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유진동(柳辰仝)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로, 함경도 관찰사(咸鏡道觀察使)ㆍ공조 판서(工曹判書)를 역임했음. 문사(文詞)에 뛰어났으며, 죽화(竹畵)를 잘 그렸음.
1497~156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유진옹(劉辰翁)
중국 송(宋) 말~원(元) 초의 문신ㆍ시인. 저서로는 《수계집(須溪集)》이 있으며, 《세설신어(世說新語)》에 평점을 찍어 소설 평점의 효시를 이루었음.
1232~1297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유진정(柳震楨)
조선 광해군(光海君)~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정인홍(鄭仁弘)의 생질로, 폐모론(廢母論)에 찬성하였다가 인조반정 후 금성(金城)에 유배되고, 아들 유지욱(柳之煜)이 인성군(仁城君) 이공(李珙)을 추대하려다 역모죄로 처형될 때 함께 사사됨.
1563~1628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합천 , 인명>관인>문신
-
유진태(柳振泰)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서산(瑞山)으로, 자신(子新) 유종덕(柳種德)의 아버지.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서산 , 인명>문사>유학
-
유질(柳洷)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함안 군수(咸安郡守)를 지냈으며, 1488년(성종 19) 진주(晉州) 촉석루(矗石樓)에서 조위(曺偉)ㆍ김일손(金馹孫) 등과 금란계(金蘭契)를 맺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관인>문신
-
유차달(柳車達)
고려 태조(太祖) 때의 문신ㆍ공신. 문화유씨(文化柳氏)의 시조. 태조 때 식량수송에 공을 세워 대승(大丞)에 제수되고 익찬벽상공신(翊贊壁上功臣)에 녹훈됨.
한국>고려전기 , 황해도>문화 , 인명>기타인명>공신
-
유찬(兪瓚)
고려 후기의 문신. 판사(判事)를 역임하였으며, 이색(李穡)의 《목은시고(牧隱詩稿)》와 이숭인(李崇仁)의 《도은집(陶隱集)》에 그와 관련된 시가 실려 있음.
한국>고려후기 , 인명>관인>문신
-
유찬(柳燦)
조선 광해군(光海君) 때의 유학. 유중광(柳重光)의 아들로, 이이첨(李爾瞻) 등 대북파(大北派)가 일으킨 해주옥사(海州獄事)에 연루되어 장인인 최기(崔沂)와 함께 옥사(獄死)함.
1569~161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진주 , 인명>문사>유학
-
유창(劉敞)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강릉유씨(江陵劉氏)의 시조로, 조선 건국에 공을 세워 개국공신(開國功臣)에 책록되었으며, 태조(太祖)에게 여러 차례 《대학연의(大學衍義)》를 진강함.
?~1421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강원도>강릉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유창(劉蒼)
중국 후한(後漢) 광무제(光武帝)의 아들. 박학다재(博學多才)하여 공경(公卿)들과 주요 제도를 의정(議定)하였으며, 명제(明帝)의 두터운 신임을 받음.
?~83 중국>후한 , 중국 , 인명>왕실>왕자
-
유창문(柳昌門)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로, 예빈시 별제(禮賓寺別提) 유윤(柳潤)의 아들. 을사사화(乙巳士禍) 때 도승지(都承旨) 유인숙(柳仁淑)의 일가라는 이유로 이조 정랑(吏曹正郞) 직책을 삭탈당하였으며, 후에 형조 참판(刑曹參判)을 역임함.
1514~1570 한국>조선전기 , 서울ㅣ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유창예(劉昌裔)
중국 당(唐) 나라 덕종(德宗)~헌종(憲宗) 때의 무신. 양혜림(楊惠琳)이 반란을 일으키자 그를 설복(說服)시킴. 검교상서좌복야 겸 좌룡무통군(檢校尙書左僕射兼左龍武統軍) 등을 지내고 팽성군공(彭城郡公)에 봉해짐.
?~813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유척기(兪拓基)
조선 숙종(肅宗)~영조(英祖) 때의 문신. 본관은 기계(杞溪). 김창집(金昌集)의 문인으로, 소론(少論)의 탄핵을 받아 유배되었다가 노론(老論) 집권 때 영의정 등을 지냄. 신임사화(辛壬士禍)로 사사된 김창집ㆍ이이명(李頤命)을 복관시킴.
