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여강(驪江)
경기 여주(驪州)에서 여주 지역을 흐르는 한강(漢江)을 일컫는 이름.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원호(元豪)가 왜적을 격퇴한 곳.
경기도>여주 , 지명>자연지명
-
여계(女戒)
중국 후한(後漢)의 문인ㆍ학자인 반소(班昭)의 저서. 여자의 행실에 대해 논하였으며, 비약(卑弱)ㆍ부부(夫婦) 등 7편으로 구성됨.
중국>후한 , 중국 , 문헌>서명
-
여공(厲公)@춘추전국(晉)
중국 춘추전국시대 진(晉) 나라의 제후. 경공(景公)의 아들로, 정(鄭) 나라와 초(楚) 나라를 격퇴하여 위세를 떨쳤으나, 교만하고 포악하여 무도한 짓을 자행하다가 대부 난서(欒書)와 순언(荀偃) 등에게 붙잡혀 죽임을 당함.
?~B.C.573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여공(厲公)@춘추전국(정)
중국 춘추전국시대 정(鄭) 나라의 5대ㆍ9대 제후. 형 소공(昭公)과 더불어 서로 쫓고 쫓기며 임금 자리를 다툼.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여공(厲公)@춘추전국(陳)
중국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 진(陳) 나라의 제후. 진(陳) 문공(文公)의 아들이자 환공(桓公)의 아우. 환공이 죽자 조카인 태자 면(免)을 죽이고 제후가 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여공저(呂公著)
중국 송(宋) 나라 인종(仁宗)~철종(哲宗) 때의 문신. 문식과 덕행으로 직언을 마다하지 않았으며, 재상으로서 왕을 보필하여 어진 정사를 펼침.
1018~1089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여구가(驪駒歌)
고별(告別)하는 내용이 담겨있는 일시(逸詩). 《한서(漢書)》〈왕식전(王式傳)〉에 관련 부분이 있고, 주(註)에 설명이 있음.
중국>전한 , 중국 , 문헌>작품명
-
여궐(余闕)
중국 원(元) 나라의 문인. 북정(北庭)의 진사(進士)로서 고문(古文)으로 당세에 현달함.
1303~1358 중국>원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여근곡(女根谷)
경상도 경주(慶州)에 있는 계곡 이름. 산의 모양에 따라 붙은 이름으로, 신라시대 선덕여왕(善德女王)이 백제(百濟)의 군대를 미리 막아낸 지역으로 유명함.
한국>신라 , 경상도>경주 , 지명>자연지명
-
여남(汝南)
중국 하남성(河南省)에 위치한 고을 이름. 월단평(月旦評)으로 유명한 허소(許劭)의 고장임.
중국 , 지명>행정지명
-
여남서원(汝南書院)
조선시대에 경상도 영양(英陽)에 건립된 서원. 영양남씨(英陽南氏) 후손들이 시조 남민(南敏)을 봉사하던 사당인 향현사(鄕賢祠)를 여남강당(汝南講堂)으로 이름을 바뀌었다가, 1830년(순조 30)에 여남서원(汝南書院)으로 승격됨.
한국>조선시대 , 경상도>영해 , 유적>건물>서원,향교
-
여대균(呂大鈞)
중국 송(宋) 나라 인종(仁宗)~신종(神宗) 때의 문신ㆍ학자. 여대방(呂大防)의 아우로, 장재(張載)에게 수학하고, 부연전운사(鄜延轉運使) 등을 지냄. 조선시대 향약의 기본이 된 여씨향약(呂氏鄕約)의 네 가지 강령을 제정함.
1031~1082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여대림(呂大臨)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철종(哲宗) 때 태학박사(太学博士)를 지냄. 육경(六經)에 통달하고, 특히 예기(禮記)에 밝음.
1040~1092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여대방(呂大防)
중국 송(宋) 나라 인종(仁宗)~철종(哲宗) 때의 문신. 동생인 여대림(呂大臨) 등과 함께 도(道)를 논하고 예(禮)를 연구하여 향약(鄕約)을 제정함.
1027~1097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여대아(余大雅)
중국 송(宋) 나라 때의 학자. 주희(朱熹)의 제자로, 부지런히 학문을 연구하여 인정을 받았으며, 저서에 《주자어록(朱子語錄)》 1권이 있으나 일실(佚失)되어 전하지 않음.
