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석천정사(石泉精舍)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인 권동보(權東輔)가 경상도 봉화(奉化)에 건립한 정자.
153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봉화 , 유적>건물>누정
-
석탄집(石灘集)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인 이존오(李存吾)의 시문집. 2권 1책. 목판본. 10대손 이유경(李裕慶)이 유고를 수집, 편차하여 당제(堂弟) 이행철(李行喆)ㆍ이행백(李行百)의 도움을 받아 1726년(영조 2) 울진(蔚珍)에서 간행함.
1726 한국>조선후기 , 강원도>울진 , 문헌>서명
-
석허중(石虛中)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ㆍ학자인 김일손(金馹孫)이 붓을 의인화하여 지은 〈관처사묘지명(管處士墓誌銘)〉에 나오는 벼루의 의인화된 명칭.
한국>조선전기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석현(石顯)
중국 전한(前漢) 선제(宣帝)~원제(元帝) 때의 환관. 선제 때 환관의 전횡을 막아 제도를 개혁하려고 했던 소망지(蕭望之)를 홍공(弘恭)과 함께 참소하여 죽게 하고, 원제 때에는 정사 일체를 위임받아 전횡을 일삼음.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관인>환관
-
석호집(石浩集)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시인인 범성대(范成大)의 문집. 중흥사대시인(中興四大詩人)으로 일컬어진 범성대의 시문이 수록됨.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석홍경(石洪慶)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주희(朱熹)의 문인(門人)으로, 성품이 강직(剛直)하고 방정(方正)하였음.
?~1196?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선(蟬)
매미. 옛날 제(齊) 나라의 왕후가 억울하게 죽은 뒤에 매미로 변해서 궁정 앞의 나무에 올라 애달프게 울었다는 전설에서 기인하여, 후비(后妃)나 궁녀(宮女)의 비원(悲怨)을 상징함. 이규보(李奎報)가 지은 〈영선(詠蟬)〉이 《동국이상국집(東國李相國集)》에 실려 있음.
자연물>동물
-
선^정(宣^靖)
조선 제9대 성종(成宗)의 능호(陵號)인 선릉(宣陵)과 제11대 중종(中宗)의 능호인 정릉(靖陵)을 함께 부르는 말.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사상>술어>관용어
-
선각암(禪覺菴)
경기도 과천(果川) 관악산(冠嶽山)에 있던 암자. 고려 후기의 승려 징천(澄泉)이 거주했으며, 목은(牧隱) 이색(李穡)의 시에 보임.
경기도>과천 , 유적>건물>사찰
-
선감(宣鑑)
중국 당(唐) 나라의 선승(禪僧). 용담(龍潭) 숭신(崇信)의 제자.《금강경(金剛經)》에 정통하였으며 엄격한 수행으로 유명함. 제자를 가르칠 때 몽둥이를 잘 썼으므로 ‘임제(臨濟)의 할(喝)’이라는 말이 생김.
782~865 중국>당 , 중국 , 인명>종교인>승려
-
선강대왕(宣康大王)
통일신라 제44대 민애왕(閔哀王)의 아버지. 민애왕 즉위 후 선강대왕(宣康大王)에 봉해짐. 상대등(上大等)을 지냄.
?~835 한국>통일신라 , 경상도>경주 , 인명>왕실>종친ㅣ인명>왕실>국왕
-
선거이(宣居怡)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무신. 본관은 보성(寶城). 도사(都事)를 지낸 선상(宣祥)의 아들로, 이순신(李舜臣)과 녹둔도(鹿屯島)에서 여진족(女眞族)을 막아 공을 세웠고, 임진왜란(壬辰倭亂) 때도 이순신과 함께 해전(海戰)에서 큰 공을 세움.
1550~1598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보성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선공(宣公)@춘추전국(陳)
중국 춘추전국시대 진(陳) 나라의 왕. 재위 B.C.692~B.C.648. 환공(桓公)의 아들이자 장공(莊公)의 아우이며 목공(穆公)의 아버지. 총희(寵姬)가 낳은 아들 관(款)을 왕으로 세우기 위해 태자(太子)인 어구(禦寇)를 죽임.
