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설암집첩(雪庵集帖)
중국 원(元) 나라의 승려ㆍ서예가인 이부광(李溥光)의 서첩.
중국>원 , 중국 , 문헌>서명
-
설앙(薛昂)
중국 송(宋) 나라 철종(哲宗)~휘종(徽宗) 때의 문신. 문하시랑(門下侍郞)ㆍ자정전 대학사(資政殿大學士) 등을 지냈으며, 왕안석(王安石)과 교유함.
?~1134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설연수(偰延壽)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 귀화한 경주설씨(慶州偰氏)의 시조인 설손(偰孫)의 셋째 아들로, 벼슬이 추재(樞宰)에 이름.
한국>고려후기 , 중국ㅣ경상도>경주 , 인명>기타인명>귀화인ㅣ인명>관인>문신
-
설옥(雪玉)
조선 전기의 승려. 시에 뛰어나 그의 시축(詩軸)에 제봉(霽峯) 고경명(高敬命)이 이름을 짓고 시를 지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종교인>승려
-
설우(雪牛)
고려 후기의 승려. 나옹(懶翁) 혜근(惠勤)의 제자로, 이색(李穡)의 《목은문고(牧隱文稿)》에 그에 대해 쓴 〈설우설(雪牛說)〉이 실려 있음
한국>고려후기 , 인명>종교인>승려
-
설원(說苑)
중국 전한(前漢)의 학자인 유향(劉向)이 편집한 설화집. 〈군도(君道)〉ㆍ〈신술(臣術)〉등 20편(編)으로 구성됨. 고대의 제후ㆍ선현들의 행적이나 일화ㆍ우화 등을 수록하여 위정자를 설득하기 위한 훈계 독본으로 이용함.
중국>전한 , 중국 , 문헌>서명
-
설원록(雪寃錄)
고려 말 충신인 차원부(車原頫)의 유작(遺作)과 비운(悲運)의 일대기를 기록한 책. 박팽년(朴彭年)의 기문(記文)과 하위지(河緯地)의 서문(序文)이 있음.
1851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설월당집(雪月堂集)
조선 선조(宣祖) 때의 학자인 김부륜(金富倫)의 시문집. 6권 3책의 석인본(石印本). 7대손 김시찬(金是瓚) 등이 정조(正祖) 연간에 수집한 원고를 10대손 김제면(金濟冕) 등이 개정(改正)하여 1940년 안동(安東)에서 간행함.
1940 한국>근대 , 경상도>안동 , 문헌>서명
-
설융(薛戎)
중국 당(唐) 나라 덕종(德宗)~헌종(憲宗) 때의 문신ㆍ문인. 구주(衢州)ㆍ호주(湖州)ㆍ상주(常州)의 자사(刺史)를 거쳐 절동 관찰사(浙東觀察使) 등을 지냄. 사후에 한유(韓愈)가 묘지(墓誌)를 짓고, 원진(元稹)이 신도비를 씀.
747~821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설의(雪衣)
조선 전기의 승려. 이이(李珥)의 《율곡전서(栗谷全書)》에 〈증산인설의(贈山人雪衣)〉라는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종교인>승려
-
설인귀(薛仁貴)
중국 당(唐) 나라의 장군. 658년 고구려 원정에 나섰다가 횡산(橫山)에서 패했으며, 남생(男生)이 당 나라에 원병을 청하자 좌무위장군(左武衛將軍)으로 다시 고구려를 침략하여 고구려 멸망 후 검교안동도호(檢校安東都護)가 됨.
614~683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설장수(偰長壽)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정종(定宗) 때의 문신ㆍ귀화인. 원래 회골(回鶻) 사람으로 고려에 귀화한 후 공양왕(恭讓王) 옹립에 공을 세움. 정몽주(鄭夢周) 일당으로 몰려 유배되었다가 조선 개국 후 복직되어 여러 차례 중국에 사신으로 다녀옴.
