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성춘향(成春香)
우리나라 대표적 고전소설인 《춘향전(春香傳)》에 등장하는 여주인공. 전라도 남원(南原)의 퇴기(退妓)인 월매(月梅)의 외동딸로, 사또의 아들인 이몽룡(李夢龍)과의 사랑을 이루기 위해 고난 속에서도 수절(守節)하는 여인으로 그려짐.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남원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성충(成忠)
백제 의자왕(義慈王) 때의 문신. 656년 좌평(佐平)으로 있을 때, 신라와의 싸움에서 연승하여 왕이 자만과 주색에 빠지자 극간하다가 옥에 갇혀 단식 끝에 죽음.
?~656 한국>백제 , 인명>관인>문신
-
성충달(成忠達)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 성세순(成世純)ㆍ성세준(成世俊)ㆍ성세정(成世貞)의 아버지로, 김포 현령(金浦縣令)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문신
-
성탁(成琢)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창녕(昌寧). 창성군(昌城君) 성희옹(成希雍)의 아들이자, 성순(成恂)의 할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문사>유학
-
성태(聖汰)
조선 전기의 승려. 제봉(霽峯) 고경명(高敬命)과 교유하였고, 송광사(松廣寺)에 머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순천 , 인명>종교인>승려
-
성팽년(成彭年)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창녕(昌寧)으로, 갈천(葛川) 임훈(林薰)의 문인. 효행으로 동몽교관(童蒙敎官)에 천거되었으나 부임하지 않았고,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김면(金沔)이 창의(倡義)할 때 참모가 되어 의병활동을 했음.
1540~1594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음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성팽로(成彭老)
조선 예종(睿宗) 때의 유학. 본관은 창녕(昌寧). 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인 성중엄(成重淹)의 아버지로, 1469년(예종 1)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문사>유학
-
성학십도(聖學十圖)
조선 전기의 학자 이황(李滉)이 성학(聖學)의 개요를 열 폭의 도식(圖式)으로 설명한 글. 도학(道學)ㆍ이학(理學)에 대한 이황의 학문적 깊이가 잘 나타나 있음.
156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문헌>작품명
-
성학입문(聖學入門)
조선 정조(正祖) 때의 문신ㆍ학자인 김종덕(金宗德)의 저서. 1책. 목판본. 정주학(程朱學)을 중심으로 유학자들의 성학(聖學)에 관한 논설을 모아 놓은 수양서.
1937 한국>근대 , 경상도>의성 , 문헌>서명
-
성학집요(聖學輯要)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인 이이(李珥)가 제왕(帝王)의 학(學)을 위해 선조에게 찬진(撰進)한 책. 사서(四書)와 육경(六經)에 씌어 있는 도(道)의 개략을 추출하여 간략하게 정리함. 1책.
1575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성헌(成憲)
중국 명(明) 나라의 문신. 한림원 검토(翰林院檢討)를 지냈으며, 1568년(선조 2)에 병과 급사중(兵科給事中)을 지낸 왕새(王璽)와 함께 황태자 책립의 조서를 반포하기 위해 사신으로 옴.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성헌(盛憲)
중국 삼국시대 오(吳) 나라의 문신. 공융(孔融)과 깊이 교유하였으며, 효렴(孝廉)으로 상서랑(尙書郞)이 되고 오군 태수(吳郡太守)가 되었으나 그의 명성에 위기를 느낀 손권(孫權)에게 죽임을 당함.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성헌집(惺軒集)
조선 광해군(光海君) 때의 학자인 백현룡(白見龍)의 문집. 3권 1책. 목판본. 1906년 후손에 의해 편집ㆍ간행되었으며, 권두에 이만도(李晩燾)와 권도화(金道和)의 서문이 있음.