1138~1189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여대충(呂大忠)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학자. 여대방(呂大防)의 형으로, 하북전운판관(河北轉運判官) 등을 지내고, 여씨향약(呂氏鄕約)을 지음.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여록(呂祿)
중국 한(漢) 나라 때의 외척. 여후(呂后)의 조카로, 그의 비호 아래 상장군(上將軍)이 되고, 여후가 죽은 뒤 여산(呂産)과 함께 정변을 일으켜 제위 찬탈을 도모하였으나, 진평(陳平)ㆍ주발(周勃) 등에게 주살됨.
?~B.C.180 중국>전한 , 중국 , 인명>왕실>인척
-
여만(如滿)
중국 당(唐) 나라의 승려. 마조 도일(馬祖道一)의 제자로 백거이(白居易)와 교유하였으며, 그와 함께 향산(香山)에서 향화사(香火寺)를 지음.
중국>당 , 중국 , 인명>종교인>승려
-
여몽(呂蒙)
중국 삼국시대(三國時代) 오(吳) 나라의 명장. 주유(周瑜)ㆍ정보(程普) 등과 함께 적벽(赤壁)에서 조조(曹操)의 군대를 크게 격파함.
178~219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여변(余卞)
중국 송(宋) 나라 휘종(徽宗) 때의 문신. 여양굉(余良肱)의 아들이고, 여상(余爽)의 형으로, 《십이진군전(十二眞君傳)》ㆍ《송사(宋史)》〈예문지(藝文志)〉 등을 찬함.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여본중(呂本中)
중국 송(宋) 나라의 시인. 황정견(黃庭堅)과 진사도(陳師道)의 시풍을 계승했으며, 그가 작성한 〈강서시사종파도(江西詩社宗派圖)〉는 강서파(江西派)에 영향을 미쳐 송 나라 시의 새 기원을 열었음.
1084~1145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여불위(呂不韋)
중국 춘추전국시대 말기 진(秦) 나라 장양왕(莊襄王)과 시황제(始皇帝) 때의 재상. 노애(嫪毐)의 난을 계기로 시황제(始皇帝)에 의해 제거됨. 저서로 《여씨춘추(呂氏春秋)》가 있음.
?~B.C.235 중국>진ㅣ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여사제강(麗史提綱)
조선 현종(顯宗) 때의 문신ㆍ학자인 유계(兪棨)가 지은 고려의 편년체 사서(史書). 23권 23책. 활자본. 기존의 《고려사(高麗史)》를 주자(朱子)의 《자치통감강목(資治通鑑綱目)》의 체재에 따라 편년체로 바꾸어 서술하였으며, 송시열(宋時烈)의 서(序)가 실려 있음.
1667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여산(呂産)
중국 한(漢) 나라 때의 외척. 여후(呂后)의 조카로, 그의 비호 아래 상국(相國)이 되고, 여후가 죽은 뒤 여록(呂祿)과 함께 정변을 일으켜 제위 찬탈을 도모하였으나, 진평(陳平)ㆍ주발(周勃) 등에게 주살됨.
?~B.C.180 중국>전한 , 중국 , 인명>왕실>인척
-
여산(廬山)@중국
중국 강서성(江西省) 북부, 파양호(鄱陽湖) 북서쪽 기슭에 있는 산. 주희(朱熹)가 짓고 강학했던 백록동서원(白鹿洞書院)이 있는 곳이며, 불교에 관한 고적(古蹟)이 많음.
중국 , 지명>자연지명
-
여산(廬山)
경상도 안동(安東) 임하현(臨河縣)에 있는 고을 이름. 호계서원(虎溪書院)이 조선 선조(宣祖) 때 여강서원(廬江書院)이란 이름으로 창건된 곳.
경상도>안동 , 지명>자연지명
-
여산(礪山)
전라도 익산(益山)에 있던 옛 고을 이름. 조선 정종(定宗) 때 여량(礪良)과 낭산(朗山)의 이름을 합쳐 여산이라 칭했고, 세종(世宗) 때 군(郡)으로 승격함.
