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유윤(柳潤)
조선 중종(中宗) 때의 생원. 본관은 문화(文化). 대구부 교수(大丘府敎授)를 지낸 유종(柳從)의 아들로, 1513년(중종 8)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성주 , 인명>문사>유학
-
유윤겸(柳允謙)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 《분류두공부시언해(分類杜工部詩諺解)》25권을 완성하여 강희안(姜希顔)의 필체인 을해자(乙亥字)로 간행하고, 서거정(徐居正)ㆍ노사신(盧思愼) 등과 함께 《연주시격(聯珠詩格)》과 《황산곡시집(黃山谷詩集)》을 번역함.
1420~?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서산 , 인명>관인>문신
-
유윤덕(柳潤德)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로, 홍문관 전한(弘文館典翰)을 지낸 유식(柳軾)의 아들. 대사헌(大司憲)ㆍ도승지(都承旨)ㆍ전라도 관찰사(全羅道觀察使) 등을 역임함.
1489~?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문신
-
유은(柳溵)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흥양(興陽). 유충정(柳忠貞)의 아들로, 1570년(선조 3) 식년시(式年試)에 급제하였으며, 좌랑(佐郞)을 역임함.
1540~?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문신
-
유은지(柳殷之)
조선 태종(太宗)~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문화(文化). 세조(世祖)를 도와 정난공신(靖難功臣)이 된 유수(柳洙)의 아버지로 동지중추원사(同知中樞院事)를 지냄.
1370~1441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문화 , 인명>관인>문신
-
유응규(庾應圭)
고려 의종(毅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무송(茂松). 음보(蔭補)로 내시가 되었으나 무신의 난 이후 세운 여러 공으로 관직이 공부 시랑(工部侍郞)에 이름.
1131~1175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무장 , 인명>관인>문신
-
유응룡(柳應龍)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문화(文化)로, 영의정을 지낸 유순(柳洵)의 장남. 이조 참판(吏曹參判)ㆍ동지돈녕부사(同知敦寧府事) 등을 지냈음.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문화 , 인명>관인>문신
-
유응부(兪應孚)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무신. 본관은 기계(杞溪). 단종(端宗)을 위하여 사절(死節)한 사육신(死六臣)의 한 사람. 무신이면서도 유학에 뜻이 깊고, 절개(節介)ㆍ충의(忠義)의 상징으로 추앙받음.
?~1456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포천 , 인명>관인>무신
-
유의(柳依)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이조 참판(吏曹參判)을 지낸 유양식(柳陽植)의 아버지로, 순문사(巡問使)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유의(柳儀)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선조(宣祖) 때 영의정(領議政)을 지낸 유영경(柳永慶)과 예조 참판(禮曹參判)을 지낸 유영길(柳永吉)의 아버지로, 참봉(參奉)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문신
-
유의검(兪義儉)
조선 연산군(燕山君)~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강진(康津). 양녕대군(讓寧大君)의 외손자로, 승문원 저작(承文院著作)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강진 , 인명>관인>문신
-
유의경(劉義慶)
중국 남북조시대 송(宋) 나라 문제(文帝) 때의 문신ㆍ문인. 무제(武帝) 유유(劉裕)의 조카로, 성품이 소박하고 문학을 좋아하여 《세설신어(世說新語)》ㆍ《유명록(幽明錄)》 등을 저술하였으며, 개부의동삼사(開府儀同三司) 등을 지냄.
403~444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종친
-
유이(劉彛)
중국 송(宋) 나라 인종(仁宗)~철종(哲宗) 때의 문신ㆍ문인. 호원(胡瑗)의 문인(門人)으로, 구산 영(胊山令) 시절 선정을 베풀었으나, 일로 인하여 제명되어 서민이 되었다가 철종 때 소환됨. 《수경주(水經注)》ㆍ《명선집(明善集)》등 많은 저술을 남김.
1017~1086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유이손(柳耳孫)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서화가. 도화서(圖畫署) 화원(畫員)으로 서예에도 능했으며, 사자청(寫字廳)의 설립을 최초로 건의하여 사자관(寫字官)을 지냄. 신정(申珽)ㆍ유항(柳沆)등이 번역한 유향(劉向)의 《열녀전(列女傳)》을 사자(寫字)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예술인>서화가
-
유인(劉因)
중국 원(元) 나라 세조(世祖) 때의 문신ㆍ학자. 학행(學行)이 뛰어나 집현전 학사(集賢殿學士) 등 여러 관직에 제수되었으나 사양함. 정주학(程朱學)을 신봉하여 허형(許衡)과 함께 원 나라의 이대가(二大家)로 일컬어짐.
