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성봉조(成奉祖)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성엄(成揜)의 아들이며, 세조(世祖)의 동서(同壻)로, 성종 즉위 후 좌리공신(佐理功臣)에 책록되고 우의정 등을 역임함.
1401~147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성불사(成佛寺)
통일신라 말 도선(道詵)이 황해도 봉산(鳳山) 사리원(沙理院)에 세운 사찰.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 나옹(懶翁)에 의해 중창됨.
한국>통일신라 , 황해도>봉산 , 유적>건물>사찰
-
성사달(成士達)
고려 충렬왕(忠烈王)~우왕(禑王) 때의 문신. 홍건적(紅巾賊)의 침입 때 공민왕(恭愍王)을 호종하여 추충협익공신(推忠協翊功臣)에 책록되고, 김용(金鏞)의 반란을 평정하여 일등공신이 됨. 문장과 글씨에 뛰어남.
?~1380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성사제(成思齊)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 정승 성유득(成有得)의 아들로, 보문각 직제학(寶文閣直提學)과 문형(文衡)을 지냈으나, 고려가 망하자 만수산(萬壽山)에 은거한 두문동칠십이현(杜門洞七十二賢)의 한 사람.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문신
-
성삼문(成三問)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창녕(昌寧). 집현전(集賢殿)의 학사로 훈민정음(訓民正音) 창제에 공헌함. 사육신(死六臣)의 한 사람으로, 단종(端宗)에 대한 절의를 지켜 복위(復位)를 도모하다가 실패하여 처형됨.
1418~1456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홍주 , 인명>관인>문신
-
성석린(成石璘)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고려 말 왜구를 격퇴하고 조선의 개국과 왕자의 난에 공을 세우는 등 수차례 공신에 책록되고 영의정 등을 지냄. 시문(詩文)에 능하고 초서(草書)를 잘 씀.
1338~1423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성석용(成石瑢)
고려 우왕(禑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성여완(成汝完)의 아들이자 성석린(成石璘)의 아우로, 고려 때 밀직제학(密直提學) 등을 지냈으며, 조선 개국에 공이 있어 원종공신(原從功臣)에 책록됨.
?~1403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성석인(成石因)
고려 우왕(禑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성여완(成汝完)의 아들이며, 성석린(成石璘)ㆍ성석용(成石瑢)의 아우로, 고려 때 경연강독관(經筵講讀官) 등을 지내고 조선 건국 후 예조 판서(禮曹判書) 등을 지냄.
?~1414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문신
-
성선(成善)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창녕(昌寧). 성종(成宗) 때의 문신으로 한성부 좌윤(漢城府左尹)을 지낸 성윤문(成允文)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문사>유학
-
성세균(成世鈞)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 성임(成任)의 아들이자 성현(成俔)의 조카로, 성현의 《허백당문집(虛白堂文集)》에 그를 애도한 제문(祭文)이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문신
-
성세명(成世明)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 성임(成任)의 아들로, 《연산군일기(燕山君日記)》를 수찬하고, 지돈녕부사(知敦寧府事)를 지냄.
1447~151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문신
-
성세범(成世範)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창녕(昌寧). 사헌부 감찰(司憲府監察)을 지낸 성희문(成希文)의 셋째 아들이자, 예조 판서(禮曹判書)를 지낸 성세장(成世章)의 동생.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문사>유학
-
성세순(成世純)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성충달(成忠達)의 아들로, 연산군(燕山君)이 형벌을 남발하자 간관(諫官)으로서 과감하게 직언함. 성절사(聖節使)로 명(明) 나라에 다녀오고 대사헌(大司憲) 등을 지냄.
1463~151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문신
-
성세운(成世雲)
조선 전기의 인물. 노수신(盧守愼)의 《소재집(穌齋集)》에 집으로 돌아가는 그에게 가서(家書)를 전하며 지은 시(詩)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성세장(成世章)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인. 본관은 창녕(昌寧)으로, 감찰(監察)을 지낸 성희문(成希文)의 아들. 김안국(金安國)의 문인으로, 예조 판서(禮曹判書) 등을 지내고 청백리(淸白吏)에 녹선됨.