1906 한국>근대 , 문헌>서명
-
성현(成俔)
조선 세조(世祖)~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ㆍ학자. 갑자사화 때 부관참시(副棺斬屍)를 당하였으나 뒤에 신원(伸寃)되고 청백리(淸白吏)에 녹선됨. 시문(詩文)에 능하고 음률(音律)에 정통하여 많은 저술과 작품을 남김.
1439~150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성현행성(城峴行城)
황해도 수안(遂安)에 있던 행성(行城). 신라 헌덕왕(憲德王) 때에 백영(白永)에게 명하여 한산주(漢山州) 이북(以北)에 쌓게 한 패강장성(浿江長城)에 옛터의 일부가 남아 있음.
황해도>수안 , 유적>시설>성,진,책
-
성호문(成好問)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 성계례(成繼禮)의 아들로, 1564년(명종 19)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하여 광흥창 수(廣興倉守) 등을 역임함. 김안국(金安國)의 《모재집(慕齋集)》에 그에게 지어 준 자사(字辭)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
-
성호선(成好善)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으로, 창산군(昌山君) 성수익(成壽益)의 아들. 1589년(선조 22) 증광시(增廣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충주 목사(忠州牧使) 등을 지냄.
1552~?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성혼(成渾)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창녕(昌寧). 백인걸(白仁傑)의 문인으로, 이황(李滉)을 사숙하고 이이(李珥)와 도의지교를 맺음. 서인(西人) 집권 후 이조 참판 등을 지내고, 이이와 6년에 걸쳐 사칠이기설(四七理氣說)에 대해 논변함.
1535~1598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파주ㅣ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성황(成鎤)
조선 효종(孝宗) 때의 유학. 본관은 창녕(昌寧). 성여신(成汝信)의 다섯째 아들로, 학문에 힘쓰고, 하진(河溍)ㆍ조임도(趙任道) 등과 교류함.
1595~1665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진주 , 인명>문사>유학
-
성횡(成鐄)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창녕(昌寧). 성여신(成汝信)의 셋째 아들로, 아버지의 학통(學統)을 계승하고 수양(修養)에 힘씀.
1588~?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진주 , 인명>문사>유학
-
성효관(成效寬)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 선조(宣祖) 때의 문신인 성이문(成以文)의 아버지로, 황산도 찰방(黃山道察訪)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문신
-
성효연(成孝淵)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 돈녕부 판관(敦寧府判官) 성찬(成瓚)ㆍ호조 좌랑(戶曹佐郞) 성완(成玩)의 아버지로, 사온 직장(司醞直長)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문신
-
성후(成侯)
중국 춘추전국시대 진(晉) 나라의 제후. 무후(武侯)의 아들이며, 여후(厲侯)의 아버지.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성후설(成後卨)
조선 인조(仁祖)~현종(顯宗) 때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으로, 대사간(大司諫)을 지낸 질부(質夫) 성이문(成以文)의 손자. 예빈시 정(禮賓寺正)ㆍ승정원 우승지(承政院右承旨)ㆍ수원 부사(水原府使) 등을 지냄.
1615~1673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성희(性熙)
조선 전기의 승려. 소세양(蘇世讓)의 《양곡집(陽谷集)》에 상원사(上院寺)에서 지리산(智異山)으로 돌아가는 그를 위해 지어 준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종교인>승려
-
성희(成熺)
조선 문종(文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 문종 때 급제하여 승문원 교리(承文院校理)를 지내고, 《세종실록(世宗實錄)》과 《문종실록(文宗實錄)》의 편찬에 참여함. 당질(堂姪)인 성삼문(成三問)의 단종복위(端宗復位) 사건에 연루되어 유배됨.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공주 , 인명>관인>문신
-
성희동(成禧童)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창녕(昌寧). 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인 성중엄(成重淹)의 아들로, 통덕랑(通德郞)에 이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문사>유학
-
성희문(成希文)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성완(成玩)의 아들로, 중종반정(中宗反正)에 참여하여 원종공신(原從功臣)에 책록되고, 사헌부 감찰(司憲府監察)ㆍ현풍 현감(玄風縣監) 등을 역임함.
