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배학(裵鶴)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ㆍ학자. 김식(金湜)에게 수학하였으며, 유일(遺逸)로 천거되어 영릉 참봉(英陵參奉)에 제수되었으나 응하지 않고 학문에 전념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김해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배한휘(裵澣輝)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김해(金海). 배수장(裵粹章)의 아들로, 1513년(중종 8)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김해 , 인명>문사>유학
-
배현경(裵玄慶)
고려 태조(太祖) 때의 무신ㆍ공신. 경주배씨(慶州裵氏)의 시조. 홍유(洪儒)ㆍ신숭겸(申崇謙)ㆍ복지겸(卜智謙)ㆍ유금필(庾黔弼) 등과 함께 궁예(弓裔)를 몰아내고 왕건(王建)을 추대하여 고려를 세웠으며, 후삼국 통일에 공을 세움.
?~936 한국>고려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백^수(伯^垂)
중국 고대 순(舜) 임금의 신하인 백여(伯與)와 수(垂)를 함께 부르는 말.
고대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백간미(白簡美)
고려 성종(成宗)~문종(文宗) 때의 문신ㆍ무신. 육조(六朝)에 걸쳐 벼슬을 지내고 영해(寧海)로 낙향하였으며, 문종이 여러 차례 불렀으나 응하지 않음.
한국>고려전기 , 경상도>영해 , 인명>관인>무신ㅣ인명>관인>문신
-
백강집(白江集)
조선 광해군(光海君)~효종(孝宗) 때의 문신인 이경여(李敬輿)의 시문집. 15권 7책. 목판본. 아들 이민서(李敏叙)가 정리ㆍ편찬하여 1684년(숙종 10) 손자 이사명(李師命)과 함께 간행하였으며, 송시열(宋時烈)의 서문이 실려 있음.
1684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백거이(白居易)
중국 당(唐) 나라 덕종(德宗)~무종(武宗) 때의 문신ㆍ시인. 일생 동안 수많은 시를 지었는데, 그중 〈장한가(長恨歌)〉와 〈비파행(琵琶行)〉이 유명함. 만년에는 시와 술과 거문고를 벗삼아 유유자적하며 불교(佛敎)에 심취함.
772~846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백곡집(栢谷集)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인 정곤수(鄭崐壽)의 문집. 4권 4책. 목판본. 현손 정건(鄭鍵)과 외현손 심정희(沈廷熙)가 편차하여 예조 판서(禮曹判書) 김우항(金宇杭)ㆍ경상도 관찰사(慶尙道觀察使) 홍만조(洪萬朝)의 도움으로 간행함.
1710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백광신(白光臣)
고려 신종(神宗)~희종(熙宗) 때의 문신. 1200년(신종 3) 동지공거(同知貢擧)로 과거를 주관하고, 판비서성사(判秘書省事) 등을 지냄. 최당(崔讜)과 함께 기로회(耆老會)의 일원으로, 지상선(地上仙)으로 불림.
한국>고려후기 , 인명>관인>문신
-
백광홍(白光弘)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해미(海美)로, 일재(一齋) 이항(李恒)의 문인. 평안도 평사(平安道評事)로 있을 때 가사(歌辭) 〈관서별곡(關西別曲)〉을 지었으며, 김인후(金麟厚)ㆍ이이(李珥) 등과 도의(道義)로 교유함.
1522~1556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장흥 , 인명>관인>문신
-
백광훈(白光勳)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인. 본관은 해미(海美). 박순(朴淳)ㆍ양응정(梁應鼎)ㆍ노수신(盧守愼)에게서 수학함. 당시(唐詩)의 시풍(詩風)을 주장하여 최경창(崔慶昌)ㆍ이달(李達)과 함께 삼당시인(三唐詩人)이라 불리고, 이산해(李山海)ㆍ최립(崔笠) 등과 더불어 팔문장(八文章)으로 일컬어짐.
1537~1582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장흥 , 인명>문사>문인
-
백구촌(白鷗村)
강원도 평해(平海)에 있는 마을 이름.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인 이산해(李山海)가 유배(流配) 가서 머무름.
