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양성(陽城)
경기도 서남부에 위치한 고을 이름. 지금의 안성(安城) 지역에 해당하며 천덕산(天德山)과 남쪽의 백운산(白雲山) 사이에 자리잡고 있음.
경기도>양성 , 지명>행정지명
-
양성지(梁誠之)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남원(南原). 집현전(集賢殿)의 부수찬ㆍ교리를 거쳐 이조 판서(吏曹判書)ㆍ홍문관 대제학(弘文館大提學) 등을 지냄. 《고려사(高麗史)》ㆍ《동국여지승람(東國輿地勝覽)》등을 편찬함.
1415~1482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남원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양성헌실기(養性軒實紀)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인 도희령(都希齡)의 유문(遺文)과 행적(行蹟) 등을 모아 편찬한 실기(實記). 2권.
한국>조선시대 , 문헌>서명
-
양세남(梁世南)
조선 숙종(肅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제주(濟州). 송천(松川) 양응정(梁應鼎)의 손자인 양만용(梁曼容)의 아들. 증조부 양응정의 문집을 간행하려고 했으나 뜻을 이루지 못함.
1627~1682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문신
-
양세법(兩稅法)
중국 당(唐) 나라 덕종(德宗) 때 시행된 조세(租稅) 제도. 여름과 가을 두 차례에 걸쳐 세금을 징수하되 본적지 여부와는 관계 없이 그 지역의 현재 거주자를 대상으로 부과하는 제도로, 명(明) 나라 이전까지 역대 세법(稅法)의 원칙이 됨.
780 중국>당 , 중국 , 법제>제도
-
양세영(楊世英)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첨정(僉正) 양면(楊沔)의 아들로, 상서원 부직장(尙瑞院副直長) 등을 지냄.
1485~1535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양소(良霄)
중국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 정(鄭) 나라의 대부. 음주ㆍ사치로 죽임을 당한 뒤 악귀가 되어 사람을 죽이자, 공손교(公孫僑)가 그의 아들 양지(良止)를 후사로 세워 재앙을 그치게 했다는 고사가 전해짐.
?~B.C.543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양소선(楊紹先)
중국 명(明) 나라 신종(神宗) 때의 무신. 전둔위(前屯衛) 사람으로,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흠차요동총병표하영령이병원임참장(欽差遼東摠兵票下營領夷兵原任參將)으로 마병(馬兵)을 이끌고 이여송(李如松)을 따라 참전함.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양소신(楊紹新)
중국 명(明) 나라 신종(神宗) 때의 무신.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형인 요동광녕진수총병관(遼東廣寧鎭守總兵官) 양소훈(楊紹勳)과 함께 이여송(李如松)을 따라 참전하였으며, 후에 계문 참장(薊門參將)을 지냄.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양소조(楊紹祖)
중국 명(明) 나라 신종(神宗) 때의 무신. 전둔위(前屯衞) 사람으로, 1598년(선조 31) 6월에 흠차보정중영참장(欽差保定中營參將) 도지휘첨사(都指揮僉事)로 마병(馬兵)을 이끌고 조선의 왜란에 참전함.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양소훈(楊紹勳)
중국 명(明) 나라 신종(神宗) 때의 무신.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요동광녕진수총병관(遼東廣寧鎭守總兵官)으로 아우 양소신(楊紹新)과 함께 이여송(李如松)을 따라 참전함.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양수(楊修)
중국 후한(後漢) 헌제(獻帝) 때 조조(曹操)의 모사. 태위(太尉) 양표(楊彪)의 아들로, 박학하고 견식이 넓었으나, 조조가 “계륵”이라 한 말뜻을 미리 알고 짐을 꾸렸다가 사형됨.
175~219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양수(楊綏)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문신ㆍ문인. 양담(楊潭)의 아들로, 반악(潘岳)의 집안과 3대에 걸쳐 혼인을 맺음.
271~299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양수사(楊守泗)
조선 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중화(中和). 김종직(金宗直)의 《점필재집(佔畢齋集)》에 증시(贈詩)와 송시(送詩)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금산 , 인명>관인>문신
-
양수진(楊守陳)
중국 명(明) 나라 대종(代宗)~효종(孝宗) 때의 문신. 헌종(憲宗) 때 《문화대훈(文華大訓)》을 편찬하고, 효종 때 《헌종실록(憲宗實錄)》 편찬에 참여하였으며, 이부 우시랑(吏部右侍郞) 등을 역임함.