1341~1399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중국ㅣ경상도>경주 , 인명>기타인명>귀화인ㅣ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설정총(薛廷寵)
중국 명(明) 나라의 문신. 1539년(중종 34) 조선에 사신으로 왔으며, 이때 모화관(慕華館) 앞의 영조문(迎詔門)을 영은문(迎恩門)으로 개칭하게 함.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설지충(薛之冲)
고려 충렬왕(忠烈王) 때의 문신. 본관은 순창(淳昌). 설공검(薛公儉)의 아들. 독로화(禿魯花)로서 원(元) 나라에 다녀왔으며, 첨의찬성사(僉議贊成事) 등을 역임함.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순창 , 인명>관인>문신
-
설직(薛稷)
중국 당(唐) 나라 중종(中宗)~현종(玄宗) 때의 문신ㆍ문인ㆍ화가. 태자소보(太子少保) 등을 역임하였으며, 두회정(竇懷貞)의 사건에 연루되어 사사됨. 시(詩)ㆍ서(書)ㆍ화(畫)에 모두 능하여 명성을 떨침.
649~713 중국>당 , 중국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설청(雪淸)
조선 후기의 승려. 홍섬(洪暹)ㆍ정유길(鄭惟吉)ㆍ홍가신(洪可臣) 등 당시 문인들의 문집에 그를 읊은 시가 다수 나옴.
한국>조선후기 , 인명>종교인>승려
-
설총(薛聰)
통일신라 신문왕(神文王)~경덕왕(景德王) 때의 학자. 원효대사(元曉大師)의 아들. 신라십현(新羅十賢)의 한 사람이며, 강수(强首)ㆍ최치원(崔致遠)과 함께 신라삼문장(新羅三文章)의 한 사람으로 꼽힘. 이두(吏讀)를 집대성했으며, 〈화왕계(花王戒)〉를 지음.
655~? 한국>통일신라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ㅣ인명>문사>학자
-
설한(薛漢)
중국 후한(後漢)의 학자. 《시경(詩經)》을 깊이 연구하여 장안(長安)에서 강학했는데, 경백(敬伯)ㆍ두무(杜橅) 등이 그에게서 배움.
중국>후한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설한령(雪寒嶺)
평안도 강계(江界)와 함경도 장진(長津)의 경계에 있는 고개. 개마고원(蓋馬高原) 지역과 자강고원(慈江高原) 지역을 잇는 주요한 교통요지임.
함경도>삼수ㅣ평안도>강계 , 지명>자연지명
-
설홍윤(薛弘允)
조선 전기의 유학. 김인후(金麟厚)의 《하서전집(河西全集)》에 실려 있는 〈증장보(贈張甫)〉라는 시에 나옴.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설훈(薛纁)
조선 전기 유학. 본관은 순창(淳昌). 참판(參判)에 추증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순창 , 인명>문사>유학
-
섬진강(蟾津江)
전라도 진안(鎭安)에서 발원하여 동부지역을 남류(南流)하고, 경상도 하동(河東)을 지나 남해로 흘러드는 강 이름.
전라도>진안ㅣ경상도>하동 , 지명>자연지명
-
섭몽득(葉夢得)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학자. 지복주 겸 복건안무사(知福州兼福建安撫使) 등을 역임하고, 평생 학문을 연구하였으며, 특히 사(詞)에 뛰어나 여러 저술을 남김.
1077~1148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섭미도(葉味道)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학자. 주희(朱熹)의 문인(門人)으로, 저작 좌랑(著作佐郞) 등을 지내고, 주희의 어류(語類)를 모아 편찬함.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섭적(葉適)
중국 송(宋) 나라 효종(孝宗)~영종(寧宗) 때의 문신ㆍ학자. 정백웅(鄭伯熊)의 문인으로, 영가학파(永嘉學派)의 대표적 인물. 송대 성리학의 공담(空談)에 반대하고 도(道)는 개개의 사물과 분리될 수 없음을 주장함. 저서에 《섭적집(葉適集)》이 있음.
1150~1223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섭정(聶政)
중국 춘추전국시대 한(韓) 나라의 자객. 한경(韓卿) 엄수(嚴遂)가 정승 협루(俠累)를 죽이려고 섭정을 매수하였으나 모친이 계신 이유로 허락하지 않았다가, 모친이 죽은 뒤에 엄수를 위해 협루를 죽이고 자살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섭채(葉采)
중국 송(宋) 이종(理宗) 때의 문신. 건양(建陽) 출신으로 1241년에 진사시에 합격하여 경헌부 교수(景獻府敎授)ㆍ한림학사 겸 시강(翰林學士兼侍講) 등을 역임하였고, 명도(明道)와 주자(朱子)의 설을 모아 《근사록집해(近思錄集解)》를 남김.