1477~152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성희안(成希顔)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박원종(朴元宗) 등과 함께 중종반정(中宗反正)을 주도하여 정국공신(靖國功臣)에 책록되었고, 주청사(奏請使)로 명(明) 나라에 가서 반정의 당위성을 설명함. 영의정(領議政) 등을 지냄.
1461~151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성희옹(成希雍)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성희안(成希顔)의 아우로, 함께 중종반정(中宗反正)에 참여하여 정국공신(靖國功臣)에 책록되고, 창성군(昌城君)에 봉해짐.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성희증(成希曾)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 성찬(成瓚)의 아들이자 성희안(成希顔)의 형으로, 1480년(성종 11)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홍문관 정자(弘文館正字)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문신
-
세거우(洗車雨)
칠석(七夕) 전날인 음력 7월 6일에 내리는 비를 일컫는 말. 견우(牽牛)와 직녀(織女)가 서로 타고 갈 수레를 씻기 때문에 내리는 비라 함.
사상>현상>자연현상
-
세덕사(世德祠)@창녕
조선 선조(宣祖) 때 경상도 창녕(昌寧)의 물계(勿溪)에 세운 사당. 성삼문(成三問)ㆍ성수침(成守琛)ㆍ성윤해(成允諧)ㆍ성혼(成渾) 등을 배향함.
158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유적>건물>사당
-
세덕사(世德祠)@안동
조선 숙종(肅宗) 때 경상도 안동(安東)에 건립한 사당. 1699년(숙종 25) 행정(杏亭) 탁순창(卓順昌)이 선조인 탁광무(卓光茂)ㆍ탁신(卓愼)의 위패(位牌)를 봉안함.
1699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유적>건물>사당
-
세류영(細柳營)
중국 한(漢) 나라 문제(文帝) 때의 명장인 주아부(周亞夫)가 흉노(匈奴)를 방어하기 위하여 세류(細柳)에 친 진(陣)의 군율(軍律)이 매우 엄정하였던 고사에서 온 말. 장군의 진영, 또는 군기가 엄정한 군영을 일컬음.
중국>전한 , 중국 , 사상>술어>고사성어
-
세병마(洗兵馬)
중국 당(唐) 나라의 시인인 두보(杜甫)가 지은 시. 48구(句) 336자(字)로 이루어진 칠언시(七言詩)로, 안녹산(安祿山)의 난(亂)을 평정한 공신(功臣)을 찬양하고 영원히 전쟁이 종식되어 태평한 세상이 되기를 바라는 내용임.
757 중국>당 , 중국 , 문헌>작품명
-
세설신어(世說新語)
중국 남북조시대 송(宋) 나라의 문신ㆍ문인인 유의경(劉義慶)이 편찬한 일화집(逸話集). 후한(後漢) 말부터 동진(東晉)까지의 명사(名士)들의 생활과 언행 등을 기록한 책으로, 36편(篇) 1000여 항목으로 구성됨.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문헌>서명
-
세조(世祖)@후연
중국 남북조시대 오호십육국(五胡十六國) 후연(後燕)의 제1대 황제. 재위 384~396. 전연(前燕)을 세운 모용황(慕容皝)의 아들로, 전진(前秦)의 부견(苻堅)에게 망명하여 세력을 키운 후 칭제(稱帝)하여 화북(華北) 동부를 평정함.
326~396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세조(世祖)@고려
고려 태조(太祖) 왕건(王建)의 아버지. 통일신라 송악군(松嶽郡)의 사찬(沙飡)으로 있다가 진성여왕(眞聖女王) 때 궁예(弓裔)에게 귀복하여 금성 태수(金城太守)를 지냈으며, 태조 때에 추존됨.
?~897 한국>통일신라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세조(世祖)@조선
조선 제7대 왕. 재위 1455~1468. 세종(世宗)의 둘째 아들이며, 문종(文宗)의 아우. 계유정난(癸酉靖難)을 통해 집권한 후 국방ㆍ외교ㆍ경제ㆍ문화 등 여러 방면의 개혁을 추진함.