강원도>평해 , 지명>행정지명
-
백금(伯禽)
중국 주(周) 나라 무왕(武王) 때의 공자(公子). 주공(周公) 단(旦)의 아들로 노(魯) 나라에 봉해졌으며, 서융(徐戎)을 정벌함.
중국>주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백기(白起)
중국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 진(秦) 나라의 명장. 한(韓)ㆍ월(越) 연합군을 격파하는 등 여러 차례 전공을 세웠으며, 조(趙) 나라 조괄(趙括)의 군사를 대파하고 항졸(降卒) 40여만 명을 생매장함.
?~B.C.257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백담사(百潭寺)
신라 진덕여왕(眞德女王) 때 자장(慈藏)이 강원도(江原道) 인제(麟蹄) 설악산에 창건한 사찰. 처음 이름은 한계사(寒溪寺)였으나, 소실(燒失)과 중건(重建)의 반복으로 이름과 위치가 여러 번 바뀜. 1455년(세조 1)에 승려 재익(載益) 등이 옛 한계사 터의 윗쪽 20리 지점에 중건하고 백담사라고 개칭함.
647 한국>신라 , 강원도>인제 , 유적>건물>사찰
-
백담집(栢潭集)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인 구봉령(具鳳齡)의 시문집. 10권 4책. 목판본. 손주 사위인 이준(李埈)이 편차를 세우고, 1670년(현종 11) 후학 김계광(金啓光)이 풍기 군수(豊基郡守)로 있을 때 홍여하(洪汝河)의 서문을 받아 연보(年譜)와 함께 간행함.
1670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풍기 , 문헌>서명
-
백당(白瑭)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수원(水原). 백인국(白仁國)의 아버지로, 예빈시 참봉(禮賓寺參奉)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수원 , 인명>관인>문신
-
백두산(白頭山)
함경도와 중국 길림성(吉林省)에 걸쳐 있는 산. 백두산에서부터 지리산에 이르는 백두대간은 한국의 기본 산줄기로서, 모든 산들이 여기서 뻗어 내렸다 하여 예로부터 성산(聖山)으로 숭배함.
함경도>경성ㅣ함경도>갑산 , 지명>자연지명
-
백락(伯樂)
중국 춘추전국시대 진(秦) 나라 때의 인물. 방구인(方九堙)의 추천으로 목공(穆公)의 말을 관리하였으며, 천리마(千里馬) 감정의 달인으로 유명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백락일고(伯樂一顧)
명마(名馬)도 백락(伯樂)을 만나야 세상에 알려진다는 뜻으로, 중국 춘추전국시대 진(秦) 나라의 말(馬)을 잘 알아보는 백락의 고사에서 유래함. 재능 있는 사람도 알아주는 사람을 만나야 빛을 발한다는 뜻으로, 밝은 임금과 어진 신하가 만난 것을 비유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사상>술어>고사성어
-
백련사(白蓮寺)
통일신라 흥덕왕(興王德) 때 국사(國師) 무염(無染)이 전라도 무주(茂朱) 덕유산 안에 창건한 사찰. 1820년(순조 2)에 혜언(慧彦)이 백련사에서 화엄회(華嚴會)를 개설하고, 1900년(광무 4) 무주 부사(茂朱府使) 이하섭(李夏燮)이 가람을 중수함.
830 한국>통일신라 , 전라도>무주 , 유적>건물>사찰
-
백련사(白蓮社)
중국 남북조시대 동진(東晉)의 승려 혜원(慧遠)이 여러 승도(僧徒) 및 명유(名儒)들과 함께 여산(廬山)의 동림사(東林寺)에서 정토왕생을 위한 염불수행을 도모하기 위해 조직한 신행결사(信行結社). 동림사 안에 백련(白蓮)을 많이 심었었으므로 백련사라고 함.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집단>조직
-
백련암(白蓮菴)
조선 태종(太宗) 때 경상도 청송도호부(靑松都護府) 안덕현(安德縣) 모자산(母子山)에 세운 사찰. 승려 명곡(明谷)이 세웠으며, 《태재집(泰齋集)》에 유방선(柳方善)이 지은 〈백련암기(白蓮菴記)〉가 전함.