1691~1767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유천마산록(遊天磨山錄)
조선 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인 박은(朴誾)이 개성(開城)의 천마산(天磨山)을 유람한 후 쓴 기행록. 《와유록(臥遊錄)》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유천봉(劉天鳳)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강릉(江陵). 조선의 개국공신(開國功臣) 유창(劉敞)의 아버지로, 안악 군사(安岳郡事)를 지내고 충근익대수의협찬보조공신(忠勤翊戴守義協贊褓祚功臣)에 추증됨.
한국>고려후기 , 강원도>강릉 , 인명>관인>문신
-
유천식(柳天植)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문화(文化). 유혜적(柳惠迪)의 아들로, 순조(純祖) 때 원주(原州) 송곡서원(松谷書院)에서 유방선(柳方善)의 문집인《태재집(泰齋集)》을 중간함.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문화 , 인명>문사>유학
-
유천우(兪千遇)
고려 고종(高宗)~충렬왕(忠烈王) 때의 문신. 무안유씨(務安兪氏)의 시조로, 지주사(知奏事)ㆍ정당문학(政堂文學) 등을 역임하였으며, 사치와 뇌물로 인해 비난을 받았음.
1209~1276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무안 , 인명>관인>문신
-
유천유고(柳川遺稿)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인 한준겸(韓浚謙)의 시문집. 목판본. 2권 1책. 1639년(인조 17)경에 아들 한회일(韓會一)이 간행함.
1639?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문헌>서명
-
유천조신(柳川調信)
일본 도산시대(桃山時代)의 문신. 대마도주(對馬島主) 종의지(宗義智)의 가신(家臣). 풍신수길(豐臣秀吉) 때부터 덕천막부(德川幕府) 초까지 아들 유천지영(柳川智永)ㆍ손자 유천조흥(柳川調興) 삼대가 조선과 일본의 강화 회담 및 외교 사무를 담당함.
1539~1605 일본>도산시대 , 일본 , 인명>관인>문신
-
유천조흥(柳川調興)
일본 강호시대(江戶時代)의 문신. 대마도주(對馬島主)인 종의지(宗義智) 집안의 가신(家臣)으로, 조부 유천조신(柳川調信)과 아버지 유천지영(柳川智永)의 대를 이어 조선과의 무역 및 외교에 공을 세움.
일본>강호시대 , 일본 , 인명>관인>문신
-
유천지(柳千枝)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서산(瑞山). 유흡(柳洽)의 아들.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문화 , 인명>문사>유학
-
유천지영(柳川智永)
일본 강호시대(江戶時代)의 문신. 대마도주(對馬島主) 종의지(宗義智) 집안의 가신(家臣)으로, 아버지 유천조신(柳川調信)의 대를 이어 조선과의 무역 및 외교에 공을 세움.
일본>강호시대 , 일본 , 인명>관인>문신
-
유청(劉淸)
중국 명(明) 나라 태조(太祖) 때의 학자. 《중용장구상설(中庸章句詳說)》을 편집하고, 그 사이에 사백선(史伯璿)의 견해와 팽정견(彭廷堅)의 표제를 덧붙여 《중용(中庸)》을 공부하는 데 지침서를 마련함.
중국>명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유청신(柳淸臣)
고려 충렬왕(忠烈王)~충숙왕(忠肅王) 때의 무신. 몽골어를 배워 여러 차례 원(元) 나라에 다녀왔으며, 원 나라에 있을 때 왕위를 노리는 심양왕(瀋陽王) 왕고(王暠)에게 가담하여 반역 행위를 하였으나 뜻을 이루지 못하고 원 나라에 머물다가 죽음.
?~1329 한국>고려후기 , 인명>기타인명>역적ㅣ인명>관인>무신
-
유청지(劉淸之)
중국 송(宋) 영종(寧宗)~이종(理宗) 때의 문신ㆍ학자. 예양현위(澧陽縣尉)ㆍ통판(通判) 등을 역임하였고, 주희(朱熹)와 더불어 《소학(小學)》을 편찬함.
