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윤기견(尹起畎)
조선 세종(世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함안(咸安). 성종(成宗)의 계비(繼妃)인 폐비윤씨(廢妃尹氏)의 아버지. 《세종실록(世宗實錄)》과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의 편찬에 참여하고, 판봉상시사(判奉常寺事)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안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윤기헌(尹耆獻)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남원(南原). 윤자신(尹自新)의 아들이며 이이(李珥)의 문인(門人)으로, 한성부 좌윤(漢城府左尹) 등을 지내고, 성리학(性理學)에 밝음.
154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윤길보(尹吉甫)
중국 주(周) 나라 선왕(宣王) 때의 태사(太師). 호경(鎬京)에 침입한 험윤(玁狁)을 격퇴하는 등 소목공(召穆公) 등과 함께 선왕을 보좌하여 쇠락한 주 나라를 중흥시키는 데 지대한 공헌을 함.
중국>주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윤길생(尹吉生)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해주(海州). 정국공신(靖國功臣) 윤희평(尹熙平)의 아버지로, 중추원 부사(中樞院副使)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서흥 , 인명>관인>문신
-
윤남(尹枏)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현풍(玄風). 신천 군수(信川郡守) 윤경희(尹景禧)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현풍 , 인명>문사>유학
-
윤달신(尹達莘)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 윤임형(尹任衡)의 아버지로, 1481년(성종 12) 친시(親試) 문과(文科)에 장원급제(壯元及第)하였으며, 충주 판관(忠州判官)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순창 , 인명>관인>문신
-
윤담(尹聃)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첨사(僉使) 윤섭(尹涉)의 아들이며, 율곡(栗谷) 이이(李珥)의 생질이자 문인으로,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의병을 일으켜 활약하였고, 의금부 도사(義禁府都事)를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황주 , 인명>관인>문신
-
윤담수(尹聃壽)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해평(海平). 윤두수(尹斗壽)의 형이며, 서경덕(徐敬德)의 문인(門人)으로, 승사랑(承仕郞)을 역임하였으며, 임진왜란 때 선조를 호종한 공으로 호성공신(扈聖功臣)에 책록됨.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윤담휴(尹覃休)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으로, 영평군(鈴平君) 윤개(尹漑)의 손자. 1569년(선조 2)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장원급제하여, 통례원 좌통례(通禮院左通禮) 등을 역임함.
1544~1585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윤돈(尹暾)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이황(李滉)ㆍ기대승(奇大升)의 문인. 임진왜란 때 선조를 호종하고 명(明) 나라 장수들의 접반관(接伴官)으로 활약함. 광해군 때 산릉도감 제조(山陵都監提調)로서 선조의 능(陵)을 조성함.
1551~1612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윤돈(尹焞)
중국 송(宋) 나라의 문인ㆍ학자. 정이(程頤)의 문인(門人)으로, 평생 과거(科擧)에 뜻을 두지 않았으며, 저서에 《논어해(論語解)》ㆍ《화정집(和靖集)》 등이 있음.
1071~1142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윤돈(尹燉)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인. 벼슬을 그만두고 용인(龍仁)의 부곡(釜谷)에 거처하여 자연을 벗삼아 유유자적하였으며, 김안국(金安國)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용인 , 인명>문사>문인
-
윤동로(尹東老)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이이(李珥)의 문인으로, 공조 좌랑(工曹佐郞) 시절 탄핵을 받아 파직되었다가 정유재란 때 재기용되었으나 이원익(李元翼)의 탄핵을 받음. 후에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등을 지냄.
1550~1635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윤두수(尹斗壽)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이황(李滉)ㆍ이중호(李仲虎)의 문인(門人)으로, 종계변무(宗系辨誣)에 힘써 광국공신(光國功臣)에 책록되고, 건저문제(建儲問題)에 연루되어 유배되었다가 두 차례의 왜란 때 공을 세워 호성공신(扈聖功臣)에 책록됨.