전라도>여산 , 지명>행정지명
-
여산송씨(礪山宋氏)
고려 때 진사(進士)를 지내고 추밀원 부사(樞密院副使)에 추증된 송유익(宋惟翊)을 시조로 하는 성씨.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여산 , 인명>집단>성씨
-
여산폭포(廬山瀑布)
중국 강서성(江西省) 여산(廬山)에 있는 폭포. 역대의 많은 문인들이 이곳에서 시ㆍ부를 써서 폭포의 웅장함을 칭송함. 이백(李白)ㆍ서응(徐凝) 등의 시가 있음.
중국 , 지명>자연지명
-
여상(余爽)
중국 송(宋) 나라 신종(神宗)~휘종(徽宗) 때의 문신. 세상에 굽히지 않는 강직한 성품으로 정사를 돌봄.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여상(呂尙)
중국 은(殷) 말~주(周) 초의 무신ㆍ제후. 영락(零落)하여 위수(渭水) 근처에서 낚시로 세월을 보내던 중 주(周) 문왕(文王)을 만나 주 나라 건국의 기반을 다지고 제후(齊侯)에 봉해짐.
중국>주ㅣ중국>은 , 중국 , 인명>관인>무신ㅣ인명>왕실>제후
-
여세윤(呂世潤)
조선 명종(明宗) 때의 유학. 본관은 함양(咸陽)으로, 1555년(명종 10)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함.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황준량(黃俊良) 등과 교유함.
1520~?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여세침(呂世琛)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함양(咸陽). 사섬시 부정(司贍寺副正) 여윤수(呂允秀)의 아들로, 장악원 첨정(掌樂院 僉正) 등을 역임함
1490~1571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여송걸(余宋傑)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주희(朱熹)의 문인(門人)으로 《역경(易經)》을 배움.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여수(汝水)
중국 하남성(河南省) 경내에 있는 강 이름. 우(禹) 임금이 강(江)의 물길을 뚫어 치수(治水)한 곳으로 전해짐.
중국 , 지명>자연지명
-
여승감(呂承堪)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함양(咸陽). 1488년(성종 19) 진주(晉州) 촉석루(矗石樓)에서 조위(曺偉)ㆍ김일손(金馹孫) 등과 금란계(金蘭契)를 맺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양 , 인명>관인>문신
-
여씨가숙독시기(呂氏家塾讀詩記)
중국 남송(南宋)의 학자인 여조겸(呂祖謙)의 저서.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여씨잡기(呂氏雜記)
중국 북송(北宋)의 학자ㆍ문신인 여희철(呂希哲)의 저서.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여씨향약(呂氏鄕約)
중국 북송(北宋)의 여대충(呂大忠)ㆍ여대방(呂大防)ㆍ여대균(呂大勻)ㆍ여대림(呂大臨) 네 형제가 향촌을 교화ㆍ선도하기 위해 만든 자치적인 규약. 덕업상권(德業相勸)ㆍ과실상규(過失相規)ㆍ예속상교(禮俗相交)ㆍ환난상휼(患難相恤) 등 네 가지 강령으로 하며, 조선 후기에 실시된 향약의 모체가 됨.
중국>송 , 중국 , 법제>의례>향촌의례ㅣ문헌>서명
-
여암(呂巖)
중국 당(唐) 나라의 도사. 도교 팔선(八仙) 중 한 사람으로, 선인(仙人) 종리권(鐘離權)에게 전수받은 천둔검법(天遁劍法)과 금단(金丹)의 비법을 써서 민중을 고통으로부터 구했다고 함.
798~? 중국>당 , 중국 , 인명>기타인명>도사
-
여양굉(余良肱)
중국 송(宋) 나라 인종(仁宗) 때의 문신. 여상(余爽)ㆍ여변(余卞)의 아버지로, 형남 사리참군(荊南司理參軍)ㆍ광록경(光祿卿) 등을 지냄.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여양진씨(驪陽陳氏)
고려 인종(仁宗) 때 이자겸(李資謙)의 난을 토벌한 공으로 여양군(驪陽君)에 봉해진 진총후(陳寵厚)을 시조로 하는 성씨.
한국>고려전기 , 충청도>홍주 , 인명>집단>성씨
-
여영(女英)
중국 고대 전설상의 왕비. 요(堯) 임금의 딸로, 언니 아황(娥皇)과 더불어 순(舜) 임금의 비(妃)가 되었는데, 순 임금이 창오(蒼梧)에서 죽자 아황과 함께 소상강(瀟湘江)에 빠져 죽었다 함.
