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유순(庾純)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문신. 중서령(中書令)ㆍ시중(侍中) 등을 지냈으며, 당시 권신 가충(賈充)과 대립함.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유순(柳洵)
조선 세조(世祖)~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문화(文化). 중종반정(中宗反正) 때 정국공신(靖國功臣) 문성부원군(文城府院君)에 봉해짐. 시부(詩賦)에 뛰어나 《연주시격(聯珠詩格)》을 한글로 번역하고, 의학ㆍ지리학에도 조예가 깊음.
1441~1517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유순(柳淳)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문화(文化). 밀직사사(密直司使) 유언침(柳彦琛)의 아들로, 한림학사(翰林學士)를 지냈음.
한국>고려후기 , 황해도>문화 , 인명>관인>문신
-
유순보(柳順甫)
조선 전기의 유학. 권호문(權好文)의 《송암집(松巖集)》에 그와 관련된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유순선(柳順善)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호조 참판(戶曹參判) 유유(柳柔)의 아들이며, 유종선(柳從善)의 형으로, 승정원 승지(承政院承旨)ㆍ강원도 관찰사(江原道觀察使) 등을 지냄.
1516~157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유순원(柳順源)
조전 전기의 문신. 《모재집(慕齋集)》에 〈유생원순원자진림정(柳生員順源子晉林亭)〉 등의 시(詩)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성주 , 인명>관인>문신
-
유순익(柳舜翼)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이황(李滉)의 문인(門人)으로, 인조반정(仁祖反正) 때 궁궐 호위를 완화시키는 임무를 수행하여 정사공신(靖社功臣)에 책록되고, 청천군(菁川君)에 봉해짐.
1559~1632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유순정(柳順汀)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김종직(金宗直)의 문인. 중종반정(中宗反正)에 참여해 정국공신(靖國功臣) 청천부원군(菁川府院君)에 봉해짐. 경오왜변(庚午倭變) 때 병사를 총괄하고 삼포(三浦)의 난을 평정함.
1459~151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유숭조(柳崇祖)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전주(全州). 대사성(大司成)ㆍ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등을 지냄. 도학정치(道學政治)를 실현하려던 성리학자로, 조광조(趙光祖) 등 신진 유림을 배출하는 데 공이 큼. 저서로 《진일재집(眞一齋集)》이 있음.
1452~1512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유숭지(劉崇之)
중국 송(宋) 나라 영종(寧宗) 때의 문신. 주희(朱熹)의 문인(門人)으로, 병부 낭중(兵部郞中)ㆍ호부 낭중(戶部郎中) 등을 역임함.
1154~1210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유습(柳濕)
고려 후기~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고려 말 도첨의시중(都僉議侍中)을 지낸 유탁(柳濯)의 아들로, 전주유씨(全州柳氏)의 시조. 조선 건국 후 이조 전서(吏曹典書)ㆍ중군 도총제(中軍都摠制) 등을 지냄.
1367~1439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흥양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유승(劉勝)
중국 전한(前漢) 경제(景帝)의 아들. 삼국시대(三國時代) 촉(蜀)을 세운 유비(劉備)의 선조(先祖)로 중산정왕(中山靖王)에 봉해짐.
중국>전한 , 중국 , 인명>왕실>왕자
-
유승(柳陞)
고려 충렬왕(忠烈王) 때의 학자ㆍ문신. 본관은 문화(文化). 문화군(文化君) 유인기(柳仁奇)와 예문관 대제학(藝文館大提學)을 지낸 유돈(柳墩)의 아버지. 동지밀직사사(同知密直司事)ㆍ도첨의참리(都僉議參理)를 지냈으며, 저서로 《신의(新儀)》가 있음.
1248~1298 한국>고려후기 , 황해도>문화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유승단(兪升旦)
고려 명종(明宗)~고종(高宗) 때의 문신. 몽고(蒙古)의 침략을 피하기 위해 강화(江華)로 천도하려는 최우(崔瑀)의 계획에 반대함. 경사(經史)에 조예가 깊고 불전(佛典)에도 능통했음.