1249~1293 중국>원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유인귀(柳仁貴)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로, 사간(司諫)을 지낸 유문통(柳文通)의 아들. 봉상시 정(奉常寺正)ㆍ성균관 대사성(成均館大司成)을 지냄.
1463~153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유인기(柳仁奇)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문화(文化)로, 지도첨의사사(知都僉議司事)를 지낸 유승(柳陞)의 아들.
한국>고려후기 , 황해도>문화 , 인명>관인>문신
-
유인비(柳仁庇)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문화(文化). 문하평리(門下評理) 유혜손(柳惠蓀)의 아버지로, 정당문학(政堂文學)ㆍ판시사(判寺事) 등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황해도>문화 , 인명>관인>문신
-
유인선(柳仁善)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ㆍ효자. 본관은 문화(文化). 유자미(柳自湄)의 재종손(再從孫)으로, 사산 감역(四山監役)을 역임함. 효성과 우애가 지극하여 조정에서 ‘효우문(孝友門)’을 정려(旌閭)하였으며, 양사언(楊士彦)이 〈효우문전(孝友門傳)〉을 지음.
1492~?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포천 , 인명>기타인명>효자ㅣ인명>관인>문신
-
유인수(柳仁洙)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문화(文化). 1513년(중종 8)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안변 부사(安邊府使)ㆍ사섬시 정(司贍寺正) 등을 지냄. 《대관재난고(大觀齋亂稿)》에 심의(沈義)가 보낸 글이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문화 , 인명>관인>문신
-
유인숙(柳仁淑)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공조 판서(工曹判書) 등을 지냄. 명종(明宗) 즉위 후 을사사화(乙巳士禍) 때 종사(宗嗣)를 모위하였다는 죄목으로 귀양가던 도중 사사(賜死)되었다가 선조(宣祖) 때 신원(伸寃)됨.
1485~1545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유인우(柳仁雨)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무신. 1356년(공민왕 5)에 동북면 병마사(東北面兵馬使)로 쌍성총관부(雙城摠管府)에 나가 이자춘(李子春) 부자의 내응을 얻어 총관부를 수복하고 옛 땅을 되찾음. 최유(崔濡)와 함께 덕흥군(德興君) 왕혜(王譓)를 옹립하려다가 잡혀 죽음.
?~1364 한국>고려후기 , 인명>관인>무신
-
유일재선생일고(唯一齋先生逸稿)
조선 선조(宣祖) 때의 학자인 김언기(金彦璣)의 시문집. 1700년대 후반에 후손들이 광산김씨(光山金氏) 3대의 시문집을 합편ㆍ간행한 《용산세고(龍山世稿)》권1,2에 수록됨.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유자(柳滋)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영의정(領議政)을 지낸 유순정(柳順汀)의 아들로 황간 현감(黃澗縣監)ㆍ금구 현령(金溝縣令) 등을 지냈음.
1491~153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유자공(柳自恭)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진주(晉州). 을사사화(乙巳士禍) 때 장살(杖殺)된 유정(柳貞)의 아버지로, 병조 참의(兵曹參議)에 추증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문사>유학
-
유자광(柳子光)
조선 세조(世祖)~중종(中宗) 때의 문신. 무오사화(戊午士禍)를 일으켜 사림파(士林派)를 제거하여 훈구파(勳舊派)의 기반을 굳힘. 중종반정 때 무령부원군(武靈府院君)으로 봉해졌다가 홍문관(弘文館)ㆍ예문관(藝文館)의 탄핵으로 유배되어 죽음.
?~1512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영광 , 인명>관인>문신
-
유자광전(柳子光傳)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인 남곤(南袞)의 저서. 무오사화(戊午士禍)의 주도자인 유자광(柳子光)에 대한 기록으로 사건의 전말을 당시의 안목으로 가장 쉽게 알아볼 수 있게 정리함.
