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유희담(柳希聃)
조선 선조(宣祖) 때의 유학. 송만(松巒) 윤현(尹晛)의 사위로, 1590년(선조 23)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한국>조선후기 , 인명>문사>유학
-
유희량(柳希亮)
조선 광해군(光海君)~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문화(文化). 문양부원군(文陽府院君) 유자신(柳自新)의 아들이며, 광해군의 처남. 사복시 정(司僕寺正)ㆍ예조 참판(禮曹參判) 등을 지냈으나, 인조반정(仁祖反正) 때 유배되었다가 죽음.
1575~1628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유희령(柳希齡)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송인수(宋麟壽)의 문인으로, 을사사화(乙巳士禍)에 연루되어 절도(絶島)로 유배되어 그곳에서 죽음. 《표제음주동국사략(標題音注東國史略)》과 《대동시격(大東詩格)》을 편찬하고, 《몽암집(夢菴集)》을 남김.
1480~155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유희림(柳希霖)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문화(文化)로, 장수 현감(長水縣監) 유복룡(柳伏龍)의 아들. 임진왜란 때 선조를 호종하였고, 동지돈녕부사(同知敦寧府事) 등을 역임하였으며, 사후에 호성공신(扈聖功臣)에 책록됨.
1520~1601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문화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유희발(柳希發)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문화(文化). 문양부원군(文陽府院君) 유자신(柳自新)의 아들로, 통정대부(通政大夫)에 오름. 인목대비(仁穆大妃) 폐비론에 가담하였다가 인조반정(仁祖反正) 때 죽임을 당함.
1568~1623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문화 , 인명>관인>문신
-
유희분(柳希奮)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문화(文化)로, 문양부원군(文陽府院君) 유자신(柳自新)의 아들. 광해군 때 정인홍(鄭仁弘)과 함께 대북파(大北派)에 가담해 정권을 좌우하다가, 인조반정(仁祖反正)으로 죽임을 당함.
1564~1623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문화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유희서(柳熙緖)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문화(文化). 좌의정(左議政) 유전(柳㙉)의 아들로,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외교 사무를 담당하고, 경기 관찰사(京畿觀察使)를 지냄. 1603년(선조 36) 포천(抱川)에서 화적(火賊)에게 살해되었는데, 임해군(臨海君)이 그의 첩(妾) 때문에 암살하였다고도 함.
1559~1603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문화 , 인명>관인>문신
-
유희송(柳希松)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서산(瑞山). 낙안 군수(樂安郡守) 유사(柳泗)의 아버지로, 좌통례(左通禮)에 추증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유희임(柳希任)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문화(文化). 유종인(柳宗仁)ㆍ유종례(柳宗禮)의 아버지로, 의서 습독관(醫書習讀官)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문화 , 인명>관인>문신
-
유희저(柳希渚)
조선 성종(成宗)~종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문화(文化)로. 1496년(연산군 2) 식년시(式年試)에 급제하여, 부제학(副提學) 등을 역임했음.
1460~?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문화 , 인명>관인>문신
-
유희정(柳希汀)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무신. 본관은 문화(文化). 선전관(宣傳官)ㆍ남원 판관(南原判官)ㆍ영암 군수(靈巖郡守) 등을 역임했음.
1472~1528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문화 , 인명>관인>무신
-
유희철(柳希轍)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문화(文化). 1495년(연산군 1)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고, 선산 부사(善山府使)로 재직할 때 영남삼량(嶺南三良)으로 칭송됨.
1453~1514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문화 , 인명>관인>문신
-
유희춘(柳希春)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선산(善山). 유계린(柳桂隣)의 아들이며 김안국(金安國)ㆍ최산두(崔山斗)의 문인(門人). 이조 참판 등을 지내고, 경사(經史)와 성리학에 조예가 깊어 《미암일기(眉巖日記)》등 많은 저술을 남김.
1513~1577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해남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육^양(陸^揚)
중국 전한(前漢) 말의 문인ㆍ학자인 양웅(揚雄)과 남송(南宋) 초의 문신ㆍ학자인 육구연(陸九淵)을 함께 부르는 말. 정주학자(程朱學者)의 관점에서는 사이비 유학자를 가리킴.