?~1260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성^소(成^昭)
중국 주(周) 나라 제2대 성왕(成王)과 한(漢) 나라 제8대 소제(昭帝)를 함께 부르는 말. 둘 다 어린 나이에 즉위하였으나 각각 주공(周公)과 곽광(霍光)의 보필을 받아 성세(盛世)를 이룸.
중국>전한ㅣ중국>주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성^중(成^中)
조선 제9대 성종(成宗)과 제11대 중종(中宗)을 함께 부르는 말.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사상>술어>관용어
-
성가의(成可義)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 문신 성윤조(成允祖)의 아버지로, 문화 현령(文化縣令)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문신
-
성간(成侃)
조선 단종(端宗)~세조(世祖) 때의 문신ㆍ학자. 유방선(柳方善)의 문인(門人). 집현전 박사(集賢殿博士)로 문명(文名)을 떨쳤으나 요절함. 특히 시부(詩賦)에 뛰어나 〈궁사(宮詞)〉ㆍ〈신설부(新雪賦)〉 등의 작품을 남김.
1427~145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성개(成槪)
조선 태종(太宗)~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 보문각 대제학(寶文閣大提學) 성석용(成石瑢)의 아들이자 문신 성희(成熺)의 아버지로, 경기 관찰사(京畿觀察使)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문신
-
성거산(聖居山)
충청도 천안 북면에 걸쳐 있는 산 이름. 왕건이 이 산을 보고 성거산이라고 부르고 제사를 지내게 하였다는 이야기가 전해짐.
충청도>천안 , 지명>자연지명
-
성건(成健)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 성순조(成順祖)의 아들이며, 성준(成俊)의 동생으로, 세조 때 권신 한명회(韓明澮)를 탄핵하여 체직시켰고, 성종 때 각별한 총애를 받음.
1439~149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문신
-
성경온(成景溫)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공조 정랑(工曹正郞) 등을 지내고, 아버지 성준(成俊)이 갑자사화(甲子士禍) 때 유배되었다가 교살(絞殺)당하자 형 성중온(成仲溫)과 함께 유배지에서 자살함.
1463~150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문신
-
성계례(成繼禮)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 1522년(중종 17) 진사시에 입격함. 찰방(察訪) 등을 지냈으며, 김안국(金安國)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성곡서원(星谷書院)
조선 광해군(光海君) 때 전라도 금산(錦山)에 건립된 서원. 1663년(현종 4)에 사액되었고, 김신(金侁)ㆍ윤택(尹澤)ㆍ길재(吉再)ㆍ김정(金淨)ㆍ고경명(高敬命)ㆍ조헌(趙憲) 등을 배향함. 현재 충청남도 금산군에 속함.
1617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금산 , 유적>건물>서원,향교
-
성공(成公)@춘추전국(晉)
중국 춘추전국시대 진(晉) 나라의 제후. 재위 B.C.606~600. 문공(文公)의 아들로 양공(襄公)의 아우이며, 경공(景公)의 아버지. 초(楚) 나라 장왕(莊王)과 함께 천하의 패권다툼을 함.
?~B.C.600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성공(成公)@춘추전국(衛)
중국 춘추전국시대 위(衛) 나라의 제후. 진(晉) 나라가 위 나라를 칠 때 국외로 달아났다가 귀국하여 위군(衛君) 희하(姬瑕)와 그를 세운 대부 원훤(元喧)을 주살함.
?~B.C.600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성공(成公)@춘추전국(노)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제후. 재위 B.C.590~B.C.573. 선공(宣公)과 목강(繆姜)의 아들.