1425~1489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양숙(梁淑)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남원(南原)으로, 이조 판서(吏曹判書)를 지낸 양성지(梁誠之)의 손자. 사옹원 정(司饔院正)ㆍ사섬시 정(司贍寺正) 등을 지냄.
1471~1528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남원 , 인명>관인>문신
-
양순(梁洵)
통일신라 신문왕(神文王) 때의 문신. 제주양씨(濟州梁氏)의 중시조(中始祖).
한국>통일신라 , 전라도>제주 , 인명>관인>문신
-
양순석(梁順石)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남원(南原). 상호군(上護軍) 정효충(鄭孝忠)의 사위로, 충청도 관찰사(忠淸道觀察使)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남원 , 인명>관인>문신
-
양숭(楊崇)
중국 명(明) 나라의 문신. 월호(月湖) 양렴(楊廉)의 아버지로, 오여필(吳與弼)의 문인(門人)인 호구소(胡九韶)에게 수학하고, 지영주부(知永州府)를 지냄.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양시(楊時)
중국 송(宋) 나라 신종(神宗)~고종(高宗) 때의 학자. 이정(二程)의 학설을 화중(華中)ㆍ화남(華南)으로 퍼뜨려서, 남송(南宋)의 주희(朱熹)와 장식(張栻)에게 계승하게 됨.
1053~1135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양신민(楊信民)
중국 명(明) 나라 성조(成祖)때의 문신ㆍ학자. 강음(江陰) 사람으로, 일조현 지사(日照縣知事)와 좌도어사(左都御史) 등을 지냈으며, 《성원주기(姓原珠璣)》를 저술함.
중국>명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양신용(梁信容)
조선 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제주(濟州)로, 학포(學圃) 양팽손(梁彭孫)의 증손. 정묘호란(丁卯胡亂) 때의 전공(戰功)으로 인동 도호부사(仁同都護府使)에 제수됨.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능성 , 인명>관인>문신
-
양심당집(養心堂集)
조선 명종(明宗) 때의 음악이론가ㆍ학자ㆍ의원인 조성(趙晟)의 시문집. 1책. 목판본. 1568년(선조 1)에 저자의 문인(門人)이자 조카사위인 박계현(朴啓賢)이 수집ㆍ편차하여 간행함.
156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산 , 문헌>서명
-
양씨역전(楊氏易傳)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학자인 양간(楊簡)이 지은 《주역(周易)》해설서. 20권. 스승인 육구연(陸九淵)의 영향을 받아 오직 심성(心性)을 위주로 설명하고 상수(象數)와 사물(事物)에 대한 해설은 생략함.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양암(諒闇)
천자(天子)나 왕(王)이 부모의 상(喪)을 당했을 때 거처하는 방. 은(殷) 나라 고종(高宗)이 아버지 소을(小乙)의 상에 상려(喪廬)에서 3년 동안 말하지 않았기에 후대에는 임금이 거상(居喪)할 때 3년 동안 말하지 않는 제도를 뜻하기도 함.
법제>의례>국가의례
-
양양(襄陽)
강원도 동부 해안에 접해 있는 고을 이름.
강원도>양양 , 지명>행정지명
-
양양(襄陽)@중국
중국 호북성(湖北省) 한수(漢水) 연안에 위치한 고을 이름.
중국 , 지명>행정지명
-
양억(楊億)
중국 송(宋) 나라 태종(太宗)~진종(眞宗) 때의 학자ㆍ문신. 왕흠약(王欽若)과 함께 《책부원귀(冊符元龜)》를 저술하고, 불서(佛書)인 《전등록(傳燈錄)》을 교간(校刊)함.
973~1020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양여공(梁汝恭)
조선 태종(太宗)~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충주(忠州). 1431년(세종 13) 유연생(柳衍生)의 무고(誣告)로 사형됨. 효성이 지극하고 시와 글씨에 능했음.
1378~1431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충주 , 인명>관인>문신
-
양여창(梁汝昌)
조선 세조(世祖)~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남원(南原)으로, 별시위(別侍衛)를 지낸 양덕부(梁德符)의 아들.