1134~1190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유촌집(柳村集)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인인 황여헌(黃汝獻)의 시문집. 문장과 글씨로 소세양(蘇世讓)ㆍ정사룡(鄭士龍)과 함께 이름을 떨쳤던 저자의 시문을 수록함.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유총(柳寵)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문화(文化). 참지정사(參知政事)를 지낸 유공권(柳公權)의 아버지로, 소부 소감(小府少監)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황해도>문화 , 인명>관인>문신
-
유최기(兪㝡基)
조선 영조(英祖) 때의 문신. 본관은 기계(杞溪). 정미환국 때 소론의 거두 이광좌(李光佐)의 횡포를 반박하고, 신임사화로 죽은 노론의 거두 김창집(金昌集)ㆍ이이명(李頤命)의 신원(伸寃)과 소론의 음모사실을 논박함.
1689~1768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유충관(柳忠寬)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흥양(興陽). 유몽인(柳夢寅)의 조부로, 1521년(중종 16) 별시(別試)에 급제하였으며, 사간원 사간(司諫院司諫) 등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흥양 , 인명>관인>문신
-
유충량(柳忠良)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흥양(興陽). 어모장군(禦侮將軍) 유해(柳瀣)의 아들로, 1549년(명종 4)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참봉(參奉)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흥양 , 인명>관인>문신
-
유충정(柳忠貞)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무신. 본관은 고흥(高興). 유해(柳瀣)의 아들로, 온성 부사(穩城府使) 등을 지냄. 뒤에 벼슬을 버리고 낙향하여 나주(羅州)에 장춘정(藏春亭)을 지음.
1509~1574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무신
-
유치명(柳致明)
조선 순조(純祖)~철종(哲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전주(全州). 유회문(柳晦文)의 아들로, 대사간(大司諫)ㆍ병조 참판(兵曹參判) 등을 지내고, 만년에는 만우재(晩愚齋)에서 후진 양성에 전념함.
1777~1861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학자ㅣ인명>문사>문인
-
유치산선생집(游廌山先生集)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인 유작(游酢)의 문집. 청(淸) 나라 1746년에 후손 유문원(游文遠)이 간행함. 1867년에 《유정부선생집(游定夫先生集)》으로 중간됨.
1746 중국>청 , 중국 , 문헌>서명
-
유침(庾琛)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외척ㆍ무신. 명제(明帝)의 비인 명목유황후(明穆庾皇后)의 아버지로, 건위장군(建威將軍) 등을 역임하고 황후의 아버지로서 좌장군(左將軍)에 추증됨.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무신ㅣ인명>왕실>인척
-
유탁(柳濯)
고려 충혜왕(忠惠王)~공민왕(恭愍王) 때의 무신. 본관은 고흥(高興). 도첨의시중(都僉議侍中) 등을 역임하였으며, 왜구의 침입을 방비하고 장사성(張士誠)의 토벌에 참전하는 등 공을 세워 여러 차례 공신(功臣)에 책록됨.
1311~1371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흥양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유태두(柳泰斗)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서산(瑞山). 유경지(柳瓊枝)의 아들.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서산 , 인명>문사>유학
-
유택(柳澤)
고려 명종(明宗)~고종(高宗) 때의 문신. 본관은 문화(文化). 명종 때 참지정사(參知政事)를 지낸 유공권(柳公權)의 아들로, 한림학사 승지(翰林學士承旨)를 지냄.
한국>고려후기 , 황해도>문화 , 인명>관인>문신
-
유탱(柳樘)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흥양(興陽). 선조(宣祖) 때의 효자 유몽웅(柳夢熊)과 《어우야담(於于野談)》을 지은 유몽인(柳夢寅)의 아버지로, 제용감 주부(濟用監主簿)를 지냄.
1518~1567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흥양 , 인명>관인>문신
-
유팽로(柳彭老)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문화(文化). 유경안(柳景顔)의 아들로, 성균관 학유(成均館學諭)를 지냈음. 임진왜란 때 의병장 고경명(高敬命)의 종사관(從事官)이 되어 금산(錦山) 전투에 참가하였다가 전사함.
1554~1592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옥과 , 인명>관인>문신
-
유팽성(柳彭成)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전주(全州). 장흥 부사(長興府使)를 지낸 유세화(柳世華)의 아버지로, 1519년(중종 14)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문사>유학
-
유평(劉玶)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문인. 유자휘(劉子翬)의 아들로, 소무군사호참군(邵武軍司戶參軍) 등을 역임하였으며 주희(朱熹) 등과 교유함.