한국>조선전기 , 문헌>작품명
-
유자도(柚子島)
경상도 거제(巨濟)의 북쪽에 있던 옛 고을 이름. 2개의 섬이 있으며, 온 섬에 유자나무가 있음. 현재 거제시 신현읍(新縣邑) 교도(橋島)를 말하며, 이순신(李舜臣) 장군이 진을 옮긴 적이 있음.
경상도>거제 , 지명>행정지명
-
유자량(庾資諒)
고려 명종(明宗)~고종(高宗) 때의 문신. 본관은 무송(茂松). 무인(武人)들과 교제하여 무신의 난 때 화를 면하였고, 내외직을 두루 역임한 뒤 상서좌복야(尙書左僕射)로 치사(致仕)하였음.
1150~1229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무장 , 인명>관인>문신
-
유자미(柳自湄)
조선 문종(文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문화(文化). 문종 때 감찰(監察) 등을 지냈으나 세조의 즉위 후 은거하여 평생 절의를 지킴. 글씨와 그림에 능하여 유작〈지곡송학도(芝谷松鶴圖)〉한 점이 전함. 양산(梁山)의 구산사(龜山祠)에 제향됨.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문화 , 인명>관인>문신
-
유자빈(柳自濱)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이조 참판(吏曹參判)을 지낸 유양식(柳陽植)의 아들로, 1462년(세조 8)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장원으로 합격한 뒤 의정부 사인(議政府舍人)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유자산문집(庾子山文集)
중국 남북조시대 양(梁) 나라의 시인(詩人)인 유신(庾信)의 저서. 20권. 남북조의 시문을 집대성하고 당대(唐代) 율시(律詩)의 선구가 된 저자의 시문을 수록함.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문헌>서명
-
유자신(柳自新)
조선 제15대 광해군(光海君)의 국구(國舅). 유잠(柳潛)의 아들이자 이담(李湛)의 문인으로,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선조(宣祖)와 세자 광해군을 호종함. 도총부 도총관(都摠府都摠管) 등을 지내고, 광해군 즉위 후 문양부원군(文陽府院君)에 봉해짐.
1541~1612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문화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유자옥(兪子玉)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임훈(林薰)의 《갈천집(葛川集)》에 그의 〈유두류록(遊頭流錄)〉에 대해 쓴 글이 실려 있으며, 황준량(黃俊良)의 《금계집(錦溪集)》에도 그와 함께 용유담(龍遊潭)을 유람하면서 지은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유자온(柳子溫)@당
중국 당(唐) 나라의 문신. 태자 소사(太子少師)를 지낸 유공권(柳公權)과 헌종(憲宗) 때 병부 상서(兵部尙書)를 지낸 유공작(柳公綽)의 아버지로, 단주 자사(丹州刺史)를 지냄.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유자온(柳子溫)@조선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풍산(豊山). 중종(中宗) 때 군자감 첨정(軍資監僉正)을 지낸 유공작(柳公綽)과 예조 정랑(禮曹正郞)을 지낸 유공권(柳公權)의 아버지로, 이조 판서(吏曹判書)에 추증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유학
-
유자우(劉子羽)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학자. 정강지변(靖康之變) 때 자결한 유갑(劉韐)의 아들로, 진강지부(鎭江知府)ㆍ참의사(參議事) 등을 지냈음. 주희(朱熹)의 스승.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유자훈(劉子勛)
중국 남북조시대 송(宋) 나라 효무제(孝武帝)의 셋째 아들. 효무제가 죽은 후 하매(何邁)의 옹립을 받았으나 전폐제(前廢帝)의 방해로 실패함. 명제(明帝) 때 등완(鄧琬) 등이 거병하여 황제로 옹립하였으나, 싸움에 패한 뒤 심양(尋陽)에서 피살됨.
456~466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왕자
-
유자휘(劉子翬)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주희(朱熹)의 스승으로, 저서에는 《병산집(屛山集)》이 있음.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유작(游酢)
중국 송(宋) 나라 신종(神宗)~휘종(徽宗) 때의 문신. 정호학(程顥學)에 매진하여 '정문사제자(程門四弟子)'의 한 사람으로 일컬어지고, 감찰어사(監察御史)ㆍ지호주(知濠州) 등을 지냄.