?~B.C.573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성공두황후(成恭杜皇后)
중국 남북조시대 동진(東晉)의 제3대 황제인 성제(成帝)의 왕비. 강제(康帝)는 성제의 두황후(杜皇后)를 위하여 1년이 지나도록 여전히 소복(素服)을 하였으므로, 형제가 서로 계대(繼代)하였을 때의 복의(服議)를 언급할 때 나옴.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왕비
-
성구령(成九齡)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창녕(昌寧). 성방언(成邦彥)의 아들로, 1513년(중종 8)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성군미(成君美)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 성여완(成汝完)의 아버지로, 판도 총랑(版圖摠郞) 등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문신
-
성규(性圭)
고려 후기의 승려. 원천석(元天錫)의 《운곡행록(耘谷行錄)》에 〈제벽봉성규중덕권(題璧峯性圭中德卷)〉이라는 시(詩)가 실려 있음.
한국>고려후기 , 인명>종교인>승려
-
성균관(成均館)
조선 태조(太祖) 7년에 인재양성을 위하여 서울 숭교방(崇敎坊)에 설치한 최고 교육기관. 문과(文科) 준비를 위한 유학 교육 전문기관으로, 공자(孔子)를 비롯하여 중국 및 우리나라 역대 성현들의 위패를 모셔놓은 문묘(文廟)와 유학(儒學)을 강론하는 명륜당(明倫堂), 동서재(東西齋) 등으로 이루어짐.
1398 한국>조선시대 , 서울 , 법제>관청
-
성극재시고(省克齋詩稿)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인 문명개(文命凱)의 시집. 권두인(權斗寅)이 지은 서문이 《하당집(荷塘集)》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성근(成謹)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 성세균(成世均)의 아들로, 큰아버지 성세명(成世明)에게 출계함. 안동 대도호부사(安東大都護府使)를 지냄.
1490~155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문신
-
성근(成近)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 성세준(成世俊)의 아들로, 1507년(중종 2)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하여 참봉(參奉)을 지냄. 조식(曺植)의 《남명집(南冥集)》에 증시(贈詩)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성근묵(成近默)
조선 순조(純祖)~철종(哲宗) 때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 재학(才學)으로 추천을 받아 경연관(經筵官) 등을 지냈으며, 청렴강직으로 이름을 떨침.
1784~1852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성긍주(成肯柱)
조선 순조(純祖) 때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 성덕구(成德求)의 아들로, 풍기 군수(豐基郡守) 등을 지냄.
1755~?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신창 , 인명>관인>문신
-
성기도(誠幾圖)
중국 송(宋) 나라의 유학자인 조사하(趙師夏)가 지은 성(誠)의 해설 도식(圖式). 무위(無爲)의 개념인 성이 움직일 때 선기(善幾)와 악기(惡幾)의 기(幾)로 갈라지는 형상을 설명함.
중국>송 , 중국 , 문헌>작품명
-
성낙선(成樂善)
조선 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창녕(昌寧). 창산군(昌山君) 성수익(成壽益)의 아들이자, 한산 군수(韓山郡守) 권황(權滉)의 사위.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창녕 , 인명>문사>유학
-
성녕대군(誠寧大君)
조선 제3대 태종(太宗)의 넷째 아들. 어머니는 원경왕후(元敬王后)로, 어려서부터 총명하고 용모가 단정하여 태종의 특별한 총애를 받아 대광보국(大匡輔國)의 위계까지 올랐으나 14살 때 홍역으로 요절함.
1405~141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왕자
-
성달생(成達生)
고려 공양왕(恭讓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무신. 본관은 창녕(昌寧)으로, 성석용(成石瑢)의 아들. 조선 태종(太宗) 때 처음으로 실시된 무과에서 장원급제하고, 병마도절제사(兵馬都節制使)ㆍ지중추원사(知中樞院事) 등을 지냈으며, 문필(文筆)에도 능함.
1376~1444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무신
-
성담년(成聃年)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창녕(昌寧)으로, 생육신(生六臣)의 한 사람인 성담수(成聃壽)의 동생. 교리(校理) 등을 지냈으며, 성리학(性理學)에 조예가 깊었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성담령(成耼齡)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창녕(昌寧)으로, 단종(端宗) 때의 충신인 성희(成熺)의 아들. 김안국(金安國)ㆍ엄용순(嚴用順) 등과 함께 경기도 이천(利川)의 육괴정(六槐亭)에 모여 시회를 열고 학문을 강론함.