?~B.C.648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선공(宣公)@춘추전국(衛)
중국 춘추전국시대 위(衛) 나라 제후. 재위 B.C.718~B.C.700. 장공(莊公)의 아들이며 혜공(惠公)의 아버지. 며느리를 부인으로 삼았으며, 이것을 비난한 내용이 《시경(詩經)》 〈국풍(國風)〉 중 패풍(邶風)에 나오는 ‘신대(新臺)’라는 시가에 실려 있음.
?~B.C.700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선공(宣公)@춘추전국(노)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제후. 재위 B.C.608~B.C.591. 문공(文公)의 아들. 아내는 목강(繆姜).
?~B.C.591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선덕여왕(善德女王)
신라 제27대 왕. 재위 632~647. 진평왕(眞平王)의 딸. 선정(善政)을 베풀어 민생을 보살피고 당(唐) 나라의 문화와 불법(佛法)을 수입하였으며, 분황사(芬皇寺)ㆍ첨성대(瞻星臺)ㆍ황룡사구층목탑(皇龍寺九層木塔) 등을 건립함.
?~647 한국>신라 , 경상도>경주 , 인명>왕실>국왕
-
선덕왕(宣德王)
신라 제37대 국왕. 재위 780~785. 내물마립간(奈勿麻立干)의 10세손으로 해찬(海飡) 김효방(金孝芳)의 아들. 혜공왕(惠恭王) 때 김지정(金志貞)의 난을 진압하고 즉위하였으며, 어룡성(御龍省)을 개편하고 패강진(浿江鎭)을 개척함.
?~785 한국>통일신라 , 경상도>경주 , 인명>왕실>국왕
-
선림승보전(禪林僧寶傳)
중국 송(宋) 나라의 승려 혜홍(惠洪)의 저서. 30권. 당(唐)ㆍ송 나라 때 임제종(臨濟宗) 황룡파(黃龍派)에서 활약한 선사(禪師)들의 깨달음의 역사를 기록한 선종사서(禪宗史書).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선목공(單穆公)
중국 주(周) 경왕(景王) 때의 현대부(賢大夫). 선자(單子) 또는 선기(單旗)라고도 함.
중국>주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선무공신(宣武功臣)
조선 선조(宣祖) 37년에, 임진왜란 때 공을 세웠거나 명(明) 나라에 병량주청사신(兵糧奏請使臣)으로 가서 공을 세운 사람에게 내린 훈호(勳號). 세 등급으로 분류하여 이순신(李舜臣)ㆍ권율(權慄)ㆍ원균(元均) 등 총 18인에게 내림.
1604 한국>조선후기 , 법제>제도
-
선무영황후(宣武靈皇后)
중국 남북조시대 북위(北魏) 선무제(宣武帝)의 황후. 아들 효명제(孝明帝)를 독살하고 세 살인 원소(元釗)를 황제로 세운 뒤 섭정하였으나, 후에 계호(契胡)의 추장 이주영(爾朱榮)에 의해 원소와 함께 황하(黃河)에 수장됨.
?~528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왕비
-
선무제(宣武帝)
중국 남북조시대 북위(北魏)의 제7대 황제. 재위 499~515. 제6대 효문제(孝文帝)의 아들로 재위 기간 동안 정치가 부패하고 조정의 기강이 문란해짐.
483~515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선문강요(禪門綱要)
고려 고종(高宗) 때의 승려인 혜심(惠諶)의 저서. 1권. 《선문염송집(禪門拈頌集)》등의 기타 저술과 함께 전함.
한국>고려후기 , 문헌>서명
-
선문염송집(禪門拈頌集)
고려 고종(高宗) 때의 승려 혜심(慧諶)이 선림(禪林)의 고화(古話) 1125칙(則)과 선사(禪師)들의 염송(拈頌)을 모아 수록한 책. 목판본. 30권 10책. 1636년(인조 14) 전라도 보성(寶城)의 대원사(大原寺)에서 간행함.