1053~1123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유잠(柳潛)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문화(文化). 1540년(중종 35)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공조 판서(工曹判書)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문화 , 인명>관인>문신
-
유장(劉章)
중국 전한(前漢) 때 제(齊) 도혜왕(悼惠王)의 아들. 한(漢) 나라 초기에 여후(呂后)가 죽자, 주발(周勃)ㆍ진평(陳平) 등과 함께 여씨(呂氏)를 주벌하고 대왕(代王) 항(恒)을 제위에 추대하였음.
중국>전한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유장(劉長)
중국 전한(前漢) 고조(高祖)의 아들. 한(漢) 문제(文帝) 때에 모반(謀反)한 일이 발각되어 촉군(蜀郡)에 유배되었는데 스스로 굶어 죽었음.
중국>전한 , 중국 , 인명>왕실>왕자ㅣ인명>왕실>제후
-
유장경(劉長卿)
중국 당(唐) 나라의 문신ㆍ시인. 오언시(五言詩)에 능하여 오언장성(五言長城)이라 불리고, 전원과 산수 묘사는 도연명(陶淵明)ㆍ왕유(王維)ㆍ맹호연(孟浩然) 등과 통함. 육주 사마(陸州司馬)ㆍ수주 자사(隨州剌史) 등을 지냄.
725~791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유재(劉宰)
중국 송(宋) 나라의 문인. 진사(進仕)에 급제하였으나 은거하여 저술활동을 하였고, 저서로 《만당집(漫塘集)》이 있음.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유적(兪迪)
고려 말의 무신. 본관은 강진(康津). 감문위 상장군(監門衛上將軍) 등을 지냈으며, 강진유씨(康津兪氏)의 시조가 됨.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강진 , 인명>관인>무신
-
유전(柳㙉)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문화(文化)로, 상서원 직장(尙瑞院直長) 유예선(柳禮善)의 아들. 정여립(鄭汝立)의 옥사를 다스린 후 평난공신(平難功臣)에 책록되고, 영의정(領議政) 등을 지냄.
1531~1589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유점동(鍮店洞)
조선시대 한양(漢陽)의 돈화문(敦化門) 밖에 있었던 고을 이름. 규암(圭菴) 송인수(宋麟壽)와 추파(秋坡) 송기수(宋麒壽)의 출생지.
서울 , 지명>행정지명
-
유점사(楡岾寺)
강원도 고성(高城)의 금강산(金剛山)에 있는 사찰. 신라 남해왕(南解王) 때 세워졌으며, 조선 고종(高宗) 때 소실되었다가 중건됨. 금강산 4대 명찰(名刹)의 하나.
4 한국>신라 , 강원도>고성 , 유적>건물>사찰
-
유정(劉楨)
중국 후한(後漢)~삼국시대 위(魏) 나라의 문장가. 건안칠자(建安七子) 중의 한 사람.
?~217 중국>삼국시대ㅣ중국>후한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유정(劉綎)
중국 명(明) 나라 신종(神宗) 때의 무신. 유현(劉顯)의 아들로,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참전하여 동일원(董一元)과 함께 제독(提督)의 직책을 수행하면서 크게 활약함. 후에 요동(遼東)에서 후금(後金)을 정벌하던 중 전사함.
?~1619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유정(惟政)
조선 명종(明宗)~광해군(光海君) 때의 승려ㆍ의병장. 본관은 풍천(豐川).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스승 휴정(休靜)과 함께 승병(僧兵)을 모아 여러 전투에서 공을 세우고, 네 차례에 걸쳐 왜장 가등청정(加藤淸正)과 회담을 가짐.
1544~1610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밀양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ㅣ인명>종교인>승려
-
유정(柳挺)
고려 의종(毅宗)~고종(高宗) 때의 무신. 진주유씨(晉州柳氏)의 시조. 최충헌(崔忠獻)의 외조부로, 중서령(中書令) 좌우위(左右衛) 상장군(上將軍)에 이르렀고 진강부원군(晉康府院君) 봉해짐.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무신
-
유정(柳貞)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을사사화(乙巳士禍) 때 파직되고, 이홍윤(李洪胤)의 옥사에 연루되어 장살(杖殺)되었음.
1491~1549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충주 , 인명>관인>문신
-
유정(留正)
중국 송(宋) 나라 고종(高宗)~영종(寧宗) 때의 문신. 광종(光宗) 때 좌승상(左丞相)이 되어 조여우(趙汝愚)ㆍ황상(黃裳) 등 많은 인재를 등용하였으나, 영종 때 한탁주(韓侂冑)와의 불화로 인해 파직되었으며, 후에 위국공(魏國公)에 봉해짐.