중국>송ㅣ중국>전한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육^왕(陸^王)
중국 남송(南宋) 초의 문신ㆍ학자인 육구연(陸九淵)과 명(明) 나라의 문신ㆍ학자인 왕수인(王守仁)을 함께 부르는 말. 육왕학(陸王學)의 대표적인 인물들로, 정주학자(程朱學者)의 관점에서는 사이비 유학자를 가리킴.
중국>명ㅣ중국>송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육가(陸賈)
중국 전한(前漢)의 학자. 태중대부(太中大夫)를 지냈으며, 변설(辯說)에 능하여 고조(高祖)의 중국 통일에 크게 공헌함. 시서(詩書)를 좋아하고 문무병용(文武倂用) 정치의 필요성을 역설함.
중국>전한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육가교(陸可敎)
중국 명(明) 나라의 학자. 윤근수(尹根壽)의 《월정집(月汀集)》에 있는 《조천록(朝天錄)》에 그가 쓴 서문이 실려 있음.
1547~? 중국>명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육경(六經)
중국 춘추전국시대의 6가지 경서(經書). 《시경(詩經)》ㆍ《서경(書經)》ㆍ《예기(禮記)》ㆍ《악기(樂記)》ㆍ《역경(易經)》ㆍ《춘추(春秋)》를 가리킴.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문헌>서명
-
육곡유고(六谷遺稿)
조선 효종(孝宗) 때의 문신인 서필원(徐必遠)의 문집. 6권 3책. 활자본. 후손인 서영지(徐榮智)와 서영인(徐榮仁)이 편집ㆍ간행함.
1865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육광조(陸光祖)
중국 명(明) 나라의 문신. 국자 학정(國子學正) 등을 지냈으며, 월정(月汀) 윤근수(尹根壽)가 중국에 갔을 때 그와 함께 주자(朱子)와 육상산(陸象山)의 학설의 차이점을 논변한 글이 《월정집(月汀集)》 별집(別集)에 실려 있음.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육괴정(六槐亭)
조선 중종(中宗) 때 엄용순(嚴用順)이 경기도 이천(利川)에 세운 정자. 김안국(金安國)ㆍ강은(姜㶏)ㆍ오경(吳慶)ㆍ임정신(任鼎臣)ㆍ성담령(成耼齡)ㆍ엄용순 등 여섯 사람이 우의(友誼)를 기르고자 정자 앞에 여섯 그루의 나무를 심은 데서 명칭이 유래함.
1519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이천 , 유적>건물>누정
-
육구령(陸九齡)
중국 송(宋) 효종(孝宗) 때의 문신ㆍ학자. 아우 육구연(陸九淵)과 더불어 서로 사우(師友)가 되어 아호(鵝湖)에서 강학하면서 ‘이륙(二陸)’으로 일컬어졌으며, 전주 교수(全州敎授) 등을 역임함.
1132~1180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육구소(陸九韶)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육구연(陸九淵)의 형으로, 사산(梭山)에 거처를 마련하여 강학(講學)에 전념함.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육구연(陸九淵)
중국 송(宋) 나라 효종(孝宗)~광종(光宗) 때의 문신ㆍ학자. 지형문군(知荊門軍) 등을 지냄. 주희(朱熹)의 성즉리설(性卽理說)에 반대하여 심즉리설(心卽理說)을 주장하고, 저서로 《상산선생전집(象山先生全集)》을 남김.
1139~1193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육귀몽(陸龜蒙)
중국 당(唐) 나라의 시인ㆍ학자. 육경(六經)과 《춘추(春秋)》에 통달하였으나 벼슬하지 않고 송강(松江)의 보리(甫里)에 은거하여 유유자적함. 시재(詩才)가 뛰어나 피일휴(皮一休)와 더불어 ‘피육(皮陸)’으로 일컬어짐.
?~881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문사>문인
-
육기(陸機)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학자. 육조시대(六朝時代) 화려한 시풍의 선구자로, 동생 육운(陸雲)과 함께 ‘이륙(二陸)’으로 일컬어지고, 《문부(文賦)》 등을 저술함. 혜제(惠帝) 때 팔왕(八王)의 난(亂)에 휘말려 동생과 함께 죽임을 당함.
261~303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육길(陸吉)
조선 전기의 문인 최연(崔演)이 지은 〈국수재전(麴秀才傳)〉에 나오는 가공의 인물.
한국>조선전기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육도(六韜)
중국 주(周) 나라의 신하인 여상(呂尙)이 지었다는 병서(兵書). 무경칠서(武經七書)의 하나로, 문도(文韜)ㆍ무도(武韜)ㆍ용도(龍韜)ㆍ호도(虎韜)ㆍ견도(犬韜)ㆍ표도(豹韜)로 구성됨.