?~152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문사>유학
-
성담로(成耼老)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창녕(昌寧). 단종(端宗) 때의 충신 성희(成熺)의 아들로, 충순위(忠順衛)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무신
-
성담명(成耼命)
조선 전기의 유학. 단종(端宗) 때의 충신 성희(成熺)의 아들. 아버지, 형 성담수(成聃壽)와 함께 단종 복위를 꾀하다가 좌절되자 평생 출사하지 않고 절개를 지켰으며, 후에 이조 판서(吏曹判書)에 추증(追贈)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문사>유학
-
성담수(成聃壽)
조선 문종(文宗)~단종(端宗) 때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 생육신(生六臣)의 한 사람. 단종복위운동(端宗復位運動) 때 아버지 성희(成熺)가 귀양갔다가 풀려나 세상을 떠나자, 벼슬을 단념하고 파주(坡州)에 은거하여 평생 단종을 추모하며 절개를 지킴.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
-
성담중(成耼仲)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창녕(昌寧). 단종(端宗) 때의 충신 성희(成熺)의 아들. 단종이 폐위되자 은일(隱逸)하여 나라의 부름에도 나아가지 않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문사>유학
-
성담집(性潭集)
조선 정조(正祖)~순조(純祖) 때의 문신ㆍ학자인 송환기(宋煥箕)의 시문집. 32권 16책. 목활자본. 고종(高宗) 재위 기간 내, 즉 1891~1907년 사이에 간행됨.
한국>근대 , 문헌>서명
-
성대중(成大中)
조선 영조(英祖)~순조(純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창녕(昌寧). 서얼 출신으로 서얼통청운동(庶蘖通淸運動)에 힘입어 청직(淸職)에 임명됨. 홍대용(洪大容)ㆍ박지원(朴趾源) 등과 교유하여 북학사상 형성에 기여하였으며, 저서로 《청성집(靑城集)》이 있음.
1732~1812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포천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성덕구(成德求)
조선 영조(英祖) 때의 문신ㆍ효자. 본관은 창녕(昌寧). 성긍주(成肯柱)의 아버지로, 사헌부 감찰(司憲府監察) 등을 지냄. 효성이 지극하여 나라로부터 정문(旌門)의 표창을 받음.
1721~176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기타인명>효자ㅣ인명>관인>문신
-
성덕왕(聖德王)
신라 제33대 왕. 재위 702~737. 신문왕(神文王)의 둘째 아들이며, 효소왕(孝昭王)의 동모제(同母弟). 정치적 안정을 바탕으로 사회 전반에 걸쳐 전성기를 누림.
?~737 한국>통일신라 , 경상도>경주 , 인명>왕실>국왕
-
성덕형(成德馨)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 영조(英祖) 때의 문신 성천주(成天柱)의 아버지로, 호조 좌랑(戶曹佐郞)을 지냄.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문신
-
성도(成都)
중국 사천성(四川省)의 성도(省都).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와 삼국시대(三國時代) 때 촉(蜀)의 수도.
중국 , 지명>행정지명
-
성두년(成斗年)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 성여신(成汝信)의 아버지로, 효성과 우애로 널리 알려짐. 추천으로 경기전 참봉(慶基殿參奉)에 제수되었으나 나아가지 않았으며, 한성부 우윤(漢城府右尹)에 증직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성락(成洛)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 감사(監司)를 지낸 성세평(成世平)의 아들로, 이황(李滉) 문하에서 수학함. 자력으로 경서를 탐독할 정도로 우수하였으며, 친우들의 도움으로 장례를 치러야 할 만큼 청빈한 생활을 함.
1542~158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문신
-
성람(成灠)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창녕(昌寧). 감사(監司)를 지낸 성세평(成世平)의 아들로, 이이(李珥)ㆍ성혼(成渾)의 문인. 성리학(性理學)과 의학에 밝았으며, 임진왜란(壬辰倭亂) 후에는 조익(趙翊)ㆍ정경세(鄭經世)ㆍ이준(李埈) 등과 교유함.
1556~1620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상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성력(成櫟)
조선 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 영동 현감(永同縣監)을 지낸 성문준(成文濬)의 아들로, 사재감 첨정(司宰監僉正) 등을 지냄.