1168~1232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인동 , 인명>관인>문신
-
유승선(柳承善)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강음 현감(江陰縣監)을 지낸 유정(柳貞)의 아들로, 1546년(명종 1)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해주 목사(海州牧使)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유승순(柳承順)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문화(文化). 사육신(死六臣)의 한 사람인 유성원(柳誠源)의 형이자, 이조 정랑(吏曹正郞)을 지낸 유계분(柳桂芬)의 아버지로, 참의(參議)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문화 , 인명>관인>문신
-
유승종(兪承宗)
중국 명(明) 나라 신종(神宗) 때의 문신.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일본으로 가는 명 나라 책사(冊使) 이종성(李宗城)을 수행하여 조선에 왔으며, 접반사(接伴使)인 이항복(李恒福)과 가깝게 지냄. 시문(詩文)에 능하고 서법(書法)에도 뛰어남.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유승현(柳升鉉)
조선 숙종(肅宗)~영조(英祖)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영조(英祖) 때 학자인 유도원(柳道源)의 아버지로, 1719년(숙종 45) 증광시(增廣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공조 참의(工曹參議)를 지냄. 저서로 《용와집(慵窩集)》이 있음.
1680~174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유시번(柳時蕃)@1616
조선 효종(孝宗)~숙종(肅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유찬(柳燦)의 아들로, 1657년(효종 8) 알성시(謁聖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봉상시 주부(奉常寺主簿)ㆍ창원 부사(昌原府使)를 지냄.
1616~1692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유시번(柳時蕃)@1569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문화(文化). 손처눌(孫處訥)의 제자로, 1755년(영조 31) 청호서원(靑湖書院)에 배향됨.
1569~1616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문화 , 인명>문사>유학
-
유시보(柳時輔)
조선 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정사공신(靖社功臣)에 책록된 유구(柳䪷)의 아버지로, 횡성 현감(橫城縣監)을 지냄.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유식(柳植)
조선 전기의 유학. 김인후(金麟厚)의 《하서집(河西集)》에, 그가 술그릇과 화분을 보내준 데 대해 사례하는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유식(柳軾)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참판(參判)을 지낸 유윤덕(柳潤德)의 아버지로, 1507년(중종 2) 증광시(增廣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인천 부사(仁川府使)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유신(劉信)
중국 전한(前漢) 때의 제후. 고조(高祖)의 조카로, 서주(舒州) 지역의 토지를 구획하고 경지를 정리하였으며 농수 공급과 홍수 방지를 위한 방죽을 쌓았음.
중국>전한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유신(劉晨)
중국 후한(後漢) 명제(明帝) 때의 서생(書生). 전설에 완조(阮肇)와 함께 천태산(天台山)에 약초를 캐러 갔다가 선녀를 만나 혼인한 후 반년 만에 고향이 그리워 돌아와 보니, 자손이 이미 7대까지 내려가 있었다는 이야기가 전함.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기타인명>은자
-
유신(庾信)
중국 남북조시대 양(梁) 나라의 시인(詩人). 서능(徐陵)과 함께 화려한 궁체시(宮體詩)를 즐겨 지음. 북조(北朝) 서위(西魏)에 사신으로 갔다가 억류당한 뒤 청신한 시풍(詩風)으로 바뀌어 남북조 시문(詩文)을 집대성함.
513~581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유신(惟信)
조선 전기의 승려. 법장(法藏)의 제자로, 팔공산(八公山)의 사리사(闍梨寺)에서 수행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대구 , 인명>종교인>승려
-
유실(劉實)
중국 명(明) 나라 선종(宣宗)~영종(英宗) 때의 문신. 《송원통감강목(宋元通鑒綱目)》 편수에 참여하고 지남웅부(知南雄府) 등을 역임하였으나, 무함을 당하여 하옥되었다가 죽음.
1396~1461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유심(劉諶)
중국 삼국시대 촉한(蜀漢) 후주(後主)의 아들. 후주 유선(劉禪)이 위(魏) 나라에 패하여 항복하려 할 때 끝까지 싸울 것을 요청하였으나 후주가 듣지 않자 먼저 처자(妻子)를 죽이고 자살함.