1533~1601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윤득관(尹得觀)
조선 영조(英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해평(海平)으로, 해평부원군(海平府院君) 윤근수(尹根壽)의 6대손. 어유봉(魚有鳳)의 문인(門人)으로 대사간(大司諫) 등을 지냈으며, 1773년(영조 49) 주육논란(朱陸論難) 등을 합편하여 《월정집(月汀集)》 별집(別集)을 간행함.
1710~?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윤림(尹琳)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영평군(鈴平君) 윤계겸(尹繼謙)의 아들이며 윤안인(尹安仁)의 아버지로, 장례원 사의(掌隷院司議)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
-
윤만비(尹萬庇)
고려 충렬왕(忠烈王) 때의 문신. 본관은 해평(海平). 첨의중찬(僉議中贊) 윤석(尹碩)의 아버지로, 1303년(충렬왕 29) 홍자번(洪子藩) 등과 함께 간신 오잠(吳潛)의 처벌을 요청하였으며, 부지밀직사사(副知密直司事) 등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선산 , 인명>관인>문신
-
윤명운(尹明運)
조선 숙종(肅宗) 때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윤비경(尹飛卿)의 아들이며, 송시열(宋時烈)의 문인. 기사환국(己巳換局) 때 송시열을 변호한 죄로 해미(海美)에 유배되었다가 갑술옥사(甲戌獄事) 때 풀려 나옴. 광흥창 수(廣興倉守) 등을 지냄.
1642~1718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
-
윤명원(尹明遠)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참판 윤비경(尹飛卿)의 아들이며, 포암(圃巖) 윤봉조(尹鳳朝)의 아버지로, 직장(直長)을 지냄.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
-
윤명은(尹鳴殷)
조선 인조(仁祖) 때의 문신ㆍ효자. 본관은 파평(坡平). 인조의 사친추숭(私親追崇)을 반대하다가 유배되고, 병자호란 때 남양(南陽)에서 조익(趙翼)과 함께 의병을 모집하였으며, 효성이 지극하여 정문(旌門)이 세워짐.
1601~1646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남포 , 인명>기타인명>효자ㅣ인명>관인>문신
-
윤목(尹穆)
고려 후기~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제2차 왕자(王子)의 난(亂) 때 기여한 공으로 좌명공신(佐命功臣)에 책록되었으나, 민무구(閔無咎)ㆍ민무질(閔無疾) 형제의 옥사에 관련되어 유배되었다가 처형됨.
?~1410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윤문로(尹文老)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파평(坡平). 이호민(李好閔)의 장인으로, 충의위(忠義衛)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무신
-
윤민일(尹民逸)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윤엄(尹儼)의 아들이며, 성혼(成渾)의 문인. 성혼의 관작을 추탈하려는 정인홍(鄭仁弘)의 음모를 저지하려다 수원 판관(水原判官)으로 좌천됨. 후에 동래 부사(東萊府使) 등을 지냄.
1564~1635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윤민준(尹民俊)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호조 좌랑(戶曹佐郞) 윤엄(尹儼)의 아들로,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등을 역임함.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
-
윤민철(尹民哲)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호조 좌랑(戶曹佐郞) 윤엄(尹儼)의 아들로, 창녕 현감(昌寧縣監) 등을 역임함.
1555~1618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
-
윤민헌(尹民獻)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윤엄(尹儼)의 아들이고, 이이(李珥)ㆍ성혼(成渾)의 문인으로, 이괄(李适)의 난 때 공주(公州)로 왕을 호종하였으며, 공조 참의 등을 역임함. 경사(經史)와 시문(詩文)에 능하고, 글씨와 그림에도 뛰어났음.
1562~1628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윤반(尹磻)
조선 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영천부원군(鈴川府院君) 윤사로(尹師路)의 아들이며, 한명회(韓明澮)의 사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윤방(尹昉)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해평(海平)으로, 윤두수(尹斗壽)의 아들. 이이(李珥)의 문인으로, 임진왜란(壬辰倭亂)에서 병자호란(丙子胡亂)에 이르는 혼란기 속에서 정사를 잘 보살폈으며, 영의정(領議政) 등을 지냄.