고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여와(女媧)
중국 고대 전설상의 여신(女神). 인수사신(人首蛇身)의 형상을 지녔으며, 오색(五色)의 돌을 다듬어 하늘을 깁고 자라의 발을 잘라 사방을 받쳤다 함.
고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여왕(厲王)@남북조(전진)
중국 남북조시대 전진(前秦)의 제2대 황제. 재위 355~356. 성격이 포악하여 아우 부견(苻堅)에 의해 폐위된 후 살해당함.
335~357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여왕(厲王)@주
중국 주(周) 나라 제10대 황제. 재위 B.C.877~B.C.841. 포악한 정치를 하여 체(彘) 땅으로 유배되었다가 죽음. 나라를 멸망시킨 덕이 없는 임금으로 알려짐.
B.C.878~B.C.828 중국>주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여유길(呂裕吉)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함양(咸陽). 여이징(呂爾徵)의 아버지로, 임진왜란 때 소실된 실록(實錄)의 재간(再刊)에 참여하였으며 병조 참판(兵曹參判)에 이름. 저서에 《춘강집(春江集)》이 있음.
1558~1619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함양 , 인명>관인>문신
-
여윤수(呂允秀)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함양(咸陽). 장악원 첨정(掌樂院僉正) 여세침(呂世琛)의 아버지로, 만경 현령(萬頃縣令)ㆍ사섬시 부정(司瞻寺副正)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양 , 인명>관인>문신
-
여응구(呂應龜)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학자. 본관은 성산(星山). 주세붕(周世鵬)의 문인. 성균관 유생 시절 보우(普雨)와 문정왕후(文定王后)의 불교진흥책을 강력히 비판하였으며, 학유(學諭)에 제수되었으나 출사하지 않고 향리에서 후학을 양성함.
1523~157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금산 , 인명>문사>학자
-
여의주(如意珠)
용왕(龍王)의 뇌 속에서 나온 구슬. 사람이 이 구슬을 가지면 독(毒)이 해칠 수 없고, 불에 들어가도 타지 않으며, 중생의 소원을 성취시켜 주는 부처의 공덕(功德)이 있다고 전함.
물품>기타물품
-
여이간(呂夷簡)
중국 송(宋) 나라 인종(仁宗) 때의 문신. 오랜 기간 재상(宰相)으로서 국정을 좌우하였으나 범중엄(范仲淹)ㆍ왕증(王曾) 등과 대립하다가 인종의 개혁 의지로 파면됨.
979~1044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여이징(呂爾徵)
조선 인조(仁祖) 때의 문신ㆍ문인. 본관은 함양(咸陽). 한백겸(韓百謙)의 문인으로, 병자호란 때 종묘(宗廟)의 위패를 모시고 강화(江華)로 피하였으며, 공조 참판 등을 역임함. 성리학에 밝고 시문에 능하였으며, 천문(天文)ㆍ역산(曆算)ㆍ서화(書畵)에도 뛰어났음.
1588~165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함양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여자준(余子俊)
중국 명(明) 나라 대종(代宗)~효종(孝宗) 때의 문신. 병부 상서(兵部尙書) 등을 역임하였으며, 성을 쌓고 보루를 만드는 데 큰 공을 세움.
1429~1489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여정(余靖)
중국 송(宋) 나라 때의 문신. 범중엄(范仲淹)이 귀양갈 때 상서(上書)하여 다투다가 파직당함. 구양수(歐陽修)ㆍ왕소(王素)ㆍ채양(蔡襄)과 함께 사간(四諫)으로 일컬어짐.
1000~1064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여조검(呂祖儉)
중국 남송(南宋)의 문신. 간신 한탁주(韓侂冑)가 조여우(趙汝愚)를 역적으로 무고하자 이를 구원하는 상소를 올렸다가 소주(韶州)로 귀양감.
?~1196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여조겸(呂祖謙)
중국 남송(南宋)의 학자. 주희(朱熹)와 함께 북송(北宋) 도학자의 어록을 편집하여 《근사록(近思錄)》을 찬함.
1137~1181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여주(驪州)
경기도 동남부의 고을 이름. 고구려 때 골내근현(骨乃斤縣)이라 부른 이후, 여러 명칭으로 바뀌어 불리다가 1468년(예종 1) 여주라 하고 목(牧)으로 승격함.