1417~146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국왕
-
세조(世祖)@남북조(전진)
중국 남북조시대 전진(前秦)의 제3대 황제. 재위 357~385. 태학(太學)을 정비하고 학문을 장려하며 전연(前燕)과 전량(前凉)을 멸하고 강북(江北) 지방을 통일하였으나, 동진(東晉) 공략 때 비수(淝水) 전투에서 대패하고, 후진(後秦)의 요장(姚萇)에게 살해됨.
338~385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세조(世祖)@원
몽고 제국의 제5대 칸으로, 중국 원(元) 나라의 시조. 재위 1260~1294. 칭기즈 칸의 손자이며, 예종(睿宗)의 아들로, 일본ㆍ중앙아시아ㆍ유럽에까지 원정(遠征)하여 대제국을 건설함.
1215~1294 중국>원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세조실록(世祖實錄)
조선 제7대 세조(世祖)의 재위 13년간의 역사를 편년체(編年體)로 기록한 책. 활자본. 49권 42책. 신숙주(申叔舟)ㆍ강희맹(姜希孟)ㆍ한명회(韓明澮)ㆍ김수령(金壽寧)ㆍ양성지(梁誠之) 등이 참여하여 1469년(예종 원년)부터 편찬을 시작하였고, 1473년(성종 4)에 간행함.
1473 한국>조선전기 , 서울 , 문헌>서명
-
세종(世宗)@명
중국 명(明) 나라 제12대 황제. 재위 1521~1566. 흥헌왕(興獻王) 주유원(朱裕元)의 맏아들로, 재임 중 도교에 심취하여 엄숭(嚴嵩) 등의 난정을 초래함.
1507~1566 중국>명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세종(世宗)@오대십국(후주)
중국 오대십국(五代十國) 후주(後周)의 제2대 황제. 재위 954~959. 태조(太祖)의 양자(養子)로, 양자강(揚子江) 이북을 통일하고 내정을 안정적으로 통치하는 등 국가 체제를 확고히 정비함.
921~959 중국>오대십국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세종(世宗)@조선
조선 제4대 왕. 재위 1418~1450. 태종(太宗)의 셋째 아들. 집현전(集賢殿)을 두어 학문을 장려하고 훈민정음(訓民正音)을 창제하였으며, 육진(六鎭)을 개척하고 대마도(對馬島)를 정벌함.
1397~1450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국왕
-
세종대왕자태실(世宗大王子胎室)
경상북도 성주(星州) 선석산(禪石山)에 있는, 세종대왕(世宗大王)의 아들 19명의 태(胎)를 봉안한 곳. 각 태실(胎室)은 지하에 석실(石室)을 만들어 태항(胎缸)과 태주(胎主)의 이름, 생년월일을 음각한 지석(誌石)을 넣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성주 , 유적>건물>기타건물
-
세종실록(世宗實錄)
조선 제4대 세종(世宗)의 재위 32년간의 역사를 서술한 책. 활자본. 163권 154책. 황보인(皇甫仁)ㆍ김종서(金宗瑞)ㆍ정인지(鄭麟趾) 등이 참여하여 1454년(단종 2)에 필사본이 완성되었고, 1473년(성종 4)에 간행함.
1473 한국>조선전기 , 서울 , 문헌>서명
-
세종실록(世宗實錄)@명
중국 명(明) 나라 제12대 세종(世宗)의 재위 46년간의 역사를 서술한 책. 566권. 목종(穆宗) 때 서계(徐階) 등이 편수를 시작하여 신종(神宗) 때 장거정(張居正) 등이 완성함.