1434~152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밀양 , 인명>문사>유학
-
양연(梁淵)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남원(南原). 양성지(梁誠之)의 손자로, 대사헌(大司憲)일 때 왕의 밀지를 받아 김안로(金安老)ㆍ채무택(蔡無擇)ㆍ허항(許沆) 등을 탄핵하여 처형시킴. 훈구파(勳舊派)의 중심인물로 사림파(士林派)를 배척함.
?~1542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남원 , 인명>관인>문신
-
양영(楊榮)
중국 명(明) 나라 혜제(惠帝)~영종(英宗) 때의 문신. 성조(成祖)의 북정(北征)에 여러 차례 참여하고, 네 황제를 섬기면서 정사를 잘 보좌하여 양우(楊寓)ㆍ양부(楊溥)와 함께 ‘삼양(三楊)’이라 일컬어짐.
1371~1440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양예수(楊禮壽)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의관(醫官). 본관은 하음(河陰). 의술(醫術)에 능하고 박학하였으며, 태의(太醫)로 《동의보감(東醫寶鑑)》 편찬에 참여함. 박세거(朴世擧)ㆍ손사명(孫士銘) 등과 함께 《의림촬요(醫林撮要)》를 저술함.
?~1597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강화 , 인명>기술인>의원
-
양오(揚烏)
중국 전한(前漢) 말의 학자인 양웅(揚雄)의 아들. 9세에 아버지 양웅과 학문을 논할 수 있을 만큼 총명했으나 요절함. 송(宋)의 소식(蘇軾)이 양오에 대한 애석함을 시로 지음.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양옥정(梁玉精)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남원(南原). 양난손(梁蘭孫)의 아들이며, 죽재(竹齋) 양철견(梁鐵堅)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남원 , 인명>문사>유학
-
양옹백(楊雍伯)
중국 전한(前漢)의 효자. 낙양(洛陽) 출신으로, 물이 귀한 무종산(無終山)에서 음료를 제공하는 선행을 쌓은 끝에 선인(仙人)에게 돌멩이를 받아 남전(藍田)에 뿌렸더니 모두 옥(玉)으로 자라났으며, 그 옥을 캐어 아름다운 아내를 얻었다 함.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기타인명>효자
-
양왕(襄王)
중국 주(周) 나라 제19대 왕. 재위 B.C.651~B.C.619. 숙부인 왕자대(王子帶)가 난리를 일으켜 정(鄭) 나라로 피했는데, 진(晉) 나라 문공(文公)이 왕자대를 죽이고 양왕을 복귀시킴.
중국>주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양용(楊勇)
중국 수(隋) 나라의 태자. 문제(文帝)의 아들로, 황태자에 봉해졌으나, 후에 양제(煬帝)가 된 아우 양광(楊廣)의 방해로 폐서인(廢庶人)이 되었으며, 문제의 병이 위독할 때 양광의 조서(詔書) 위조로 인해 사사됨.
?~604 중국>수 , 중국 , 인명>왕실>왕자
-
양우(梁祐)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남원(南原). 양준(梁俊)의 아들이며, 대방군(帶方君) 양천룡(梁天龍)의 아버지. 판도 판서(版圖判書)로 집현전 대제학(集賢殿大提學)을 겸하였으나, 고려가 망하자 벼슬을 버리고 은거함.
1306~1396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남원 , 인명>관인>문신
-
양우(楊寓)
중국 명(明) 나라 혜제(惠帝)~영종(英宗) 때의 문신. 화개전 대학사(華盖殿大學士) 등을 지내며 양부(楊溥)ㆍ양영(楊榮)과 함께 정사를 잘 보살펴 ‘삼양(三楊)’으로 일컬어짐.
1365~1444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양우룡(梁友龍)
고려 충목왕(忠穆王)~우왕(禑王) 때의 문신. 본관은 남원(南原). 집현전 대제학(集賢殿大提學) 양우(梁祐)의 아들로, 선공시 승(繕工寺丞)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남원 , 인명>관인>문신
-
양운(楊惲)
중국 전한(前漢) 선제(宣帝) 때의 문신. 사마천(司馬遷)의 외손으로, 곽씨(霍氏)의 모반(謀反)을 고변하여 열경(列卿)에 오르고 평통후(平通侯)에 봉해짐.
?~B.C.54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양웅(揚雄)
중국 전한(前漢) 말의 학자ㆍ문인. 사마상여(司馬相如)의 작품을 통하여 배운 문장력을 인정받아, 성제(成帝) 때 궁정문인의 한 사람이 됨.