중국>주 , 중국 , 문헌>서명
-
육문정공집(陸文定公集)
중국 명(明) 나라 신종(神宗) 때의 문신인 육수성(陸樹聲)의 시문집. 26권 10책. 목판본. 서삼중(徐三重)이 서문(序文)을 쓰고, 저자의 아들인 육언장(陸彦章) 등이 발문(跋文)을 썼으며, 1616년에 간행됨.
1616 중국>명 , 중국 , 문헌>서명
-
육사형집(陸士衡集)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학자인 육기(陸機)의 시문집. 남송(南宋) 때 서민첨(徐民瞻)이 유문(遺文) 10권을 얻어 저자의 아우인 육운(陸雲)의 시문과 합하여 《진이준문집(晉二俊文集)》으로 간행한 이후 명대(明代)에 여러 차례 간행됨.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육서부록(六書附錄)
조선 선조(宣祖) 때 미암(眉巖) 유희춘(柳希春)이 편찬한 책. 1572년(선조 5) 간행하였으며, 왕에게 올려 상을 받음.
1572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육선공주의(陸宣公奏議)
중국 당(唐) 나라의 명상(名相) 육지(陸贄)가 황제에게 올린 글을 모아 만든 책. 상소문의 모범이 됨.
중국>당 , 중국 , 문헌>서명
-
육선공한원집(陸宣公翰苑集)
중국 당(唐) 나라 덕종(德宗) 때의 문신인 육지(陸贄)의 문집. 《육선공주의(陸宣公奏議》와 제고(制告)를 합하여 만든 것으로 총 22권. 그의 상주문은 시폐를 직언하고 자신의 정치에 대한 강한 책임감과 정열을 담고 있어, 치국의 귀감이 됨.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육선생유고(六先生遺稿)
조선 전기 사육신(死六臣)의 시문집. 목판본. 3권 3책. 박팽년(朴彭年)의 7대손 박숭고(朴崇古)가 사육신의 유문(遺文)을 모아 편집하고, 1658년(효종 9) 충청도 관찰사(忠淸道觀察使) 이경억(李慶億)이 간행함.
1658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육손(陸遜)
중국 삼국시대 오(吳) 나라의 무신. 대제(大帝)의 도독(都督)으로서 형주(荊州)를 쳐 빼앗는 데 결정적 역할을 함. 유비(劉備)를 이릉(夷陵)에서 패퇴시키고, 조휴(曹休)의 군대를 무찌르는 등 많은 전공을 세움.
183~245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육수성(陸樹聲)
중국 명(明) 나라 세종(世宗)~신종(神宗) 때의 문신. 예부 상서(禮部尙書) 등을 지내고, 저서에 《장수일초(長水日鈔)》ㆍ《육문정공집(陸文定公集)》ㆍ《다요기(茶寮記)》등이 있음.
1509~1605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육수정(陸修靜)
중국 남북조시대 송(宋) 나라 문제(文帝)~명제(明帝) 때의 도사. 효무제(孝武帝) 때 여산(廬山)에 은거하여 도잠(陶潛)ㆍ혜원(慧遠) 등과 교유했다고 하며, 명제 때 초빙되어 도교(道敎) 경전을 정리함. ‘호계삼소(虎溪三笑)’의 고사로 유명함.
406~477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도사
-
육신사(六臣祠)@대구
조선 후기에 경상도 대구(大丘)에 세워진 사육신(死六臣)을 배향한 사당. 경내에 태고정(太古亭)이 있음.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대구 , 유적>건물>사당
-
육신사(六臣祠)@영월
조선 숙종(肅宗) 때 강원도 영월(寧越)에 세운 사당. 사육신(死六臣)과 엄흥도(嚴興道) 등을 배향함.
1685 한국>조선후기 , 강원도>영월 , 유적>건물>사당
-
육신전(六臣傳)
조선 성종(成宗) 때의 학자인 남효온(南孝溫)이 지은 사육신(死六臣)의 전기(傳記). 저자의 《추강집(秋江集)》과 조기영(趙基永)의 《생육신문집(生六臣文集)》에 수록됨.
한국>조선전기 , 문헌>작품명
-
육십사괘방위도(六十四卦方位圖)
《주역(周易)》에서 모든 천지만물을 상징하기 위해 64개의 괘(卦)로 설정한 방위도.