1577 중국>명 , 중국 , 문헌>서명
-
소^균(韶^鈞)
중국 고대 순(舜) 임금의 음악인 소소(簫韶)와, 춘추전국시대 진(秦) 나라 조간자(趙簡子)가 꿈에 하늘에 올라가서 들었다는 균천광악(鈞天廣樂)을 함께 부르는 말.
중국>춘추전국시대ㅣ고대 , 중국 , 기타>가무
-
소^길(召^吉)
중국 전한(前漢)의 어진 수령(守令) 소신신(召信臣)과 명재상 병길(丙吉)을 함께 부르는 말.
중국>전한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소^두(召^杜)
중국 전한(前漢) 때 남양 태수(南陽太守)로서 선정을 베푼 소신신(召信臣)과 후한(後漢) 때 남양 태수로서 선정을 베푼 두시(杜詩)를 함께 부르는 말.
중국>후한ㅣ중국>전한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소^봉(巢^封)
중국 당(唐) 나라 태종(太宗)의 아우 소자왕(巢刺王) 이원길(李元吉)과, 태종 때의 재상 봉륜(封倫)을 함께 부르는 말.
중국>당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소^선(騷^選)
중국 춘추전국시대 초(楚) 나라의 굴원(屈原)이 지은 장편 서사시(敍事詩) 《이소(離騷)》와, 남북조시대 양(梁) 나라의 소통(蕭統)이 엮은 《문선(文選)》을 함께 부르는 말.
중국>남북조시대ㅣ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문헌>기타문헌
-
소^아(騷^雅)
중국 춘추전국시대 초(楚) 나라의 굴원(屈原)이 지은 장편 서사시(敍事詩) 《이소(離騷)》와, 중국에서 가장 오래된 시집(詩集)인 《시경(詩經)》을 함께 부르는 말.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문헌>기타문헌
-
소^영(韶^英)
중국 고대 순(舜) 임금이 만든 음악인 소소(簫韶)와 제곡(帝嚳)이 만든 음악인 육영(六英)을 함께 부르는 말.
고대 , 중국 , 기타>가무
-
소^장(蘇^張)
중국 춘추전국시대 연(燕) 나라의 모사(謀士) 소진(蘇秦)과 위(魏) 나라의 모사 장의(張儀)를 함께 부르는 말.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소^장(邵^張)
중국 송(宋) 나라 인종(仁宗) 때의 학자인 소옹(邵雍)과 장재(張載)를 함께 부르는 말.
중국>송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소^조(蕭^曹)
중국 전한(前漢) 고조(高祖) 때의 개국공신(開國功臣)인 소하(蕭何)와 조참(曹參)을 함께 부르는 말.
중국>전한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소^주(蕭^朱)
중국 전한(前漢) 성제(成帝) 때의 문신인 소육(蕭育)과 그의 절친한 벗인 주박(朱博)을 함께 부르는 말.
중국>전한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소^함(韶^咸)
중국 고대 순(舜) 임금의 음악인 소소(簫韶)와 황제(黃帝)의 음악인 함지(咸池)를 함께 부르는 말.
고대 , 중국 , 기타>가무
-
소^항(蘇^杭)
중국 강소성(江蘇省)의 소주(蘇州)와 절강성(浙江省)의 항주(杭州)를 함께 부르는 말. 아름다운 고장을 가리킴.
중국 , 지명>기타지명
-
소^호(蘇^湖)
중국 강소성(江蘇省)의 소주(蘇州)와 절강성(浙江省)의 호주(湖州)를 함께 부르는 말.
중국 , 지명>기타지명
-
소^호(韶^濩)
중국 고대 순(舜) 임금이 지었다는 악곡인 소소(簫韶)와, 은(殷) 나라의 탕왕(湯王)이 지었다는 악곡인 대호(大濩) 함께 부르는 말. 태평성대의 음악을 가리킴.
중국>은ㅣ고대 , 중국 , 기타>가무
-
소개(小蓋)
후백제 시조(始祖)인 견훤(甄萱)의 동생. 아자개(阿慈介)의 다섯 번째 아들로, 능애(能哀)ㆍ용개(龍蓋)ㆍ보개(寶蓋) 등의 형이 있음.
