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서오릉(西五陵)
경기도 고양시(高陽市) 용두동(龍頭洞)에 있는 경릉(敬陵)ㆍ창릉(昌陵)ㆍ익릉(翼陵)ㆍ명릉(明陵)ㆍ홍릉(弘陵)의 다섯 능(陵).
한국>조선시대 , 경기도>고양 , 유적>시설>능묘
-
서왕모(西王母)
중국 고대 전설상의 선녀. 《산해경(山海經)》에서는 곤륜산(崑崙山)에 사는, 사람 얼굴에 표범 꼬리와 호랑이 이빨을 가진 신인(神人)이라고 하였으나, 일반적으로 불사약(不死藥)을 가지고 있는 선녀로 전해짐.
고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서우(徐祐)
중국 명(明) 나라의 유학. 우리 나라에 표류해 왔는데 김인후(金麟厚)가 그에 관해 지은 시가 《하서집(河西集)》에 실려 있음.
중국>명 , 중국 , 인명>문사>유학
-
서우량(徐友諒)
조선 전기의 유학. 노수신(盧守愼)과 친분이 있어, 민성(閔誠)과 함께 자(字)를 지어줄 것을 청함. 노수신이 보낸 시들이 《소재집(穌齋集)》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서원(徐遠)
고려 충목왕(忠穆王)~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본관은 이천(利川). 판한성부사(判漢城府事) 서선(徐選)의 아버지로, 죽주(竹州)의 수령을 지냄.
1311~1372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이천 , 인명>관인>문신
-
서원빙(徐元聘)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주희(朱熹)의 어릴 적 친구로, 그와 이동기이(理同氣異)에 관해 논변함.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서위(西魏)
중국 남북조시대(南北朝時代)에 선비족(鮮卑族) 출신의 우문태(宇文泰)가 북위(北魏)의 종실을 받들어 세운 왕조. 3대 22년간 존속.
535~556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시간>국명
-
서유(徐愈)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이방원(李芳遠)이 왕위에 오르는 데 기여한 공으로 태종 때에 익대좌명공신(翊戴佐命功臣)에 책록됨.
1356~1411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이천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서유체(徐庾體)
중국 남북조시대 양(梁) 나라의 동궁(東宮)에서 관직을 맡았던 유견오(庾肩吾)ㆍ유신(庾信) 부자와 서추(徐推)ㆍ서능(徐陵) 부자가 즐겨 짓던 화려한 궁체시(宮體詩)의 문체.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사상>기법>방법
-
서은집(西隱集)
중국 명(明) 나라 태조(太祖) 때의 문신ㆍ학자인 송눌(宋訥)의 문집. 상해령(上海令) 왕숭지(王崇之)에 의해 편찬됨. 10권.
중국>명 , 중국 , 문헌>서명
-
서읍령(西泣嶺)
경상도 영해(寧海)의 동쪽 40리 지점에 있는 고개 이름. 고을의 입구였으나 사신의 행차가 처음으로 고개를 넘을 때 흉사가 일어난다는 속설이 있자, 경상 감사(慶尙監事) 손순효(孫舜孝)가 그 괴이함을 깨뜨리고자 파괴현(破怪峴)이라고 고침.
경상도>영해 , 지명>자연지명
-
서응(徐凝)
중국 당(唐) 나라의 시인. 백거이(白居易)ㆍ한유(韓愈)와 교유하였으며, 그의 시(詩) 〈여산폭포(廬山瀑布)〉가 백거이의 작품으로 잘못 알려져 악평을 받는 곤욕을 치름.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서응기(徐應麒)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당성(唐城). 화담(花潭) 서경덕(徐敬德)의 아들로, 장례원 사의(掌隸院司議)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관인>문신
-
서응회(徐應會)
조선 전기의 유학. 권호문(權好文)이 지은 〈차기서동년(次寄徐同年)〉이라는 시가 《송암집(松巖集)》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서의(徐誼)
중국 송(宋) 효종(孝宗)~영종(寧宗) 때의 문신. 보모각 대제(寶謨閣待制) 등을 지냈으며, 지임안부사(知臨安府事)로 있을 때 조여우(趙汝愚)가 정승에서 파직되자 항론(抗論)하여 유임하게 함.