경기도>여주 , 지명>행정지명
-
여주이씨(驪州李氏)
고려 때의 인용교위(仁勇校尉) 이인덕(李仁德) 계통과, 중윤(中尹) 이은백(李殷伯) 계통과, 진사(進士) 이세정(李世貞) 계통 등 시조를 달리하는 세 계통을 아울러 이르는 성씨.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여주 , 인명>집단>성씨
-
여주지(驪州志)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인 윤흔(尹昕)이 편찬한 경기도 여주(驪州) 지방의 읍지(邑誌). 신흠(申欽)이 쓴 발문(跋文)이 《상촌집(象村集)》에 전함.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여진(余進)
중국 명(明) 영종(英宗) 때의 학자. 증선지(曾先之)와 함께 《십구사략(十九史略)》을 편찬함.
중국>명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여진(女眞)
10세기 이후 중국 만주(滿洲) 지역과 한반도 동북쪽에 거주하던 퉁구스계의 민족. 발해(渤海)가 멸망한 후 거란족(契丹族)의 요(遼) 나라에 속하였다가, 11세기말에 완안부(完顔部)를 중심으로 세력을 통합하여 금(金) 나라를 세움.
중국 , 인명>집단>종족
-
여천(黎倩)
중국 송(宋) 나라 때의 기녀(妓女). 귀향지에 돌아오는 호전(胡銓)과 운우지정(雲雨之情)의 관계를 맺음. 상담 호씨원(湘潭胡氏園)에서 그를 위해 지은 호전의 시가 전함.
중국>송 , 중국 , 인명>기술인>기생
-
여칭(呂稱)
고려 우왕(禑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함양(咸陽). 고려 말에 전라도 안렴사(全羅道按廉使) 등을 지내고, 조선 개국 후에는 참지의정부사(參知議政府事)ㆍ지의정부사(知議政府事) 등을 지냄.
1351~1423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함양 , 인명>관인>문신
-
여태자(戾太子)
중국 전한(前漢) 무제(武帝)의 태자. 모친은 위황후(衛皇后). 무제로부터 소외당하고 외숙인 위청(衛靑)이 죽자 권신 강충(江充)이 무고하여 거병(擧兵)하였다가 실패하여 자살함.
중국>전한 , 중국 , 인명>왕실>왕자
-
여택(呂澤)
중국 한(漢) 고조(高祖)의 외척. 황후인 여후(呂后)의 오빠로 유방(劉邦)을 도와 많은 공을 세움.
중국>전한 , 중국 , 인명>왕실>인척
-
여헌영당(旅軒影堂)
조선 인조(仁祖) 때 경상도 선산(善山)에 건립한 영당(影堂). 여헌(旅軒) 장현광(張顯光)의 영정(影幀)을 봉안하고 제향함.
1642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선산 , 유적>건물>사당
-
여헌집(旅軒集)
조선 인조(仁祖) 때의 문신ㆍ학자인 장현광(張顯光)의 문집. 1642년(인조 20) 아들 장응일(張應一)이 목판으로 간행함.
1642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여혜경(呂惠卿)
중국 송(宋) 나라 신종(神宗)~휘종(徽宗) 때의 문신. 왕안석(王安石)과 더불어 신법(新法)을 추진했으나 왕안석이 실각하자 그를 방해하다가 외방(外方)으로 쫓겨나고, 휘종 때 다시 폄척(貶斥)을 받고 죽음. 태자 중윤(太子中允) 등을 지냄.
1032~1111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여회(呂誨)
중국 북송(北宋) 신종(神宗) 때의 문신. 신종 때 재상 왕안석(王安石)이 부국강병을 위하여 신법(新法)을 만들자 반대에 앞장서고 탄핵함.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여후(呂后)
중국 한(漢) 나라 고조(高祖) 유방(劉邦)의 황후. 고조가 죽자 여씨정권(呂氏政權)을 수립하여 횡포를 일삼음.