1138~1185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유표(劉表)
중국 후한(後漢) 때의 군웅(群雄). 노공왕(魯恭王) 유여(劉餘)의 후손으로, 관도(官渡)의 싸움 때 원소(袁紹)와 조조(曹操)의 사이에서 중립을 지켰으며, 덕망이 높아 유비(劉備) 등이 그에게 의탁함.
142~208 중국>후한 , 중국 , 인명>왕실>종친
-
유필(庾弼)
고려 인종(仁宗)~의종(毅宗) 때의 문신. 본관은 무송(茂松). 태자 태사(太子太師)ㆍ문하시랑 평장사(門下侍郞平章事) 등을 역임하며 학문과 강직한 성품으로 칭송을 받음.
?~1155 한국>고려전기 , 전라도>무장 , 인명>관인>문신
-
유필성(兪必成)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창원(昌原).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유해(兪瀣)의 아버지로, 참봉(參奉)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원 , 인명>관인>문신
-
유하동집(柳河東集)
중국 당(唐) 나라의 시인ㆍ문신이며, 당송팔대가(唐宋八代家)의 한 사람인 유종원(柳宗元)의 문집. 45권과 외집(外集) 상하(上下) 2권.
중국>당 , 중국 , 문헌>서명
-
유하지(柳河枝)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서산(瑞山)으로, 기언(淇彦) 유오(柳澳)의 아들.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문화 , 인명>문사>유학
-
유하혜(柳下惠)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대부. 사사(士師)의 직책을 수행할 때 세 번이나 쫓겨나면서도 직도(直道)를 견지하였던 고사로 유명하며, ‘화성(和聖)’으로 일컬어짐.
B.C.720~B.C.621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유학집(有學集)
중국 명(明)~청(淸) 나라의 문신ㆍ문인인 전겸익(錢謙益)의 시문집. 50권. 청 나라에 들어와 저술한 것을 모음.
1664 중국>청 , 중국 , 문헌>서명
-
유한량(劉漢良)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거창(居昌). 효행으로 천거되어 무장 현감(茂長縣監)을 지내면서 선정을 베풀고,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진주성(晉州城) 전투에 참가하였다가 성이 함락되자 남강(南江)에 투신함.
?~1592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연안 , 인명>관인>문신
-
유한충(劉漢忠)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평산(平山). 유장종(劉長宗)의 아들로, 1546년(명종 1)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부사(府使)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평산 , 인명>관인>문신
-
유함(兪涵)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기계(杞溪). 호조 판서(戶曹判書) 유강(兪絳)의 아들로, 유진(兪縝)에게 출계(出系)하였으며, 1552년(명종 7)에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유함(柳諴)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문화(文化). 선조(宣祖) 때의 유학인 유종지(柳宗智)와 유종일(柳宗日)의 아버지로, 평생 은거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문사>유학
-
유항시집(柳巷詩集)
고려 충목왕(忠穆王)~우왕(禑王) 때의 문신ㆍ서예가인 한수(韓脩)의 저서. 저자의 문인(門人)인 성석용(成石瑢)과 이통훈(李通訓)이 1400년(정종 2) 전라도 금산(錦山)에서 간행함. 1책. 목판본.
1400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금산 , 문헌>서명
-
유해(兪瀣)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창원(昌原)으로, 이이(李珥)의 문인. 임진왜란 때 종묘(宗廟)의 신주를 평양(平壤)의 행재소(行在所)에 피난시킨 공으로 호성공신(扈聖功臣)에 책록되고,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등을 지냄.
1541~1629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해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유해(柳瀣)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고흥(高興). 참봉(參奉) 유충량(柳忠良)과 온성 부사(穩城府使) 유충정(柳忠貞)의 아버지로, 충무위 부사직(忠武衛副司直)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흥양 , 인명>관인>무신
-
유향(劉向)
중국 전한(前漢) 선제(宣帝)~성제(成帝) 때의 학자. 선제 때 간대부(諫大夫)로 등용되고 석거각(石渠閣)에서 오경(五經)을 강의하였으며, 《설원(說苑)》ㆍ《열녀전(列女傳)》ㆍ《전국책(戰國策)》등 많은 저서를 남김.