1563~1640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윤백기(尹伯奇)
중국 주(周) 나라 선왕(宣王) 때의 효자. 윤길보(尹吉甫)의 아들로, 계모의 온갖 학대를 극복하고 끝까지 효도를 다한 고사가 전해짐.
중국>주 , 중국 , 인명>기타인명>효자
-
윤백령(尹伯齡)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윤필상(尹弼商)의 손자로, 음보(蔭補)로 빙고 별제(氷庫別提)를 지냈으며, 연산군 때 회인(懷仁)으로 유배되었다가 죽음.
1475~1506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
-
윤백연(尹伯涓)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무송(茂松). 의영고 사(義盈庫使) 한가구(韓可久)의 사위이며, 훈련원 부정(訓鍊院副正) 윤상손(尹祥孫)의 아버지로, 송화 현감(松禾縣監)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무장 , 인명>관인>문신
-
윤번(尹璠)
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윤승례(尹承禮)의 아들이며, 세조(世祖) 비 정희왕후(貞熹王后)의 아버지로, 판중추원사(判中樞院事) 등을 역임함.
1384~1448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윤변(尹忭)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윤두수(尹斗壽)의 아버지이며, 조광조(趙光祖)의 문인(門人)으로,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조광조의 무죄를 호소함. 삼척 부사(三陟府使) 등을 지냄.
1493~154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선산 , 인명>관인>문신
-
윤변(尹汴)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무송(茂松). 윤강(尹江)의 아들이며, 방헌(庬軒) 윤자영(尹子濚)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무장 , 인명>문사>유학
-
윤변명(尹變溟)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무송(茂松). 최항(崔恒)의 《태허정집(太虛亭集)》에 그의 이름과 자(字)에 관련된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무장 , 인명>문사>유학
-
윤보(尹寶)
고려 후기의 무신. 본관은 해평(海平). 해평군(海平君) 윤지표(尹之彪)의 아들로, 응양위 대호군(鷹揚衛大護軍)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선산 , 인명>관인>무신
-
윤보(尹珤)
고려 충렬왕(忠烈王)~충숙왕(忠肅王) 때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윤순(尹純)의 아들로, 수첨의찬성사(守僉議贊成事) 등을 지내고, 영평부원군(鈴平府院君)에 봉해짐.
?~1329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
-
윤보로(尹普老)
조선 태조(太祖)~세종(世宗) 때의 문신ㆍ무신. 본관은 파평(坡平). 판도 판서(版圖判書) 윤승례(尹承禮)의 아들로, 인수부 윤(仁壽府尹) 등을 지냄.
?~1443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무신ㅣ인명>관인>문신
-
윤복(尹復)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해남(海南). 명종(明宗) 때 낙안 군수(樂安郡守)가 되어 왜구의 침략에 대비하고, 안동 대도호부사(安東大都護府使)로 시절 이황(李滉)과 교유함.
1512~1577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해남 , 인명>관인>문신
-
윤복규(尹復圭)
고려 후기의 문신. 학정(學正)을 지냈으며, 《동국이상국집(東國李相國集)》에 그에게 화답한 시가 실려 있음.
한국>고려후기 , 인명>관인>문신
-
윤봉(尹逢)
고려 전기의 문신. 태조(太祖) 왕건(王建)을 도운 공으로 삼한공신(三韓功臣)에 책록되고, 내사령(內史令)을 지냄.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김포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윤봉구(尹鳳九)
조선 숙종(肅宗)~영조(英祖) 때의 문신ㆍ학자. 권상하(權尙夏)의 문인(門人). ‘강문팔학사(江門八學士)’의 한 사람으로, 호락논쟁(湖洛論爭)에서 호론(湖論)을 주장한 중심인물이며, 공조 판서 등을 역임함.
1681~1767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파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윤봉오(尹鳳五)
조선 영조(英祖) 때의 문신. 윤명운(尹明運)의 아들이며, 윤봉구(尹鳳九)의 아우로, 연잉군(延礽君) 시절의 영조를 측근에서 보필하였고, 판돈녕부사(判敦寧府事) 등을 역임함.