중국 , 문헌>작품명
-
육영(六英)
중국 고대 제곡(帝嚳) 고신씨(高辛氏)가 지은 음악. 육합(六合), 즉 천지와 사방의 영화(英華)를 총괄하였음을 칭송한 내용임.
고대 , 중국 , 기타>가무
-
육옹(陸顒)
중국 명(明) 나라의 문신. 예부 원외랑(禮部員外郞) 등을 지내고, 시(詩)ㆍ서(書)ㆍ화(畫)에 뛰어남. 조선 태종(太宗) 때 임사영(林士英)과 함께 혜제(惠帝)의 대통력(大統曆)과 칙서(勅書)를 가지고 조선에 사신으로 옴.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육우(陸羽)
중국 당(唐) 나라 때의 문인. 고조시가(古調詩歌)에 뛰어났으며, 특히 다도(茶道)에 정통하여 차에 관한 전문서적인《다경(茶經)》을 저술하였고, 후세에 ‘다성(茶聖)’으로 일컬어짐.
733~804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육운(陸雲)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문신ㆍ문인. 육기(陸機)의 아우로, 중서시랑(中書侍郞) 등을 지내고, 시문(詩文)에 뛰어나 형과 함께 ‘이륙(二陸)’으로 일컬어짐. 혜제(惠帝) 때 팔왕(八王)의 난(亂)에 휘말려 형과 함께 죽임을 당함.
262~303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육유(陸游)
중국 송(宋) 나라 고종(高宗)~영종(寧宗) 때의 문신ㆍ문인. 보모각 대제(寶謨閣待制) 등을 지냄. 조국을 침략한 금(金) 나라에 대한 철저한 항쟁을 주장하고, 시를 통해 그 분노를 표출하는 한편 일상생활의 자적함을 동시에 표현함.
1125~1210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육유(陸瑜)
중국 남북조시대 진(陳) 후주(後主)의 압객(狎客). 동궁 학사(東宮學士) 등을 지냈으며, 형 육염(陸琰)과 함께 재능과 학문을 갖춰 당시 ‘이응(二應)’으로 불림.
541~574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육유지(陸維之)
중국 송(宋) 나라의 은자. 속세를 초월한 뜻을 가지고 대조동천(大滌洞天)의 석실(石室)에 은거하여 시와 술을 즐기며 유유자적함.
중국>송 , 중국 , 인명>기타인명>은자
-
육익(陸釴)
중국 명(明) 나라 효종(孝宗)~무종(武宗) 때의 문신ㆍ문인. 곤산(昆山) 사람으로, 태상경한림시독(太常卿翰林侍讀)을 지내는 등 학문에 뛰어남. 저서인 《만록(漫錄)》에서 환자(宦者) 장안(蔣安)이 경태제(景泰帝)를 죽였다고 서술함.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ㅣ인명>문사>문인
-
육적(陸績)
중국 후한(後漢)~삼국시대 오(吳) 나라 때의 문신. 당(唐) 나라 육구몽(陸龜蒙)의 원조(遠祖). 《주역(周易)》을 주석한 9인의 연구가인 구가(九家)의 한 사람으로, 울림 태수(鬱林太守) 등을 지내고, 효성이 매우 지극하였음.
중국>삼국시대ㅣ중국>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육전(陸佃)
중국 송(宋) 나라 신종(神宗)~휘종(徽宗) 때의 문신ㆍ학자. 왕안석(王安石)에게 수학하고 상서좌승(尙書左丞) 등을 지냈으나, 신법(新法)에 반대하여 박주지사(亳州知事)로 좌천됨. 예가(禮家)와 명수(名數)의 학설에 밝음.
1042~1102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육지(陸贄)
중국 당(唐) 나라 덕종(德宗) 때의 문신. 덕종이 두 차례 피난길에 올랐을 때 한림학사(翰林學士)로서 항상 곁에서 조칙(詔勅)의 기초와 정책(政策) 입안을 담당하였으므로 ‘내상(內相)’이라 일컬어짐.
754~805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육진(六鎭)
조선 세종(世宗) 때 동북 방면 여진족(女眞族)의 침입에 대비해 두만강(豆滿江) 하류지역에 설치한 종성(鍾城)ㆍ부령(富寧) 등 여섯 개의 진(鎭).