1636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보성 , 문헌>서명
-
선복(善福)
조선 전기의 의녀. 대궐에서 명을 받고 나와 홍섬(洪暹)의 조모를 진찰한 일이 홍섬의 《인재집(忍齋集)》 〈가정록(家庭錄)〉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기술인>의원
-
선산(善山)
경상북도 구미(龜尾) 지역에 있던 고을 이름. 금오산(金烏山)과 천생산(天生山) 등이 병풍처럼 싸안고 있고, 낙동강(洛東江)이 가로지르고 있음.
경상도>선산 , 지명>행정지명
-
선산고분(善山古墳)
경상도 선산(善山)의 광범위한 지역에 분포하고 있는 가야시대(伽耶時代) 고분군(古墳群). 약 3세기~7세기 중반 경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되며, 환두대도(環頭大刀)ㆍ철도자(鐵刀子) 등의 유물이 출토됨.
한국>가야 , 경상도>선산 , 유적>시설>능묘
-
선산김씨(善山金氏)
신라 문성왕(文聖王)의 후손으로 고려 태조(太祖)를 도와 공을 세운 김선궁(金宣弓)을 시조로 하는 계통과, 신라 경순왕(敬順王)의 여덟째 아들인 김추(金錘)를 시조로 하는 계통을 아울러 이르는 성씨.
한국>고려전기 , 경상도>선산 , 인명>집단>성씨
-
선산임씨(善山林氏)
중국 당(唐) 나라 때 한림학사(翰林學士)로 동래(東來)한 임팔급(林八及)을 도시조(都始祖)로 삼고, 신라 말 재상을 지낸 임양저(林良貯)를 중시조(中始祖)로 하는 성씨.
한국>통일신라 , 경상도>선산 , 인명>집단>성씨
-
선상(宣祥)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보성(寶城). 선조(宣祖) 때의 무신 선거이(宣居怡)의 아버지로, 도사(都事)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보성 , 인명>관인>문신
-
선상진(宣尙進)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보성(寶城). 중종(中宗) 때의 생원 선우윤(宣遇贇)의 아버지로, 통례문 통찬(通禮門通贊)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보성 , 인명>관인>문신
-
선석사(禪石寺)
통일신라 효소왕(孝昭王) 때 경상도 성주(星州) 선석산(禪石山)에 창건한 사찰. 692년(효소왕 1) 의상대사(義湘大師)가 신광사(神光寺)라는 이름으로 창건하였으며, 고려 말 혜근(惠勤)이 선석사로 이름을 고침.
692 한국>통일신라 , 경상도>성주 , 유적>건물>사찰
-
선석산(禪石山)
경상북도 성주(星州)에 있는 서진산(棲鎭山)의 옛 이름. 세종대왕(世宗大王)의 아들인 수양(首陽)ㆍ안평(安平)ㆍ금성(錦城)대군 등 18명 왕자들의 태실(胎室)과 단종(端宗)의 태실이 있음.
경상도>성주 , 지명>자연지명
-
선성군(宣城君)
조선 전기의 종친. 정종(定宗)의 넷째 서자로, 숙의(淑儀) 지씨(池氏) 소생. 계유정난(癸酉靖難) 이후 스스로 관직에서 물러나 사람들과의 관계를 끊고 한가롭게 살다가 일생을 마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왕자
-
선시중(宣時中)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보성(寶城). 예문관 직제학(藝文館直提學)을 지낸 박희중(朴熙中)의 맏아들 박휘생(朴暉生)을 사위로 삼음.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보성 , 인명>문사>유학
-
선암(仙巖)
충청북도 단양(端陽)에 있는 암벽 이름. 단양팔경(丹陽八景)의 하나.
충청도>단양 , 지명>자연지명
-
선암사(仙巖寺)
통일신라 헌강왕(憲康王) 때 전라도 순천(順天) 조계산(曹溪山)에 창건한 사찰. 신라 875년(헌강왕 1)에 도선(道詵)이 창건했다고 함. 고려 1088년(선종 5)에 의천(義天)이 중창함. 선암사 승선교(仙巖寺昇仙橋) 등 다수의 유물이 있음.
875 한국>통일신라 , 전라도>순천 , 유적>건물>사찰
-
선암집(仙庵集)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인 선암(仙庵) 유창(劉敞)의 문집.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선왕(宣王)@춘추전국(제)
중국 춘추전국시대 제(齊) 나라의 제후. 재위 B.C.342~B.C.324. 학술과 문화의 융성에 힘썼고, 인문(人文) 애호자로 많은 자유사상가를 보호하여 ‘직하(稷下)의 학사’가 수천 명에 달함.
