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역천사(嶧川祠)
조선 인조(仁祖) 때 경상도 안의(安義)에 건립한 서원. 정유명(鄭惟明)ㆍ임득번(林得蕃)을 제향함.
1635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음 , 유적>건물>서원,향교
-
역학계몽(易學啓蒙)
중국 송(宋) 나라의 유학자인 주희(朱熹)가 초학자를 위해 지은 《역경(易經)》의 해설서. 상(象)을 중심으로 《역경》을 풀이한 책으로, 역(易)의 도식, 점서에 대한 수리적 설명에 주력함.
1186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역학계몽요해(易學啓蒙要解)
조선 세조(世祖) 때 문신 최항(崔恒)ㆍ한계희(韓繼禧)가 주희(朱熹)의 《역학계몽(易學啓蒙)》을 왕명으로 교정ㆍ해설한 책. 목활자본 4권 2책. 세조와 함께 당시의 손꼽히는 학자들이 편집ㆍ교열 작업에 참여했으며, 《역경(易經)》의 교재로도 쓰임.
1465 한국>조선전기 , 서울 , 문헌>서명
-
역학계몽의견(易學啓蒙意見)
중국 명(明) 나라 세종(世宗) 때의 문신ㆍ학자인 한방기(韓邦奇)가 지은 역학서(易學書). 주희(朱熹)가 지은 《역학계몽(易學啓蒙)》의 논설을 밝혀줌. 5권.
중국>명 , 중국 , 문헌>서명
-
역학계몽익전(易學啓蒙翼傳)
중국 원(元) 나라 문종(文宗) 때의 학자인 호일계(胡一桂)가 지은 역학서(易學書). 아버지 호방평(胡方平)이 지은 《역학계몽통석(易學啓蒙通釋)》을 보익(補益)함. 4권.
중국>원 , 중국 , 문헌>서명
-
역학계몽질의(易學啓蒙質疑)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인 정사성(鄭士誠)이 지은 역학서(易學書). 주희(朱熹)가 지은 《역학계몽(易學啓蒙)》에 대해 스승 이황(李滉)에게 질의한 내용으로 이루어짐. 1책.
1596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역학계몽집전(易學啓蒙集箋)
조선 영조(英祖) 때 서명응(徐命膺) 등이 당시 동궁(東宮)이었던 정조(正祖)의 명에 의해 간행한 책. 활자본. 4권 2책. 주희(朱熹)의 《역학계몽(易學啓蒙)》을 순차대로 해설하여 편찬했으며, 1772년(영조 48) 교서관(校書館)에서 간행함.
1772 한국>조선후기 , 서울 , 문헌>서명
-
역학계몽통석(易學啓蒙通釋)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인 호방평(胡方平)이 지은 역학서(易學書). 주희(朱熹)가 지은 《역학계몽(易學啓蒙)》의 뜻을 발명(發明)함. 2권.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역학변혹(易學辨惑)
중국 송(宋) 나라 휘종(徽宗) 때의 문신ㆍ학자인 소백온(邵伯溫)이 지은 역학서(易學書). 1권.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역해(易解)@황간
중국 송(宋) 나라 영종(寧宗) 때의 문신ㆍ학자인 황간(黃榦)이 지은 역학서(易學書).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역해(易解)@뇌사
중국 금(金) 나라의 문신ㆍ학자인 뇌사(雷思)가 지은 역학서(易學書).
중국>금 , 중국 , 문헌>서명
-
역해(易解)@왕정규
중국 송(宋) 나라 효종(孝宗) 때의 문신ㆍ학자인 왕정규(王庭珪)가 지은 역학서(易學書). 20권.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역현광(易玄光)
먹의 의인화된 명칭. 보통 소나무 재로 먹을 만들기 때문에 송자후(松滋侯)라 칭함. 종이의 저지백(楮知白), 붓의 모원예(毛元銳), 벼루의 석허중(石虛中)과 함께 문방사우(文房四友)로 일컬어짐.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연^계(燕^薊)
중국 요령성(遼寧省) 지역에 해당하는 연주(燕州)와 하북성(河北省) 천진(天津) 지역에 해당하는 계주(薊州)를 함께 부르는 말.