1434 한국>조선전기 , 함경도>회령ㅣ함경도>종성ㅣ함경도>온성ㅣ함경도>부령ㅣ함경도>경흥ㅣ함경도>경원 , 유적>시설>성,진,책
-
육질(陸質)
중국 당(唐) 나라의 유학자. 유종원(柳宗元)ㆍ여온(呂溫) 등과 교류하고, 《춘추집전찬례(春秋集傳纂例)》ㆍ《춘추집전변의(春秋集傳辨疑)》ㆍ《춘추미지(春秋微旨)》등을 지음.
?~806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육창유씨(陸昌柳氏)
고려 때 호장(戶長)을 지낸 유세영(柳世英)을 시조로 하는 성씨. 전라도 영광(靈光)에 있는 육창(陸昌)을 본관으로 함.
한국>고려시대 , 전라도>영광 , 인명>집단>성씨
-
육통(六通)
조선 전기의 승려. 서거정(徐居正)의 《사가집(四佳集)》에 그에게 써 준 기문(記文)이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종교인>승려
-
육통(陸通)
중국 춘추전국시대 초(楚) 나라의 광인(狂人). 소왕(昭王) 때 나라에 법도가 없음을 보고 미친 척하며 벼슬에 나아가지 않음. 《논어(論語)》 〈미자편(微子篇)〉에 공자(孔子)의 집을 지나며 부른 봉가(鳳歌)가 있음.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은자
-
육항(陸抗)
중국 삼국시대 오(吳) 나라의 무신. 육손(陸遜)의 둘째 아들로, 무장(武將)으로 활약함. 손호(孫皓)가 즉위하자 17조목의 건의를 하고, 서진(西晉)의 장수 양호(羊祜)와의 싸움에서 일화를 남김.
226~274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윤^육(尹^陸)
조선 명종(明宗)~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인 윤근수(尹根壽)와 중국 명(明) 나라의 문신인 육광조(陸光祖)를 함께 부르는 말. 주자(朱子)와 육상산(陸象山)의 학설의 차이점을 논변함.
중국>명ㅣ한국>조선후기 , 중국ㅣ경상도>선산 , 사상>술어>관용어
-
윤간(尹侃)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영의정(領議政) 윤필상(尹弼商)의 아들이자 돈녕부 정(敦寧府正) 윤승홍(尹承弘)의 아버지로, 호조 참의(戶曹參議)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
-
윤감(尹堪)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남원(南原). 내암(來庵) 정인홍(鄭仁弘)ㆍ고봉(高峯) 기대승(奇大升) 등과 교유하였으며, 《내암집(來庵集)》에 그에 대한 전기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남원 , 인명>관인>문신
-
윤강원(尹剛元)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평소 직언(直言)을 잘 하여 윤원형(尹元衡)의 비행을 논하다가 화를 입었고, 정미사화(丁未士禍)에 연루되어 유배되었다가 풀려남.
?~1572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남원 , 인명>관인>문신
-
윤개(尹愷)
조선 전기의 문신. 남양 부사(南陽府使)를 지내고, 춘정(春亭) 변계량(卞季良)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관인>문신
-
윤개(尹漑)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으로, 김안국(金安國)의 문인. 을사사화(乙巳士禍) 때 대윤(大尹) 일파를 제거하는 데 가담하여 보익공신(保翼功臣)에 책록되고 좌의정(左議政)에까지 올랐으나, 권세에 아부하였다는 사림(士林)의 비판을 받고 선조(宣祖) 초에 모든 훈작(勳爵)이 삭탈됨.
1494~1566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여주ㅣ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
-
윤결(尹潔)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시정기(時政記) 필화사건으로 처형된 안명세(安明世)의 정당성을 발설한 것이 빌미가 되어, 문정왕후(文定王后)의 수렴청정과 윤원형(尹元衡)의 세력 확장을 비판했다 하여 국문을 받던 중 옥사함.
1517~1548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남원 , 인명>관인>문신
-
윤경(尹坰)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영의정(領議政) 윤필상(尹弼商)의 아버지로, 배천 군수(白川郡守)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안성 , 인명>관인>문신
-
윤경(尹暻)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윤선철(尹先哲)의 아들로, 1569년(선조 22) 별시 문과(別試文科)에 급제하였으며, 양주 목사(楊州牧使) 등을 역임함.