?~B.C.301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선왕(宣王)@주
중국 주(周) 나라 제11대 왕. 재위 B.C.827~B.C.782. 여왕(厲王)이 쫓겨난 지 10여 년 후에 즉위함. 선대 여러 왕의 유업을 계승하여 제후들로부터 추대를 받고 중흥의 시기를 누리기도 하였으나, 만년에 정치를 게을리하여 국운이 쇠함.
?~B.C.782 중국>주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선우신(鮮于侁)
중국 송(宋) 나라 인종(仁宗)~철종(哲宗) 때의 문신. 절동 전운사(浙東轉運使)로 떠날 때, 사마광(司馬光)이 동쪽 지역의 폐해를 구제하는 것은 선우신이 아니면 불가능하니 그야말로 일로(一路)의 복성(福星)이라고 말한 고사가 있음.
1019~1087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선우윤(宣遇贇)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보성(寶城). 통례문 통찬(通禮門通贊) 선상진(宣尙進)의 아들로, 1513년(중종 8)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보성 , 인명>문사>유학
-
선우추(鮮于樞)
중국 원(元) 나라의 문신ㆍ서예가. 태상시 전부(太常寺典簿) 등을 지냈으며, 시문(詩文)과 서화(書畫)에 뛰어났는데, 특히 초서(草書)에 능하였음.
1246~1302 중국>원 , 중국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선유정(仙遊亭)
조선 전기에 경상도 안동(安東)에 건립된 정자. 학봉(鶴峯) 김성일(金誠一)의 아버지인 김진(金璡)이 약산(藥山)의 암동(巖洞)에 지은 것으로, 김성일 형제가 이곳에서 공부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유적>건물>누정
-
선윤지(宣允祉)
고려 우왕(禑王)~공양왕(恭讓王) 때의 문신. 중국 명(明) 나라 문연각 학사(文淵閣學士)를 지내다 고려에 귀화하여 보성선씨(寶城宣氏)의 시조가 되었으며, 조선 개국 후 은거함.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전라도>보성 , 인명>기타인명>귀화인ㅣ인명>관인>문신
-
선인사(仙人祠)
중국 사천성(四川省) 청성현(靑城縣)의 명학산(鳴鶴山)에 있던 포교 사당.
중국 , 유적>건물>사당
-
선인황후(宣仁皇后)
중국 송(宋) 나라 제5대 황제 영종(英宗)의 황후. 신종(神宗) 때에 황태후가 되었고, 철종(哲宗) 때에 태황태후가 되어서 조정의 실권을 장악하여 사마광(司馬光)을 재상으로 삼고 왕안석(王安石)을 배척하는 정책을 폄.
1032~1093 중국>송 , 중국 , 인명>왕실>왕비
-
선정달(宣廷達)
조선 명종(明宗) 때의 유학. 본관은 보성(寶城)으로, 죽천(竹川) 박광전(朴光前)의 문인(門人). 1564년(명종 19)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1537~?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보성 , 인명>문사>유학
-
선제(宣帝)@남북조(북주)
중국 남북조시대 북주(北周)의 제4대 황제. 재위 578~579. 무제(武帝)의 맏아들이며 정제(靜帝)의 아버지. 포악하고 황음무도(荒淫無道)하여 국력의 쇠퇴를 초래함.
559~580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선제(宣帝)@전한
중국 한(漢) 나라 제9대 황제. 재위 B.C.74~B.C.49. 상평창(常平倉)을 설치하여 빈민구제를 도모하고, 대외적으로는 흉노(匈奴)를 격파하였음.
B.C.91~B.C.49 중국>전한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선제(宣帝)@남북조(晉)
중국 삼국시대 위(魏) 나라의 장군이며, 서진(西晉)의 추존 황제. 조조(曹操)에게 등용된 후 촉(蜀) 나라 제갈량(諸葛亮)의 북벌을 막고 공손연(公孫淵)을 요동(遼東)에서 토벌하는 등 공을 세웠으며, 진(晉) 나라 건국 후 황제로 추존됨.