1129~1206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유정부선생집(游定夫先生集)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인 유작(游酢)의 문집. 본래 청(淸) 나라 1746년에 《유치산선생집(游廌山先生集)》으로 간행하였던 것을 1867년 화주관사(和州官舍)에서 유작의 전기(傳記) 등을 첨부하여 중간함. 《논어잡해(論語雜解)》ㆍ《맹자잡해(孟子雜解)》및 저자의 시문을 수록함.
1867 중국>청 , 중국 , 문헌>서명
-
유정수(柳廷秀)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이조 정랑(吏曹正郞)ㆍ봉상시 첨정(奉常寺僉正) 등을 지냈으며, 김종직(金宗直)의 사옥(史獄) 때 항론(抗論)하다 장배(杖配)되었음.
1451~1501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문화 , 인명>관인>문신
-
유정언(劉正彦)
중국 송(宋) 나라 고종(高宗) 때의 문신. 위주 자사(威州刺史) 등을 지냄. 묘부(苗傅)와 함께 반란을 일으켜 고종의 아들 부(旉)를 옹립하였으나, 장준(張浚)의 반정(反正)으로 실패하고 한세충(韓世忠)에게 생포된 뒤 건강(建康)에서 피살됨.
?~1129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유정유고(柳亭遺稿)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인 장옥(張玉)의 문집. 1천여 편에 달하는 저자의 시문을 이암(頤庵) 송인(宋寅)이 모아 교정하고 이를 기초로 문집을 간행하려 했으나 사화(士禍)와 임진왜란 등에 의해 번번히 실패하고, 남은 유작들만을 모아 간행함.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유정지(劉定之)
중국 명(明) 나라 영종(英宗)~헌종(憲宗) 때의 문신ㆍ문인. 예부 시랑(禮部侍郞) 등을 지냈으며, 학문이 깊고 시문(詩文)에 능함. 저서로 《매재집(呆齋集)》ㆍ《역경도석(易經圖釋)》등이 있음.
1409~1469 중국>명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유제(類祭)
천자(天子)나 군왕(君王)이 군사가 출정(出征)하기에 앞서 상제(上帝)에게 올리는 제사.
법제>의례>국가의례
-
유제두(柳齊斗)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서산(瑞山). 유학 유경지(柳瓊枝)의 아들로, 서산유씨(瑞山柳氏) 31세손.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서산 , 인명>문사>유학
-
유조순(柳祖詢)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문화(文化). 유우(柳藕)의 아들이고, 유조인(柳祖訒)의 형으로, 현령(縣令) 등을 역임하였으며, 박응순(朴應順)ㆍ박응복(朴應福) 형제를 가르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유조인(柳祖訒)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문화(文化). 이중호(李仲虎)의 문인으로, 충효와 절의로 천거되어 이천 현감(伊川縣監) 등을 역임하였으며, 임진왜란 때 선조와 세자 광해군을 호종한 공으로 호성원종공신(扈聖原從功臣)에 책록됨.
1522~1599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유종(劉琮)
중국 후한(後漢) 말의 군웅(群雄). 형주 자사(荊州刺史) 유표(劉表)의 둘째 아들로, 채모(蔡瑁)와 장윤(張允) 등의 도움을 받아 유표의 군웅 지위를 계승하였으나 적벽(赤壁) 싸움에 앞서 조조(曹操)에게 항복함.
중국>후한 , 중국 , 인명>왕실>종친
-
유종(柳從)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문화(文化). 중종(中宗) 때의 생원 유윤(柳潤)의 아버지로, 봉정대부(奉正大夫)로서 대구부 교수(大丘府敎授)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문화 , 인명>관인>문신
-
유종(裕宗)
중국 원(元) 세조(世祖)의 손자. 성종(成宗)의 아버지로, 이름은 진금(眞金)이며, 유종(裕宗)으로 추존되었음.