1688~1769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
-
윤봉조(尹鳳朝)
조선 숙종(肅宗)~영조(英祖) 때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윤명원(尹明遠)의 아들로, 《경종실록(景宗實錄)》 편찬에 참여하고 대제학(大提學) 등을 지냄. 문장에 능하고 특히 소차(疏箚)에 뛰어남.
1680~1761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윤부(尹釜)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윤승홍(尹承弘)의 아들로, 호조 참판(戶曹參判) 등을 역임함.
1510~1559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윤비(尹棐)
조선 전기의 유학. 김안국(金安國)의 《모재집(慕齋集)》에 그에 대한 자사(字辭)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윤사로(尹師路)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세종의 부마로, 세조의 즉위를 도와 좌익공신(佐翼功臣)에 책록되고, 충훈부 당상(忠勳府堂上) 등을 지냄.
1423~1463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윤사분(尹士昐)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파평부원군(坡平府院君) 윤번(尹璠)의 아들이며, 세조비(世祖妃) 정희왕후(貞熹王后)의 오빠. 문음(門蔭)으로 벼슬하여 우의정 등을 지냈으며, 좌익원종공신(佐翼原從功臣)에 책록됨.
1401~1471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윤사율(尹士栗)
조선 전기의 문인. 하서(河西) 김인후(金麟厚)와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문인
-
윤사은(尹師殷)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윤배(尹培)의 아들이고, 윤탁(尹倬)의 아버지이며, 운성부원군(雲城府院君) 박종우(朴從愚)의 사위로, 곡성 현감(谷城縣監)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
-
윤사익(尹思翼)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무송(茂松). 윤징(尹澂)의 아들로, 판중추부사(判中樞府事) 등을 지냄.
1478~?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무장 , 인명>관인>문신
-
윤사정(尹士貞)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원평군(原平君) 윤공(尹恭)의 아들로, 문천 군수(文川郡守)ㆍ온성 부사(穩城府使) 등을 지냄.
1479~1527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
-
윤사종(尹師宗)
조선 중종(中宗) 때의 진사. 본관은 영천(永川). 윤형(尹炯)의 아들로, 1513년(중종 8) 진사시(進士試)에 합격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천(永川) , 인명>문사>유학
-
윤사하(尹師夏)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영평부원군(鈴平府院君) 윤은(尹垠)의 아들이며, 상주 목사(尙州牧使) 윤탕(尹宕)의 아버지로, 통례원 좌통례(通禮院左通禮)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
-
윤사흔(尹士昕)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 윤번(尹璠)의 아들이며, 정희왕후(貞熹王后)의 동생으로, 좌익원종공신(佐翼原從功臣)과 좌리공신(佐理功臣)에 책록되고, 우의정 등을 지냄.
?~1485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윤삼산(尹三山)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윤곤(尹坤)의 아들이며, 성종(成宗)의 계비(繼妃)인 정현왕후(貞顯王后)의 조부. 세조의 즉위를 도와 좌익원종공신(佐翼原從功臣)에 책록되고, 문장ㆍ글씨ㆍ그림에 능함.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윤상(尹祥)
조선 태조(太祖)~단종(端宗) 때의 문신ㆍ학자. 정몽주(鄭夢周)의 문인(門人)인 조용(趙庸)에게 수학하였으며, 세종(世宗) 때 예문관 제학(藝文館提學)으로 세손(世孫)이던 단종을 가르침. 경학(經學)에 밝고 문장에도 매우 능하였으며 후진양성에 힘씀.
1373~145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천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윤상로(尹商老)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영성군(鈴城君) 윤탄(尹坦)의 아들이자, 영양군(鈴陽君) 윤형로(尹衡老)의 형이며, 성종(成宗)의 계비(繼妃)인 정현왕후(貞顯王后)의 사촌 오빠로, 부사(府使)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윤상손(尹祥孫)
조선 연산군(燕山君)~명종(明宗) 때의 무신. 본관은 무송(茂松). 윤백연(尹伯涓)의 아들로, 훈련원 부정(訓鍊院副正) 등을 역임하였으며, 정사룡(鄭士龍)의 《호음잡고(湖陰雜稿)》에 그에 대한 묘갈명(墓碣銘)이 실려 있음.