1506~1583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성세적(成世勣)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진일재(眞逸齋) 성간(成侃)의 아들로, 정언(正言) 등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문신
-
성세정(成世貞)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 성충달(成忠達)의 아들이자 성륜(成倫)의 아버지로, 《성종실록(成宗實錄)》편찬에 참여하였고 중종 때 대사헌(大司憲)에 오름.
146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문신
-
성세준(成世俊)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으로, 성세정(成世貞)의 형이며 성운(成運)의 아버지. 1507년(중종 2)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선공감 부정(繕工監副正)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문신
-
성세창(成世昌)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 허백당(虛白堂) 성현(成俔)의 아들이며, 김굉필(金宏弼)의 문인(門人). 갑자사화(甲子士禍) 때 유배되었다가 중종반정(中宗反正)으로 풀려났으나, 을사사화(乙巳士禍) 때 다시 유배되어 죽음.
1481~154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문신
-
성세통(成世通)
조선 전기의 유학(幼學). 본관은 창녕(昌寧). 허백당(虛白堂) 성현(成俔)의 둘째 아들이자, 돈재(遯齋) 성세창(成世昌)의 형.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문사>유학
-
성세평(成世平)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 재상을 지낸 성락(成洛)ㆍ성람(成灠)과 성영(成泳)의 아버지. 통례원 좌통례(通禮院左通禮) 등을 지냄.
1516~159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문신
-
성세헌(成世憲)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창녕(昌寧). 사헌부 감찰(司憲府監察)을 지낸 성희문(成希文)의 첫째 아들이자, 예조 판서(禮曹判書)를 지낸 성세장(成世章)의 형.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문사>유학
-
성세형(成世亨)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 허백당(虛白堂) 성현(成俔)의 아들이자 강원도 관찰사(江原道觀察使) 성순(成詢)의 아버지. 이천 현감(伊川縣監)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문신
-
성소부부고(惺所覆瓿藁)
조선 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ㆍ학자ㆍ문인인 허균(許筠)의 시문집. 필사본. 8권 1책. 저자가 가장 불우했던 시기에 쓴 시와 산문들을 모아 엮은 것으로, 시부(詩部)ㆍ부부(賦部)ㆍ문부(文部)ㆍ설부(說部) 등 4부로 구성됨.
1611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함열 , 문헌>서명
-
성수(性修)
조선 명종(明宗) 때의 승려. 이희보(李希輔)의 《안분당시집(安分堂詩集)》에 그에게 보낸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종교인>승려
-
성수경(星宿經)
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으로 도교(道敎) 부흥에 힘쓴 김첨(金瞻)의 저서. 1415년(태종 15)에 태종에게 올린 기사가 《태종실록(太宗實錄)》에 남아 있음.
1415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성수시화(惺叟詩話)
조선 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인 허균(許筠)의 시(詩) 비평집. 최치원(崔致遠)에서부터 저자 당대의 인물은 물론 승려ㆍ여성들의 시까지 포괄하고 있으며, 당시(唐詩)에 기준을 두고 비평함. 《성소부부고(惺所覆瓿藁)》 권25와 《시화총림(詩話叢林)》 권3에 실려 있음.
1611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함열 , 문헌>서명
-
성수영(成守瑛)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성세순(成世純)의 아들로, 부정(副正) 등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문신
-
성수익(成壽益)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으로, 장흥고 영(長興庫令)을 지낸 성예원(成禮元)의 아들. 종계변무(宗系辨誣)의 공으로 광국원종공신(光國原從功臣)에 책록되고,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왕비를 호종함.