B.C.53~A.D.18 중국>전한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문사>문인
-
양원(梁園)
중국 전한(前漢) 경제(景帝) 때 양효왕(梁孝王) 유무(劉武)가 하남성(河南省) 개봉현(開封縣) 동남쪽에 만든 정원. 매승(枚乘)ㆍ사마상여(司馬相如) 등 사부(辭賦)에 뛰어난 문사들을 초청하여 주연을 베풀던 곳으로 유명함.
중국>전한 , 중국 , 유적>기타유적
-
양원(楊元)
중국 명(明) 나라 신종(神宗) 때의 무신.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부총병(副總兵)으로 이여송(李如松)을 따라 참전하였으며, 정유재란(丁酉再亂) 때 남원성(南原城) 전투에서 이복남(李福男)ㆍ오응정(吳應井) 등의 군사와 연합하여 왜적과 맞서 싸움.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양원군(楊原君)
조선 제9대 성종(成宗)의 막내아들. 숙의홍씨(淑儀洪氏) 소생. 중종(中宗) 원년에 정국공신(靖國功臣)으로 옥책(玉冊)을 개정(改正)하여 원종일등훈(原從一等勳)이 사급됨.
1492~1551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왕자
-
양원정(楊元定)
중국 명(明) 나라 신종(神宗) 때의 무신.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이여송(李如松) 등과 함께 조선의 구원군(救援軍)으로 참전함. 도독첨사(都督僉事) 등을 지냈고, 정탁(鄭琢)의 《약포집(藥圃集)》에 관련 기록이 남아 있음.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양유(良柔)
일본 실정시대(室町時代)의 승려. 원래 고려의 승려였으나 젊어서 왜승(倭僧)을 따라가 일본으로 귀화함. 1376년(우왕 2) 일본에 사신 온 나흥유(羅興儒)가 위기에 몰리자 그를 도와 석방되도록 하고, 고려에 회신사(回信使)로 나옴.
일본>실정시대 , 일본 , 인명>기타인명>귀화인ㅣ인명>종교인>승려
-
양유기(養由基)
중국 춘추전국시대 초(楚) 나라 공왕(共王) 때의 대부. 활솜씨가 매우 뛰어나 백 보(步) 밖에서 버드나무 잎을 쏘아 백발백중하였다 하며, 공왕이 죽은 후 오(吳) 나라가 침략하자 용포(庸浦)에서 크게 물리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양유년(梁有年)
중국 명(明) 나라 신종(神宗) 때의 문신. 형과 도급사(刑科都給事) 등을 지냈으며, 1606년(조선 선조 39)에 주지번(朱之蕃)과 함께 황제의 원손(元孫) 탄생을 알리는 조서를 가지고 조선에 사신으로 옴. 돌아갈 때 허난설헌(許蘭雪軒)의 《난설헌집(蘭雪軒集)》을 가지고 가서 명에서 간행함.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양유예(梁有譽)
중국 명(明) 나라 세종(世宗) 때의 문신ㆍ문인. 형부 주사(刑部主事) 등을 지냈으며, 전칠자(前七子)의 복고설(復古說)을 계승하여 왕세정(王世貞)ㆍ이반룡(李攀龍) 등과 시사(詩社)를 결성하고 고문사설(古文辭說)을 제창하여 후칠자로 불림.
1520~1555 중국>명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양윤정(梁允精)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남원(南原). 삭녕 군수(朔寧郡守) 양치(梁治)의 아들로, 곡산 군수(谷山郡守) 등을 지냄.
1494~1553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남원 , 인명>관인>문신
-
양융(楊戎)
중국 당(唐) 나라의 문인. 검교 공부상서(檢校工部尙書) 양경지(楊敬之)의 아들로, 아우인 양대(楊戴)와 같은 날 함께 과거에 급제하였으며, 부자(父子) 3인이 함께 문명(文名)을 떨침.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양을나(良乙那)
탐라(耽羅) 개국설화에 나오는 전설적 신인(神人). 고을나(高乙那)ㆍ부을나(夫乙那)와 함께 한라산 기슭의 모흥혈(毛興穴)에서 솟아나왔으며, 탁라국(乇羅國)의 개국왕이 되었다 함. 우리나라 양씨(梁氏)의 도시조(都始祖).