141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청송 , 유적>건물>사찰
-
백로주(白鷺洲)
중국 양자강(揚子江) 가운데 있던 모래섬. 후에 강물의 흐름이 바뀌면서 육지와 합쳐짐.
중국 , 지명>자연지명
-
백록동(白鹿洞)
중국 강서성(江西省) 성자현(星子縣)의 북쪽, 광여산(匡廬山) 남쪽에 있는 마을 이름. 당(唐)의 이발(李渤)이 여기에 은거하여 흰 사슴을 기르며 지낸 것을 계기로 하여 백록으로 부르게 되었음.
중국 , 지명>자연지명
-
백록동규(白鹿洞規)
중국 송(宋) 나라 때 남강군(南康軍)에 있던 백록동서원(白鹿洞書院)의 학규(學規). 주희(朱熹)가 황폐해진 서원을 복구하고 학문을 강론하며 정함.
중국>송 , 중국 , 법제>의례>기타의례
-
백록동규해(白鹿洞規解)
조선 전기의 학자 박영(朴英)이 중국 송(宋) 나라 주희(朱熹)가 세운 백록동서원(白鹿洞書院)의 학규(學規)에 대하여 자세하게 풀이한 글.
1518 한국>조선전기 , 문헌>작품명
-
백록동부(白鹿洞賦)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인 주세붕(周世鵬)이 지은 부(賦). 자신이 세운 백운동서원(白雲洞書院)을 기념한 것으로, 송(宋) 나라 주희(朱熹)의 백록동서원을 흠모하는 정이 스며 있음. 《무릉잡고(武陵雜稿)》에 실림.
한국>조선전기 , 문헌>작품명
-
백록동서원(白鹿洞書院)@중국
중국 강서성(江西省)의 여산(廬山) 오로봉(五老峯) 밑에 있었던 서원. 송(宋) 나라 때 건립되고, 주희(朱熹)가 남강군(南康軍)의 지사(知事)가 되었을 때 재건하여 강학(講學)하던 장소임.
중국>송 , 중국 , 유적>건물>서원,향교
-
백록동서원(白鹿洞書院)@황주
조선 선조(宣祖) 때 황해도 황주(黃州)에 건립한 서원. 1721년(경종 1)에 사액받았고, 주자(朱子)ㆍ김굉필(金宏弼)ㆍ이이(李珥)를 배향함.
1588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황주 , 유적>건물>서원,향교
-
백록사(栢麓社)
경상북도 안동(安東)의 내성(柰城)에 있었던 사당. 이종준(李宗準)ㆍ이홍준(李弘準)ㆍ김성구(金聲久)를 배향하였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유적>건물>사당
-
백록유고(白麓遺稿)
조선 선조(宣祖) 때 문신인 신응시(辛應時)의 시문집. 아들 신경진(辛慶晉)이 유고를 수습하였으나 간행하지 못하고, 손자 신희계(辛喜季)가 영암 군수(靈巖郡守)로 있을 때 편집 간행함. 권두에 송시열(宋時烈)의 서문이 있음.
1660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영암 , 문헌>서명
-
백리시(百里視)
중국 춘추전국시대 진(秦) 목공(穆公) 때의 무신. 백리해(百里奚)의 아들.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백리해(百里奚)
중국 춘추전국시대 진(秦) 목공(穆公) 때의 대부. 목공을 패주(霸主)의 지위로 이끄는 데 지대한 공을 세움.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백마강(白馬江)
충청남도 부여(夫餘) 부근을 흐르는 금강(錦江)의 하류(下流). 강의 왼쪽과 부소산(扶蘇山)을 중심으로 한 지역에는 낙화암(落花巖)ㆍ조룡대(釣龍臺)ㆍ고란사(皐蘭寺) 등 백제(百濟)의 유적이 있음.
충청도>부여 , 지명>자연지명
-
백마사(白馬寺)
중국 낙양성(洛陽城) 서쪽 옹문(雍門) 밖에 있었던 사찰. 여러 곳에서 오는 승려들이 쉬어가도록 마련한 사찰로, 섭마등(攝摩騰)이 머물렀다 함.