1528~1598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성수재(成秀才)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창녕(昌寧). 병조 참판(兵曹參判)에 증직된 이교(李嶠)의 장인으로, 절도사(節度使)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무신
-
성수종(成守琮)
조선 중종(中宗) 때의 학자. 성세순(成世純)의 아들로, 1519년(중종 14)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였으나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조광조(趙光祖)의 문인(門人)이라 하여 과방(科榜)에서 삭제된 후 벼슬에 뜻을 버리고 청빈하게 살음.
1495~153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문사>학자
-
성수침(成守琛)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학자. 우계(牛溪) 성혼(成渾)의 아버지이며, 조광조(趙光祖)의 문인(門人)으로, 기묘사화(己卯士禍)가 일어나자 벼슬을 단념하고 경서 공부에 전념함. 그 문하에서 많은 석학들이 배출됨.
1493~156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ㅣ경기도>파주 , 인명>문사>학자
-
성숙(成俶)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성순조(成順祖)의 아들이며 성준(成俊)의 형으로, 한성부 판윤(漢城府判尹)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문신
-
성순(成詢)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성세형(成世亨)의 아들로, 강원도 관찰사(江原道觀察使) 등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문신
-
성순(成錞)
조선 인조(仁祖) 때의 유학. 본관은 창녕(昌寧). 성여신(成汝信)의 넷째 아들로, 학문을 연마하고 하홍도(河弘度)와 교류함.
1590~1659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진주 , 인명>문사>유학
-
성순조(成順祖)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 동지중추원사(同知中樞院事) 성엄(成揜)의 아들로, 형조 참판(刑曹參判)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문신
-
성승(成勝)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무신. 본관은 창녕(昌寧). 성삼문(成三問)의 아버지로 도총관(都摠管)을 지냄. 단종(端宗)의 복위(復位)를 도모하다가 사육신(死六臣)과 함께 죽임을 당함.
?~145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무신
-
성식(成軾)
조선 전기의 유학. 백광훈(白光勳)의 《옥봉집(玉峯集)》에 〈성대임가유별(成大任家留別)〉이라는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성안의(成安義)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한강(寒岡) 정구(鄭逑)의 문인. 임진왜란(壬辰倭亂)이 일어나자 의병을 모집하여 곽재우(郭再祐)의 휘하에서 활약했으며, 1624년 이괄(李适)의 난 때 왕을 공주(公州)로 호종한 공로로 통정대부(通政大夫)에 오름.
1561~1629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창녕ㅣ경상도>영천(榮川) , 인명>관인>문신
-
성암유고(省菴遺稿)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인 김효원(金孝元)의 문집. 저자의 둘째 아들인 김극련(金克鍊)이 편집함.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성억(成抑)
조선 태종(太宗)~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 성석인(成石因)의 아들이며 성녕대군(誠寧大君)의 장인. 태종으로부터 공신(功臣)의 예우를 받았으며, 중추원사(中樞院使) 등을 지냄.
1386~1448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성언기(成彦器)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 조지서 별제(造紙署別提) 성여학(成汝學)의 아버지로, 공주 판관(公州判官)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문신
-
성언신(成彦臣)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 창산군(昌山君) 성사달(成士達)의 아버지로, 군수(郡守)를 지냄.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문신
-
성엄(成揜)
조선 정종(定宗)~세종(世宗) 때의 문신. 성석인(成石因)의 아들로, 동지중추원사(同知中樞院事) 등을 역임함.
?~143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문신
-
성여신(成汝信)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학자. 본관은 창녕(昌寧). 조식(曺植)의 문인(門人)으로, 일찍부터 문명(文名)을 떨쳤으며, 저서에 《부사집(浮査集)》이 있음.
1546~1632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진주 , 인명>문사>학자
-
성여완(成汝完)
고려 충숙왕(忠肅王)~우왕(禑王) 때의 문신. 첨서밀직(簽書密直)ㆍ정당문학(政堂文學) 등을 지내고, 고려가 망하자 포천(抱川)에 은거함.