179~251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무신ㅣ인명>왕실>국왕
-
선제(宣帝)@남북조(陳)
중국 남북조시대 진(陳) 나라의 제4대 황제. 재위 568~582. 후주(後主)의 아버지.
?~582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선조(宣祖)@송
중국 송(宋) 나라의 추존왕. 태조(太祖) 조광윤(趙匡胤)의 아버지로, 오대십국(五代十國) 때 왕경숭(王景崇)의 반란을 평정하고 검교사도(檢校司徒) 등을 지냈으며, 송 나라 초에 추존됨.
중국>오대십국 , 중국 , 인명>관인>무신ㅣ인명>왕실>국왕
-
선조(宣祖)@조선
조선 제14대 왕. 재위 1567~1608. 중종(中宗)의 손자이며, 덕흥대원군(德興大院君)의 셋째 아들. 초기에는 이황(李滉)ㆍ이이(李珥) 등 많은 인재를 등용하여 국정 쇄신에 노력하였으나, 재위 기간의 대부분을 치열한 당쟁(黨爭)과 전란(戰亂) 속에서 보냄.
1552~160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국왕
-
선조실록(宣祖實錄)
조선 선조(宣祖)의 재위(在位) 41년간의 실록(實錄). 활자본. 221권. 1616년(광해군 8)에 기자헌(奇自獻) 등이 편찬하고 실록청(實錄廳)에서 간행함.
1616 한국>조선후기 , 서울 , 문헌>서명
-
선종(宣宗)@당
중국 당(唐) 나라 제16대 황제. 재위 846~859. 제11대 헌종(憲宗)의 열네 번째 아들로, 환관 마원지(馬元贄) 등에 의해 황태숙(皇太叔)으로 옹립된 후 즉위하였으며, 토번(吐藩)에 빼앗겼던 영토를 회복하는 등 ‘작은 태종(小太宗)’으로 일컬어짐.
810~859 중국>당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선종(宣宗)@명
중국 명(明) 나라 제5대 황제. 재위 1425~1435. 재위 기간 중 과거법(科擧法)을 고치고 군제(軍制)와 학제(學制)를 개혁하는 등 내치(內治)에 힘씀.
1398~1435 중국>명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선종(宣宗)@고려
고려 제13대 왕. 재위 1083~1094. 문종(文宗)의 둘째 아들. 불교를 장려하여 승과(僧科)를 설치하고, 많은 사탑(寺塔)을 건립함.
1049~1094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선종(禪宗)
불교 종파의 가운데 참선수행을 중시하는 종파. 이심전심(以心傳心)ㆍ불립문자(不立文字)를 종지(宗旨)로 삼음. 우리나라에는 신라말에 들어와 고려시대 주요한 종파였으나, 조선시대 억불정책으로 1424년(세종 6)에 조계종(曹溪宗)ㆍ천태종(天台宗)ㆍ총남종(摠南宗)을 합쳐 선종이라고 부름.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사상>이론>교리
-
선종영가집언해(禪宗永嘉集諺解)
조선 세조(世祖) 때 중국 당(唐) 나라 영가대사(永嘉大師)의 《선종영가집(禪宗永嘉集)》을 언해한 책. 상하 2권. 세조가 직접 구결(口訣)을 달고, 승려 신미(信眉)와 효령대군(孝寧大君) 등이 번역하여 간경도감(刊經都監)에서 간행함.
146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문헌>서명
-
선죽교(善竹橋)
경기도 개성(開城) 선죽동(善竹洞)에 있는 돌다리 이름. 고려 태조(太祖) 때 축조된 것으로 추정되며, 고려 말에 정몽주(鄭夢周)가 이방원(李芳遠)이 보낸 조영규(趙英珪) 등에 의해 피살된 장소로 유명함.
919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개성 , 유적>시설>기타시설
-
선천(宣川)
평안북도 서남 해안에 있는 고을 이름. 고려 태조(太祖) 이후 북방의 요충지 중 하나로 강동육주(江東六州) 중 통주(通州)에 해당됨.