중국 , 지명>기타지명
-
연^괴(延^槐)
충청도 중앙에 위치한 연풍(延豊)과 괴산(槐山)을 함께 부르는 말. 소백산맥(小白山脈) 기슭에 자리 잡은 고을임.
충청도>연풍ㅣ충청도>괴산 , 지명>기타지명
-
연^안(延^安)
중국 복건성(福建省)에 있는 연평(延平)과 안휘성(安徽省)에 있는 신안(新安)을 함께 부르는 말. 송(宋) 나라의 학자인 연평(延平) 이동(李侗)과 신안(新安) 주희(朱熹)를 함께 부르는 말로도 쓰임.
중국>송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ㅣ지명>기타지명
-
연^운(淵^雲)
중국 전한(前漢)의 문인인 양웅(揚雄)과 왕포(王褒)를 함께 부르는 말. 왕포의 자는 자연(子淵)이고 양웅의 자는 자운(子雲)으로, 문장가로 명성을 떨친 두 사람을 가리킴.
중국>전한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연^운(燕^雲)
중국의 북방에 있는 연주(燕州)와 운주(雲州)를 함께 부르는 말. 이 지역의 16개 주(州)는 오대십국시대에 거란족이 진(晉)에게서 빼앗아 북중국을 지배하던 근거로 삼던 북변 요충지였음.
중국 , 지명>기타지명
-
연^총(淵^聰)
중국 남북조시대 전조(前趙)의 황제인 고조(高祖) 유연(劉淵)과 무제(武帝) 유총(劉聰)을 함께 부르는 말. 전조의 기반을 다진 고조와 멸망을 부른 무제 부자를 일컬음.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연^허(燕^許)
중국 당(唐) 나라의 문신인 허국공(許國公) 소정(蘇頲)과 연국공(燕國公) 장열(張說)을 함께 부르는 말. 두 사람은 문장으로 이름을 날려 ‘연허대수필(燕許大手筆)’이라 불림.
중국>당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연개소문(淵蓋蘇文)
고구려 말기의 재상ㆍ무신. 혼란한 고구려 말기에 정권을 잡아 자신을 제거하려는 대인(大人)들을 모두 제거하고 보장왕(寶藏王)을 옹립하여 대막리지(大莫離支)에 오름.
?~665 한국>고구려 , 인명>관인>무신
-
연경서원(硏經書院)
조선 명종(明宗) 때 경상북도 대구(大邱)에 창건한 사액서원(賜額書院). 이황(李滉)ㆍ정구(鄭逑)ㆍ정경세(鄭經世)를 배향하였음.
156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대구 , 유적>건물>서원,향교
-
연곡서원(淵谷書院)
조선 숙종(肅宗) 때 전라도 장흥(長興)에 건립한 서원. 1726년(영조 2) 사액되었으며, 민정중(閔鼎重)ㆍ민유중(閔維重)을 제향함.
1698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장흥 , 유적>건물>서원,향교
-
연곡유집(延谷遺集)
조선 정조(正祖) 때의 학자인 권성익(權聖翊)의 문집. 1936년에 6대손 권정섭(權廷燮)이 2권 1책으로 간행함.
1936 한국>근대 , 문헌>서명
-
연공(然公)
고려 후기의 승려. 권근(權近)의 《양촌집(陽村集)》에 그의 시권(詩卷)에 써준 글이 실려 있음.
한국>고려후기 , 인명>종교인>승려
-
연구령(延九齡)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곡산(谷山). 김정(金淨)의 《충암집(冲庵集》에 그와 주고받은 시(詩)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곡산 , 인명>관인>문신
-
연기(燕岐)
충청남도 동쪽 끝에 있는 고을 이름. 1414년(태종 14) 전의(全義)와 통합했다가 1416년(태종 16) 다시 분리함.
충청도>연기 , 지명>행정지명
-
연기(緣起)
신라 진흥왕(眞興王) 때의 인도 승려. 지리산 화엄사(華嚴寺)의 창건자.
한국>신라 , 기타지역 , 인명>종교인>승려
-
연대사(蓮臺寺)
경상도 안동(安東) 청량산(淸涼山)에 있는 사찰. 통일신라시대 김생(金生)이 친필로 쓴 불경(佛經)이 많이 소장되어 있었으며, 이황(李滉)이 즐겨 찾은 장소로 이름남.