B.C.79?~B.C.8? 중국>전한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경대부
-
유헌(柳軒)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로, 유세린(柳世麟)의 아버지. 대사간(大司諫) 등을 지냄. 연산군 때 만언소(萬言疏)를 올리고, 갑자사화(甲子士禍)에 제주도(濟州道)로 귀양감.
1462~1506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문신
-
유헌집(游軒集)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인 정황(丁熿)의 문집. 5대손인 정재흥(丁載興)에 의해 편집ㆍ간행되고, 송상기(宋相琦)의 서문과 민진후(閔鎭厚)의 발문이 있음.
1715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남원 , 문헌>서명
-
유현(劉顯)
중국 명(明) 나라 세종(世宗)~신종(神宗) 때의 무신. 임진왜란에 참전한 명 나라 제독(提督) 유정(劉綎)의 아버지. 세종 때 묘족(苗族)의 난을 진압하는 데 공(功)을 세우고, 도독(都督) 등을 지냄.
?~1581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유협(柳浹)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서산(瑞山). 유종덕(柳種德)의 아들.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문화 , 인명>문사>유학
-
유형(兪炯)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창원(昌原). 유세건(兪世建)의 아들로, 양주 목사(楊州牧使)ㆍ청풍 군수(淸風郡守) 등을 역임하였으며,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조광조(趙光祖)를 신구(伸救)하는 상소를 올림.
1482~1525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유형(劉荊)
중국 후한(後漢) 광무제(光武帝)의 아들. 재능은 있으나 성질이 음험하여 명제(明帝) 때 동해왕(東海王)을 무고하고, 역모 사건을 일으켰다가 후에 자살함.
중국>후한 , 중국 , 인명>왕실>왕자
-
유형(劉衡)
중국 후한(後漢) 광무제(光武帝)의 아들. 어머니는 광렬음황후(光烈陰皇后). 임준공(臨淮公)으로 봉해졌는데, 관작에 나아가지 못하고 죽음.
중국>후한 , 중국 , 인명>왕실>왕자
-
유형식(柳亨植)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서산(瑞山). 유혜적(柳惠迪)의 아들.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서산 , 인명>문사>유학
-
유형원(柳馨遠)
조선 효종(孝宗)~현종(顯宗) 때의 학자. 본관은 문화(文化). 이원진(李元鎭)과 김세렴(金世濂)에게 수학함. 실학(實學)을 학문으로 정립하고, 중농사상(重農思想)에 기반을 둔 《반계수록(磻溪隨錄)》을 저술함.
1622~1673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부안ㅣ서울 , 인명>문사>학자
-
유혜련(柳惠連)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서산(瑞山). 유태두(柳泰斗)의 아들.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서산 , 인명>문사>유학
-
유혜방(柳惠芳)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문화(文化). 정당문학(政堂文學) 유인비(柳仁庇)의 아들이자 진천군(晉川君) 유구(柳玽)의 아버지로, 지영광군사(知靈光郡事) 등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황해도>문화 , 인명>관인>문신
-
유혜손(柳惠蓀)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문화(文化). 정당문학(政堂文學) 유인비(柳仁庇)의 둘째 아들이며 이조 판서(吏曹判書) 유염(柳琰)의 아버지로, 문하평리(門下評理)를 지냄.
한국>고려후기 , 황해도>문화 , 인명>관인>문신
-
유혜우(柳惠遇)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서산(瑞山). 유제두(柳齊斗)의 아들.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서산 , 인명>문사>유학
-
유혜운(柳惠運)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서산(瑞山). 유태두(柳泰斗)의 아들.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문화 , 인명>문사>유학
-
유혜일(柳惠逸)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서산(瑞山). 유태두(柳泰斗)의 아들.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문화 , 인명>문사>유학
-
유혜적(柳惠迪)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서산(瑞山). 유제두(柳齊斗)의 아들.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서산 , 인명>문사>유학
-
유호(兪灝)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기계(杞溪). 유관(兪綰)의 아들로, 단성 현감(丹城縣監) 등을 역임함.
1522~157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유호남록(遊湖南錄)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학자ㆍ문인인 김시습(金時習)의 호남지방(湖南地方) 유람기. 《사유록(四遊錄)》의 하나로, 1463년(세조 9) 호남지방의 유람을 끝낸 후 쓴 시와 후지(後志)로 구성되어 있으며, 《매월당집(梅月堂集)》 권11에 실려 있음.