1144~1208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서의(書儀)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학자인 사마광(司馬光)이 지은 예서(禮書). 10권. 고례(古禮)에 근본하고 당시에 행할 만한 것을 참작하여 만든 책으로, 주희(朱熹)가 지은 《가례(家禮)》의 저본(底本)이 됨.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서익(徐益)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문장과 도덕 등이 뛰어나 이이(李珥)ㆍ정철(鄭澈)로부터 지우(志友)로 인정받았으며, 의주 목사(義州牧使)를 지낼 때 탄핵당한 이이를 변호하다가 파직됨.
1542~1587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익산 , 인명>관인>문신
-
서인원(徐仁元)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이천(利川). 진주 목사(晉州牧使) 서예원(徐禮元)의 형으로, 학행(學行)이 빼어나고 강원도 관찰사(江原道觀察使) 등을 지냄.
1544~? 한국>조선후기 , 강원도>춘천 , 인명>관인>문신
-
서일관(徐一貫)
중국 명(明) 나라의 무신.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사용재(謝用梓)와 함께 왜군(倭軍)에 파견되어, 잡혀 있던 왕자 임해군(臨海君)ㆍ순화군(順和君) 등과 함께 돌아옴.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서자적(徐自適)
조선 전기의 유학. 모재(慕齋) 김안국(金安國)이 기묘사화(己卯士禍)로 파직된 후 명승지를 유람할 때 종유(從遊)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서자통(徐自通)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군수(郡守) 등을 지냈으며, 김안국(金安國)의 《모재집(慕齋集)》에 그에게 보낸 시(詩)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관인>문신
-
서적(徐積)
중국 송(宋) 나라 영종(英宗)~철종(哲宗) 때의 문신ㆍ학자. 안정(安定) 호원(胡瑗)의 제자로, 선덕랑(宣德郞) 등을 지냄. 지극한 효성으로 유명하였으며, 저서에 《절효집(節孝集)》 등이 있음.
1028~1103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서정(徐靖)
고려 문종(文宗)~선종(宣宗) 때의 문신. 본관은 이천(利川). 판장작감사(判將作監事) 서균(徐鈞)의 아버지로, 상서좌복야(尙書左僕射)에 이름.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이천 , 인명>관인>문신
-
서정경(徐禎卿)
중국 명(明) 나라 효종(孝宗)~무종(武宗) 때의 문인. 한위(漢魏)와 성당(盛唐)의 시풍을 이어 고아(古雅)한 풍격의 시를 지음. 명 나라 전칠자(前七子) 중의 한 사람.
1479~1511 중국>명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서정기(西征記)
중국 송(宋) 나라 철종(哲宗) 때의 문인인 노양(盧襄)이 지은 책. 1권. 노양(盧襄)이 춘시(春試)에 임했을 때의 기행문(紀行文)으로, 시가(詩歌)와 사(詞) 등이 실려 있음.
1100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서정록(西征錄)@김기종
조선 후기의 문신인 김기종(金起宗)이 인조(仁祖) 때 일어난 이괄(李适)의 난(亂)의 평정(平定) 과정을 기록한 책.
1624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서정록(西征錄)@이순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ㆍ학자인 이순(李純)이 편찬한 역사서. 1432년(세종 14)에서 1437년까지 조선의 서북쪽 국경 압록강(鴨綠江) 유역의 대 여진(對女眞) 관계 사실(史實)을 연대순으로 기록함.
1516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서존(徐存)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구산(龜山) 양시(楊時)의 제자로, 벼슬하지 않고 은거하며 경학(經學)을 가르쳤는데, 따르는 학도(學徒)가 천여 명이었다고 함.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서주(徐州)
중국 강소성(江蘇省) 북서부에 있는 도시. 《서경(書經)》 〈우공(禹貢〉에서 열거한 구주(九州)의 하나로, 초(楚) 나라의 항우(項羽)가 도읍했던 곳이며, 군사상ㆍ교통상의 요지(要地)임.