238~263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왕자
-
유심춘(柳尋春)
조선 정조(正祖)~철종(哲宗) 때의 문신. 본관은 풍산(豊山). 유광수(柳光洙)의 아들로, 유발(柳潑)에게 출계함. 평소 《주자대전(朱子大全)》을 탐독하여 성리학에 조예가 깊고 시문(詩文)에도 능함.
1762~1834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유안(劉安)
중국 전한(前漢)의 학자. 고조(高祖)의 손자. 빈객들과 함께 도가(道家) 사상에 의한 통일된 이론서 《회남자(淮南子)》를 저술하여 당시 유교(儒敎) 중심의 이론에 대항함. 무제(武帝) 때 반역을 기도했다가 실패한 뒤 자살함.
B.C.179~B.C.122 중국>전한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왕실>제후
-
유안세(劉安世)
중국 송(宋) 나라 때의 문신. 사마광(司馬光)의 제자. 간의대부(諫議大夫)로 직간(直諫)을 잘해 전상호(殿上虎)라는 별명을 얻음. 강직한 성품 때문에 평생 벽지(僻地)로 전전하며 귀양살이를 함.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유안택(柳安澤)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문화(文化). 우의정(右議政)을 지낸 유관(柳寬)의 아버지로, 삼사 판관(三司判官)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인명>관인>문신
-
유약(劉爚)
중국 송(宋) 나라 때의 문신ㆍ학자. 주희(朱熹)ㆍ여조겸(呂祖謙)에게 학문을 전수 받고, 공부 상서(工部尙書)를 지냄.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유약(有若)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학자. 공자(孔子)의 제자로, 공자의 모습과 닮아 공자가 죽은 뒤 제자들이 그를 스승처럼 섬기려 하였으나 증삼(曾參)의 반박으로 무산됨.
B.C.518~?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유약(柳瀹)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서산(瑞山)으로, 자신(子新) 유종덕(柳種德)의 장남.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서산 , 인명>문사>유학
-
유양(劉襄)
중국 전한(前漢)의 제(齊) 도혜왕(悼惠王) 유비(劉肥)의 아들. 혜제(惠帝) 때 유비(劉肥)의 뒤를 이어 제왕(齊王)이 됨.
중국>전한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유양(柳壤)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청천부원군(菁川府院君) 유순정(柳順汀)의 아버지로, 밀양도호부사(密陽都護府使)ㆍ광주 목사(光州牧使)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문화 , 인명>관인>문신
-
유양손(柳良孫)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문화(文化). 용양위 사과(龍驤衛司果)를 지낸 유공좌(柳公佐)의 아버지로, 전생서 영(典牲署令)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문화 , 인명>관인>문신
-
유양식(柳陽植)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도지휘사(都指揮使)를 지낸 유의(柳依)의 아들로, 이조 참판(吏曹參判)을 지냈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유양춘(柳陽春)
조선 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풍산(豊山). 유수창(柳壽昌)의 아들로 청송 부사(靑松府使)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유언술(兪彦述)
조선 영조(英祖) 때의 문신. 본관은 기계(杞溪)로, 유복기(兪復基)의 아들. 직간(直諫)을 잘하여 영조에게 인정받았으며, 대사헌(大司憲)ㆍ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 등을 역임함.
1703~1773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유언침(柳彦琛)
고려 고종(高宗) 때의 문신. 본관은 문화(文化). 정당문학(政堂文學)을 지낸 유공권(柳公權)의 아들로, 동지추밀원사(同知樞密院事)를 지냄.
한국>고려후기 , 황해도>문화 , 인명>관인>문신
-
유엄(柳渰)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문화(文化). 1507년(중종 2)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금부도사(禁府都事)로 조광조(趙光祖)에게 사약(賜藥)을 전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유여(劉餘)
중국 전한(前漢) 경제(景帝)의 다섯째 아들. 경제 때 노공왕(魯恭王)에 봉해졌으며, 궁실(宮室) 치장을 좋아하여 확장 공사를 위해 공자(孔子)의 구택(舊宅)을 헐다가 벽 속에서 《상서(尙書)》ㆍ《논어(論語)》등의 고본(古本)을 발견함.