경상도>안동 , 유적>건물>사찰
-
연려실기술(燃藜室記述)
조선 정조(正祖) 때의 학자인 이긍익(李肯翊)이 편찬한 야사집(野史集). 34권. 조선 태조(太祖)부터 숙종(肅宗) 때까지 각 왕대의 주요한 사건을 기록하고, 전례(典禮)ㆍ문예(文藝)ㆍ천문(天文)ㆍ지리(地理) 등의 편목(篇目)을 추가하여 그 연혁을 기재함.
1911 한국>근대 , 문헌>서명
-
연리지(連理枝)
한 나무의 가지가 다른 나무의 가지와 연결되어 가지가 서로 얽힌 것으로, 부부의 애정이 지극함을 이르는 말. 춘추전국시대 송(宋) 나라 한빙(韓凭)과 그의 아내의 고사에서 유래하며, 백거이(白居易)의 시가 전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연명취석(淵明醉石)
중국 강서성(江西省) 여산(廬山)에 있는 바위 이름.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시인인 도연명(陶淵明)이 술에 취하면 눕곤 하여 그 흔적이 남았다고 전함.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지명>자연지명
-
연방세고(聯芳世稿)
조선 전기의 문인인 김진(金璡)과 그의 다섯 아들 김극일(金克一)ㆍ김수일(金守一)ㆍ김명일(金明一)ㆍ김성일(金誠一)ㆍ김복일(金復一)의 문집. 1797년(정조 21)에 후손 김용보(金龍普)가 편집, 간행함.
1797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연방원(聯芳院)
조선 연산군(燕山君) 때 원각사(圓覺寺)를 폐사한 후 그 자리에 만든 기방(妓房).
150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유적>건물>기타건물
-
연보(延保)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곡산(谷山). 장령(掌令)을 지낸 연구령(延九齡)의 아버지로, 낙안 군수(樂安郡守)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곡산 , 인명>관인>문신
-
연복사(演福寺)
경기도 개성(開城)에 있었던 사찰. 공민왕(恭愍王)ㆍ공양왕(恭讓王) 등 여러 왕들이 여러 차례 거둥할 정도의 대찰이었으나 조선의 양란(兩亂)을 거치면서 폐허가 됨. 고려 후기의 승려인 진공(軫公) 등이 주지를 지냄.
한국>고려시대 , 경기도>개성 , 유적>건물>사찰
-
연부(年富)
중국 명(明) 나라 영종(英宗) 때의 문신. 호부 상서(戶部尙書) 등을 지냄.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연사(演師)
고려 후기의 승려. 《운곡행록(耘谷行錄)》에 원천석(元天錫)과 수창(酬唱)한 시가 실려 있음.
한국>고려후기 , 인명>종교인>승려
-
연사종(延嗣宗)
고려 우왕(禑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무신. 본관은 곡산(谷山). 1388년(우왕 14) 요동정벌 때 이성계(李成桂)의 장군 진무(掌軍鎭撫)로 종군하고, 조선 개국 후 우군동지총제(右軍同知摠制) 등을 지냄. 개국공신(開國功臣)ㆍ원종공신(元從功臣)ㆍ좌명공신(佐命功臣)에 책록됨.
1360~1434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함경도>함흥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연산군(燕山君)
조선의 제10대 왕. 재위 1494~1506. 재위 중 무오ㆍ갑자사화를 일으켜 사림파를 비롯한 문신들을 대거 처형하고 언관(言官) 제도를 크게 축소했으며, 당시 사대부들의 윤리관에 어긋나는 행동을 거듭하다가 중종반정(中宗反正)으로 폐위됨.
1476~1506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국왕
-
연세홍(延世弘)
조선 전기의 도사. 중종(中宗) 때 홍문관 부제학을 지낸 김구(金絿)와 왕래했던 도사로, 《자암집(自菴集)》에 그와 수창(酬唱)한 〈차금봉연도사압사수(次錦峯延道士押四首)〉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기타인명>도사
-
연송잡기(然松雜記)
조선 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인 권득기(權得己)가 지은 책.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연안(延安)
황해도 남동부에 있는 고을 이름. 1413년(태종 13) 도호부를 설치하고 경기도에서 황해도로 귀속됨.