중국 , 지명>행정지명
-
서중행(徐中行)
중국 명(明) 나라 세종(世宗)~신종(神宗) 때의 문신ㆍ문인. 복건 부사(福建副使)ㆍ강서 포정사(江西布政使)를 지냈으며, 전칠자(前七子)의 복고설(復古說)을 계승하여 왕세정(王世貞)ㆍ이반룡(李攀龍) 등과 시사(詩社)를 결성하고 고문사설(古文辭說)을 제창하여 후칠자로 불림.
1517~1578 중국>명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서지(徐祉)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宗中) 때의 문신. 공조 판서(工曹判書)ㆍ함경도 관찰사(咸鏡道觀察使)를 역임하였으며, 김안로(金安老)가 처형될 때 함께 사사됨.
1468~1537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이천 , 인명>관인>문신
-
서천(舒川)
충청남도 남서부에 있는 고을 이름. 지금의 서천군(舒川郡)은 조선시대의 서천ㆍ한산(韓山)ㆍ비인(庇仁)의 세 고을이 합하여 이루어짐.
충청도>서천 , 지명>행정지명
-
서천왕(西川王)
고구려의 제13대 왕. 재위 270~292. 중천왕(中川王)의 둘째 아들로, 숙신(肅愼)이 침략하자 격퇴하고 단로성(檀盧城) 등 여러 성을 빼앗았으며, 동생 일우(逸友)ㆍ소발(素勃) 등이 반란을 도모하자 주살함.
?~292 한국>고구려 , 인명>왕실>국왕
-
서천집(西川集)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인 어세겸(魚世謙)의 문집.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서초(西楚)
중국 진(秦) 나라 말에 항우(項羽)가 세운 나라. B.C.206년에 항우가 진(秦)의 마지막 왕인 자영(子嬰)을 죽인 후 스스로 서초패왕(西楚霸王)이 되어 팽성(彭城)에 도읍하였으나, 몇 개월 만에 유방(劉邦)의 한(漢) 나라에게 망함.
B.C.206 중국>전한 , 중국 , 시간>국명
-
서초리(瑞草里)
서울 서초(瑞草)에 있던 옛 고을 이름. 조선 태조(太祖) 때 왕씨(王氏)들의 집단 거주지로 삼았던 지역으로, 조선 말까지 경기도 과천(果川)에 속하였음.
경기도>과천 , 지명>행정지명
-
서추(徐推)
중국 남북조시대 양(梁) 나라의 문신ㆍ시인. 동궁(東宮)에서 관직을 함께 했던 아들 서능(徐陵), 유견오(庾肩吾)ㆍ유신(庾信) 부자와 함께 화려한 궁체시(宮體詩)를 즐겨 지어 서유체(徐庾體)라 칭해짐.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서취병산(西翠屛山)
경상북도 안동(安東)에 있는 산 이름. 도산(陶山)의 오른쪽에 있는 영지산(靈芝山)의 지류이며, 도산 왼쪽에는 청량산(淸涼山)의 지류인 동취병산(東翠屛山)이 있음.
경상도>안동 , 지명>자연지명
-
서치(徐穉)
중국 후한(後漢) 환제(桓帝) 때의 고사(高士). 예장 태수(豫章太守) 진번(陳蕃)이 빈객을 접대하는 일이 없었으나, 오직 그를 위해 하나의 의자를 마련하여 그가 오면 내어놓고 떠난 후에 다시 걸어두었다는 고사로 유명함.
97~168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기타인명>은자
-
서태수(徐台壽)
조선 전기의 유학. 김인후(金麟厚)의 문인으로, 김인후(金麟厚)가 지은 〈증서대로(贈徐大老)〉라는 시가 《하서전집(河西全集)》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서태원(徐兌元)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남해 훈도(南海訓導)를 지냈으며, 자암(自菴) 김구(金絿)가 기묘사화(己卯士禍)로 남해(南海)에 유배되었을 때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남해 , 인명>관인>문신
-
서파집(西坡集)@황호
중국 송(宋) 나라 광종(光宗) 때의 문신인 황호(黃灝)의 문집.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서파집(西坡集)@오도일
조선 숙종(肅宗) 때의 학자인 오도일(吳道一)의 문집. 30권 15책. 활자본. 영조(英祖) 때 아들 오수엽(吳遂燁)이 편차하여 간행함.