한국>통일신라 , 인명>왕실>종친
-
소건(蘇建)
중국 전한(前漢) 무제(武帝) 때의 무신. 무제 때의 충신인 소무(蘇武)의 아버지로, 흉노(匈奴)를 공격한 공로로 평릉후(平陵侯)에 봉해짐. 소씨 무공파(蘇氏武功派)의 시조가 됨.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소경(蕭炅)
중국 당(唐) 나라의 문신. 이임보(李林甫)의 천거로 호부 시랑(戶部侍郞)이 됨. 무식하여 ‘증상복랍(蒸嘗伏臘)’을 ‘증상복렵(蒸嘗伏獵)’으로 잘못 읽은 일로 인하여 엄정지(嚴挺之)로부터 ‘복렵시랑(伏獵侍郞)’이라는 조롱을 당함.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소경(蘇慶)
신라 선덕여왕(善德女王)~신문왕(神文王) 때의 문신. 647년(진덕여왕 1)에 상대등(上大等)이 되고, 진덕여왕(眞德女王)이 죽은 후 왕위를 김춘추(金春秋)에게 사양함. 이후 진주(晉州)로 옮겨 가 진주소씨(晉州蘇氏)의 중시조가 됨.
577~686 한국>통일신라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소계서원(蘇溪書院)
조선시대 경상도 영천(永川)에 세워진 서원. 고려 말~조선 초의 문인ㆍ은자로서 두문동(杜門洞) 72현의 한 사람인 전귀생(田貴生)을 배향함.
한국>조선시대 , 경상도>영천(永川) , 유적>건물>서원,향교
-
소고산(小孤山)
강서성 팽택현(江西省 彭澤縣) 북쪽과 안휘성 숙성현(安徽省 宿松縣) 동쪽에 있는 산 이름. 속세에서는 계산(髻山)이라 불림. 팽려(彭廬)에 있는 대고산(大孤山)과 구별하여 소고라 부름.
중국 , 지명>자연지명
-
소고집(嘯皐集)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인 박승임(朴承任)의 문집. 제자 김륵(金玏)ㆍ오운(吳澐)ㆍ배응경(裵應褧) 등이 이산서원(伊山書院)에서 간행함.
1600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영천(榮川) , 문헌>서명
-
소공(召公)
중국 주(周) 나라의 종친. 문왕(文王)의 아들이며 무왕(武王)의 동생. 은(殷) 왕조의 후손 무경(武庚)의 반란을 진압하고 성왕(成王)을 옹립한 뒤 형 주공(周公)과 함께 성왕을 보필하여 왕조의 기반을 확립함.
중국>주 , 중국 , 인명>왕실>종친
-
소공(昭公)@춘추전국(송)
중국 춘추전국시대 송(宋) 나라의 제후. 재위 B.C.619~B.C.611. 성공(成公)의 아들로, 맹저(孟諸)에서 사냥하던 도중에 조모(祖母)인 양부인(襄夫人)과 결탁한 서제(庶弟) 문공(文公)에게 피살됨.
?~B.C.611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소공(昭公)@춘추전국(鄭)
중국 춘추전국시대 정(鄭) 나라의 4대ㆍ6대 제후. 재위 B.C.700, B.C.696~694. 아우 여공(厲公)과 제위를 다툼.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소공(蘇公)
중국 주(周) 나라의 제후. 친구인 포공(暴公)이 천자에게 자신을 참소하자 시 〈하인사(何人斯)〉를 지어 단절함.
중국>주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소공제(蘇公堤)
중국 송(宋) 나라 소식(蘇軾)이 쌓은 제방. 항주 자사(杭州刺使)로 있을 때 서호(西湖)에 쌓은 것과 광동(廣東) 혜주(惠州)로 좌천되었을 때 풍호(豐湖)에 쌓은 것이 있음.