중국>전한 , 중국 , 유적>건물>사찰
-
백면서생(白面書生)
글만 읽어 얼굴이 창백한 사람이라는 뜻. 남북조시대 송(宋) 나라의 무신(武臣)인 심경지(沈慶之)가 문신을 얼굴이 검은 무관(武官)과 대비해서 한 말로, 《송서(宋書)》〈심경지전(沈慶之傳)〉에 전함. 글만 알고 세상 경험이 전혀 없는 사람을 말함.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사상>술어>고사성어
-
백몽표(白夢彪)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무신. 본관은 수원(水原). 무과에 급제한 후에 선전관(宣傳官)을 거쳐 동래 판관(東萊判官)을 지내고, 오위도총부(五衛都摠府)에 재직하여 호성공신(扈聖功臣)에 책록됨.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수원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백문보(白文寶)
고려 충숙왕(忠肅王)~우왕(禑王) 때의 문신. 본관은 직산(稷山). 문장이 뛰어나 예종(睿宗)과 인종(仁宗) 양조(兩朝)의 국사를 초(草)하였으며, 불교(佛敎)를 배척하였음.
1303~1374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직산 , 인명>관인>문신
-
백문절(白文節)
고려 고종(高宗)~충렬왕(忠烈王) 때의 문신. 본관은 남포(藍浦). 이부 시랑(吏部侍郞) 등을 지내고, 문사(文詞)와 글씨에 뛰어남.
?~1282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남포 , 인명>관인>문신
-
백미(白眉)
중국 삼국시대 촉(蜀) 나라의 마씨(馬氏) 형제 중에 흰 눈썹이 난 막내 마량(馬良)이 가장 뛰어났던 데서 나온 말로, 출중한 사람이나 물건을 비유함.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사상>술어>고사성어
-
백미견(白彌堅)
고려 충정왕(忠定王) 때의 문신. 1359년(공민왕 8) 전녹생(田祿生)과 정동향시(征東鄕試)에 입격하고, 원(元) 나라 제과(制科)에 합격하였음.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수원 , 인명>관인>문신
-
백미량(白眉良)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대흥(大興). 임진왜란 때 공이 큰 백현룡(白見龍)의 아버지. 1525년(중종 20)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함.
1501~155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해 , 인명>문사>유학
-
백민수(白民秀)
조선 선조(宣祖) 때의 학자ㆍ의병. 본관은 수원(水原). 백인국(白仁國)의 아들로, 경서(經書)와 성리학(性理學)에 조예가 깊음. 임진왜란 때 장인(丈人) 문위세(文緯世)를 도와 의병을 일으켜 장수(長水), 금산(錦山) 등에서 전공을 세움. 선무공신(宣武功臣)에 책록되고, 이조 판서(吏曹判書)에 추증됨.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수원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문사>학자
-
백발부(白髮賦)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문인인 좌사(左思)가 쓴 부(賦). 어느새 백 살이 된 것이 한스러워 〈백발부(白髮賦)〉를 지음.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문헌>작품명
-
백보천양(百步穿楊)
중국 춘추전국시대 초(楚) 나라의 대부인 양유기(養由基)가 백 보(步) 밖에서 버드나무 잎에 활을 쏘면 백발백중(百發百中)하였다는 고사에서 유래한 말. 활 쏘는 솜씨가 매우 뛰어남을 이름.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사상>술어>고사성어
-
백봉문답(伯逢問答)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호대원(胡大原)의 저술.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백비(伯嚭)
중국 춘추전국시대 오(吳) 나라의 태재(太宰). 월(越) 나라의 뇌물을 받고 오자서(伍子胥)를 모함하여 죽게 하였으나, 월 나라에 투항한 후 죽임을 당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백비화(白賁華)
고려 신종(神宗)~고종(高宗) 때의 문신. 본관은 남포(藍浦)로, 백광신(白光臣)의 아들. 1198년(신종 1)에 춘관시(春官試)에 급제하여, 내시(內侍)로 오래 재직하고 예부 원외랑(禮部員外郞)ㆍ경산 부사(京山府使) 등을 지냄. 저서로 《남양시집(南陽詩集)》이 있음.
