양(南陽). 방덕일(房德馹)의 아들. 1568년(선조 1)에 증광시(增廣試) 생진 양시(生進兩試)에 입격함.
1543~?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남원 , 인명>문사>유학
-
방회(方回)
중국 원(元) 나라의 문신ㆍ문인. 《영규율수(瀛奎律髓)》 등을 편찬함.
1227~1307 중국>원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방효유(方孝孺)
중국 명(明) 태조(太祖)~혜제(惠帝) 때의 학자. 석학인 송렴(宋濂)에게 수학하고, 혜제(惠帝)를 섬겨 시강학사(侍講學士)로서 신임을 받았으나, 영락제(永樂帝) 때 등극 조서 작성을 거부하다가 죽임을 당하였음.
1357~1402 중국>명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배견와(拜鵑窩)
경기도 영평(永平)의 백운산(白雲山)에 있던 움집. 대사간(大司諫)을 지낸 박순(朴淳)이 벼슬을 떠난 뒤 이곳에서 은거함.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영평 , 유적>건물>사제
-
배계후(裵季厚)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김해(金海)로, 감찰(監察)을 지낸 배진(裵縉)의 아들. 안의 현감(安義縣監)ㆍ진주 판관(晉州判官)을 지냈으며, 김일손(金馹孫)ㆍ조위(曺偉) 등과 도의지교(道義之交)를 맺고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산 , 인명>관인>문신
-
배규(裵規)
고려 우왕(禑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문장이 탁월하여 관서(關西)의 공자(孔子)라 일컬어짐.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고령 , 인명>관인>문신
-
배대유(裵大維)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김해(金海). 한강(寒岡) 정구(鄭逑)의 문인으로,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곽재우(郭再祐)와 함께 화왕산성(火旺山城)을 수비함. 계축옥사(癸丑獄事) 때 공을 세웠으며, 인목대비(仁穆大妃) 폐모론에 적극 참여함.
1563~1632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영산 , 인명>관인>문신
-
배도(裴度)
중국 당(唐) 나라 헌종(憲宗)~문종(文宗) 때의 재상. 절도사(節度使)를 억제하고 환관(宦官)에 대해 강경책을 취하였으며, 백거이(白居易)와 교유함.
765~839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배리삼릉(拜里三陵)
신라의 고분(古墳)으로, 현재 경상북도 경주시(慶州市) 배동(拜洞) 남산(南山)에 위치함. 신라 제8대 아달라이사금(阿達羅尼師今), 제53대 신덕왕(神德王), 제54대 경명왕(景明王) 등 박씨 3왕의 능으로 전함.
한국>신라 , 경상도>경주 , 유적>시설>능묘
-
배맹후(裵孟厚)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김해(金海)로, 감찰(監察)을 지낸 배진(裵縉)의 아들. 대사헌(大司憲)ㆍ이조 참의(吏曹參議) 등을 지냈으며, 강직한 성품으로 조정의 기강을 바로잡고 불교를 배척하였음.
1448~147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산 , 인명>관인>문신
-
배복(裵復)
중국 당(唐) 나라 대종(代宗) 때의 유학. 대종이 그의 뛰어난 재주를 알고 한림학사(翰林學士)에 임명하려 하였으나, 그의 아버지인 배규(裴虬)가 학문이 끝나도록 기다려 줄 것을 청함.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유학
-
배사종(裵嗣宗)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성주(星州). 빙고 별좌(氷庫別座) 배신(裵紳)의 아버지로, 참봉(參奉)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성주 , 인명>관인>문신
-
배사혁(裵斯革)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김해(金海). 개국공신 배현경(裵玄慶)의 후손으로, 병부 상서(兵部尙書)를 지낸 배원룡(裵元龍)의 아버지. 가락군(駕洛君)에 봉해짐.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김해 , 인명>관인>문신
-
배삼익(裵三益)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흥해(興海)로, 이황(李滉)의 문인(門人). 진사사(陳謝使)로 명(明) 나라에 다녀오고, 황해도 관찰사로 구황(救荒)에 힘쓰다 병사함.
1534~158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배상지(裵尙志)
고려 후기의 문신. 고려 말에 정국(政局)이 혼란해지자 안동(安東)의 금계(金溪)에 은거하였으며, 조선 초에 여러 차례 불렀으나 응하지 않음.
1351~1413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배석지(裵錫祉)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분성(盆城, 김해). 양지현감(陽智縣監)을 지냈으며, 칠원의 덕연서원(德淵書院)에 배향됨.
1523~? 한국>조선시대 , 경상도>칠원ㅣ경상도>김해 , 인명>관인>문신
-
배세적(裵世績)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김해(金海). 배중후(裵仲厚)의 아들로, 1507년(중종 2)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함. 군위 현감(軍威縣監)을 지냈으며, 덕연서원(德淵書院)에 배향됨.
1471~150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산 , 인명>관인>문신
-
배세침(裵世忱)
조선 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장기(長鬐). 참봉(參奉) 배연수(裵延壽)의 아들로, 1570년(선조 3)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1539~?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강릉 , 인명>문사>유학
-
배수(裵秀)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문신ㆍ학자. 상서령(尙書令) 배잠(裵潛)의 천첩 소생으로, 무제(武帝)를 옹립하여 서진(西晉)을 세우고 사공(司空)을 지냄. 《우공지역도(禹貢地域圖)》를 편찬하여 지도 제작의 준칙을 만듦.
224~271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배수장(裵粹章)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김해(金海). 1513년(중종 8)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한 배한휘(裵澣輝)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김해 , 인명>문사>유학
-
배숙기(裵淑綺)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대구(大丘). 1540년(중종 35)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승문원 교리(承文院校理)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선산 , 인명>관인>문신
-
배숙후(裵叔厚)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김해(金海). 감찰(監察)을 지낸 배진(裵縉)의 아들로, 이조 정랑(吏曹正郎)ㆍ오수 찰방(鰲樹察訪)을 지냄.