1468~1548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무장 , 인명>관인>무신
-
윤석(尹晳)
조선 세조(世祖)~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윤계흥(尹繼興)의 아들로, 글 솜씨가 뛰어나 오랫동안 승문원(承文院)에 재직하고 통례원 우통례(通禮院右通禮) 등을 지냈으나, 갑자사화(甲子士禍) 때 부관참시(剖棺斬屍)의 화를 당함.
1435~1503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
-
윤석(尹碩)
고려 충선왕(忠宣王)~충목왕(忠穆王) 때의 문신. 본관은 해평(海平). 윤만비(尹萬庇)의 아들로, 조적(曺頔)의 난을 진압하여 일등공신이 되고 좌정승 등을 역임하였으나, 충목왕 때 유배되어 죽음.
?~1348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선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윤석보(尹碩輔)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칠원(漆原). 간신 임사홍(任士洪)을 극형에 처할 것을 주장하였으며, 대사간(大司諫) 때 연산군에게 충언(忠言)하다가 유배되어 죽음. 후에 청백리(淸白吏)에 녹선됨.
?~150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칠원 , 인명>관인>문신
-
윤석충(尹碩忠)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해평(海平). 도첨의 우정승(都僉議右政丞)를 지내고, 해평부원군(海平府院君)에 봉해짐.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선산 , 인명>관인>문신
-
윤선거(尹宣擧)
조선 인조(仁祖)~현종(顯宗) 때의 학자. 김집(金集)의 문인으로, 유계(兪棨)ㆍ송시열(宋時烈)ㆍ윤휴(尹鑴)ㆍ윤선도(尹善道)ㆍ이유태(李惟泰) 등과 교유함. 성리학(性理學)의 대가이고 예론(禮論)에도 정통함.
1610~1669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금산 , 인명>문사>학자
-
윤선도(尹善道)
조선 광해군(光海君)~현종(顯宗) 때의 문신ㆍ시인. 남인(南人)의 거두로, 치열한 당쟁 속에서 일생을 유배지에서 보냄. 경사(經史)에 해박하고 특히 시조(時調)에 뛰어나, 정철(鄭澈)ㆍ박인로(朴仁老)와 더불어 ‘조선삼대시가인(朝鮮三大詩歌人)’으로 불림.
1587~1671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해남ㅣ전라도>영암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윤선좌(尹宣佐)
고려 충렬왕(忠烈王)~충혜왕(忠惠王) 때의 문신. 1322년(충숙왕 9)에 권한공(權漢功)ㆍ채홍철(蔡洪哲) 등이 왕을 폐하고 심왕 고(瀋王暠)를 대신 세우려 하자 그 계획을 좌절시킴. 예문관 대제학(藝文館大提學)을 지내고, 문장이 뛰어나 당대 표전(表箋)을 많이 지음.
1265~1343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
-
윤선철(尹先哲)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윤탁(尹倬)의 아들이며, 양주 목사(楊州牧使) 윤경(尹暻)의 아버지로, 부정(副正)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
-
윤섭(尹涉)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파평(坡平). 현감 윤철(尹轍)의 아들이며 율곡(栗谷) 이이(李珥)의 자형(姊兄)으로, 첨사(僉使)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무신
-
윤섭(尹爕)
조선 성종(成宗)의 부마(駙馬). 본관은 파평(坡平). 윤승류(尹承柳)의 아들로, 성종의 열한 번째 서녀(庶女)인 정숙옹주(靜淑翁主)와 혼인함.