중국>송 , 중국 , 유적>시설>기타시설
-
소광(疏廣)
중국 전한(前漢) 선제(宣帝) 때의 문신. 황태자의 태부(太傅)로 있으면서 관직과 명성이 점차 높아지자 떠나지 않으면 후회할 일이 생긴다고 하며, 소부(少傅)로 있던 조카 소수(疏受)와 함께 사임하고 낙향함.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소군사(昭君辭)
중국 전한(前漢) 원제(元帝)의 후궁인 왕소군(王昭君)의 일화를 주제로 한 악부시(樂府詩). 절세의 미인이었으나 화공에게 뇌물을 바치지 않아 얼굴이 추하게 그려져 원제의 사랑을 받지 못하고 흉노의 호한야 선우(呼韓邪單于)에게 시집간 내용으로, 이후 중국 문학의 소재로 자주 이용됨.
중국>전한 , 중국 , 문헌>작품명
-
소극선(蘇克善)
조선 전기의 유학. 우봉 현령(牛峯縣令) 민계량(閔季良)의 맏사위.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소도(蘇塗)
삼한시대(三韓時代) 천군(天君)을 선발하여 천신(天神)에게 제사를 지낸 지역. 각 읍마다 큰 나무를 세워 방울을 달아 놓고 두드리면서 제사 지내던 곳으로, 신성불가침의 권한을 가지며, 솟대의 기원이 여기에서 유래함.
고대 , 유적>기타유적
-
소릉하(小凌河)
중국 요녕성(遼寧省) 대릉하(大凌河)의 서쪽에 있는 강 이름. 하북성(河北省) 명안객라산(明安喀喇山)에서 발원하여 동남쪽으로 흐르다가 요동만(遼東灣)으로 흘러듦.
중국 , 지명>자연지명
-
소림사(少林寺)
중국 하남성(河南省) 등봉현(登封縣) 숭산(嵩山)에 있는 사찰. 남북조시대 북위(北魏)의 효문제(孝文帝)가 불타선사(佛陀禪師)를 위해 창건했다고 하며, 달마(達磨)의 면벽(面壁)과 혜가(慧可)의 단비(斷臂) 전설로 유명함.
496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유적>건물>사찰
-
소만(小蠻)
중국 당(唐) 나라 때의 기생. 시인 백거이(白居易)의 가기(家妓).
중국>당 , 중국 , 인명>기술인>기생
-
소망지(蕭望之)
중국 전한(前漢) 선제(宣帝)~원제(元帝) 때의 문신ㆍ학자. 홍공(弘恭)ㆍ석현(石顯) 등 환관의 전횡을 막아 제도를 개혁하려 하였으나 오히려 그들의 모함에 빠져 자살함.
B.C.106~B.C.47 중국>전한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소무(蘇武)
중국 전한(前漢) 무제(武帝)~선제(宣帝) 때의 충신. 무제 때 흉노(匈奴)에 사신으로 갔다가 억류되었으나 절개를 지키다가 19년 만에 돌아와 전속국(典屬國)이 되었으며, 후에 선제를 옹립한 공으로 관내후(關內侯)에 봉해짐.
?~B.C.60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소문사학사(蘇門四學士)
중국 송(宋) 나라의 문인인 소식(蘇軾)의 문하에서 인정을 받고 천거된 황정견(黃庭堅)ㆍ장뢰(張耒)ㆍ조보지(晁補之)ㆍ진관(秦觀)을 일컫는 말. 그들의 문학작품은 소식의 영향을 많이 받았음.