황해도>연안 , 지명>행정지명
-
연안이씨(延安李氏)
중국 당(唐) 나라 장수로 신라에 귀화하여 연안후(延安侯)에 봉해진 이무(李茂)를 시조로 하는 성씨.
한국>통일신라 , 황해도>연안 , 인명>집단>성씨
-
연안지(延安志)
조선 선조(宣祖) 때 연안도호부사(延安都護府使)인 윤두수(尹斗壽)가 편찬한 읍지. 〈연안지서(延安志序)〉를 비롯한 관련 자료들이 《오음유고(梧陰遺稿)》에 전함.
1580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연암서원(燕巖書院)
조선 숙종(肅宗) 때 경상도 창녕(昌寧)에 건립한 서원. 이승언(李承彦)ㆍ이장곤(李長坤)ㆍ성안의(成安義)를 제향함.
1695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창녕 , 유적>건물>서원,향교
-
연암집(燕巖集)
조선 정조(正祖) 때의 실학자 박지원(朴趾源)의 시문집. 필사본. 57권 18책. 시문ㆍ서간과 《열하일기(熱河日記)》 등이 수록되어 있으며, 1901년(고종 광무 5)에 김택영(金澤榮)이 9권 3책으로 간행하고 1932년 박영철(朴榮喆)이 17권 6책으로 간행함.
1901 한국>근대 , 문헌>서명
-
연양역(延陽驛)
황해도(黃海道) 문화(文化) 고을 안에 있던 역(驛) 이름.
황해도>문화 , 지명>행정지명
-
연연산(燕然山)
몽골 지역에 있는 산 이름. 중국 후한(後漢) 때의 문신인 두헌(竇憲)이 흉노(匈奴)를 격파하고 나서 이곳에 올라 공적비를 세움.
기타지역 , 지명>자연지명
-
연온(衍昷)
고려 후기의 승려. 충렬왕(忠烈王) 때 찬성사(贊成事)를 지낸 유경(柳璥)의 증손으로, 학수사선(學首四選)에 참여하여 갑과(甲科)에 합격함.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남원 , 인명>종교인>승려
-
연일정씨(延日鄭氏)
신라 태종무열왕(太宗武烈王) 때 간의대부(諫議大夫)를 지낸 정종은(鄭宗殷)을 도시조(都始祖)로 하는 성씨. 지주사공파(知奏事公派)와 감무공파(監務公派)로 나뉨.
한국>신라 , 경상도>영일 , 인명>집단>성씨
-
연자루(燕子樓)
경상도 김해(金海)의 부성(府城) 복판을 흐르던 호계(虎溪) 위에 있었던 누각. 조선 전기에 김일손(金馹孫)이 세웠으며, 근처에 청심루(淸心樓)와 함허정(涵虛亭)이 있었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김해 , 유적>건물>누정
-
연제(練祭)
상례(喪禮)의 일종으로, 소상(小祥)을 앞당겨 치루는 것을 말함. 아버지가 생존해 있는데 어머니가 먼저 죽었을 경우, 1년 만에 지내는 소상을 11개월 만에 지냄.
법제>의례>가례
-
연주(燕州)
중국 북쪽 지방의 고을 이름. 구주(九州)의 하나.
중국 , 지명>행정지명
-
연주대(戀主臺)
통일신라 문무왕(文武王) 때 의상(義湘)이 경기도 과천(果川) 연주봉(戀主峯) 절벽 위에 세운 절. 677년(문무왕 17) 관악사(冠岳寺)와 함께 세워 의상대(義湘臺)라 이름 붙이고 그곳에서 좌선함.
677 한국>통일신라 , 경기도>과천 , 유적>건물>사찰
-
연주시격(聯珠詩格)
중국 원(元) 나라의 학자인 우제(于濟)의 저서를 채정손(蔡正孫)이 증보하고 시에 평석(評釋)을 단 책. 실제적인 작시법(作詩法)을 제시함. 20권.
1300 중국>원 , 중국 , 문헌>서명
-
연주시격언해(聯珠詩格諺解)
조선 성종(成宗) 때 서거정(徐居正)ㆍ노사신(盧思愼)ㆍ허종(許琮)ㆍ어세겸(魚世謙)ㆍ유순(柳洵)ㆍ유윤겸(柳允謙) 등이 왕명으로 《연주시격(聯珠詩格)》을 번역한 책.