?~1516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왕실>인척
-
윤성(尹城)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남원(南原). 1528년(중종 23)에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하였으며, 김인후(金麟厚)와 교유하여 김인후가 그의 아들에게 지어준 시가 《하서전집(河西全集)》에 남아 있음.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남원 , 인명>문사>유학
-
윤성은(尹成殷)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감찰(監察)을 지내고, 유희춘(柳希春)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관인>문신
-
윤세림(尹世霖)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윤지숭(尹之崇)의 아들로, 사헌부 집의(司憲府執義) 등을 역임하였으며, 대사헌 유운(柳雲)과 함께 기묘사화(己卯士禍)로 희생된 조광조(趙光祖) 등의 억울함을 상소함.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
-
윤세호(尹世豪)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1503년(연산군 9)에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전라도 관찰사(全羅道觀察使)로 재임 중 조광조(趙光祖)ㆍ김식(金湜)의 일파로 몰려 파직되었다가 복직된 뒤 공조 판서(工曹判書)를 지냄.
1470~?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
-
윤소종(尹紹宗)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조(太祖) 때의 문신. 이색(李穡)의 문인(門人)으로, 고려 때 성균관 대사성(成均館大司成) 등을 역임하고, 조선 개국 후에 원종공신(原從功臣)에 책록되었으며, 수문관 대제학(修文館大提學)을 지냄.
1345~1393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전라도>무장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윤속(尹涑)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파평(坡平). 윤백령(尹伯齡)의 아들로, 부정(副正) 윤광령(尹光齡)에게 출계함. 1525년(중종 20)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윤수(尹壽)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파평(坡平). 윤효조(尹孝祖)의 아들이며, 윤희성(尹希聖)의 생부(生父). 기묘명현(己卯名賢) 중 한 사람으로, 당대에 명성이 높았으나 시대가 불운하여 벼슬하지 않고 은거함.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문사>유학
-
윤수강(尹秀岡)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파평(坡平). 영천군(鈴川君) 윤반(尹磻)의 맏아들이며, 상당부원군(上黨府院君) 한명회(韓明澮)의 외손자.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문사>유학
-
윤수륜(尹秀崙)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파평(坡平). 영천군(鈴川君) 윤반(尹磻)의 둘째 아들이며, 상당부원군(上黨府院君) 한명회(韓明澮)의 외손자.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문사>유학
-
윤수상(尹守常)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칠원(漆原). 도첨의평리(都僉議評理)와 예문관 대제학(藝文館大提學) 등을 지냈으며, 민사평(閔思平)의 《급암시집(及菴詩集)》에 그를 축하하는 시가 실려 있음.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칠원 , 인명>관인>문신
-
윤수천(尹壽泉)
조선 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예천 군수(醴泉郡守)를 지낼 때 쾌빈루(快賓樓)를 중수함.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
-
윤숙(尹俶)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영의정 윤필상(尹弼商)의 아들로, 승정원 좌부승지(承政院左副承旨)와 판결사(判決事) 등을 지냈으나, 갑자사화(甲子士禍) 때 아버지의 죄에 연좌되어 억울하게 죽음.
?~1504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
-
윤순(尹洵)
중종(中宗) 때의 문인. 본관은 남원(南原). 송순(宋純)ㆍ정만종(鄭萬鍾)ㆍ임억령(林億齡) 등과 시(詩)를 주고받으며 교의관계(交誼關係)를 맺음.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담양 , 인명>문사>문인
-
윤순(尹珣)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윤계겸(尹繼謙)의 아들로, 형조 판서(刑曹判書)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
-
윤순(尹純)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태상부 녹사(太常府錄事) 윤복원(尹復元)의 아들이며, 영평부원군(鈴平府院君) 윤보(尹珤)의 아버지로, 감찰어사(監察御史)를 지냄.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
-
윤순거(尹舜擧)
조선 인조(仁祖)~현종(顯宗) 때의 문신ㆍ학자. 성혼(成渾)의 외손자이자 윤황(尹煌)의 아들로, 백부인 윤수(尹燧)에게 출계함. 성문준(成文濬)ㆍ강항(姜沆)ㆍ김장생(金長生)에게 수학하였고, 문장과 글씨에 뛰어났으며, 상의원 정(尙衣院正) 등을 지냄.