평안도>선천 , 지명>행정지명
-
선춘령(先春嶺)
함경도 두만강(豆滿江)의 북쪽 칠백 리 지점에 있는 고개. 1107년(예종 2)에 윤관(尹瓘)이 여진족(女眞族)을 내쫓고 9성(城)을 쌓은 뒤 이곳에 ‘고려지경(高麗之境)이라는 경계비(境界碑)를 세움.
함경도>회령 , 지명>자연지명
-
선형(宣炯)
조선 문종(文宗)~성종(成宗) 때의 무신. 본관은 보성(寶城). 이시애(李施愛)의 난(亂) 때 공을 세워 적개공신(敵愾功臣)에 책록되고 성종 때 좌리공신(佐理功臣)에 책록되었으며, 야인(野人) 정벌에 공을 세움.
1434~1479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보성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설(契)
중국 은(殷) 나라의 시조로 전해지는 전설상의 인물. 우(禹)의 치수(治水)를 도운 공으로 상(商)에 봉해지고, 자씨(子氏) 성을 하사받음.
고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설거(薛據)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제자백가에서 추려 뽑아 《공자집어(孔子集語)》를 만들고, 또 고금을 통하여 국가의 정치ㆍ경제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는 것들을 추려서 《택규성감(宅揆成鑑)》을 만들어 조정에 올림.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설거백(薛居伯)
신라 개국공신(開國功臣) 6부 촌장 중 한 사람. 경주(慶州)를 본관으로 하는 순창설씨(淳昌薛氏)의 시조. 신라 516년(법흥왕 3)에 무신공(武信公)으로 시호되고 무열왕(武烈王) 때 장무왕(壯武王)에 추봉됨.
한국>신라 , 경상도>경주 , 인명>기타인명>공신
-
설거정(薛居正)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칙명을 받들어 924년(태조 7)에 후량(後梁)ㆍ후당(後唐)ㆍ후진(後晉)ㆍ후한(後漢)ㆍ후주(後周) 등 다섯 왕조에 대한 사적을 기록한 《구오대사(舊五代史)》를 완성함.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설거주(薛居州)
중국 춘추전국시대 송(宋) 나라의 선사(善士). 송 나라의 대불승(戴不勝)이 왕을 바른길로 인도하고자 그를 왕의 측근에 둠.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설경수(偰慶壽)
고려 말~조선 초의 문신ㆍ귀화인. 본관은 경주(慶州). 원래 회골(回鶻) 사람으로, 고려 때 아버지인 설손(偰孫)을 따라 귀화함. 송설체(松雪體)에 뛰어났음.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기타인명>귀화인ㅣ인명>관인>문신
-
설계선(薛季宣)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심성의 수양보다는 국가정책, 국방, 재정, 민생의 안정 등 사회ㆍ정치적 문제를 주요 관심의 대상으로 하는 사공파(事功派)의 학자로서 《서고문훈(書古文訓)》을 저술함.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설계조(薛繼祖)
조선 세조(世祖) 때의 무신. 상주 목사(尙州牧使)를 지낸 설순조(薛順祖)의 형. 세조의 즉위를 도운 공으로 정난공신(靖難功臣)에 책록되었으며, 안주 목사(安州牧使)ㆍ경상우도 수군 도안무처치사(慶尙右道水軍都安撫處置使) 등을 지냄.
?~1467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순창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설계창(薛季昶)
중국 당(唐) 나라의 문신. 측천무후(則天武后)의 잔당인 무삼사(武三思)를 죽일 것을 상서(上書)하였으며, 호부 시랑(戶部侍郞) 등을 역임함.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설곡집(雪谷集)
고려 후기의 문신인 정포(鄭誧)의 문집. 아들 정추(鄭樞)가 전후 2권으로 편집하고, 1376년(우왕 2) 안동 도호부사(安東都護府使)인 이방한(李邦翰)이 2권 1책의 목판으로 간행함.
1376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안동 , 문헌>서명
-
설공검(薛公儉)
고려 원종(元宗)~충렬왕(忠烈王) 때의 문신. 본관은 순창(淳昌). 정승(政丞)을 지낸 설지충(薛之沖)의 아버지로, 첨의 중찬(僉議中贊) 등을 역임함.