1180~1224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남포 , 인명>관인>문신
-
백사유(白思柔)
고려 광종(光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수원(水原). 평장사(平章事) 백휘(白揮)의 아버지로, 한림학사(翰林學士) 등을 지내고, 성종 때 사신으로 송(宋) 나라에 다녀옴.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수원 , 인명>관인>문신
-
백사정(白沙汀)
황해도 장연현(長淵縣) 고을 서쪽 50여 리 지점에 위치한 모래밭 이름. 길이가 7, 8리이고, 넓이는 3, 4리에 이름. 시의 소재로 많이 이용되었는데, 남곤(南袞)의 〈유백사정기(遊白沙汀記)〉가 유명함.
황해도>장연 , 지명>자연지명
-
백사집(白沙集)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인 이항복(李恒福)의 시문집. 원집 6권, 별집 6권, 부록 도합 10책. 강원도 관찰사(江原道觀察使) 이현영(李顯英)이 강릉 부사(江陵府使) 이명준(李命俊)과 함께 강릉에서 간행함.
1629 한국>조선후기 , 강원도>강릉 , 문헌>서명
-
백생(白生)
중국 춘추전국시대 초(楚) 나라의 대부. 원왕(元王)이 목생(穆生)ㆍ신공(申公)과 함께 대부로 삼아 예우하였으나, 훗날 신공과 함께 죄에 연루되어 붉은 죄수복을 입고 저자에서 절구질을 하게 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백설곡(白雪曲)
중국 춘추전국시대 초(楚) 나라의 시인 송옥(宋玉)이 지은 곡명(曲名). 양춘곡(陽春曲)과 함께 초 나라의 2대 명곡으로, 내용이 너무도 고상하여 창화(唱和)하기 어려운 곡으로 알려짐.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문헌>작품명
-
백수민(白壽民)
조선 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수원(水原). 백유양(白惟讓)의 막내 아들로, 정여립(鄭汝立)의 형 정여흥(鄭汝興)의 사위. 1589년(선조 22) 정여립(鄭汝立)의 모반사건에 연루되어 사형됨.
?~1589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수원 , 인명>문사>유학
-
백수소(白守素)
중국 송(宋) 태종(太宗)~진종(眞宗) 때의 무신. 개봉(開封) 출신으로 활쏘기에 능하였으며, 수차례에 걸쳐 거란(契丹)의 침입을 막는 데 공을 세움.
?~1012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백승문(白承文)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대구(大邱). 백양규(白良圭)의 아버지로, 군위 훈도(軍尉訓導)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대구 , 인명>관인>문신
-
백승종(白承宗)
조선 전기의 유학. 죽천(竹川) 박광전(朴光前)과 교유하여 편지를 주고받음. 그 내용이 《죽천집(竹集)》에 수록됨.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백씨문집(白氏文集)
중국 당(唐) 나라의 시인 백거이(白居易)의 시문집. 824년 원진(元稹)이 편찬한 《백씨장경집(白氏長慶集)》 50권에, 백거이 자신이 후집(後集) 20권과 속후집(續後集) 5권을 더하여 75권으로 구성함.
중국>당 , 중국 , 문헌>서명
-
백씨육첩사류집(白氏六帖事類集)
중국 당(唐) 나라의 시인인 백거이(白居易)의 어휘집. 고금(古今)의 문학(文學)에 나타난 어휘를 천지(天地)ㆍ산천(山川)ㆍ인사(人事)ㆍ조수(鳥獸)ㆍ초목(草木)에 이르기까지 1870개 부문으로 분류하여 수록함.
중국>당 , 중국 , 문헌>서명
-
백씨장경집(白氏長慶集)
중국 당(唐) 나라의 시인인 백거이(白居易)의 문집. 824년(당 장경 4)에 원진(元稹)이 백거이의 시문을 모아 50권으로 편찬함.