?~B.C.128 중국>전한 , 중국 , 인명>왕실>왕자ㅣ인명>왕실>제후
-
유여(柳袽)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풍산(豊山). 풍원부원군(豐原府院君) 유성룡(柳成龍)의 아들이며, 정경세(鄭經世)의 문인인 유원지(柳元之)의 아버지로, 장수도 찰방(長水道察訪)을 지냈으며, 성리학에 조예가 깊음.
1578~1605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유여각(柳汝恪)
조선 광해군(光海君)~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참찬(參贊) 유간(柳澗)의 아들로, 1613년(광해군 5) 증광시(增廣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동래 부사(東萊府使)ㆍ강계 부사(江界府使) 등을 지냄.
1589~?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유여림(兪汝霖)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기계(杞溪)로,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를 지낸 유기창(兪起昌)의 아들. 1504년(연산군 10)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호조 판서(戶曹判書)ㆍ예조 판서(禮曹判書) 등을 지냄. 저서로 《정당선생유고(政堂先生遺稿)》가 있음.
1476~153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유여의(劉如意)
중국 전한(前漢) 고조(高祖)의 넷째 아들. 척부인(戚夫人)의 소생으로, 고조가 태자 유영(劉盈)를 폐하고 그를 세우려 하였으나 여후(呂后)와 대신들의 반대로 무산되었으며, 고조가 죽은 후 여후에게 독살당함.
B.C.201~B.C.194 중국>전한 , 중국 , 인명>왕실>왕자ㅣ인명>왕실>제후
-
유여주(兪汝舟)
조선 전기의 유학. 중종(中宗) 때 현량과(賢良科)에 추천을 받았으나 급제하지 못하고, 기묘사화(己卯士禍)가 일어나자 비인(庇仁)에 은거하여 임벽당(林碧堂)을 짓고 독서와 서예로 일생을 마침.
1480~?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비인 , 인명>문사>유학
-
유여항(柳汝恒)
조선 광해군(光海君)~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로, 참찬(參贊) 유간(柳澗)의 아들. 승정원 승지(承政院承旨) 등을 역임하였으며, 이괄(李适)의 난(亂) 후 고문으로 죽음.
1581~1624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유여해(兪汝諧)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기계(杞溪). 유기창(兪起昌)의 아들로, 군기시 판관(軍器寺判官)을 지냄.
1461~151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유연(劉縯)
중국 후한(後漢) 광무제(光武帝)의 큰 형. 신(新) 나라 왕망(王莽)의 군대를 격파하는데 공로가 있었으나, 경시제(更始帝) 유현(劉玄)에게 죽임을 당함.
?~23 중국>신 , 중국 , 인명>왕실>종친
-
유연(柳埏)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로, 경상도 관찰사(慶尙道觀察使)를 지낸 유영순(柳永詢)의 아버지. 배천 군수(白川郡守)ㆍ함흥 판관(咸興判官)을 지내고, 후에 좌찬성(左贊成)에 추증됨.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문신
-
유연당문집(悠然堂文集)
조선 선조(宣祖) 때 문신인 김대현(金大賢)의 문집. 4권 2책으로 구성된 목활자본이나, 간행 연대나 편찬 과정은 불확실함.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유연생(柳衍生)
조선 세종(世宗) 때의 유학. 기생 예성화(芮城花)를 빼앗기자 김보중(金寶重)ㆍ양여공(梁汝恭) 등을 반역죄로 무고하여 죽게 하고, 자신도 결국 난언죄(亂言罪)로 처형당함.
?~1431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충주 , 인명>문사>유학
-
유염(兪琰)
중국 송(宋) 말~원(元) 초의 학자. 송 나라가 망하자 벼슬하지 않고 저술에 전념하여 《주역참동계발휘(周易參同契發揮)》등 많은 저서를 남김.