1729 한국>조선후기 , 평안도>영유 , 문헌>서명
-
서팽소(徐彭召)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사가정(四佳亭) 서거정(徐居正)의 조카로, 1476년(성종 7)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고 승문원 참교(承文院參校)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대구 , 인명>관인>문신
-
서포기문(西浦記聞)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인 박동선(朴東善)이 지은 책.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서포만필(西浦漫筆)
조선 숙종(肅宗) 때의 문신인 김만중(金萬重)이 지은 수필집. 중국의 제자백가(諸子百家)의 학설 가운데 의문되는 대목을 해명하고 신라 이후 조선시대에 이르는 명시(名詩)들을 비평함.
한국>조선후기 , 평안도>선천 , 문헌>서명
-
서포집(西浦集)@곽열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인 곽열(郭說)의 문집. 8대손 곽창연(郭昌黙)이 1900년(광무 4)에 7권 4책 목활자본으로 간행함.
1900 한국>근대 , 문헌>서명
-
서포집(西浦集)@김만중
조선 숙종(肅宗) 때의 문신인 김만중(金萬重)의 문집. 1702년(숙종 28) 의성 현령(義城縣令)으로 있던 아들 김진화(金鎭華)가 10권 2책 목판으로 간행함.
1702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의성 , 문헌>서명
-
서필원(徐必遠)
조선 효종(孝宗)~현종(顯宗) 때의 문신. 본관은 부여(扶餘). 김집(金集)ㆍ정홍명(鄭弘溟)의 문인으로, 강화 유수(江華留守) 등을 지냄.
1614~1671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서하당(棲霞堂)
조선 명종(明宗) 때 김성원(金成遠)이 전라도 창평(昌平)에 건립한 정자. 1560년(명종 15)에 식영정(息影亭)의 북쪽에 건립하고 자신의 호(號)를 따서 명명함. 현재 담양(潭陽)에 속함.
1560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창평 , 유적>건물>누정
-
서하당유고(棲霞堂遺稿)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인 김성원(金成遠)의 문집. 1876년(고종 13) 후손 김홍헌(金洪獻)이 간행함. 이 책의 발견으로 〈성산별곡(星山別曲)〉의 제작연대가 밝혀짐.
1876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서하집(西河集)
고려 명종(明宗) 때의 문인인 임춘(林椿)의 문집. 1222년(고종 9) 최우(崔瑀)가 서경(西京)의 제학원(諸學院)에서 목판(木板)으로 간행함.
1222 한국>고려후기 , 평안도>평양 , 문헌>서명
-
서한남(徐漢男)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이천(利川). 판사(判事) 서극일(徐克一)의 아들이며 유학 서상남(徐尙男)의 동생.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상주 , 인명>문사>유학
-
서할(徐劼)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남평(南平). 십성당(十省堂) 엄흔(嚴昕)의 동서(同壻)이며, 제봉(霽峯) 고경명(高敬命)의 족숙(族叔).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남평 , 인명>문사>유학
-
서해(徐嶰)
조선 명종(明宗) 때의 유학. 퇴계(退溪) 이황(李滉)의 문인(門人)으로, 학문과 덕망이 높았으나 젊은 나이에 죽음.
1537~1559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서형(書衡)
중국 송(宋) 나라 광종(光宗) 때의 문신ㆍ학자인 정교(鄭僑)가 지은 책. 3편(篇).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서형산성(西兄山城)
경상북도 경주(慶州) 서쪽에 위치한 산성. 593년(진평왕 15) 개축하였으며, 673년(문무왕 13)에 증축함. 성의 원래 둘레가 2000여 보(步)로, 서라벌을 지키는 주요산성 중 하나.
593 한국>신라 , 경상도>경주 , 유적>시설>성,진,책
-
서호(徐皡)
조선 문종(文宗)~단종(端宗) 때의 문신. 김자수(金自粹)의 문인(門人)으로, 박흥생(朴興生)ㆍ박연(朴堧) 등과 교유하였으며, 문종 때 등용되어 단종 때 충청도 경차관(忠淸道敬差官)이 되었으나, 왕위가 찬탈당하자 향리에 은거함.