1580~1651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문신
-
성로(成輅)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인. 본관은 창녕(昌寧). 통례원 인의(通禮院引儀)를 지낸 성영국(成永國)의 아들로, 스승 정철(鄭澈)의 잦은 유배와 동문 권필(權韠)의 죽음을 보고 세상과 인연을 끊고 만년에는 술과 시로써 세월을 보냄.
1550~1615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양주 , 인명>문사>문인
-
성륜(成倫)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성세정(成世貞)의 아들로, 이조 참판(吏曹參判) 등을 지냈으나, 김안로(金安老)와 편당(偏黨)을 짓는다는 세평(世評)을 받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문신
-
성률(成瑮)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 성종(成宗) 때의 문신 성희안(成希顔)의 아들로, 상의원 첨정(尙衣院僉正) 등을 지내고 정국공신(靖國功臣)에 봉해짐.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성리군서고이(性理群書考疑)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인 권벌(權橃)이 지은 글.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웅절(熊節)이 지은 《성리군서구해(性理群書句解)》의 의심나는 대목을 상고하여 풀이함.
한국>조선전기 , 문헌>작품명
-
성리군서구해(性理群書句解)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학자인 웅절(熊節)의 저서. 23권. 송 나라 유학자들이 남긴 글과 학파의 계통, 유명 문인들의 글을 분류하여 편집한 책으로, 현재는 3권 1책만 남아 있음.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성리대전(性理大全)
중국 명(明) 나라 성조(成祖) 때 왕명으로 호광(胡廣) 등이 성리학설을 집대성하여 편집한 책. 총 70권. 25권까지는 송대 학자의 중요한 저술을 수록하였고, 26권 이하는 주제별로 여러 학자의 학설을 분류ㆍ편집함.
1415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성리대전절요(性理大全節要)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ㆍ학자인 김정국(金正國)의 저서. 4권 4책. 금성목활자판(錦城木活字板). 명(明) 나라 호광(胡廣) 등이 쓴 《성리대전(性理大全)》에서 중요한 부분만 간추려 중종 때 편집ㆍ간행함.
1538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문헌>서명
-
성리명감(性理明鑑)
조선 인조(仁祖) 때의 학자인 이중호(李仲虎)의 저서.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성리유편(性理遺編)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인 이정(李楨)의 저서. 1책. 목활자본. 성리군서(性理群書)와 전서(全書) 중에서 찬(贊)ㆍ명(銘)ㆍ잠(箴) 등을 뽑아 송독(誦讀)에 편리하도록 찬집한 것을, 1564년(명종 14)에 남궁침(南宮忱)이 간행함.
1564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문헌>서명
-
성리자훈(性理字訓)
중국 송(宋) 나라 효종(孝宗) 때의 학자인 정단몽(程端蒙)이 지은 성리학(性理學)의 기초 학습서. 30조(條)로 이루어짐. 1권.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성리자훈강의(性理字訓講義)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인 정약용(程若庸)의 저서. 1권.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성리학(性理學)
중국 송(宋) 나라 때 유학(儒學)의 한 계통으로, 인간 본연의 성(性)을 발현하기 위해 물(物)에 대한 이(理)를 참고해야 한다는 것을 요지로 하는 철학. 남송(南宋)의 주희(朱熹)가 집대성함.
중국>송 , 중국 , 사상>이론>학설
-
성마령(星磨嶺)
강원도 청옥산(靑玉山)에 있는 고개 이름. 강원도 정선(旌善)과 평창(平昌)을 연결하는 고개.
강원도>평창ㅣ강원도>정선 , 지명>자연지명
-
성맹온(成孟溫)
조선 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성준(成俊)의 조카로, 연산군 때 부관참시(剖棺斬屍)를 당함. 이행(李荇)의 《용재집(容齋集)》에 그의 죽음을 애도하는 글이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문신
-
성명(性明)
조선 세조(世祖) 때의 승려. 진관사 주지(津寬寺住持)로 있을 때 신숙주(申叔舟)가 벗들과 노닐며 지은 시가 《보한재집(保閑齋集)》에 실려 있으며, 남효온(南孝溫)과도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종교인>승려
-
성모사(聖母祠)
경상남도 경주(慶州) 서악(西岳)의 선도산(仙桃山)에 있는 사당. 중국 황실(皇室)의 딸로 해동(海東)에 와서 신(神)이 되었다는 성모(聖母)를 배향함. 일설에는 성모가 박혁거세(朴赫居世)를 낳았다고 함.