중국>원ㅣ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유염(柳琰)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문화(文化)로, 문하평리(門下評理) 유혜손(柳惠蓀)의 아들. 조선 개국 후 이조 판서(吏曹判書)ㆍ대제학(大提學) 등을 지내고, 세종 때 청백리(淸白吏)에 녹선됨.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유영(劉英)
중국 후한(後漢) 광무제(光武帝)의 아들. 명제(明帝)의 동생으로, 황로(黃老)와 불교(佛敎)를 숭상했음. 명제(明帝) 때 모반죄로 처형당함.
중국>후한 , 중국 , 인명>왕실>왕자
-
유영(柳永)
중국 북송(北宋)의 문인. 사(詞)에 능숙하여, 북송의 주방언(周邦彦), 남송(南宋)의 강기(姜夔)ㆍ신기질(辛棄疾)과 함께 사대사인(四大詞人)으로 불림. 저서에 《악장집(樂章集)》이 있음.
987~1053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유영(柳泳)
조선 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문화(文化)로, 임진왜란 때 성절사(聖節使)로 파견되었던 유몽정(柳夢鼎)의 아들. 현감(縣監)을 지냄.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문화 , 인명>관인>문신
-
유영건(柳永健)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의정부 사인(議政府舍人) 유감(柳堪)의 아들로, 맹산 현감(孟山縣監)ㆍ괴산 군수(槐山郡守) 등을 지내고, 이직언(李直彦)ㆍ이원익(李元翼) 등과 교유함.
1535~1599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문신
-
유영겸(柳永謙)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통훈대부(通訓大夫) 유연(柳埏)의 아들이며 호조 참판(戶曹參判)을 지낸 유영순(柳永詢)의 형으로, 1582년(선조 15)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하고, 음보로 의금부 도사(義禁府都事)를 지냄.
1549~?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유영경(柳永慶)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호성공신(扈聖功臣)에 책록되고, 영의정에 오름. 소북(小北)의 영수로 영창대군(永昌大君)의 옹립을 꾀하려다 죽임을 당했으나, 인조반정(仁祖反正)으로 관작이 복구됨.
1550~1608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유영길(柳永吉)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참봉(參奉) 유의(柳儀)의 아들이며, 영의정 유영경(柳永慶)의 형으로, 시문(詩文)에 능하였으며, 예조 참판(禮曹參判)ㆍ경기도 관찰사(京畿道觀察使) 등을 역임함.
1538~1601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유영립(柳永立)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임진왜란 때 왜장에게 뇌물을 바치고 탈출한 일로 국위를 손상시켰다는 탄핵을 받고 파직되었으나, 유성룡(柳成龍)의 변호로 복직된 뒤 병조 참판(兵曹參判)을 지냄.
1537~1599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유영문(柳榮門)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유학. 본관은 진주(晉州). 예빈시 별제(禮賓寺別提)를 지낸 유윤(柳潤)의 아들로, 1540년(중종 35)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유영석(柳永錫)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문화(文化). 선조(宣祖) 때 정랑(正郞) 등을 지낸 유덕종(柳德種)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문화 , 인명>문사>유학
-
유영순(柳永詢)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로, 배천 군수(白川郡守) 유연(柳埏)의 아들. 경상도 관찰사(慶尙道觀察使)ㆍ호조 참판(戶曹參判) 등을 역임하였으며, 임진왜란 와중에 아버지와 형을 잃고 정유재란 때 복수군(復讐軍)을 조직하기도 함.
1552~1630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유영식(柳永植)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서산(瑞山). 유혜적(柳惠迪)의 셋째 아들.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서산 , 인명>문사>유학
-
유예선(柳禮善)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문화(文化). 선조(宣祖) 때 영의정(領議政) 등을 역임한 유전(柳㙉)의 아버지로, 상서원 직장(尙瑞院直長)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문화 , 인명>관인>문신
-
유오(柳澳)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서산(瑞山)으로, 자윤(子潤) 유종인(柳種仁)의 아들.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서산 , 인명>문사>유학
-
유옥(柳沃)@유세훈의아버지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무신. 본관은 문화(文化). 학자 유세훈(柳世勛)의 아버지로, 충의위(忠義衛)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문화 , 인명>관인>무신
-
유옥(柳沃)@유문표의아들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문화(文化). 박상(朴祥)ㆍ김정(金淨) 등과 연명으로 단경왕후(端敬王后) 신씨(愼氏)의 복위를 청하고 신씨를 폐위시켰던 훈신(勳臣)들의 죄를 규탄하는 상소를 올림.