중국>원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유종덕(柳種德)
조선 후기의 무신. 본관은 서산(瑞山). 유진태(柳振泰)의 아들이며, 유학 유약(柳瀹)과 유협(柳浹)의 아버지.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서산 , 인명>관인>무신
-
유종례(柳宗禮)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문화(文化). 의서 습독관(醫書習讀官) 유희임(柳希任)의 아들이며, 권호문(權好文)의 동서(同壻)이자 김성일(金誠一)의 사돈으로, 습독(習讀)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문화 , 인명>관인>문신
-
유종룡(柳從龍)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문화(文化). 예조 참의(禮曹參議) 유인호(柳仁濠)의 아들로, 1513년(중종 8)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유종선(柳從善)@1519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유유(柳柔)의 아들이며, 유순선(柳順善)의 아우로, 호조 참의(戶曹參議)ㆍ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등을 역임함.
1519~157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유종선(柳從善)@조선전기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은사(隱士). 본관은 진주(晉州). 파주 목사(坡州牧使)를 지냈으나, 산에 은거한 뒤로 친구와 친척들도 그의 얼굴을 보기가 드물었다고 함. 조헌(趙憲)의 《조천기(朝天記)》에 파주 목사 시절의 행적이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기타인명>은자ㅣ인명>관인>문신
-
유종식(柳宗植)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성종(成宗) 때 사간원 사간(司諫院司諫)을 지낸 유문통(柳文通)의 아버지로 공조 참판(工曹參判)을 지냈으며, 적개원종공신(敵愾原從功臣)에 녹훈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유종원(柳宗元)
중국 당(唐) 나라의 시인ㆍ문신. 당송팔대가(唐宋八代家)의 한 사람. 고문(古文)의 대가로서 한유(韓愈)와 병칭되었으나 사상적 입장에서는 서로 대립함. 우언(寓言) 형식을 취한 풍자문(諷刺文)과 산수(山水)를 묘사한 산문에도 뛰어남.
773~819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ㅣ인명>문사>문인
-
유종인(柳宗仁)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문화(文化). 의서 습독관(醫書習讀官) 유희임(柳希任)의 아들이며, 유종례(柳宗禮)의 형.
1516~1545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문화 , 인명>문사>유학
-
유종인(柳種仁)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서산(瑞山). 서산유씨(瑞山柳氏) 28세손.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청주 목사(淸州牧使)를 지낸 유섭(柳涉)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서산 , 인명>문사>유학
-
유종일(柳宗日)
조선 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문화(文化). 유함(柳諴)의 아들이며, 조계(潮溪) 유종지(柳宗智)의 동생. 하항(河沆)의 《각재집(覺齋集)》에 그가 병문안을 온 데 대해 사례하는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문사>유학
-
유종지(柳宗智)
조선 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문화(文化). 조식(曺植)의 문인으로, 노신(盧禛)ㆍ임훈(林薰)ㆍ최영경(崔永慶)ㆍ정구(鄭逑) 등과 교유하였으나, 정여립(鄭汝立) 모반사건에 연루되어 옥중에서 장살(杖殺)됨.
1546~158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문사>유학
-
유종춘(柳宗春)
조선 정조(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풍산(豐山). 유운(柳澐)의 아들로, 도사(都事)를 지냄. 정유일(鄭惟一)의 《문봉집(文峯集)》을 간행할 때 정유일이 수행했던 원접사(遠接使) 일행의 기록을 보내주어 문집 간행에 도움을 줌.
1720~1795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유종학(柳種學)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서산(瑞山). 유진태(柳振泰)의 아들로, 유정태(柳挺泰)에게 출계(出系)함. 유흡(柳洽)의 아버지.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서산 , 인명>문사>유학
-
유좌(柳佐)
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본관은 문화(文化). 문성부원군(文城府院君) 유량(柳亮)의 아들이며, 서원군(西原君) 정총(鄭摠)의 사위로, 전사령(典祀令)ㆍ공조 정랑(工曹正郞) 등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문화 , 인명>관인>문신
-
유주(幽州)
중국 하북성(河北省) 일부와 요령성(遼寧省) 일대에 있던 고을 이름. 구주(九州)의 하나.
중국 , 지명>행정지명
-
유주(柳袾)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풍산(豐山). 원주 목사(原州牧使)를 지낸 유운룡(柳雲龍)의 장남으로, 평릉 찰방(平陵察訪)을 지냄.