1309~1397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기도>포천 , 인명>관인>문신
-
성여학(成汝學)
조선 광해군(光海君)~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 공주 판관(公州判官) 을 지낸 성언기(成彦器)의 아들로, 조지서 별제(造紙署別提)를 지냄. 이수광(李晬光)ㆍ심종직(沈宗直)ㆍ김현성(金玄成) 등과 교유하고, 시를 잘 지음.
1557~?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성염조(成念祖)
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성엄(成揜)의 아들로, 개성부 유수(開城府留守)ㆍ지중추원사(知中樞院事) 등을 역임함.
1398~145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문신
-
성영(成泳)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 성세평(成世平)의 아들이자 성락(成洛)의 동생. 광해군이 즉위하자 정인홍(鄭仁弘)의 모함을 받아 파직됨. 선조 때 청백리(淸白吏)에 녹선(錄選)됨.
1547~1623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문신
-
성영(成瑛)
조선 전기의 문신. 삭녕 군수(朔寧郡守)를 지냄. 정유길(鄭惟吉)의 《임당유고(林塘遺稿)》에 수창(酬唱)한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삭녕 , 인명>관인>문신
-
성영국(成永國)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인인 성로(成輅)의 아버지로, 통례원 인의(通禮院引儀)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문신
-
성예원(成禮元)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 하산군(夏山君) 성몽정(成夢井)의 계후가 되어 창성군(昌城君)에 습봉되었으며, 장흥고 영(長興庫令)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문신
-
성옹유고(醒翁遺稿)
조선 인조(仁祖) 때의 문신ㆍ학자인 김덕함(金德諴)의 문집. 4권 2책. 목판본. 1706년(숙종 32)에 김가선(金嘉先)에 의해 편집ㆍ간행됨. 권두에 남구만(南九萬)과 최석정(崔錫鼎)의 서문(序文)이 있음.
1706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성완(成玩)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 사헌부 감찰(司憲府監察)을 지낸 성희문(成希文)의 아버지로, 호조 좌랑(戶曹佐郞)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문신
-
성왕(成王)@주
중국 주(周) 나라 제2대 왕. 재위 B.C.1042~B.C.1021. 어린 나이에 무왕(武王)의 뒤를 이어 즉위하였으며, 숙부인 주공 단(周公旦)과 소공 석(召公奭)의 보좌를 받아 주 나라의 성세(盛世)를 이룸.
중국>주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성왕(成王)@춘추전국(초)
중국 춘추전국시대 초(楚) 나라의 제후. 재위 B.C.671~B.C.626. 송(宋) 나라를 대파하고 기(夔)를 멸망시킨 다음 태산(泰山) 이남까지 세력을 확장하였으나, 아들 상신(商臣)의 반란으로 자살함.
?~B.C.626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성왕(聖王)
백제 제26대 왕. 재위 523~554. 무녕왕(武寧王)의 아들이며, 위덕왕(威德王)의 아버지. 538년(성왕 16)에 사비(泗沘)로 천도(遷都)하는 등 왕권강화 정책을 계속함. 신라와 연합하여 고구려로부터 한강유역의 탈취에 성공하였으나, 신라의 배신으로 전사(戰死)함.
?~554 한국>백제 , 충청도>부여 , 인명>왕실>국왕
-
성용(成鏞)
조선 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창녕(昌寧). 성여신(成汝信)의 둘째 아들로, 아버지의 학문을 계승함.
1576~1628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진주 , 인명>문사>유학
-
성우(成遇)
조선 중종(中宗)~인종(仁宗) 때의 문신. 조식(曺植)과 교유하고, 제릉 참봉(齊陵參奉)을 지냈으며, 을사사화(乙巳士禍) 때 죽임을 당함
?~154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문신
-
성운(成運)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학자. 본관은 창녕(昌寧). 형인 성우(成遇)가 을사사화(乙巳士禍) 때 화를 당하자 속리산(俗離山)에 은거함. 시문(詩文)에 뛰어나고, 서경덕(徐敬德)ㆍ조식(曺植)ㆍ이지함(李之菡) 등과 교유하며 학문에 정진함.