1483 한국>조선전기 , 서울 , 문헌>서명
-
연진(演眞)
고려 후기의 승려. 당시 대표적인 권문세족이던 채홍철(蔡洪哲)의 셋째 아들로, 보우(普愚)에게 출가하여 대선사(大禪師)가 됨.
한국>고려후기 , 강원도>평강 , 인명>종교인>승려
-
연천(漣川)
경기도 북부에 있는 고을 이름. 구석기ㆍ신석기 시대의 유물ㆍ유적이 대량 발굴됨.
경기도>연천 , 지명>행정지명
-
연평(延平)
중국 복건성(福建省) 중부에 위치한 고을 이름. 송(宋) 나라의 학자인 이동(李侗)의 고향으로 이름남.
중국 , 지명>행정지명
-
연평답문(延平答問)
중국 송(宋) 나라 때의 대유(大儒) 주희(朱熹)가 스승인 연평(延平) 이동(李侗)과 주고받은 문답(問答)을 기록한 책.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연평서원(延平書院)
중국 송(宋) 나라 때의 문신인 진복(陳宓)이 남검주(南劍州)에 건립한 서원. 《백록동규(白鹿洞規)》를 따라 건립함.
1216 중국>송 , 중국 , 유적>건물>서원,향교
-
연평진(延平津)
중국 복건성(福建省) 남평현(南平縣) 동쪽에 있었던 옛 나루 이름.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뇌환(雷煥)이 가지고 있던 용천검(龍泉劍)과 태아검(太阿劍)을 이곳에 빠뜨리자 용이 되었다는 전설이 있음.
중국 , 지명>자연지명
-
연풍(延豊)
충청도 중부에 있는 고을 이름. 소백산맥(小白山脈) 기슭에 자리잡은 분지(盆地)로, 조선시대 중요한 군사적 지역이었음.
충청도>연풍 , 지명>행정지명
-
연화도(蓮花島)
경상도 고성(固城)에 속하는 섬 이름. 현재 경상남도 통영(統營)에 속함. 대마도(對馬島)에서 남해 미조항(彌助項)까지 오는 바닷길의 중간에 있음.
경상도>고성 , 지명>자연지명
-
연희(演熙)
조선 전기의 승려. 선비 출신의 승려로 서거정(徐居正) 등과 교유했는데, 유술(儒術)과 해법(楷法)에도 능통했다고 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종교인>승려
-
연희당(燕喜堂)
중국 당(唐) 나라 목종(穆宗) 때의 문인ㆍ문신인 왕중서(王仲舒)가 연주(連州)에 건립한 건물 이름. 높고 탁 트여서 휴식하기에 좋다는 내용이 《점필재집(佔畢齋集)》〈징원당기(澄源堂記)〉에 언급됨.
중국>당 , 중국 , 유적>건물>누정
-
열녀전(列女傳)@유향
중국 전한(前漢) 성제(成帝) 때의 학자인 유향(劉向)이 지은 부인(婦人)들에 대한 전기(傳記). 8편 15권이었는데, 나중에 송(宋) 나라의 왕회(王回)가 7권으로 간추림.
중국>전한 , 중국 , 문헌>서명
-
열녀전(列女傳)@황보밀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학자인 황보밀(皇甫謐)이 지은 부인(婦人)들에 대한 전기(傳記). 6권.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문헌>서명
-
열어구(列禦寇)
중국 춘추전국시대 정(鄭) 나라의 사상가. 도가(道家)를 확립시킨 인물의 하나로 알려져 있으나, 실존하였는지는 확실치 않음.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열운정(閱雲亭)
평안도 평양(平壤) 기자성(箕子城) 안에 있는 누정 이름. 양사언(楊士彥)이 지은 〈열운정기(閱雲亭記)〉가 전함.
평안도>평양 , 유적>건물>누정
-
열자(列子)
중국 춘추전국시대 정(鄭) 나라의 사상가인 열어구(列禦寇)의 저서. 8권 8편. 노자(老子)의 청허무위(淸虛無爲)의 사상을 따라 서술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문헌>서명
-
열조(烈祖)
중국 오대십국(五代十國) 남당(南唐)의 초대 황제. 재위 937~943. 오(吳) 나라 효무제(孝武帝) 때의 실권자였던 서온(徐溫)의 양자로, 예제(睿帝)를 몰아내고 양위 받아 황제로 즉위함. 화북(華北)의 오대(五代) 왕조에 대해서도 대등함을 주장함.