1540~?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
-
윤경(尹耕)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해남(海南). 윤사보(尹思甫)의 아들이며, 윤효정(尹孝貞)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해남 , 인명>문사>유학
-
윤경연(尹景淵)
조선 전기의 유학. 무송군(茂松君) 윤자운(尹子雲)의 아버지이며, 신숙주(申叔舟)의 장인으로, 송원부원군(松原府院君)에 추증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무장 , 인명>문사>유학
-
윤경희(尹景禧)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현풍(玄風). 윤남(尹柟)의 아들로, 1562년(명종 17) 별시 문과(別試文科)에 급제하였으며, 신천 군수(信川郡守) 등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윤계(尹溪)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1511년(중종 6) 별시(別試)에 급제하여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副使) 등을 역임하였으며, 인종(仁宗) 때 사은사(謝恩使)로 북경에 다녀옴.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현풍 , 인명>관인>문신
-
윤계(尹繼)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파평(坡平). 수찬(修撰)을 지낸 윤효빙(尹孝聘)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문사>유학
-
윤계겸(尹繼謙)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남이(南怡)의 옥사 때 공을 세워 익대공신(翊戴功臣)에 책록되고, 성종의 즉위를 도와 좌리공신(佐理功臣)에도 책록됨. 형조 판서(刑曹判書) 등을 지냄.
1442~1483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윤계동(尹季童)
조선 태종(太宗)의 부마(駙馬). 본관은 파평(坡平). 윤향(尹向)의 아들로, 태종의 두 번째 서녀(庶女)인 정신옹주(貞信翁主)와 혼인함.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왕실>인척
-
윤계정(尹繼鄭)
조선 중종(中宗)~인종(仁宗) 때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원평군(原平君) 윤공(尹恭)의 아들이며, 서원군(瑞原君) 윤사정(尹士貞)의 아우. 공릉 참봉(恭陵參奉)을 지내고, 청송(聽松) 성수침(成守琛)과 교유함.
1493~1545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
-
윤계종(尹繼宗)
고려 충혜왕(忠惠王)~충목왕(忠穆王) 때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윤보(尹珤)의 첫째 아들이자 충혜왕의 비인 희비(禧妃)의 아버지로, 충혜왕의 신임을 받음.
?~1346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윤계흥(尹繼興)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통례원 우통례(通禮院右通禮)를 지낸 윤석(尹晳)의 아버지로, 삼척 부사(三陟府使)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
-
윤곤(尹坤)
조선 태종(太宗)~세종(世宗) 때의 문신. 제2차 왕자(王子)의 난(亂) 때 협력한 공으로 좌명공신(佐命功臣)에 책록되고, 우참찬(右參贊) 등을 지냄. 아우 윤향(尹向)과 함께 문학으로 이름을 떨침.
?~1421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윤공(尹恭)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윤계정(尹繼鄭)의 아버지로, 함열 현감(咸悅縣監)을 지내고 원평군(原平君)에 추증됨.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
-
윤관(尹寬)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조광조(趙光祖)의 문인(門人)으로, 학문으로 이름이 높아 당대(當代)의 신진사류들과 교유하였으며, 군자감 판관(軍資監判官) 등을 역임함.
1490~1550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남원 , 인명>관인>문신
-
윤관(尹瓘)
고려 문종(文宗)~예종(睿宗) 때의 문신ㆍ무신. 별무반(別武班)을 창설하고 예종 때 구성(九城)을 쌓아 침범하는 여진(女眞)을 평정한 공으로 공신(功臣)에 책록되었으며, 문하시중(門下侍中) 등을 지냄.
?~1111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ㅣ인명>관인>문신
-
윤관(綸貫)
조선 태조(太祖)~세종(世宗) 때의 승려인 기화(己和)가 지은 《금강경(金剛經)》에 대한 해설서. 1권 1책. 목판본. 1883년(고종 20) 경기도 양주(楊州)의 봉인사(奉印寺)에서 간행함.
1883 한국>근대 , 경기도>양주 , 문헌>서명
-
윤관중(尹寬中)
조선 후기의 문신. 미암(眉巖) 유희춘(柳希春)의 사위로, 선전관(宣傳官) 등을 지냄.
한국>조선후기 , 인명>관인>문신
-
윤광계(尹光啓)
조선 명종(明宗)~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해남(海南)으로, 윤화중(尹和中)의 아들이고, 조헌(趙憲)의 문인(門人). 공조 좌랑(工曹佐郞) 등을 지내고, 저서로 《귤옥집(橘屋集)》이 있음.