B.C.241~B.C.180 중국>전한 , 중국 , 인명>왕실>왕비
-
여흥민씨(驪興閔氏)
고려 때 상의봉어(尙衣奉御)를 지낸 민칭도(閔稱道)를 시조로 하는 성씨.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여주 , 인명>집단>성씨
-
여희(驪姬)
중국 춘추전국시대 진(晉) 나라 헌공(獻公)의 후궁(後宮). 서방 여(麗) 나라 국경지기의 딸이었으나 헌공에게 약탈된 후 총애를 받고 후궁이 됨. 태자 신생(申生)을 죽이고 아들 해제(奚齊)를 후계자로 세우는 등 나라를 혼란에 빠뜨림.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후궁
-
여희단(呂希端)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성산(星山). 1519년(중종 14) 동생 여희림(呂希臨)과 함께 현량과(賢良科)에 천거되었으나 응시하지 않아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화를 면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성주 , 인명>문사>유학
-
여희림(呂希臨)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성산(星山). 고향으로 내려가 여씨향약(呂氏鄕約)을 시행하였고, 정광필(鄭光弼)의 추천으로 복성군(福城君)의 사부가 되었으며, 도학과 문장으로 명성을 떨침.
1481~155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성주 , 인명>관인>문신
-
여희철(呂希哲)
중국 북송(北宋)의 학자ㆍ문신. 호원(胡瑗)ㆍ정호(程顥)ㆍ정이(程頤)ㆍ장재(張載) 등에게서 학문을 배움. 사람됨이 대범하고 신중하여 만년(晩年)에 명성을 더욱 날림.
1039~1116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역^범(易^範)
유교 경전(儒敎經典)인 오경(五經) 중 서경(書經)과 역경(易經)을 함께 부르는 말. 사서(史書)인 서경과 점서(占書)인 역경을 일컬음.
중국 , 문헌>기타문헌
-
역^예(易^禮)
유교 경전(儒敎經典)인 오경(五經) 중에 예기(禮記)와 역경(易經)을 함께 부르는 말.
중국 , 문헌>기타문헌
-
역경(易經)
유교 경전(儒敎經典)인 오경(五經)의 하나인 점서(占書). 팔괘(八卦)와 육십사괘(六十四卦), 괘사(卦辭)ㆍ효사(爻辭)ㆍ십익(十翼)으로 이루어져 있음. 팔괘를 복희(伏羲)가 지었다는 데는 의견이 대부분 일치하지만 나머지에 대해서는 이설이 분분함.
중국 , 문헌>서명
-
역경도석(易經圖釋)
중국 명(明) 나라 헌종(憲宗) 때의 문신ㆍ문인인 유정지(劉定之)가 지은 역학서(易學書). 고본(古本) 《역경》을 바탕으로 지음. 12권.
중국>명 , 중국 , 문헌>서명
-
역경몽인(易經蒙引)
중국 명(明) 나라 헌종(憲宗) 때의 문신ㆍ학자인 채청(蔡淸)이 지은 역학서(易學書). 주희(朱熹)의 《주역본의(周易本義)》를 발명(發明)하는 것을 위주로 삼음.
중국>명 , 중국 , 문헌>서명
-
역대명감(歷代名鑑)
조선 연산군(燕山君) 때 성현(成俔)ㆍ홍귀달(洪貴達) 등이 왕명으로 편찬한 역사서. 역대 군신(君臣)과 후비(后妃) 가운데 귀감이 될 수 있는 행적을 실음. 6책.
1500 한국>조선전기 , 서울 , 문헌>서명
-
역대병요(歷代兵要)
조선 세조(世祖) 때 간행한 역사서. 세종(世宗)이 정인지(鄭麟趾)ㆍ유효통(兪孝通)ㆍ이석형(李石亨) 등에게 명하여 시작되었으며 1455년(세조 1)에 간행됨. 중국과 우리나라의 역대 전쟁기사를 수집하고 선유(先儒)의 논평을 더함.
1455 한국>조선전기 , 서울 , 문헌>서명
-
역대사감(歷代史鑑)
조선 선조(宣祖) 때의 학자인 허강(許橿)이 완성한 책. 증조인 허훈(許薰)이 찬수하였으나 완성하지 못했던 것을 허강이 이어받아 완성함.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역대사요(歷代史要)
조선 효종(孝宗) 때의 학자인 권극중(權克中)이 지은 역사서. 주(周) 나라에서 명(明) 나라까지의 일을 기록하였으며, 유가의 사적뿐 아니라 불가ㆍ도가 등의 이야기도 가감 없이 실어놓음. 51편.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역대요록(歷代要錄)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문인인 유희춘(柳希春)이 지은 역사서. 상고(上古)부터 원(元) 나라까지의 선유(先儒)들의 긴요한 의논을 취하여 편집함.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역대통감찬요(歷代通鑑纂要)
중국 명(明) 나라 효종(孝宗) 때의 문신인 이동양(李東陽) 등이 편찬한 역사책. 92권. 목판본. 상고(上古)에서 원(元) 나라까지의 역사를 서술함.