1497~1579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보은ㅣ서울 , 인명>문사>학자
-
성원주기(姓原珠璣)
중국 명(明) 나라의 유학자(儒學者) 양신민(楊信民)이 지은 책. 조선 이황(李滉)의 《송계원명이학통록(宋季元明理學通錄)》에 자주 보임.
중국>명 , 중국 , 문헌>서명
-
성윤문(成允文)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 세조 때 등준시(登俊試)에 급제하였으며, 형조 참판(刑曹參判)ㆍ충청도 관찰사(忠淸道觀察使)ㆍ한성부 좌윤(漢城府左尹)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문신
-
성윤조(成允祖)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성가의(成可義)의 아들로, 한성부 우윤(漢城府右尹) 등을 지냄.
1459~150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문신
-
성윤해(成允諧)
조선 선조(宣祖) 때의 학자. 본관은 창녕(昌寧). 성근(成近)의 아들로, 학행(學行)으로 여러 번 추천되어 왕자사부(王子師傅)ㆍ태인 현감(泰仁縣監) 등에 제수되었으나, 나아가지 않고 상주(尙州)에 은거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상주 , 인명>문사>학자
-
성율(成栗)
조선 전기의 문신. 초당(草堂) 허엽(許曄)의 형인 종사랑(從仕郞) 허구(許昫)의 장인.
한국>조선전기 , 인명>관인>문신
-
성의백문집(誠意伯文集)
중국 명(明) 나라의 문신ㆍ학자인 유기(劉基)의 문집. 20권. 저자의 시문(詩文) 및 잡저(雜著)인 《욱리자(郁離子)》4권, 《복부집(覆瓿集)》10권, 《사정집(寫情集)》2권,《춘추명경(春秋明經)》2권, 《이미공집(犁眉公集)》2권으로 본래 각각의 저서인데 성화(成化) 연간에 순안절강어사(巡按浙江御史)인 대기(戴鱀) 등이 1질로 편찬함.
중국>명 , 중국 , 문헌>서명
-
성이문(成以文)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으로, 황산도 찰방(黃山道察訪)을 지낸 성효관(成效寬)의 아들.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종묘서 부봉사(宗廟署副奉事)로서 왕실의 신주를 받들고 의주(義州)로 피난함.
1546~1618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성익(成杙)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 우계(牛溪) 성혼(成渾)의 손자로, 영동 현감(永同縣監)을 지낸 성문준(成文濬)의 아들. 수성금화사 별좌(修城禁火司別坐)를 지냄.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문신
-
성인보(成仁輔)
고려 후기의 호장(戶長). 창녕성씨(昌寧成氏)의 시조(始祖)로, 중윤 호장(中尹戶長)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아전
-
성임(成任)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창녕(昌寧). 성염조(成念祖)의 아들로, 계유정난(癸酉靖難) 때 원종공신(原從功臣)에 책록됨. 《국조보감(國朝寶鑑)》ㆍ《경국대전(經國大典)》편찬에 참여하고, 글씨와 시문에 뛰어남.
1421~148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성자청(成子淸)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창녕(昌寧). 안동 대도호부사(安東大都護府使) 성근(成謹)의 아들이며, 담양 부사(潭陽府使) 성자항(成子沆)의 형.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성자택(成子澤)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 성근(成謹)의 아들이며 성자항(成子沆)의 형으로, 왕자 교관(王子敎官)을 지냄. 1547년(명종 2) 윤임(尹任)의 당파(黨派)로 몰려 유배되었다가 사사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문신
-
성자항(成子沆)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 대사헌(大司憲)을 지낸 성세명(成世明)의 손자이며, 안동 대도호부사(安東大都護府使) 성근(成謹)의 아들. 사포서 별제(司圃署別提)를 거쳐 담양 부사(潭陽府使)를 지냄.