?~1458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공주 , 인명>관인>문신
-
서호(徐虎)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이천(利川). 동래 부사(東萊府使) 서경천(徐慶千)의 아버지로, 만호(萬戶)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이천 , 인명>관인>무신
-
서환(徐煥)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주희(朱熹)의 문인(門人)으로, 주희와 편지를 주고받으며 학문을 논함.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서후(徐厚)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달성(達城). 학문이 뛰어나 조광조(趙光祖)와 함께 사유(師儒)에 뽑히기도 하였으나 조광조를 비판하여 사림(士林)의 원망을 받음. 군무(軍務)에 큰 관심을 기울임.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서흥(瑞興)
황해도 중북부에 있는 고을 이름. 교통상의 요지이며, 고려 원종(元宗) 때 임금의 태(胎)를 이곳에 묻음.
황해도>서흥 , 지명>행정지명
-
석^노(釋^老)
인도(印度)에서 활동한 불교(佛敎)의 창시자인 석가(釋迦)와 중국 춘추전국시대의 철학자이자 도교(道敎)의 창시자인 노자(老子)를 함께 부르는 말. 흔히 불교와 도교를 가리키며, 유교적 관점에서는 대표적인 이단(異端)을 뜻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기타지역ㅣ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석가(釋迦)
B.C.6~B.C.4세기경 인도(印度)에서 활동한 불교의 창시자. 정반왕(淨飯王)의 아들로, 29세에 출가하여 6년 동안의 고행 끝에 깨달음을 얻은 후 인도 각지를 다니며 포교 활동을 함.
B.C.563?~B.C.483? 고대 , 기타지역 , 인명>기타인명>성현ㅣ인명>왕실>왕자
-
석가산(石假山)
정원 등을 꾸미기 위해 돌과 흙을 쌓아 인공적으로 만든 산 모양의 조경물(造景物). 도교의 신선(神仙) 사상에 근거를 두며, 우리나라에는 삼국시대부터 본격적으로 수용됨.
유적>시설>기타시설
-
석간대(石磵臺)
경상북도 안동(安東)의 낙동강 가에 있는 언덕 이름. 이황(李滉)이 제자 이정(李楨)과 작별하면서 읊은 당시(唐詩)가 바위에 새겨져 있음.
경상도>안동 , 지명>자연지명
-
석개(石介)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학자. 부모상을 당하여 조래산(徂徠山)에서 농사를 짓고, 후에 국자감 직장(國子監直長) 등을 지냄. 《괴설중국론(怪說中國論)》을 지어 불가(佛家)와 노가(老家)의 설을 비판함.
1003~1043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석건(石建)
중국 한(漢) 경제(景帝)~무제(武帝) 때의 문신. 만석군(萬石君) 석분(石奮)의 맏아들로, 낭중령(郞中令) 등을 지냈으며, 효성이 지극하여 석분이 죽은 뒤 애통해하다가 1년여 만에 죽음.
?~B.C.123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석곡집(石谷集)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인인 성팽년(成彭年)의 문집. 1804년(순조 4)에 구연서원(龜淵書院)에서 간행됨. 2권 2책.
1804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음 , 문헌>서명
-
석골사(石骨寺)
경상남도 밀양(密陽) 운문산(雲門山)에 위치한 사찰. 560년(진흥왕 12) 비허(備虛)가 창건함. 또는 773년(혜공왕 9) 법조(法照)가 창건했다고도 함. 고려 건국에 도움을 주어 고려시대에 크게 발전함.
560 한국>신라 , 경상도>밀양 , 유적>건물>사찰
-
석굉(釋宏)
고려 후기의 승려. 대숭은복원사(大崇恩福元寺) 제1대 주지인 해원(海圓)의 스승.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김제 , 인명>종교인>승려
-
석담(石潭)
황해도 해주(海州) 중앙부에 있는 명승지. 경치가 매우 뛰어나며, 이이(李珥)가 이곳을 배경으로 〈고산구곡가(高山九曲歌)〉를 지은 이후로 더욱 유명해짐. 지금의 황해남도 벽성군(碧城郡)에 속함.