888~943 중국>오대십국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열하일기(熱河日記)
조선 정조(正祖) 때 실학(實學)의 대가인 박지원(朴趾源)이 저술한 열하(熱河) 견문기(見聞記). 1780년 6월부터 2개월간 겪은 일을 기록함. 명확한 정본(正本)은 없고 여러 이본(異本)이 있음.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열후(烈侯)
중국 춘추전국시대 조(趙) 나라의 제후. 제위 B.C.403~B.C.400. 진(晉) 나라 대부로서 위열왕(威烈王)의 명을 받아 조 나라의 제후로 봉해짐.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염^이(濂^伊)
중국 송(宋) 나라의 유학자인 이천(伊川) 정이(程頤)와 염계(濂溪) 주돈이(周敦頤)를 함께 부르는 말. 송학(宋學)의 주류를 이루었던 두 사제(師第)를 말함.
중국>송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염경(冉耕)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학자. 공자(孔子)의 제자로, 덕행(德行)에 뛰어났으며, 그가 불치병에 걸리자 공자가 와서 위문하고 탄식함.
B.C.554~?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염구(冉求)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 계강자(季康子)의 가신. 공자(孔子)의 제자로, 공문십철(孔門十哲)의 한 사람. 정치방면에 탁월한 재능을 지님.
B.C.522~?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염국보(廉國寶)
고려 우왕(禑王) 때의 문신. 본관은 서원(瑞原)으로, 곡성부원군(曲城府院君) 염제신(廉悌臣)의 아들. 최영(崔瑩)ㆍ이성계(李成桂)에 의하여 아우 염흥방(廉興邦) 등이 제거될 때 살해됨.
?~1388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
-
염단(廉丹)
중국 신(新) 나라 때의 문신. 적미(赤眉)가 난을 일으켰을 때, 왕망(王莽)의 장군(將軍)으로 출군해 극악무도하게 진압하였다가 결국 적미의 군사들에게 참살 당함.
?~22 중국>신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염락풍아(濂洛風雅)
중국 원(元) 나라 때의 학자인 김이상(金履祥)이 편(編)한 시집. 주자(周子)ㆍ정자(程子) 등 48명의 시를 실음.
1296 중국>원 , 중국 , 문헌>서명
-
염백서(閻伯嶼)
중국 당(唐) 나라 고종(高宗) 때의 문신. 홍주 목사(洪州牧使)를 지낼 때 등왕각(滕王閣)을 수리한 뒤 연회를 열고 사위인 오자장(吳子長)에게 서문을 짓게 하여 자랑하려다가, 마침 그곳을 지나던 왕발(王勃)이 단숨에 써내려가자 글을 보고 감탄하였다 함.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염범(廉范)
중국 후한(後漢) 때의 문신. 촉군 태수(蜀郡太守)로서 불합리한 법령을 없애는 등 민생(民生) 위주의 정사를 펴서 백성들의 칭송을 받음.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염복(閻復)
중국 원(元) 나라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 강엽(康曄)의 문인으로 한림학사(翰林學士)ㆍ절서도 숙정염방사(浙西道肅政廉訪使) 등을 지냄.
1236~1312 중국>원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염옹(冉雍)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학자. 공자(孔子)의 제자. 공문십철(孔門十哲)의 한 사람으로 덕행(德行)에 뛰어났으며 공자가 왕 노릇 할만 하다고 칭찬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염정수(廉廷秀)
고려 공민왕(恭愍王)~우왕(禑王) 때의 문신. 본관은 서원(瑞原). 곡성부원군(曲城府院君) 염제신(廉悌臣)의 아들로, 대제학(大提學) 등을 지냈으나 최영(崔瑩)ㆍ이성계(李成桂)에 의해 형제인 염국보(廉國寶)ㆍ염흥방(廉興邦)과 함께 살해됨.
?~1388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
-
염제신(廉悌臣)
고려 충숙왕(忠肅王)~우왕(禑王) 때의 문신. 본관은 서원(瑞原)으로, 공민왕의 비(妃)인 신비(愼妃)의 아버지. 어려서 원(元) 나라에 건너가 진종(晉宗)을 시종하여 상의사(尙衣使)가 되고, 귀국하여 삼사좌사(三司左使)ㆍ수문하시중(守門下侍中) 등을 지냄.