1523~?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성재숭(成載崇)
조선 헌종(憲宗) 때의 문인. 헌종 때 《허백당집(虛白堂集)》을 중간(重刊)하면서 창녕성씨(昌寧成氏)의 종장(宗丈)으로서 발문(跋文)을 지음.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문사>문인
-
성재집(誠齋集)
중국 송(宋) 나라 때의 문신ㆍ학자인 양만리(梁萬里)의 문집. 133권. 1208년(嘉定 元年)에 아들 양장유(梁長孺)가 편찬함.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성정(性凈)
조선 명종(明宗) 때의 승려. 치재(耻齋) 홍인우(洪仁祐)가 1553년(명종 8)에 금강산을 유람할 때 만나 길 안내를 해주었는데, 그 내용이 《관동록(關東錄)》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고성 , 인명>종교인>승려
-
성정주(成鼎柱)
조선 정조(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 성덕구(成德求)의 아들이자 성근묵(成近默)의 아버지로, 평택 현감(平澤縣監) 등을 지냄.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문신
-
성제(成帝)@남북조(晉)
중국 남북조시대 동진(東晉)의 제3대 황제. 재위 325~342. 명제(明帝)의 아들이자, 강제(康帝)의 형.
?~342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성제(成帝)@전한
중국 한(漢) 나라 제11대 황제. 재위 B.C.32~B.C.7. 원제(元帝)의 맏아들로, 즉위 후 주색(酒色)을 탐하고 가녀(歌女)인 조비연(趙飛燕)을 황후로 삼았으며, 외척들이 정권을 전횡하는 등 부패하였으므로 백성들의 반란을 초래함.
B.C.52~B.C.7 중국>전한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성제원(成悌元)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ㆍ학자. 유일(遺逸)로 천거되어 보은 현감(報恩縣監) 등을 지냈으며, 박응순(朴應順) 등 많은 인재를 육성함.
1506~155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성조(性祖)
조선 전기의 승려. 이암(頤庵) 송인(宋寅)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종교인>승려
-
성조(成祖)
중국 명(明) 나라 제3대 황제. 재위 1402~1424. 태조 주원장(朱元璋)의 넷째 아들로, 조카인 혜제(惠帝))에게서 황위를 찬탈하고 수도를 북경(北京)으로 옮김. 여러 차례 대규모 원정(遠征)을 행하여 영토를 확장하였으며, 대내적으로 주자학(朱子學)을 국가이념으로 삼음.
1360~1424 중국>명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성종(成宗)@고려
고려 제6대 왕. 재위 981~991. 중앙에 3성(省) 6부(府)를 설치하고, 지방에 12목(牧)과 10도(道)를 설치하여 유교정치 이념에 의한 중앙집권적 정치체제를 마련함.
960~997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성종(成宗)@원
중국 원(元) 나라 제6대 황제. 재위 1295~1307. 세조(世祖)의 손자로, 세조 치세(治世)의 영향이 유지된 데다 재상 합랄합손(哈刺合遜) 등의 보좌를 받아 안정된 정치를 펼침.
1265~1307 중국>원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성종(成宗)@조선
조선 제9대 왕. 재위 1469~1494. 세종(世宗)과 세조(世祖)가 이룩한 치적을 기반으로 찬란한 문화정책을 펼쳤으며, 《경국대전(經國大典)》과 《국조오례의(國朝五禮儀)》를 완성하는 등 국가통치체제를 완비함.
1457~149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국왕
-
성종실록(成宗實錄)
조선 제9대 왕 성종(成宗) 재위 26년간의 편년체(編年體) 기록. 춘추관 영사(春秋館領事) 신승선(愼承善) 등이 주관하여 1499년(연산군 5)에 완성함.