1224~1302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순창 , 인명>관인>문신
-
설공달(薛公達)
중국 당(唐) 나라 덕종(德宗)~헌종(憲宗) 때의 문신. 한유(韓愈)에게 인정을 받고 맹교(孟郊)와 교유하였으며, 국자 조교(國子助教)를 지냄. 죽은 후 한유가 묘지(墓誌)를 지음.
?~809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설공찬전(薛公贊傳)
조선 중종(中宗) 때 채수(蔡壽)가 지은 고전소설. 귀신 또는 저승을 주요 소재로 활용하여 당대의 정치와 사회 및 유교이념의 한계를 비판함.
1511 한국>조선전기 , 문헌>작품명
-
설교집(雪窖集)
조선 선조(宣祖)~효종(孝宗) 때의 문신인 김상헌(金尙憲)의 시문집. 저자가 1640년(인조 18)에 중국 심양(瀋陽)으로 가서 5년에 걸쳐 구류되어 있는 동안 지은 시문을 모아 놓은 것으로, 그의 문집인 《청음집(淸陰集)》에 실려 있음.
1654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설도(薛濤)
중국 당(唐) 나라의 기생ㆍ여류시인. 본래 양가집 태생이나 집안의 몰락으로 기녀(妓女)가 됨. 음률(音律)과 시사(詩詞)에 뛰어났으며, 양질의 종이를 사용하여 명사들과 시를 주고받아 설도전(薛濤牋)이란 용어가 생겨남.
중국>당 , 중국 , 인명>기술인>기생ㅣ인명>문사>문인
-
설도전(薛濤牋)
중국 당(唐) 나라의 종이. 기생 설도(薛濤)가 만년에 은거해서 심홍색 양질의 종이를 만들게 하여 그것을 이용하여 촉(蜀)의 명사들과 시를 증답(贈答)함.
중국>당 , 중국 , 물품>기타물품
-
설두송고(雪竇頌古)
중국 송(宋) 나라의 승려 중현(重顯)이 옛 조사(祖師)들이 남긴 언행 중 후세에 귀감이 될 만한 고칙(古則)을 100가지로 정리하고 거기에 송(頌)을 붙인 것. 이후 선종(禪宗) 내에서 가장 많이 읽히는 선서(禪書)인 《벽암록(碧巖錄)》의 모체가 됨.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설두칠부집(雪竇七部集)
중국 송(宋) 나라의 승려인 중현(重顯)의 시문집. 시문에 뛰어났던 저자의 시문이 수록되어 있음.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설류(泄柳)
중국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 노(魯) 나라의 유학. 목공(繆公)이 그의 어짐을 듣고 찾아가 보려 했으나 문을 닫고 들이지 않았으므로, 맹자가 단간목(段干木)과 함께 너무 심하다고 지적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설매(雪梅)
조선 전기의 승려. 송인(宋寅)의 《이암유고(頤庵遺稿)》에 그에 관한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종교인>승려
-
설문청집(薛文淸集)
중국 명(明) 나라의 문신 설선(薛瑄)의 저서. 학자이며 시를 잘 지었던 저자의 시문이 수록되어 있음.
중국>명 , 중국 , 문헌>서명
-
설문해자(說文解字)
중국 후한(後漢)의 학자인 허신(許愼)이 지은 중국 최초의 자서(字書). 소전(小篆) 9,353자와 고문(古文)ㆍ주문(籒文) 등 1,063자를 540부로 분류하여 육서(六書)의 의의(意義)를 추구함. 30권.
중국>후한 , 중국 , 문헌>서명
-
설미수(偰眉壽)
고려 우왕(禑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ㆍ귀화인. 원래 회골(回鶻) 사람으로, 고려 때 귀화하여 검교우참찬(檢校右參贊) 등을 지냄. 중국어에 능통하여 명(明) 나라에 여러 번 사신 가서 외교적 성과를 거둠.
1359~1415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기타인명>귀화인ㅣ인명>관인>문신
-
설복수(偰福壽)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 귀화한 경주설씨(慶州偰氏)의 시조인 설손(偰孫)의 둘째 아들로, 벼슬이 추재(樞宰)에 이름.