1560~1603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유중광(柳重光)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광해군(光海君) 때의 유학 유찬(柳燦)의 아버지로, 사헌부 감찰(司憲府監察)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유중련(柳仲連)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풍산(豐山). 권호문(權好文)과 함께 안동(安東)의 학가산사(鶴駕山寺)에서《서경(書經)》ㆍ《주역(周易)》을 강독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유학
-
유중룡(柳仲龍)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문화(文化). 유유춘(柳有春)의 아들이며, 오건(吳健)의 문인. 임진왜란과 정유재란 때 의병을 일으켜 김면(金沔)ㆍ곽재우(郭再祐)의 휘하에서 활약함. 성균관 사성(成均館司成) 등을 지냄.
1558~1635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문화 , 인명>관인>문신
-
유중엄(柳仲淹)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학자. 유공석(柳公奭)의 아들. 종질인 유성룡(柳成龍)ㆍ유운룡(柳雲龍)과 함께 이황(李滉)의 문하에서 동문수학함. 황준량(黃俊良)ㆍ오건(吳健) 등과 교유함.
1538~157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학자
-
유중영(柳仲郢)@당
중국 당(唐) 나라 헌종(憲宗)~선종(宣宗) 때의 문신. 병부 상서(兵部尙書)를 지낸 유공작(柳公綽)의 아들로, 이부 낭중(吏部郞中)ㆍ형부 상서(刑部尚書) 등을 지내고 학문이 뛰어나 《상서이십사사잠(尙書二十四司箴)》등의 저술을 찬함.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유중영(柳仲郢)@조선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서애(西厓) 유성룡(柳成龍)의 아버지로 황해도 관찰사(黃海道觀察使)ㆍ예조 참의(禮曹參議) 등을 지내고, 청백리(淸白吏)로 이름을 떨침.
1515~157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유즙(柳濈)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서산(瑞山). 유종인(柳種仁)의 아들.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문화 , 인명>문사>유학
-
유지(劉摯)
중국 송(宋) 나라 인종(仁宗)~철종(哲宗) 때의 문신. 철종 때 원우 삼당(元祐三黨)의 하나인 삭당(朔黨)의 영수가 되어 정이(程頤)의 낙당(洛黨) 및 소식(蘇軾)의 촉당(蜀黨)과 함께 정쟁(政爭)을 벌이고, 우복야(右僕射) 등을 지냄.
1030~1097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유지(劉砥)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주희(朱熹)를 스승으로 섬기고, 벼슬에 나아가지 않음.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유지(柳輊)
조선 단종(端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감찰(監察)을 지낸 유자미(柳自湄)의 아들로, 1453년(단종 1)에 증광시(增廣試)에 급제하여 찬성(贊成) 등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문화 , 인명>관인>문신
-
유지번(柳之蕃)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내의(內醫). 명종(明宗) 때 의원 김윤은(金允誾)과 함께 《달학이해방(疸瘧易解方)》을 편집하였으며, 중궁(中宮)의 산실의원(産室醫員)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인명>기술인>의원
-
유지승(柳智承)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풍산(豐山). 선조(宣祖) 때의 학자 유빈(柳贇)의 아버지로, 승훈랑(承訓郞)에 이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유지욱(柳之煜)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전주(全州). 유진정(柳震楨)의 아들로, 1628년(인조 6) 유효립(柳孝立)과 함께 광해군(光海君)을 상왕으로 삼고 선조의 일곱째 서자인 인성군(仁城君) 이공(李珙)을 추대하려다 처형됨.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문사>유학
-
유지정(柳之淀)
고려 충정왕(忠定王)~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검교첨의평리(檢校僉議評理) 개성윤(開城尹)을 지낸 유간(柳玕)의 아들로, 상서 우복야(尙書右僕射)를 지냈고, 진천군(晉川君)에 봉해짐.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유직경(柳直卿)
조선 전기의 유학. 철산부수(鐵山副守) 이효순(李孝順)ㆍ회산(檜山) 정환(丁煥) 등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해 , 인명>문사>유학
-
유진(柳袗)
조선 광해군(光海君)~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풍산(豊山). 유성룡(柳成龍)의 아들로, 주로 외직에 종사하며 세신(世臣)의 후예로서 평생을 청렴하게 보내 사후 이조 참판(吏曹參判)에 추증되었으며, 안동(安東)의 병산서원(屛山書院)에 제향됨.
1582~1635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유진(柳鎭)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문화(文化)로, 예문관 대제학(藝文館大提學)을 지낸 유돈(柳墩)의 아들.
한국>고려후기 , 황해도>문화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