1499 한국>조선전기 , 서울 , 문헌>서명
-
성주(星州)
경상북도 남서부에 있는 고을 이름.
경상도>성주 , 지명>행정지명
-
성주득현신부(聖主得賢臣賦)
조선 성종(成宗) 때 이원(李黿)이 진사시(進士試)에 응시하여 지은 글.
1480 한국>조선전기 , 서울 , 문헌>작품명
-
성주이씨(星州李氏)
통일신라 문성왕(文聖王) 때 이부 상서(吏部尙書)를 지낸 이순유(李純由)를 시조로 삼고, 고려 고종(高宗) 때의 향리인 이장경(李長庚)을 중시조로 하는 성씨.
한국>통일신라 , 경상도>성주 , 인명>집단>성씨
-
성준(成俊)
조선 세조(世祖)~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 성순조(成順祖)의 아들로, 좌의정ㆍ영의정 등을 지냄. 1495년(연산군 1) 시폐십조(時弊十條)를 주청하는 등 난정(亂政)을 바로잡으려 했으나 이루지 못하고, 갑자사화(甲子士禍) 때 유배되었다가 교살(絞殺)당함.
1436 ~150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문신
-
성준덕(成駿德)
조선 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창녕(昌寧). 교리(校理)를 지낸 성담년(成聃年)의 증손으로, 동생 성문덕(成聞德)과 함께 성혼(成渾)을 방문하여 교유한 일이 《우계집(牛溪集)》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문사>유학
-
성중엄(成重淹)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무오사화(戊午士禍) 때 명현(名賢)들의 무고한 화를 변호하다가 인산(麟山)으로 유배되었으며, 갑자사화(甲子士禍) 때 원배(遠配)된 뒤 능지처참(陵遲處斬)을 당함.
1474~150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문신
-
성중온(成仲溫)
조선 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 도총부 경력(都摠府經歷) 등을 지냈으며, 아버지 성준(成俊)이 갑자사화(甲子士禍) 때 유배되었다가 교살(絞殺)당하자 동생 성경온(成景溫)과 함께 유배지에서 자살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문신
-
성직(成㮨)
조선 인조(仁祖)~숙종(肅宗) 때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 우계(牛溪) 성혼(成渾)의 손자로, 영동 현감(永同縣監)을 지낸 성문준(成文濬)의 아들. 글씨에 능했으며 특히 대자(大字)를 잘 썼음.
1586~1680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문신
-
성진(性眞)
조선 전기의 승려. 시에 능했으며 사암(思菴) 박순(朴淳), 고죽(孤竹) 최경창(崔慶昌) 등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종교인>승려
-
성찬(成瓚)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성희안(成希顔)의 아버지로, 돈녕부 판관(敦寧府判官)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문신
-
성천(成川)
평안도 동남부에 있는 고을 이름. 정유재란(丁酉再亂) 때 선조(宣祖)의 후궁과 여러 왕자가 난을 피해 3년 동안 머물렀던 곳.
평안도>성천 , 지명>행정지명
-
성천서원(星川書院)
조선 숙종(肅宗) 때 경상도 안음(安陰)에 세워진 서원. 송준길(宋浚吉)과 이숙(李䎘)을 배향함. 서원 옛터에 유허비(遺墟碑)만 남아 있으며, 현재 경상남도 거창(居昌)에 속함.
1703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음 , 유적>건물>서원,향교
-
성천주(成天柱)
조선 영조(英祖)~정조(正祖) 때의 문신. 조귀명(趙龜命)ㆍ이덕수(李德壽)ㆍ윤순(尹淳) 등과 교유하였으며, 대사헌(大司憲) 등을 역임함.
1712~1779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문신
-
성철(性哲)
조선 성종(成宗) 때의 승려. 이식(李湜)의 《사우정집(四雨亭集)》에 그의 시권(詩卷)에 써 준 제시(題詩)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종교인>승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