고대 , 전라도>제주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ㅣ인명>왕실>국왕
-
양응기(梁應箕)
조선 중중(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제주(濟州). 학포(學圃) 양팽손(梁彭孫)의 장자(長子)로, 병절교위(秉節校尉)를 지냈음.
1506~?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능성 , 인명>관인>문신
-
양응덕(梁應德)
조선 중중(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제주(濟州)로, 학포(學圃) 양팽손(梁彭孫)의 아들.
1523~?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능성 , 인명>관인>문신
-
양응정(梁應鼎)
조선 중중(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문인. 본관은 제주(濟州)로, 학포(學圃) 양팽손(梁彭孫)의 아들. 시문(詩文)에 뛰어나 선조 때 팔대문장가(八大文章家)의 한 사람으로 뽑힘.
1519~1581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능성ㅣ전라도>나주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양응태(梁應台)
조선 중중(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제주(濟州). 학포(學圃) 양팽손(梁彭孫)의 둘째 아들로, 예조 참의(禮曹參議)를 지냈음.
1517~?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능성 , 인명>관인>문신
-
양응필(梁應畢)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제주(濟州)로, 학포(學圃) 양팽손(梁彭孫)의 아들. 건원릉 참봉((健元陵參奉)을 제수받았으나 출사하지 않고, 경학(經學)에 몰두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능성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양응훈(楊應勳)
중국 명(明) 나라 신종(神宗) 때의 무신.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요동광녕진수총병관(遼東廣寧鎭守總兵官)의 직책을 맡아 조선에 1차로 파병됨.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양의(梁艤)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남원(南原). 1544년(중종39) 별시(別試)에 급제하여 원주 목사(原州牧使) 등을 지냈으며, 홍섬(洪暹)의 《인재집(忍齋集)》에 만시(挽詩)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남원 , 인명>관인>문신
-
양의(楊誼)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청주(淸州)로, 십정헌(十淸軒) 김세필(金世弼)의 사위. 1531년(중종 26)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양이정(楊履正)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주희(朱熹)의 문인으로, 복건성(福建省) 천주(泉州) 사람.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양이하(梁以河)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제주(濟州). 양담(梁湛)의 아들이며, 학포(學圃) 양팽손(梁彭孫)의 아버지. 능성(綾城)에 살 때 흥학육영(興學育英)에 힘쓰고, 문자수(文自修)ㆍ민회삼(閔懷參) 등과 함께 읍규(邑規) 등을 재정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능성 , 인명>문사>유학
-
양자강(揚子江)
중국 대륙 서쪽에서 동쪽으로 중앙부를 횡단하는 중국에서 가장 긴 강. 청해성(靑海省) 서부에서 발원하여 깊은 협곡을 이루며 흘러 장강(長江)이라고도 부름.
중국 , 지명>자연지명
-
양자순(楊子淳)
조선 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동지돈녕부사(同知敦寧府事) 양후(楊厚)의 아들이며, 교리(校理)를 지낸 양면(楊沔)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양자징(梁子澂)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제주(濟州). 양산보(梁山甫)의 아들이며, 김인후(金麟厚)의 사위이자 문인(門人)으로, 석성 현감(石城縣監) 등을 지내고, 필암서원(筆巖書院)에 제향됨.
1523~1594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문신
-
양잠경험촬요(養蠶經驗撮要)
중국 원(元) 나라의 《농상집요(農桑輯要)》에서 양잠에 관한 부분을 번역한 책. 1책. 1415년(태종 15) 태종(太宗)의 명으로 우대언(右大言) 한상덕(韓尙德)이 이두로 번역하고, 경상도 관찰사 안등(安騰)이 주선하여 간행함. 가장 오래된 현존하는 우리나라의 농서.
141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문헌>서명
-
양정(兩程)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학자인 정호(程顥)와 정이(程頤) 형제를 함께 부르는 말. 송 나라 이학(理學)을 제창한 두 학자를 일컬음.
중국>송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양제(梁悌)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제주(濟州)로, 학포(學圃) 양팽손(梁彭孫)의 고조(高祖). 판서운관사(判書雲觀事)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제주 , 인명>관인>문신
-
양제(煬帝)
중국 수(隋) 나라의 제2대 황제. 재위 604~618. 문제(文帝)의 둘째 아들로 형과 아버지를 살해하고 즉위함. 만리장성을 수축하고, 고구려를 침공했다가 대패함.