황해도>해주 , 지명>자연지명
-
석담야사(石潭野史)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인 민기(閔箕)가 지은 책.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석담일기(石潭日記)
조선 전기의 문신ㆍ학자 이이(李珥)가 명종(明宗)~선조(宣祖) 연간 17년 간의 중요한 시사(時事)를 일기체(日記體) 형식으로 기록한 책.
1565~1581 한국>조선전기 , 서울 , 문헌>서명
-
석당유고(石堂遺稿)
조선 정조(正祖) 때의 문신인 김상정(金相定)의 문집. 아들 김기응(金箕應)이 1804년(순조 4) 6권 3책 목판으로 발간함.
1804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석돈(石𡼖)
중국 송(宋) 나라 고종(高宗) 때의 문신ㆍ학자. 주희(朱熹)와 종유(從遊)하며 이학(理學)을 공부하였으며, 지남강군사(知南康軍事) 등을 지냄.
1128~1182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석동서원(石洞書院)
중국 송(宋) 나라 고종(高宗) 때 절강성(浙江省)의 곽택진(郭宅鎭) 석동촌(石洞村)에 건립한 서원. 학자 요로(饒魯)가 강학하던 곳임.
1148 중국>송 , 중국 , 유적>건물>서원,향교
-
석루유고(石樓遺稿)
조선 인조(仁祖) 때의 문신인 이경전(李慶全)의 문집. 1659년(효종 10) 담양 부사(潭陽府使)로 있던 아들 이무(李袤)가 4권 4책의 목판으로 간행함.
1659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담양 , 문헌>서명
-
석린(石隣)
고려 의종(毅宗)~명종(明宗) 때의 무신. 정중부(鄭仲夫)의 난 때 이의방(李義方)에게 가담하고, 조위총(趙位寵)의 난에 공을 세워 상장군(上將軍)이 됨. 1187년 조원정(曺元正)과 함께 반란을 일으켰으나 실패하고 죽임을 당함.
?~1187 한국>고려후기 , 인명>관인>무신
-
석림시화(石林詩話)
중국 송(宋) 나라 고종(高宗) 때의 문신ㆍ학자인 섭몽득(葉夢得)이 지은 시화집. 1권.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석마봉(石馬峯)
강원도 금강산(金剛山)에 있는 봉우리 이름. 유몽인(柳夢寅)의 《어우집(於于集)》에 실려 있는 〈증장안사주지현수서(贈長安寺住持玄修序)〉에 나옴.
강원도>통천ㅣ강원도>고성 , 지명>자연지명
-
석목(析木)
별자리 분야(分野)인 십이성차(十二星次)의 하나. 십이진(十二辰)에 있어서는 동쪽인 인(寅), 이십팔수(二十八宿)에 있어서는 미수(尾宿)와 기수(箕宿)에 해당함. 우리나라는 중국의 연(燕) 나라 즉 유주(幽州)와 함께 이 위치에 해당함.
자연물>천체
-
석문집(石門集)
조선 영조(英祖) 때의 문신인 윤봉오(尹鳳五)의 문집.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석병집(石屛集)
중국 송(宋) 나라 이종(理宗) 때의 시인인 대복고(戴復古)의 문집. 6권.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석분(石奮)
중국 한(漢) 고조(高祖)~경제(景帝) 때의 대부. 관직이 구경(九卿)에 이르렀으며, 그와 네 아들이 모두 현달(顯達)하여 받는 녹이 1만 석이나 되었으므로 만석군(萬石君)이라 일컬어짐.
?~B.C.124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석사론(釋私論)
중국 삼국시대 위(魏) 나라의 문신ㆍ시인인 혜강(嵆康)이 지은 산문. 공변됨을 숭상하고 세속적인 것을 배격하며, 사사로움을 누르고 주인을 섬겨야 함을 역설함.