1596~1668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윤승경(尹承慶)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해평(海平). 예빈시 별좌(禮賓寺別坐) 윤홍언(尹弘彦)의 아들이며 좌참찬(左參贊) 윤승길(尹承吉)의 형으로, 종부시 정(宗簿寺正)ㆍ춘추관 편수관(春秋館編修官) 등을 지냄.
1523~?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윤승길(尹承吉)
조선 명종(明宗)~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해평(海平). 윤홍언(尹弘彦)의 아들이며, 인성군(仁城君) 이공(李珙)의 장인. 임진왜란 때 군량미 조달 등 많은 공을 세우고, 의정부 좌참찬(議政府左參贊) 등을 지냄.
1540~1616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윤승례(尹承禮)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영평군(鈴平君) 윤척(尹陟)의 다섯째 아들이며, 세조비(世祖妃) 정희왕후(貞熹王后)의 조부로, 판도 판서(版圖判書)를 지냄.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윤승류(尹承柳)
조선 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세종(世宗)의 부마(駙馬)인 윤사로(尹師路)의 손자이며, 성종(成宗)의 부마인 윤섭(尹爕)의 아버지로, 사복시 정(司僕寺正) 등을 역임함.
1475~1505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윤승서(尹承緖)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해평(海平). 사헌부 감찰(司憲府監察)을 지낸 윤홍언(尹弘彦)의 셋째 아들로, 교하 현감(交河縣監) 등을 지냄.
1544~?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윤승세(尹承世)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영의정 윤필상(尹弼商)의 손자이고, 호조 참의(戶曹參議) 윤간(尹侃)의 맏아들이며, 영원위(鈴原尉) 윤내(尹鼐)의 아버지로, 선산 부사(善山府使)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윤승순(尹承順)
고려 공민왕(恭愍王)~공양왕(恭讓王) 때의 무신. 윤척(尹陟)의 아들로, 공민왕 때 신돈(辛旽)을 살해하려던 일이 누설되어 유배됨. 창왕(昌王) 때 권근(權近)과 함께 명(明) 나라에 사신으로 다녀오고, 판개성부사(判開城府事) 등을 지냄.
?~1392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무신
-
윤승해(尹承解)
고려 충렬왕(忠烈王) 때의 문신. 윤유연(尹裕延)의 아들로, 감찰어사(監察御史)를 거쳐 검교상서 호부시랑(檢校尙書戶部侍郞) 등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통진 , 인명>관인>문신
-
양치(梁治)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남원(南原). 세종(世宗) 때의 종친인 이리(李利)의 사위로, 삭녕 군수(朔寧郡守)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남원 , 인명>관인>문신
-
양침(羊忱)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문신. 양권(羊權)의 아버지로, 서주 자사(徐州刺史) 등을 지냄.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양파선생실기(陽坡先生實紀)
고려 충혜왕(忠惠王)~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인 홍언박(洪彦博)의 시문집. 4권 2책. 목판본. 1804년(순조 4) 후손 홍석(洪奭)이 실기(實紀)를 편찬하고‚ 1811년 방손 홍병철(洪秉喆)이 증보하여 다시 간행함.
1804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양파유고(陽坡遺稿)
조선 인조(仁祖)~현종(顯宗) 때의 문신인 정태화(鄭太和)의 시문집. 원집과 속집 포함 7책.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양팽석(梁彭碩)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제주(濟州). 학포(學圃) 양팽손(梁彭孫)의 아우로, 기묘사화(己卯士禍) 후에 벼슬에 관심을 끊고 전리(田里)로 돌아가 은둔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능성 , 인명>관인>문신
-
양팽손(梁彭孫)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제주(濟州). 송흠(宋欽)의 문인이며 송순(宋純)ㆍ나세찬(羅世贊) 등과 동문으로서 학문을 연마함.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삭직되어 고향인 능주(綾州)로 돌아와 독서로 소일함.
1488~1545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능성 , 인명>관인>문신
-
양포(楊浦)
고려 고종(高宗) 때의 정승. 중화양씨(中和楊氏)의 시조. 삼별초(三別抄)의 난을 토평할 때 공을 세운 양동무(楊東茂)의 아버지.
한국>고려후기 , 평안도>중화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