1507 중국>명 , 중국 , 문헌>서명
-
역도설(易圖說)
중국 송(宋) 나라 때의 학자인 오인걸(吳人傑)이 지은 역학서(易學書). 《영락대전(永樂大典)》에 전문(全文)이 실림. 3권.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역동서원(易東書院)
조선 선조(宣祖) 때 경상도 예안(禮安)에 건립한 서원. 1568년(선조 1) 건립되어 1684년(숙종 10) 사액(賜額)을 받았으며, 우탁(禹倬)ㆍ박충좌(朴忠佐)를 배향함. 현재 안동(安東) 송천동(松川洞)에 있음.
156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유적>건물>서원,향교
-
역락재(亦樂齋)
경상도 안동(安東)에 위치한 도산서원(陶山書院) 안에 있는 건물 이름. 정사성(鄭士誠)의 아버지인 정두(鄭枓)가 아들을 이황(李滉)에게 제자로 맡길 때 지어준 것으로 전함.
156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유적>건물>서원,향교
-
역림(易林)
중국 전한(前漢) 때의 문신ㆍ학자인 초연수(焦延壽)가 지은 역학서(易學書). 한 괘(卦)에 64개의 변괘(變卦)를 갖추어, 육십사괘(六十四卦) 총 4,096개의 변괘에 대한 점사(占辭)를 갖춤. 16권.
중국>전한 , 중국 , 문헌>서명
-
역림변점(易林變占)
중국 전한(前漢) 때의 문신ㆍ학자인 초연수(焦延壽)가 지은 역학서(易學書). 16권. 전하지 않음.
중국>전한 , 중국 , 문헌>서명
-
역법신서(曆法新書)
중국 명(明) 나라 신종(神宗) 때의 문신인 원황(袁黃)이 지은 역법서(曆法書). 천(天)ㆍ지(地)ㆍ인(人) 삼원(三元) 체계는 진양(陳襄)의 학설에 근본을 둠. 5권.
중국>명 , 중국 , 문헌>서명
-
역본의부록찬소(易本義附錄纂疏)
중국 원(元) 나라 문종(文宗) 때의 학자인 호일계(胡一桂)가 편찬한 《역경(易經)》의 주석서. 주희(朱熹)의 《주역본의(周易本義)》를 종주로 삼고 제유(諸儒)들의 역학설(易學說)도 아우름. 15권.
중국>원 , 중국 , 문헌>서명
-
역상의언(易象意言)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인 채연(蔡淵)이 지은 역학서(易學書). 스승 주희(朱熹)에게서 큰 영향을 받음. 1권.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역시서집람(易詩書輯覽)
조선 명종(明宗) 때의 학자인 이지충(李之忠)이 편찬한 책.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역아(易牙)
중국 춘추전국시대 제(齊) 나라 때의 환관. 맛 감별을 잘하여 환공의 주방일을 맡아 보았는데, 환공이 죽은 뒤 수조(豎刁)ㆍ개방(開方) 등과 함께 나라를 어지럽힘.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환관
-
역의(易義)
중국 송(宋) 나라 신종(神宗) 때의 문신ㆍ학자인 진양(陳襄)이 지은 역학서(易學書). 1권.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역전양씨(易傳楊氏)
중국 전한(前漢) 무제(武帝) 때의 학자인 양하(楊何)가 지은 역학서(易學書). 2편.
중국>전한 , 중국 , 문헌>서명
-
역조통략(歷朝通略)
중국 원(元) 나라의 학자인 진역(陳櫟)이 지은 역사서. 복희(伏羲) 때부터 남송(南宋)까지의 흥망득실(興亡得失)을 기록함. 4권.
중국>원 , 중국 , 문헌>서명
-
역주(易注)
중국 삼국시대(三國時代) 오(吳) 나라의 문신ㆍ학자인 우번(虞翻)이 지은 《역경(易經)》의 주석서. 9권.
중국>삼국시대 , 중국 , 문헌>서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