824 중국>당 , 중국 , 문헌>서명
-
백아(伯牙)
중국 춘추전국시대 초(楚) 나라의 악공. 그의 거문고 연주를 즐겨 듣던 종자기(鍾子期)가 죽자, 세상에 다시 지음(知音)이 없음을 한탄하여 거문고 줄을 끊고 평생 연주하지 않았다는 고사가 전해짐.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예술인>음악인
-
백아절현(伯牙絶絃)
중국 춘추전국시대 초(楚) 나라의 음악가인 백아(伯牙)가 자신의 거문고 소리를 정확하게 이해해 주던 친구 종자기(鍾子期)가 죽자 거문고 줄을 끊어 버리고 다시는 거문고를 타지 않았다는 고사에서 나온 말. 자기를 알아주는 절친한 벗의 죽음을 슬퍼한다는 뜻.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사상>술어>고사성어
-
백안불화(伯顔不花)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인물. 조공탁(趙公卓)의 아들로, 원(元) 나라에서 환관을 지내고 태부태경(太府太卿)을 역임하였으며, 고려에서 순창부원군(淳昌府院君)에 봉작됨.
?~1356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순창ㅣ경기도>수원 , 인명>관인>환관
-
백암집(栢巖集)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인 김륵(金玏)의 시문집. 6권 4책. 가장초본(家藏草本)에 저자의 외손 김휴(金烋) 및 종손 김선(金鍌)이 편차한 연보와 부록을 합쳐 6대손 김위(金㙔)가 목판으로 간행함. 권두에 이상정(李象靖)의 서문이, 권말에 김위의 발문이 있음.
1772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백양규(白良圭)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대구(大邱). 군위 훈도(軍尉訓導) 백승문(白承文)의 아들로, 1513년(중종 8)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문사>유학
-
백양신(白良臣)
고려 후기의 무신. 백문보(白文寶)의 조부. 직산백씨(稷山白氏) 시조로, 평장사(平章事)를 지냄.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직산 , 인명>관인>무신
-
백어(白魚)
뱅어. 몸의 길이는 10cm 정도이고 가늘며, 반투명한 흰색이고 배에는 작은 흰색 점이 있음. 《세종실록(世宗實錄)》 〈지리지(地理志)〉와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에는 백어(白魚), 《난호어목지(蘭湖漁牧志)》에서는 빙어(氷魚)로 표기됨. 죽었을 때 몸 색깔이 하얗게 변한다 하여 한자어로 백어(白魚)라고 하였음.
자연물>동물
-
백여(伯與)
중국 고대 순(舜) 임금의 신하. 순 임금이 거용한 16상(十六相) 중의 한 사람으로, 공공(共工)의 직을 맡음.
고대 , 중국 , 인명>기술인>장인
-
백연서원(柏淵書院)
조선 현종(顯宗) 때 경상도 함양(咸陽)에 설립된 서원. 최치원(崔致遠)과 김종직(金宗直)을 배향함.
1670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함양 , 유적>건물>서원,향교
-
백예(栢翳)
중국 전설상의 신하. 순(舜) 임금 때 산택(山澤)을 관리하는 벼슬인 우(虞)에 임명되어 우(禹) 왕을 보좌하여 치수사업에 공을 세워 영씨(嬴氏)를 하사받고, 진(秦) 나라의 시조가 되었다고 함.
고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백옥루(白玉樓)
상제(上帝)가 지었다는 천상의 누각(樓閣) 이름. 문인(文人)이 죽어서 가는 곳으로, 중국 당(唐) 나라 때의 시인인 이하(李賀)가 백옥루의 기문(記文)을 지었다고 전함.
중국 , 유적>건물>누정
-
백옥섬(白玉蟾)
중국 송(宋) 나라 때의 도사. 무이산(武夷山)에서 도(道)를 배워 태일궁(太一宮)에 거주하고 도교(道敎) 남종(南宗) 오조(五祖)의 하나가 됨.
중국>송 , 중국 , 인명>기타인명>도사
-
백우경(白宇經)
신라 선덕왕(善德王) 때의 귀화인. 당(唐) 나라 소주(蘇州) 사람으로 이부 상서(吏部尙書)을 지냈으나, 모함을 받고 신라로 망명함. 수원백씨(水原白氏)의 시조.