1463 한국>조선전기 , 문헌>편명
-
유호인(兪好仁)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ㆍ문인. 김종직(金宗直)의 문인(門人)으로, 합천 군수(陜川郡守) 등을 지냄. 시(詩)ㆍ문(文)ㆍ서(書)에 뛰어나 당대 삼절(三絶)로 일컬어지고 성종의 지극한 총애를 받음.
1445~149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령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유호인(劉好仁)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문인. 본관은 강릉(江陵). 유선보(劉善寶)의 아들이며, 이이(李珥)의 문인(門人). 성운(成運)ㆍ김대유(金大有)ㆍ이희안(李希顔) 등과 교유하였으며, 참봉(參奉)을 지냄.
1502~1584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장흥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유호인시고(兪好仁詩藁)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ㆍ문인인 유호인(兪好仁)의 시집. 1490년(성종 21) 시고(詩藁)를 편찬하여 성종에게 진헌함.
1490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유혼(柳渾)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문화(文化). 귀후서 별제(歸厚署別提) 유수천(柳壽千)의 아들이자 공조 판서(工曹判書) 유잠(柳潛)의 형.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문화 , 인명>문사>유학
-
유홍(兪泓)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기계(杞溪). 유여림(兪汝霖)의 손자로, 정여립(鄭汝立)의 모반사건과 종계(宗系)를 변무(辨誣)한 공으로 공신에 책록되고, 임진왜란 때에는 우의정으로 도성의 질서 회복과 복구에 기여함.
1524~1594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유홍(柳泓)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무신. 유순정(柳順汀)의 아들로, 중종반정(中宗反正) 때 공을 세워 정국공신(靖國功臣)에 책록되고, 북병사(北兵使) 등 변경 장수직을 두루 역임하였으며, 을사사화(乙巳士禍) 때 위사원종공신(衛社原從功臣)에 책록됨.
1483~155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유홍(劉鴻)
중국 후한(後漢)의 제9대 질제(質帝)의 아버지. 유총(劉寵)의 아들로, 아버지의 관작을 이어 낙안왕(樂安王)이 되었다가, 아들이 황제가 되자 발해왕(渤海王)으로 봉해짐.
?~145 중국>후한 , 중국 , 인명>왕실>종친
-
유홍(柳洪)
고려 문종(文宗)~선종(宣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정주(貞州)로, 숙종(肅宗)의 비(妃)인 명의태후(明懿太后)의 아버지. 호부 상서(戶部尙書)로 송(宋) 나라에 다녀왔으며, 문하시랑 평장사(門下侍郎平章事)에 오름. 《춘추좌씨전(春秋左氏傳)》과 병가(兵家)의 비결(秘訣)에 정통함.
?~1091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풍덕 , 인명>관인>문신
-
유화(柳花)
고구려(高句麗)의 시조(始祖)인 동명왕(東明王) 주몽(朱蒙)의 어머니. 고구려 건국 신화에 따르면 아버지는 수신(水神)인 하백(河伯)이고, 천제(天帝)의 아들 해모수(解慕漱)를 만나 주몽을 낳았다고 함.
?~B.C.24 한국>고구려 , 인명>왕실>후궁
-
유화(劉和)
중국 남북조시대 전조(前趙)의 고조(高祖)인 유연(劉淵)의 아들. 태자(太子)로 봉하여졌으나 고조가 죽은 후 동생인 무제(武帝)에게 죽임을 당함.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왕자
-
유환(劉渙)
중국 송(宋) 인종(仁宗) 때의 문신. 영상령(潁上令)을 지냈으나 강직한 성품으로 인해 상관을 섬기지 못하고 물러나 여산(廬山)에 은거함. 구양수(歐陽脩)가 〈여산고(廬山高)〉를 지어 그의 절개를 찬미함.
1000~1080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유황상(劉黃裳)
중국 명(明) 나라 신종(神宗) 때의 문신. 병부 원외랑(兵部員外郞) 등을 역임하였고,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흠차경략찬획방해어왜군무(欽差經略贊畫防海禦倭軍務)로 참전하여 송응창(宋應昌)의 휘하에서 종사하였으며, 문장에 능하였음.