경상도>경주 , 유적>건물>사당
-
성몽선(成夢宣)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 보은 현감(報恩縣監)을 지낸 성제원(成悌元)의 아버지로, 장흥 부사(長興府使)를 지냄. 장리(贓吏)인 조서종(趙瑞鍾)의 사위였으나 서용되는 전례를 남김.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문신
-
성몽열(成夢說)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으로, 1539년(중종 34) 별시(別試)에 급제하여 함경도 도사(咸鏡道都事)ㆍ봉상시 판관(奉常寺判官)ㆍ함양 군수(咸陽郡守)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문신
-
성몽정(成夢井)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성담년(成聃年)의 아들로, 중종반정에 가담하여 정국공신(靖國功臣)에 책록되었으며, 조광조(趙光祖) 등 신진사류와 교유함.
1471~151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성무애악론(聲無哀樂論)
중국 삼국시대 위(魏) 나라의 문신ㆍ시인인 혜강(嵇康)의 저서. 음악(音樂)이 객관적 존재라면 애락(哀樂)은 인간의 감정으로, 모두 감동(感動)을 받은 후 생산되는 것이지만 마음과 소리는 분리된다는 내용을 담아, 저자의 음악에 대한 관점을 나타냄.
중국>삼국시대 , 중국 , 문헌>서명
-
성무정(成武丁)
중국 한(漢) 나라의 도사. 장사(長沙)에서 이인(異人)을 만나 선약(仙藥)을 얻어 새와 짐승의 말을 하고, 나중에는 흰 노새를 타고 신선이 되었다고 함.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기타인명>도사
-
성문(聲聞)
석가(釋迦)의 가르침을 듣고서 수행하는 사람. 모든 불제자(佛弟子)를 이르는 말에서 출가한 수행승(修行僧)만을 부르는 말로 변하였으며, 대승(大乘)에서는 자기만의 수양에 힘써 아라한(阿羅漢)이 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고 봄.
사상>술어>핵심어
-
성문덕(成聞德)
조선 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창녕(昌寧). 교리(校理)를 지낸 성담년(成聃年)의 증손으로, 형 성준덕(成駿德)과 함께 성혼(成渾)을 방문하여 교유한 일이 《우계집(牛溪集)》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문사>유학
-
성문사업도(聖門事業圖)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인 이원강(李元綱)의 저서. 1권. 10도(圖)로 분류하여, 존심(存心)으로 중심을 삼고, 근독(謹獨)으로 요체를 삼으며, 궁리(窮理)를 용력(用力)의 시작으로 삼을 것을 주장함.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성문영(成文泳)
조선 명종(明宗) 때의 인물. 우계(牛溪) 성혼(成渾)의 맏아들로, 어려서 요절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성문준(成文濬)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ㆍ학자. 우계(牛溪) 성혼(成渾)의 둘째 아들로, 성혼이 무욕(誣辱)을 당하자 임천(林泉)에 은거했다가 인조반정(仁祖反正) 후 영동 현감(永同縣監)을 지냄. 박학다식하며 글씨에 능함.
1559~162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창녕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성민(省敏)
고려 말~조선 초의 승려ㆍ문인. 찬영(粲英)의 제자로, 권근(權近) 등과 교유하였으며, 태종(太宗)의 척불(斥佛) 정책에 대하여 신문고(申聞鼓)를 울려 호소하였으나 무위로 돌아감.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인명>종교인>승려ㅣ인명>문사>문인
-
성박(成鑮)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창녕(昌寧). 성여신(成汝信)의 첫째 아들로, 조임도(趙任道)ㆍ임진부(林眞怤) 등 남명학(南冥學) 계열의 학자들과 교류함. 진사(進士) 등을 지냄.
1571~?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진주 , 인명>문사>유학
-
성발도(成發道)
조선 태종(太宗)~세종(世宗) 때의 문신. 성석린(成石璘)의 둘째 아들로, 참찬(參贊) 등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문신
-
성방언(成邦彦)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무신. 본관은 창녕(昌寧). 중종 때 진사(進士)에 입격한 성구령(成九齡)의 아버지로, 부사과(副司果)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무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