한국>신라 , 경상도>경주 , 인명>기타인명>귀화인
-
백운동(白雲洞)
경상북도 영주(榮州)에 있는 고을 이름. 조선 중종(中宗) 때 풍기 군수(豊基郡守) 주세붕(周世鵬)이 흰 구름이 골짜기에 서려 있다고 하여 백운동(白雲洞)이라 이름 지음.
경상도>풍기ㅣ경상도>영천(榮川) , 지명>자연지명
-
백운소설(白雲小說)
고려 고종(高宗) 때의 문신ㆍ문인인 백운거사(白雲居士) 이규보(李奎報)가 지은 시화집(詩話集). 삼국시대 이래 고려시대까지의 여러 시화와 시평(詩評)으로 구성됨. 조선 후기 효종(孝宗) 때 홍만종(洪萬宗)이 엮은 《시화총림(詩話叢林)》에 28편이 수록됨.
한국>고려후기 , 문헌>서명
-
백원서원(百源書院)
조선 선조(宣祖) 때 충청도 진천(鎭川)에 건립한 서원. 1669년(현종 10)에 사액받음. 이종학(李鍾學)ㆍ김덕숭(金德崇)ㆍ이여(李畬)ㆍ이부(李阜)를 배향함.
1597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진천 , 유적>건물>서원,향교
-
백유양(白惟讓)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수원(水原)으로, 병조 참판(兵曹參判)ㆍ부제학(副提學) 등을 지냄. 정여립(鄭汝立)의 모반 사건 때 아들 백수민(白壽民)이 연좌되어 사형당하자 사직하였으나, 서인(西人)에게 숙부 백인걸(白仁傑)이 탄핵될 때 장살(杖殺)됨.
1530~1589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백유온(白惟溫)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수원(水原). 사포서 별제(司圃署別提) 백인호(白仁豪)의 아들이며, 부제학(副提學)을 지낸 백유양(白惟讓)의 형. 장단 부사(長湍府使)ㆍ부평 부사(富平府使)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백유함(白惟咸)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이조 정랑(吏曹正郞)이 되었을 때 당쟁이 심해지자 벼슬을 버리고 은거하다가 정여립(鄭汝立)의 모반 사건 때 복직함. 임진왜란 때 의주(義州)로 왕을 호종(扈從)했고, 명사(明使) 정응태(丁應泰)를 접반(接伴)함.
1546~1618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백이(伯夷)
중국 은(殷) 나라의 충신ㆍ은자. 고죽군(孤竹君)의 아들로, 주(周) 나라 무왕(武王)이 은 나라의 주왕(紂王)을 토벌하자 이를 반대하고 동생인 숙제(叔齊)와 더불어 수양산(首陽山)에 들어가 고사리를 캐 먹다가 죽음.
중국>주ㅣ중국>은 , 중국 , 인명>기타인명>은자ㅣ인명>왕실>종친
-
백이산(伯夷山)
경상도 함안(咸安)에 있는 산 이름. 조선 전기 생육신(生六臣)의 한 사람인 조려(趙旅)가 은거한 장소로, 숙종(肅宗) 때 이곳에 서산서원(西山書院)을 세움.
경상도>함안 , 지명>자연지명
-
백이정(白頤正)
고려 충렬왕(忠烈王)~충숙왕(忠肅王) 때의 문신ㆍ학자. 충선왕(忠宣王)을 따라 연경(燕京)에 머물면서 중국 성리학을 연구하고 정주(程朱)의 서적을 가져오는 등 고려 성리학 발전에 크게 공헌함.
1247~1323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남포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백인걸(白仁傑)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수원(水原). 동지춘추관사(同知春秋館事) 등을 지내고, 동서분당(東西分黨)의 폐단을 논하며 중재를 위해 많은 노력을 함. 훈구 세력에 맞서 사림파를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함.
1497~1579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백인국(白仁國)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ㆍ학자ㆍ의병장.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의병을 규합한 후 권전(權銓)과 합세하여 축산(丑山)에서 적을 격파함.
1530~1613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수원 , 인명>관인>문신
-
백인호(白仁豪)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수원(水原). 백익견(白益堅)의 아들. 병조 참판(兵曹參判)ㆍ부제학(副提學) 등을 지냈으나, 기축옥사(己丑獄事)에 휘말려 장형(杖刑)을 받고 죽음.