1487~1519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창평 , 인명>관인>문신
-
유온(劉韞)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 유갑(柳韐)의 동생으로, 조산대부(朝散大夫)를 지내고, 은거하여 정원의 화목(花木)을 즐기며 시를 읊음.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유왕(幽王)
중국 주(周) 나라 제12대 왕. 포사(褒姒)를 총애하고 주색(酒色)에 빠져 국사를 돌보지 않다가, 견융(犬戎)의 침공을 받아 여산(驪山)에서 살해됨.
?~B.C.771 중국>주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유요부(劉堯夫)
중국 송(宋) 나라 때의 학자. 육구연(陸九淵)의 제자. 주희(朱熹)를 만난 자리에서 육구연의 학문을 비난하다가 주희에게 비난받음.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유용(柳墉)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무신. 본관은 문화(文化). 도호부사(都護府使) 유백손(柳伯孫)의 아들로, 양산 군수(梁山郡守)ㆍ전라우도 절도사(全羅右道節度使)를 지냈음.
1470~153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김해 , 인명>관인>무신
-
유용공(柳用恭)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문화(文化). 부제학(副提學)을 지낸 유희저(柳希渚)의 아들이며, 형조 정랑(刑曹正郞) 등을 지낸 유몽익(柳夢翼)의 아버지로, 사헌부 감찰(司憲府監察)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문신
-
유용근(柳庸謹)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로, 이조 판서(吏曹判書)를 지낸 유빈(柳濱)의 아들. 조광조(趙光祖) 일파로 지목되어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진원(珍原)에 유배됨.
1485~152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유용량(柳用良)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문화(文化). 부제학(副提學)을 지낸 유희저(柳希渚)의 아들이며, 임진왜란 때 성절사(聖節使)로 공을 세웠던 유몽정(柳夢鼎)의 아버지로, 사헌부 감찰(司憲府監察)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문화 , 인명>관인>문신
-
유용심(柳用諶)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문화(文化)로, 영암 군수(靈巖郡守)를 지낸 유희정(柳希汀)의 아들. 김안국(金安國)의 문하에서 유학하였으며, 문장(文章)에 능하였고 해서(楷書)를 잘 썼음.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문화 , 인명>문사>유학
-
유우(劉宇)
중국 전한(前漢) 선제(宣帝)의 아들. 원제(元帝)가 즉위한 후 전횡(專橫)하였음.
?~B.C.21 중국>전한 , 중국 , 인명>왕실>왕자ㅣ인명>왕실>제후
-
유우(柳藕)
조선 중종(中宗) 때의 학자. 본관은 진주(晉州). 갑자사화(甲子士禍)로 스승 김굉필(金宏弼)이 죽자 벼슬을 단념하고 학문과 교육에 전심함. 《주역(周易)》에 정밀하고, 천문ㆍ복서(卜筮)ㆍ음률ㆍ서화에도 정통함.
1473~153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문사>학자
-
유우삼(劉友參)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거창(居昌)으로, 기자전 참봉(箕子殿參奉)을 지낸 유관(劉瓘)의 아들.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거창 , 인명>문사>유학
-
유우석(劉禹錫)
중국 당(唐) 나라 덕종(德宗)~무종(武宗) 때의 문신ㆍ시인. 왕숙문(王叔文)ㆍ유종원(柳宗元) 등과 함께 정치 개혁을 시도하였으나 낭주 사마(朗州司馬)로 좌천되고, 만년에는 백낙천(白樂天)과 교유함.
772~842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유운(劉雲)
중국 전한(前漢) 애제(哀帝) 때의 제후. 애제 즉위 초에 모반(謀反)을 일으키려 한다는 식부궁(息夫躬)의 무고(誣告)로 치죄(治罪)를 받게 되자 자살하였으며, 뒤에 기시(棄市)됨.