한국>고려후기 , 중국ㅣ경상도>경주 , 인명>기타인명>귀화인ㅣ인명>관인>문신
-
설봉(雪峯)@고려
고려 말 조선 초의 승려. 우가(右街)에 소속되어 있었으며, 운곡(耘谷) 원천석(元天錫)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인명>종교인>승려
-
설봉(雪峯)@조선
조선 전기의 승려. 서거정(徐居正)의 《사가시집(四佳詩集)》에 그에게 보낸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종교인>승려
-
설봉서원(雪峰書院)
조선 명종(明宗) 때 경기도 이천(利川)에 건립한 서원. 이천 부사(利川府使) 정현(鄭礥)이 1564년(명종 9)에 건립하였으며, 김안국(金安國)ㆍ이관의(李寬義) 등을 배향함.
1564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이천 , 유적>건물>서원,향교
-
설사(偰斯)
중국 원(元) 말~명(明) 초의 문신. 원 나라에서 벼슬하다가 명 태조(太祖) 주원장(朱元璋)에게 귀부하였으며, 일찍이 부보랑(符寶郞)으로 고려에 사신 와서 공민왕(恭愍王)을 책봉하고 인(印)과 금단(錦段)을 전달함.
중국>명ㅣ중국>원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설선(薛瑄)
중국 명(明) 나라의 문신ㆍ학자. 정주학파(程朱學派)의 이학(理學)을 계승하였으며, 이부우시랑(吏部右侍郞) 겸 한림학사(翰林學士) 등을 역임함. 저서에 《설문청집(薛文淸集)》이 있음.
1389~1464 중국>명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설손(偰孫)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ㆍ시인ㆍ귀화인. 원래 회골(回鶻)사람으로 원(元) 나라에서 벼슬하다가 고려에 귀화하여 경주설씨(慶州偰氏)의 시조가 됨. 고려 대표시인의 한 사람.
?~1360 한국>고려후기 , 중국ㅣ경상도>경주 , 인명>기타인명>귀화인ㅣ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설순(偰循)
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경주(慶州). 설경수(偰慶壽)의 아들로, 1431년(세종 13)에 왕명으로 《삼강행실도(三綱行實圖)》를 편수했으며, 저서에 윤회(尹淮)와 함께 저술한 《자치통감훈의(資治通鑑訓義)》가 있음. 동지중추원사(同知中樞院事) 등을 지냄.
?~143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설순빙리(雪筍冰鯉)
중국 삼국시대 오(吳) 나라의 맹종(孟宗)이 눈 속에서 죽순(竹筍)을 구한 일과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왕상(王祥)이 얼음을 녹여 잉어를 얻은 일에서 나온 고사성어로, 지극한 효성을 뜻함.
중국>남북조시대ㅣ중국>삼국시대 , 중국 , 사상>술어>고사성어
-
설순조(薛順祖)
조선 세조(世祖) 때의 무신. 세조의 즉위를 도운 공으로 좌익원종공신(佐翼原從功臣)에 책록되었으며, 상주 목사(尙州牧使)ㆍ성주 목사(星州牧使)ㆍ김해 부사(金海府使)ㆍ 등을 지냄.
1427~?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순창 , 인명>관인>무신ㅣ인명>기타인명>공신
-
설악산(雪嶽山)
강원도 양양(襄陽)ㆍ인제(麟蹄)ㆍ속초(束草)에 걸쳐 있는 산 이름.
강원도>인제ㅣ강원도>양양 , 지명>자연지명
-
설암영자팔법(雪庵永字八法)
중국 원(元) 나라의 승려ㆍ서예가 이부광(李溥光)이 지은 서법서. 서법을 익히는 데에는 먼저 '영자팔법(永字八法)'을 기초로 삼고, 여기에 배울 만한 24가지 서법을 더하여 총 32가지 서법을 익혀야 함을 설명함.
중국>원 , 중국 , 문헌>서명
-
설암자요(雪庵字要)
중국 원(元) 나라의 승려ㆍ서예가인 이부광(李溥光)이 지은 서법서. 1권.《설암대자서법(雪庵大字書法)》과 함께 해서(楷書) 대자(大字)에 능한 이부광의 서법의 요체가 수록되어 있음.
중국>원 , 중국 , 문헌>서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