569~618 중국>수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양조(楊照)
중국 명(明) 나라 세종(世宗) 때의 무신. 요동총병관(遼東總兵官) 등을 지내고, 달자(韃子)와 싸우다 전사했는데, 허봉(許篈)의 《조천기(朝天記)》에 그 전말이 자세함.
1524~1563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양주(揚州)
중국 강소성(江蘇省)의 중서부에 있는 고을 이름. 오대십국 중 오(吳) 나라의 수도였으며, 양자강(揚子江) 서쪽 기슭에 있어 수륙 교통이 편리함.
중국 , 지명>행정지명
-
양주(楊州)
경기도 중앙에 위치한 고을 이름. 조선 세조(世祖) 때 목(牧)으로 승격됨.
경기도>양주 , 지명>행정지명
-
양주(楊朱)
중국 춘추전국시대 위(魏) 나라 초기의 도가 철학자. 이기적인 쾌락설을 주장하여 맹자가 이단성(異端性)을 지적함.
B.C.440~B.C.360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양주(襄州)
강원도 양양(襄陽) 일대에 속하는 옛 고을 이름.
강원도>양양 , 지명>자연지명
-
양주사(凉州詞)
중국 당(唐) 나라 중종(中宗)~현종(玄宗) 때의 시인인 왕한(王瀚)의 시. 악부(樂府) 곡명으로 전쟁에 나간 군인들의 고통과 변경을 지키는 사람들의 고생을 노래하였으며, 명(明) 나라의 왕세정(王世貞)이 극찬함.
중국>당 , 중국 , 문헌>작품명
-
양주조씨(楊州趙氏)
고려시대의 호장(戶長)인 조잠(趙岑)을 시조로 하는 성씨.
한국>고려시대 , 경기도>양주 , 인명>집단>성씨
-
양준(梁遵)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제주(濟州). 양석재(梁碩材)ㆍ양동재(梁棟材) 형제의 아버지로, 좌부승지(左副承旨)를 지냄.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제주 , 인명>관인>문신
-
양준(楊浚)
조선 성종(成宗) 때의 학자. 점필재(佔畢齋) 김종직(金宗直)의 문인(門人).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학자
-
양준(楊駿)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무제(武帝)의 장인이며, 무도양황후(武悼楊皇后)의 아버지. 무제가 죽고 혜제(惠帝)가 즉위하자, 국정을 도맡아서 자기의 친당(親黨)만을 등용하여 정권을 전횡하다가, 가후(賈后)에게 미움을 받아 삼족(三族)이 멸하게 됨.
?~291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인척
-
양중(羊仲)
중국 전한(前漢)의 은사(隱士). 장후(蔣詡)가 두릉(杜陵)에 은거할 때, 집 앞 대나무밭 사이로 외부와 통하는 세 갈래의 오솔길을 만들어 놓고, 오직 양중ㆍ구중(求仲) 두 사람과 교류하였다고 함.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기타인명>은자
-
양즙(楊楫)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학자. 주희(朱熹)의 문인으로, 강서운판(江西運判) 등을 지냄. 양방(楊方)ㆍ양간(楊簡)과 함께 삼양(三楊)으로 불림. 저서에 《열당문집(悅堂文集)》이 있음.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양지(陽智)
경기도 중남부에 위치했던 고을 이름. 현재 경기도 용인시(龍仁市) 일대를 가리키며, 조선 태종(太宗) 때 치소를 광주(廣州) 추계향(秋溪鄕)에 두고 충청도에서 경기도로 이관함.
경기도>양지ㅣ경기도>광주 , 지명>행정지명
-
양지손(梁芝孫)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남원(南原)으로, 1483년(성종 14) 춘당대시(春塘臺試)에 급제하여 예조 참의(禮曹參議)를 지냄. 정수강(丁壽崗)의 《월헌집(月軒集)》에 차운시(次韻詩)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남원 , 인명>관인>문신
-
양진(楊震)
중국 후한(後漢) 안제(安帝) 때의 문신. 아들 양병(楊秉), 손자 양사(楊賜), 증손자 양표(楊彪) 등 4세(世)에 걸쳐 태위(太尉)가 배출된 집안으로 유명함.