1530~1589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수원 , 인명>관인>문신
-
백일시(百一詩)
중국 삼국시대 위(魏) 나라의 문신인 응거(應璩)가 지은 시의 편명(篇名). 당시의 세태를 비판한 풍자시.
중국>삼국시대 , 중국 , 문헌>서명
-
백제(百濟)
고대의 삼국 가운데 온조왕(溫祚王)이 기원전 18년에 한반도 남서부에 세운 국가. 온조왕부터 의자왕(義慈王)까지 31대 678년간 존속.
B.C.18~A.D.660 한국>백제 , 시간>국명
-
백졸재유고(百拙齋遺稿)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한응인(韓應寅)의 시문집. 2권 2책. 아들 한신급(韓信及)과 한인급(韓仁及) 등이 편집한 것을 1702년(숙종 28) 증손 한성우(韓聖佑)가 전라도 관찰사로 있을 때 간행함.
1702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문헌>서명
-
백중소(白仲紹)
조선 전기의 유학.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인 이이(李珥)의 문인으로 《율곡전서(栗谷全書)》에 그와 관련된 글이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백진남(白振南)
조선 선조(宣祖) 때의 서예가ㆍ시인. 본관은 해미(海美)로, 옥봉(玉峯) 백광훈(白光勳)의 아들. 시부(詩賦)가 뛰어나 이이(李珥)의 칭찬을 받았고, 명사(明使) 주지번(朱之蕃)을 영접할 때 주지번이 그의 필법과 문장을 보고 절찬함.
1564~1618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영암ㅣ서울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문사>문인
-
백충언(白忠彦)
조선 후기의 무신ㆍ의병장. 임진왜란 때 영해(寧海)에서 의병을 모아 공을 세웠으며, 용양위 좌부장(龍驤衛左部將)으로 선무공신(宣武功臣)에 책록됨.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영해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백탑산(白塔山)
평안남도 개천(价川)과 덕천(德川)의 경계에 있는 산 이름.
평안도>덕천ㅣ평안도>개천 , 지명>자연지명
-
백하(伯瑕)
중국 춘추전국시대 진(晉) 나라의 문신. 벼슬은 사공(司功)을 지냈고, 빈관(賓館)을 관장하였음.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백하(白河)
중국 북부, 하북성(河北省)을 흐르는 강 이름.
중국 , 지명>자연지명
-
백학서원(白鶴書院)
조선 명종(明宗) 때 경상도 신녕(新寧)에 건립한 서원. 황준량(黃俊良)이 신녕 현감(新寧縣監)으로 있을 때 건립하였으며, 이황(李滉)과 황준량을 배향함.
155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신녕 , 유적>건물>서원,향교
-
백합(百合)
백합과(百合科)에 속하는 참나리 계통 풀의 총칭(總稱). 유구(琉球) 원산으로 관상용으로 재배하고 있는 식물. 약 백여 개의 비늘이 하나의 구근(球根)을 이루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으로, 구근은 약재(藥材)로 사용함.
자연물>식물
-
백헌집(白軒集)
조선 인조(仁祖)~현종(顯宗) 때의 문신인 이경석(李景奭)의 시문집. 활자본. 손자 이우성(李羽成)이 수집하고 최석정(崔錫鼎)이 정리ㆍ편차하였으며, 증손 이진양(李眞養)과 이진망(李眞望)이 1700년(숙종 26) 신완(申琓)의 도움을 받아 간행함.
1700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백현룡(白見龍)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학자. 이황(李滉)에게 수학하였으며, 임진왜란 때 창의(倡義)하여 공을 세우고, 정유재란 때 곽재우(郭再祐)와 함께 적을 무찌름.
1543~1622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수원 , 인명>문사>학자
-
백호전(白虎殿)
중국 장안(長安) 미앙궁(未央宮) 북쪽에 있던 전각 이름. 후한(後漢)의 장제(章帝)가 유학을 부흥시키기 위하여 이곳에 여러 유학자를 모아 오경(五經)을 연구하게 함.
중국>후한 , 중국 , 유적>건물>궁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