?~150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산 , 인명>관인>문신
-
배순(裵珣)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김해(金海). 배임(裵任)의 아버지로, 전의감 겸 교수(典醫監兼敎授)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김해 , 인명>관인>문신
-
배승교(裵承敎)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대구(大丘). 승문원 교리(承文院校理) 배숙기(裵淑綺)의 아버지로, 전연사 봉사(典涓司奉事)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대구 , 인명>관인>문신
-
배신(裵紳)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성주(星州). 빙고 별좌(氷庫別座) 등을 지내고, 조식(曺植)의 문인이었다가 뒤에 이황(李滉)의 문인이 됨. 〈남명선생행록(南冥先生行錄)〉을 지어 올림.
1520~157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현풍 , 인명>관인>문신
-
배연수(裵延壽)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장기(長鬐). 배세침(裵世忱)의 아버지로, 효행으로 인하여 참봉(參奉)에 제수됨.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강릉 , 인명>관인>문신
-
배영지(裵榮至)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흥해(興海). 관직은 판전리(判典理), 상호군(上護軍), 평양 윤(平壤尹) 등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배용길(裵龍吉)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흥해(興海). 홍문관 부교리(弘文館副校理) 배삼익(裵三益)의 아들로, 김성일(金誠一)의 문인.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의병(義兵)으로 활약하였고, 정유재란(丁酉再亂) 때 화의(和議)에 반대하는 상소를 올림.
1556~1609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배원룡(裵元龍)
고려 우왕(禑王) 때의 문신. 배사혁(裵斯革)의 아들로 염흥방(廉興邦)의 양자가 되었으며, 병부 상서(兵部尙書)를 지내고 분성군(盆城君)에 봉해짐. 김해배씨(金海裵氏)의 시조.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김해 , 인명>관인>문신
-
배윤견(裵允堅)
고려 후기의 문신. 중국 원(元) 나라의 과거에 급제하고, 황제의 천수절(天壽節)을 하례하기 위한 사신으로 선발됨. 이곡(李穀)이 지은 호설(號說)이 《가정집(稼亭集)》에 전함.
한국>고려후기 , 인명>관인>문신
-
배익신(裵益臣)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1492년(성종 23)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였으며, 부사(府使)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대구 , 인명>관인>문신
-
배일장(裵一長)
조선 후기의 문신ㆍ학자. 남구만(南九萬)의 천거로 강릉 참봉(康陵參奉)에 제수되었으나 응하지 않고 학문에만 전념함. 《심경보사(心經補辭)》를 저술함.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합천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배임(裵任)
조선 명종(明宗) 때의 유학. 본관은 김해(金海). 전의감 겸교수(典醫監兼敎授)를 지낸 배순(裵珣)의 아들로, 1549년(명종 4)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칠원 , 인명>문사>유학
-
배잠(裵潛)
중국 삼국시대 위(魏) 나라의 문신. 서진(西晉)의 사공(司空)을 지낸 배수(裵秀)의 아버지로, 상서령(尙書令)ㆍ하남 윤(河南尹)을 지냄.
?~244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배저(裵著)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대구(大邱). 1492년(성종 23)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한 배익신(裵益臣)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대구 , 인명>문사>유학
-
배전(裵詮)
고려 후기의 문신ㆍ공신. 본관은 흥해(興海). 복천부원군(福川府院君) 손홍량(孫洪亮)의 사위이며, 사복시 판사(司僕寺判事) 배상지(裵尙志)의 아버지로, 익대좌명공신(翊戴佐命功臣) 삼중대광(三重大匡) 첨의평리(僉議評理) 흥해군(興海君)에 봉해짐.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흥해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배정(裵挺)
고려 충선왕(忠宣王)~충숙왕(忠肅王) 때의 문신. 찬성사(贊成事)를 지내고 수첨의정승(守僉議政丞)으로 치사(致仕)함.
한국>고려후기 , 인명>관인>문신
-
배중부(裵仲孚)
고려 후기의 문인. 김덕유(金德儒)ㆍ이직(李稷) 등과 교유함. 《동문선(東文選)》과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에 시가 전함.
한국>고려후기 , 인명>문사>문인
-
배진(裵縉)
조선 전기 문신. 본관은 김해(金海). 이조 참의(吏曹參議)를 지낸 배맹후(裵孟厚)의 아버지로, 감찰(監察)을 지냈으며 좌의정(左議政)에 증직(贈職)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산 , 인명>관인>문신
-
배진손(裵晉孫)
고려 말~조선 초의 문신. 본관은 성주(星州). 배규(裵規)의 아버지로, 고려 말에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판공부사(判工部事)를 지냄. 조선 개국 때 이성계(李成桂)를 도왔으며, 공조 판서(工曹判書)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성주 , 인명>관인>문신
-
배천(白川)
황해도 남동부에 있는 고을 이름. 고려 태조(太祖) 때 백주(白州)라 부르고 의종(毅宗) 때 개흥부(開興府)로 승격되었다가 다시 백주로 환원되었으며, 조선 태종(太宗)때 배천군(白川郡)이 되었음.
황해도>배천 , 지명>행정지명
-
배천석(裵天錫)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흥해(興海)로, 임연재(臨淵齋) 배삼익(裵三益)의 아버지. 중종 때 천거로 의서습독관(醫書習讀官)에 임용되었고, 충좌위 부사과(忠佐衛副司果)를 지냄.
1511~157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흥해 , 인명>관인>문신
-
배천유집(白川遺集)
조선 인조(仁祖) 때의 문신인 강응황(姜應璜)의 문집.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