1304~1382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염흥방(廉興邦)
고려 공민왕(恭愍王)~우왕(禑王) 때의 문신. 본관은 서원(瑞原)으로, 곡성부원군(曲城府院君) 염제신(廉悌臣)의 아들. 지신사(知申事)로서 홍건적을 격파하는 공을 세웠으나, 비행을 일삼으며 국정을 문란하게 하여 최영(崔瑩)ㆍ이성계(李成桂)에 의해 살해됨.
?~1388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
-
영^경(英^莖)
중국 고대 제곡(帝嚳)의 음악인 육영(六英)과 전욱(顓頊)의 음악인 팔경(八莖)을 함께 부르는 말.
고대 , 중국 , 기타>가무
-
영^구(嬰^臼)
중국 춘추전국시대 진(晉) 나라의 의인(義人)인 공손저구(公孫杵臼)와 정영(程嬰)을 함께 부르는 말. 도안가(屠岸賈)로부터 멸문당할 뻔한 조삭(趙朔)의 아이를 지켰던 두 의인을 말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영^호(嶺^湖)
우리나라 팔도(八道) 중 경상도(慶尙道)와 전라도(全羅道)ㆍ충청도(忠淸道)를 함께 부르는 말. 산맥을 기준으로 남북으로 나뉘는 경상남도ㆍ경상북도와 호(湖)를 중심으로 남북으로 나뉘는 전라도ㆍ충청도를 일컬음.
지명>기타지명
-
영^황(英^皇)
중국 고대 전설상의 왕비인 아황(娥皇)과 여영(女英)을 함께 부르는 말. 요(堯) 임금의 딸로 순(舜) 임금의 비(妃)가 된 두 여인을 일컬음.
고대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영가집설의(永嘉集說誼)
조선 세종(世宗) 때의 승려인 기화(己和)가 현각(玄覺)의 법문집인 《영가집(永嘉集)》을 주석한 책.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영강서원(榮江書院)
조선 숙종(肅宗) 때 전라도 나주(羅州)에 건립된 서원. 이원(李黿)ㆍ이해(李蟹) 등을 배향함.
1712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나주 , 유적>건물>서원,향교
-
영계기(榮啓期)
중국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의 은자. 가난하여 갈옷을 입고 새끼로 띠를 했지만, 사람과 남자로 태어나 장수한 것에 만족하여 거문고를 켜고 노래를 하고 다녔다고 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은자
-
영고숙(潁考叔)
중국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 정(鄭) 나라의 효자ㆍ무신. 정(鄭) 장공(莊公)에게 받은 고기를 먹지 않고 모친에게 드림으로써 효도의 의미를 일깨워주었으며, 정백(鄭伯)의 무호기(蝥弧旗)를 들고 적군의 성벽에 먼저 올라가는 용맹을 보여줌.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효자ㅣ인명>관인>무신
-
영공(靈公)@춘추전국(제)
중국 춘추전국시대 제(齊) 나라의 제후. 재위 B.C.581~B.C.554. 경공(頃公)의 아들이자, 최저(崔杼)에게 시해(弑害)당한 장공(莊公)의 아버지.
?~B.C.554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영공(靈公)@춘추전국(衛)
중국 춘추전국시대 위(衛) 나라의 제후. 재위 B.C.534~B.C.493. 양공(襄公)의 아들로, 사추(史鰌)ㆍ거원(蘧瑗) 등의 충신을 둠.
?~B.C.493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영공(靈公)@춘추전국(정)
중국 춘추전국시대 정(鄭) 나라의 제후. 재위 B.C.606~B.C.605. 재위 1년 만에 공자(公子)인 귀생(歸生)에게 시해당함.
?~B.C.605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영공(靈公)@춘추전국(陳)
중국 춘추전국시대 진(陳) 나라의 제후. 대부인 공손녕(孔孫寧)ㆍ의행보(儀行父)와 함께 하희(夏姬)와 간통하였는데, 이를 간하는 대부 예야(洩冶)를 죽임. 이 때문에 하희의 아들인 하징서(夏徵舒)에게 시해됨.
?~B.C.599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