1559~?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낙안 , 인명>관인>문신
-
윤광령(尹光齡)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형조 정랑(刑曹正郞)을 지내다가 기묘사화(己卯士禍)에 연루되어 비인(庇仁)으로 유배되었으며, 서용된 후 임천 군수(林川郡守)와 부정(副正) 등을 지냄.
1492~157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윤구(尹耉)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파평(坡平)으로, 이조 정랑(吏曹正郞) 윤희성(尹希聖)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문사>유학
-
윤구(尹衢)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해남(海南). 홍문관 수찬(弘文館修撰) 등을 역임하였으며,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삭직되었다가 복직됨.
1495~?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해남 , 인명>관인>문신
-
윤구(尹遘)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추강(秋江) 남효온(南孝溫)과 교유하였으며, 사복시 판관(司僕寺判官)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장흥 , 인명>관인>문신
-
윤국형(尹國馨)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으로, 윤희렴(尹希廉)의 아들. 임진왜란 때 왜적 방어에 실패하여 파직되고, 재기용된 뒤 난리 후의 혼란한 업무들을 처리함. 공조 판서(工曹判書) 등을 지냄.
1543~1611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윤귀몽(尹龜蒙)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음보(蔭補)로 출사하여 중부 참봉(中部參奉) 등을 지냄. 김안국(金安國)의 《모재집(慕齋集)》에 묘갈명(墓碣銘)이 실려 있음.
1440~1522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김포 , 인명>관인>문신
-
윤규(尹奎)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유학. 본관은 파평(坡平). 1531년(중종 26)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하였으나, 천성이 자연을 좋아하여 출사하지 않고 고령(高靈)의 죽연정(竹淵亭)에서 심성을 도야함.
1500~156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령 , 인명>문사>유학
-
윤규(尹珪)
고려 우왕(禑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윤승례(尹承禮)의 아들로, 태종 때 민무구(閔無咎)ㆍ민무질(閔無疾) 형제의 불충을 질타하는 상소를 올리고, 경승부 윤(敬承府尹) 등을 지냄.
1365~1414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
-
윤극민(尹克敏)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첨의중찬(僉議中贊)을 지낸 허공(許珙)의 장인으로, 정당문학(政堂文學)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
-
윤극신(尹克新)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남원(南原). 서천 군수(舒川郡守) 윤엽(尹曄)의 아버지로, 1576년(선조 9)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임천 군수(林川郡守) 등을 지냄.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남원 , 인명>관인>문신
-
윤근(尹根)
조선 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강원도 관찰사(江原道觀察使) 윤희길(尹希吉)의 아들로, 사헌부 지평(司憲府持平) 등을 지냈으나, 광해군 때 모함을 받아 유배되었다가 유배지에서 죽음.
1574~?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진천 , 인명>관인>문신
-
윤근수(尹根壽)
조선 명종(明宗)~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윤두수(尹斗壽)의 아우이며, 이황(李滉)의 문인(門人)으로, 선조(宣祖) 때 종계변무(宗系辨誣)의 공으로 광국공신(光國功臣)에 책록되고, 임진왜란 때 국난극복에 힘써 호성공신(扈聖功臣)에 책록됨.
1537~161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선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윤금손(尹金孫)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윤지강(尹之岡)의 아들로, 중종반정(中宗反正)에 참여한 공으로 정국공신(靖國功臣)에 책록되었으며, 찬성(贊成) 등을 역임함.
1458~1548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윤긍(尹兢)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으로, 우의정 윤사분(尹士昐)의 아들. 이조 참의(吏曹參議) 시절 정여창(鄭汝昌)ㆍ김굉필(金宏弼) 등을 천거하였으며, 호조 판서 등을 역임한 후 사직하고 팔공산(八公山)에 들어가 향풍(鄕風)을 순화함.
1432~148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대구ㅣ서울 , 인명>관인>문신
-
윤기(尹器)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엄흔(嚴昕)의 《십성당집(十省堂集)》에 그를 방문하고 지은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윤기(尹祈)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남원(南原)으로, 승문원 판교(承文院判校) 윤강원(尹剛元)의 아들. 성균관 유생(儒生)으로서 을사사화(乙巳士禍) 공신호(功臣號)의 삭훈(削勳)을 상소하고, 임진왜란(壬辰倭亂)에는 세자를 시종함.
1535~1607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