중국>전한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유운(柳澐)
조선 영조(英祖)~정조(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풍산(豊山). 정조(正祖) 때 도사(都事) 등을 지낸 유종춘(柳宗春)의 아버지로, 황간 현감(黃澗縣監) 등을 지내고 가의대부(嘉義大夫)에 올랐으며, 풍창군(豊昌君)에 습봉(襲封)됨.
1701~1768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유운(柳雲)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문화(文化)로, 유공좌(柳公佐)의 아들. 기묘사화 때 대사헌(大司憲)으로서 조광조(趙光祖)를 구원하려다가 파직당한 뒤 낙향하여 술로 울분을 달래다 죽음. 편저로 《진수해범(進修楷範)》이 있음.
1485~1528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안성 , 인명>관인>문신
-
유운룡(柳雲龍)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유성룡(柳成龍)의 형이며 이황(李滉)의 문인.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풍기 군수(豊基郡守)로 부임하여 백성들의 생업을 보호하는 데 힘썼으며, 효성이 지극함.
1539~1601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유원(劉遠)
중국 명(明) 나라 세종(世宗) 때의 문신. 1545년 조선 인종(仁宗)의 국상(國喪) 때 태감(太監)으로서 행인(行人) 왕학(王鶴)과 함께 황제가 내린 제전(祭典)ㆍ시호(諡號)ㆍ부의(賻儀)를 가지고 사신으로 옴.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유원(柳源)
고려 공민왕(恭愍王)~공양왕(恭讓王)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삼중대광 진천군(三重大匡晉川君)에 봉해진 유지정(柳之淀)의 아들로, 정몽주(鄭夢周) 등과 함께 북방 수비에 공을 전력하고, 지공거(知貢擧)로서 과거를 관장함.
1341~1392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유원강(留元剛)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 국사원 편수관(國史院編修官)ㆍ실록원 검토관(實錄院檢討官) 등을 지냈으며, 저서로 《운록집(雲麓集)》 등이 있음.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유원리(柳元履)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풍산(豊山). 숙종(肅宗) 때 사간원 헌납(司諫院獻納) 등을 지낸 유세명(柳世鳴)의 아버지로, 현감(縣監)을 지냄.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유원지(柳元之)
조선 인조(仁祖)~현종(顯宗) 때의 문신ㆍ학자. 유성룡(柳成龍)의 손자이며, 정경세(鄭經世)의 문인으로, 경서(經書)ㆍ제자서(諸子書)에 능통함. 이황(李滉)의 이발기발설(理發氣發說)에 동조하고, 효종(孝宗)의 복상문제(服喪問題) 때 삼년설을 주장함.
1598~1674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유원총보(類苑叢寶)
조선 인조(仁祖) 때의 문신ㆍ학자인 김육(金堉)이 엮은 유서(類書). 목판본. 46권 30책. 1643년(인조 21)에 남선(南銑)이 간행함. 저자가 중국의 여러 서적을 참고하여 편찬한 일종의 백과사전으로, 천도(天道)ㆍ천시(天時)ㆍ지도(地道)ㆍ제왕(帝王) 등 25문(門)으로 나누어 편집함.
1643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문헌>서명
-
유원현(柳元顯)
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본관은 문화(文化). 고려 후기의 문신인 문화군(文化君) 유진(柳鎭)의 아들로, 검교(檢校)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춘천 , 인명>관인>문신
-
유유(柳柔)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승정원 승지(承政院承旨)를 지낸 유순선(柳順善)과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를 지낸 유종선(柳從善)의 아버지로, 호조 참판(戶曹參判)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유유기(柳有奇)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고흥(高興). 공민왕(恭愍王) 때 도첨의 시중(都僉議侍中) 등을 지낸 유탁(柳濯)의 아버지로, 판밀직사사(判密直司事) 등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흥양 , 인명>관인>문신
-
유유춘(柳有春)
조선 후기의 무신. 본관은 문화(文化). 선조(宣祖) 때 교리(校理)를 지낸 유중룡(柳仲龍)의 아버지로 충의위(忠義衛)를 지냄.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문화 , 인명>관인>무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