1529~1595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유회(柳淮)
조선 명종(明宗) 때의 유학. 본관은 흥양(興陽). 유서량(柳恕良)의 아들로, 1558년(명종 13)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팔곡(八谷) 구사맹(具思孟)과는 죽마지우(竹馬之友) 사이.
1530~?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유회문(柳晦文)
조선 정조(正祖)~순조(純祖) 때의 유학. 본관은 전주(全州). 대사간(大司諫) 유치명(柳致明)의 아버지이며, 유도원(柳道源)ㆍ이상정(李象靖)의 문인으로, 평생 경학을 연구하고 심성을 수양함.
1758~1818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유학
-
유효작(劉孝綽)
중국 남북조시대 양(梁) 나라의 시인. 7세에 속문(屬文)을 하여 신동(神童)으로 불리고, 양 무제(梁武帝)에게 시 7수를 지어 바쳐 비서승(祕書丞)을 제수받음. 하손(何遜)과 더불어 ‘하유(何劉)’로 병칭됨.
481~539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유효중(柳孝中)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문화(文化). 중종(中宗) 때 안변 부사(安邊府使)를 지낸 유인수(柳仁洙)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문화 , 인명>문사>유학
-
유후(柳厚)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서산(瑞山). 예문관 대제학(藝文館大提學) 유숙(柳淑)의 아들이며 서령부원군(瑞寧府院君) 유기(柳沂)의 아버지로, 군부 총랑(軍簿摠郞) 등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서산 , 인명>관인>문신
-
유후조(柳厚祚)
조선 철종(哲宗)~고종(高宗) 때의 문신. 본관은 풍산((豊山). 돈녕부 도정(敦寧府都正) 유심춘(柳尋春)의 아들로, 고종 때 남인(南人)을 우대한 흥선대원군(興宣大院君)의 정책으로 우의정(右議政)을 지냄.
1798~187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상주 , 인명>관인>문신
-
유휘(劉煇)
중국 송(宋) 인종(仁宗) 때의 문신. 인종 때 진사(進士)에 합격하여 대리평사(大理評事)ㆍ첨서하중부절도판관(簽書河中府節度判官) 등을 지냈으며, 저서에 《동귀집(東歸集)》이 있음.
1030~1065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유휴복(柳休復)
조선 전기의 유학. 서거정(徐居正)의 《사가집(四佳集)》에 그를 전송하며 지은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유흑달(劉黑闥)
중국 수(隋) 나라 말기 하북(河北)에서 일어난 농민반란군(農民叛亂群)의 우두머리. 두건덕(竇建德)의 잔당을 모아 622년(당 고조 5) 한동왕(漢東王)이라 자칭하였다가, 623년 이건성(李建成)에게 진압됨.
?~623 중국>당ㅣ중국>수 , 중국 , 인명>기타인명>역적
-
유흠(劉欽)
중국 한(漢) 나라의 종친. 후한(後漢) 광무제(光武帝)의 생부(生父)로, 남돈령(南頓令)을 지내고 남돈군(南頓君)에 봉해졌으며, 광무제 즉위 후 그가 살던 거록(鉅鹿)에 사당이 건립됨.
중국>전한 , 중국 , 인명>왕실>종친
-
유흠(劉歆)
중국 전한(前漢)의 문신ㆍ학자. 유향(劉向)의 아들로, 황실의 도서를 교감하고 관리하였으며, 중국 최초의 도서목록인 《칠략(七略)》를 편찬함. 뒤에 왕망(王莽)이 국사(國師)로 삼았으나 그를 모살하려다 실패하여 자살함.
B.C.53?~A.D.23 중국>전한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유흡(柳洽)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서산(瑞山). 유종덕(柳種德)의 아들로, 유종학(柳種學)에게 출계(出系)함.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문화 , 인명>문사>유학
-
유희(柳禧)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문화(文化). 유세창(柳世彰)의 아버지.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문화 , 인명>문사>유학
-
유희경(劉希慶)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시인. 본관은 강화(江華). 천인 신분이지만 남언경(南彦經)에게 《가례(家禮)》를 배우고 특히 상례(喪禮)에 통달하였으며, 백대붕(白大鵬)과 함께 ‘풍월향도(風月香徒)’라는 모임을 만들어 주도함.
1545~1636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강화 , 인명>문사>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