중국>송 , 중국 , 인명>집단>조직
-
소문쇄록(謏聞瑣錄)
조선 전기 역관(譯官)인 조신(曺伸)이 고려 말 조선 초에 활동한 문인(文人)들의 동향과 일화 등에 대한 내용을 기록한 잡록(雜錄). 현재 원본은 전해지지 않음.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소미도(蘇味道)
중국 당(唐) 나라의 문신ㆍ문인. 중종(中宗) 때 재상의 반열에 올랐으나 일 처리가 분명하지 못하여 ‘소모릉(蘇模棱)’으로 불림. 문장에 능하여 두심언(杜審言)ㆍ이교(李嶠)ㆍ최융(崔融) 등과 함께 ‘초당(初唐)의 문장사우(文章四友)’로 일컬어짐.
648~705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소백(召伯)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경대부. 선공(宣公) 때 왕손소(王孫蘇)와 권력을 다투다가 그의 사주를 받은 왕자첩(王子捷)에게 죽임을 당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소백산(小白山)
지금의 경상북도 영주시(榮州市) 순흥면(順興面)과 충청북도 단양군(丹陽郡) 가곡면(佳谷面) 경계에 있는 산. 예로부터 태백산(太白山)과 함께 신성시되었으며, 산세가 웅장하고 명승고적이 많음.
충청도>단양ㅣ경상도>영천(榮川) , 지명>자연지명
-
소백산맥(小白山脈)
태백산(太白山) 부근에서 갈라져 나와 남해안의 여수반도(麗水半島)까지 이어진 산맥. 경상도와 전라도의 분수령을 이루며, 예로부터 죽령(竹嶺)ㆍ조령(鳥嶺) 등 크고 작은 고개들이 주요 교통로로 이용됨.
지명>자연지명
-
소백온(邵伯溫)
중국 송(宋) 나라 휘종(徽宗) 때의 문신ㆍ학자. 소옹(邵雍)의 아들로, 정이(程頤)에게 수학하고 《역변혹(易辨惑)》ㆍ《견문록(見聞錄)》 등을 저술함. 태평관 제거(太平觀提舉) 등을 지냄.
1057~1134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소병(蘇昞)
중국 송(宋) 철종(哲宗) 때의 문신ㆍ학자. 처음에 장재(張載)에게 배웠으나 나중에 정호(程顥)ㆍ정이(程頤)의 문인이 되었으며, 태상박사(太常博士)를 역임함.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소보(巢父)
중국 고대 요(堯) 임금 때의 고사(高士). 요 임금으로부터 나라를 다스려달라는 이야기를 듣고 영수(穎水)로 가 귀를 씻던 허유(許由)에게 진정한 은둔에 대해 논함.
고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은자
-
소봉(蘇逢)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소세량(蘇世良)의 아들로, 1525년(중종 20) 식년시(式年試)에 급제하였고, 대사간(大司諫) 등을 역임함.
1509~1563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익산 , 인명>관인>문신
-
유수주시집(劉隨州詩集)
중국 당(唐) 나라의 시인인 유장경(劉長卿)의 시집. 11권.
중국>당 , 중국 , 문헌>서명
-
유수창(柳壽昌)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풍산(豊山). 청송 부사(靑松府使)를 지낸 유양춘(柳陽春)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유학
-
유수천(柳壽千)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문화(文化). 공조 판서(工曹判書)를 지낸 유잠(柳潛)의 아버지로, 내자시 판관(內資寺判官)ㆍ귀후서 별제(歸厚署別提)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문화 , 인명>관인>문신
-
유숙(柳淑)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기철(奇轍) 일당을 제거한 공으로 안사공신(安社功臣)에 책록되고, 홍건적의 난 때 공민왕을 호종한 공으로 충근절의찬화공신(忠勤節義贊化功臣)이 된 뒤 서령군(瑞寧君)에 봉해짐.
1324~1368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덕산ㅣ전라도>영광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유숙(柳潚)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흥양(興陽). 예조 참의ㆍ대사간ㆍ부제학 등을 지냈으나, 인조반정(仁祖反正) 이후 계부(季父) 유몽인(柳夢寅)의 죄에 연루되어 유배되었다가 풀려남. 고산(高山)의 삼현영당(三賢影堂)에 제향됨.
1564~1636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흥양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