중국>삼국시대 , 중국 , 문헌>서명
-
석성(石星)
중국 명(明) 나라 신종(神宗) 때의 문신. 병부 상서(兵部尙書)로서 임진왜란 때 신점(申點)의 간청으로 원군을 조선에 파병하였고, 심유경(沈惟敬)과 화의를 적극 지지했다가 화의의 실패로 체포되어 옥사함.
?~1597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석수탄(石首灘)
충청남도 공주(公州)에 있는 금강(錦江) 상류의 여울 이름. 고려의 정언(正言) 이존오(李存吾)가 관직에서 물러난 후 거주한 곳임.
충청도>공주 , 지명>자연지명
-
석숭(石崇)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부호(富豪). 형주 자사(荊州刺史) 등을 지냈으나, 팔왕(八王)의 난(亂) 때 조왕(趙王) 사마륜(司馬倫)에게 살해됨.
249~300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석실서원(石室書院)
조선 효종(孝宗) 때 경기도 양주(楊州)에 건립한 서원. 1663년(현종 4)에 사액되었으며, 김상용(金尙容)ㆍ김상헌(金尙憲)ㆍ김수항(金壽恒)ㆍ민정중(閔鼎重)ㆍ이단상(李端相)ㆍ김창협(金昌協) 등을 배향함. 현재 경기도 남양주에 속함.
1656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양주 , 유적>건물>서원,향교
-
석실소은집(石室小隱集)
중국 송(宋) 나라의 은자인 육유지(陸維之)가 지은 책. 30권.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석여언(席汝言)
중국 송(宋) 나라 신종(神宗) 때의 문신. 1082년 77세 되던 해에 사마광(司馬光)ㆍ부필(富弼)ㆍ문언박(文彦博) 등과 함께 낙양 기영회(洛陽耆英會)를 조직하여 시를 읊음.
1006~?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석연년(石延年)
중국 송(宋) 진종(眞宗) 때의 문신ㆍ문인. 기상과 절개에 심취하여 세상사에 등한하였으며, 문필이 강건하고 시에 능하여 소순흠(蘇舜欽)ㆍ매요신(梅堯臣) 등과 함께 이름을 떨침.
994~1041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석응봉(石鷹峯)
강원도 금강산(金剛山)에 있는 봉우리 이름. 양대박(梁大樸)의 《청계집(靑溪集)》, 이정귀(李廷龜)의《월사집(月沙集)》, 노경임(盧景任)의 《경암집(敬菴集)》 등에 있는 금강산(金剛山) 기행문에 나옴.
강원도>통천ㅣ강원도>고성 , 지명>자연지명
-
석인(釋印)
조선 전기의 승려. 서거정(徐居正)의 《사가집(四佳集)》에 그에 대해 쓴 시(詩)의 서(序)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종교인>승려
-
석전삼성(石田三成)
일본 도산시대(桃山時代)의 장군.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서울 점령 소식을 들은 풍신수길(豊臣秀吉)이 명(明) 나라의 후원을 염려하여 파견한 소위 '삼봉행(三奉行)' 중의 한 사람.
1560~1600 일본>도산시대 , 일본 , 인명>관인>무신
-
석전유고(石田遺稿)
조선 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인인 성로(成輅)의 문집. 2권.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석주집(石洲集)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인인 권필(權韠)의 문집. 1632년(인조 10) 전주 부윤(全州府尹)으로 있던 홍보(洪𩇉)에 의해 간행됨.
1632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문헌>서명
-
석죽화(石竹花)
패랭이꽃. 바위에서 자란 대나무 꽃이란 의미로, 어떤 장사(壯士)가 석령(石靈)을 물리치기 위해 바위에 쏜 화살이 이 꽃으로 피어났다는 전설이 있음. 6~8월에 진분홍색 꽃이 가지 끝에 하나씩 피고 열매는 삭과(蒴果)를 맺음. 《동문선(東文選)》에 실린 정습명(鄭襲明)의 시가 유명함.
자연물>식물
-
석천시집(石川詩集)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인 임억령(林億齡)의 시집. 7권. 1572년(선조 5)에 제주 목사(濟州牧使) 소흡(蘇潝)이 제주에서 간행함. 1678년(숙종 4)에 김수항(金壽恒)에 의해 중간됨.
1572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제주 , 문헌>서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