54~124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양찬(梁瓚)
조선 세조(世祖)~연산군(燕山君) 때의 무신. 본관은 남원(南原). 공조 판서(工曹判書)를 지낸 양구주(梁九疇)의 손자이며, 남원군(南原君) 양성지(梁誠之)의 아들. 동부승지(同副承旨)ㆍ영해 부사(寧海府使) 등을 지냄.
1443~1496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남원 , 인명>관인>무신
-
양찬(梁讚)
고려 원종(元宗)~충숙왕(忠肅王) 때의 문신. 본관은 제주(濟州)로, 학포(學圃) 양팽손(梁彭孫)의 8대조. 한림원 학사(翰林院學士)를 거쳐 좌부 상서(左部尙書)ㆍ찬성사(贊成事)에 오름.
1253~1317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제주 , 인명>관인>문신
-
양천(陽川)
경기 서남부에 위치한 고을 이름. 현재의 서울시 양천구(陽川區) 가양동(加陽洞) 일대를 말하며, 개화산(開花山)에는 봉수(烽燧)가 있었음.
경기도>양천 , 지명>행정지명
-
양천룡(梁天龍)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조(太祖) 때의 문신. 본관은 남원(南原)으로, 집현전 대제학(集賢殿大提學) 양우(梁祐)의 아들. 공양왕 때 문하시중(門下侍中)에 올랐으나, 고려의 국운이 기울자 남원에 은거함.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전라도>남원 , 인명>기타인명>효자ㅣ인명>관인>문신
-
양천허씨(陽川許氏)
고려 태조(太祖) 때 공암촌주(孔巖村主)를 받은 허선문(許宣文)을 시조로 하는 성씨. 원래 수로왕(首露王)의 후예이나, 이때 이르러 양천을 관향(貫鄕)으로 삼음.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양천 , 인명>집단>성씨
-
양철견(梁鐵堅)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남원(南原). 수의부위(修義副尉) 양옥정(梁玉精)의 아들로, 1515년(중종 10) 알성시(謁聖試)에 급제하여 현감(縣監)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문신
-
양촌집(陽村集)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ㆍ학자인 권근(權近)의 시문집. 40권 10책. 목판본. 초간본은 세종(世宗) 초년에 아들 권도(權蹈)가 편찬하였으나 간행자와 간행연대는 불분명함. 〈응제시(應制詩)〉ㆍ〈동국사략론(東國史略論)〉ㆍ〈동현사략(東賢事略)〉 등이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양충(梁沖)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남원(南原). 양희부(梁希傅)의 아버지로, 돈용교위(敦勇校尉)에 이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남원 , 인명>관인>무신
-
양충(楊忠)
중국 남북조시대 서위(西魏)와 북주(北周)의 장군. 12대장군(十二大將軍)의 한 사람이며, 수(隋) 나라 문제(文帝)의 아버지로, 무원황제(武元皇帝)로 추존됨.
507~568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서애(徐愛)
중국 명(明) 나라의 문신ㆍ학자. 왕수인(王守仁)의 매부(妹夫)로, 남경공부낭중(南京工部郞中) 등을 지내고, 《전습록(傳習錄)》을 편찬함.
1487~1517 중국>명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서애집(西厓集)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인 유성룡(柳成龍)의 문집. 1633년(인조 11) 합천 군수(陜川郡守)로 있던 아들 유진(柳袗)이 해인사(海印寺)에서 판각, 인쇄하여 원집(原集) 20권, 별집(別集) 4권의 목판본으로 간행함.
1633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합천 , 문헌>서명
-
서엄(徐崦)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이황(李滉)의 문인(門人)으로, 박학다식하고 문장에 능하였으며, 성균관 사예(成均館司藝) 등을 역임함.
1529~157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대구 , 인명>관인>문신
-
서연강의(書筵講義)
조선 인조(仁祖) 때의 문신인 이정귀(李廷龜)가 지은 책. 《서경(書經)》ㆍ《논어(論語)》ㆍ《맹자(孟子)》 등의 일부 구절에 대해 세자에게 강의한 내용으로 이루어짐. 1권.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서예원(徐禮元)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무신. 본관은 이천(利川). 김해 부사(金海府使)를 지내고 진주 목사(晉州牧使)로 있다가 왜적(倭敵)이 침입(侵入)하여 성(城)이 함락되면서 순절(殉節)함.
?~1593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이천 , 인명>관인>무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