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영관(靈觀)
조선 연산군(燕山君)~선조(宣祖) 때의 승려. 휴정(休靜)ㆍ법융(法融)의 스승으로, 신총(信聰)에게 불경을 배우고 위봉(威鳳)에게 참선을 배웠으며, 유(儒)ㆍ불(佛)ㆍ도(道)에 통달함.
1485~157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사천 , 인명>종교인>승려
-
영광전(靈光殿)
중국 전한(前漢) 경제(景帝) 때 곡부(曲阜)에 건립된 궁전. 경제의 아들 노공왕(魯恭王) 유여(劉餘)가 세움. 다른 궁전들은 모두 파괴되었으나 이 궁전은 그대로 보존되어, 후에 훌륭하고 절의가 있는 인물을 비유하는 말로 쓰이기도 함.
중국>전한 , 중국 , 유적>건물>궁궐
-
영광정씨(靈光丁氏)
중국 당(唐) 나라 대상(大相)으로 신라에 귀화한 정덕성(丁德盛)을 도시조(都始祖)로 삼고,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 지밀직사사(知密直司事)를 지낸 정찬(丁贊)을 중시조(中始祖)로 하는 성씨.
한국>통일신라 , 전라도>영광 , 인명>집단>성씨
-
영국공신(寧國功臣)
조선 인조(仁祖) 22년에 심기원(沈器遠)의 역모를 막은 이들에게 내린 훈호(勳號). 김자점(金自點)과 1등에 책봉된 김류(金瑬) 등이 이후 최고의 권력자로 부상함.
1644 한국>조선후기 , 서울 , 법제>제도
-
영귀서원(詠歸書院)
조선 숙종(肅宗) 때 전라도 옥과(玉果)에 건립된 서원. 흥선대원군의 사원철폐령으로 훼철되었다가 1960년 복원됨. 김인후(金麟厚)ㆍ유팽로(柳彭老) 등이 배향됨.
1694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옥과 , 유적>건물>서원,향교
-
영규(靈圭)
조선 광해군(光海君)~선조(宣祖) 때의 승려. 휴정(休靜)의 제자. 임진왜란 때 의승(義僧) 수백명을 규합하여 청주성(淸州城)의 왜적을 격퇴하고, 조헌(趙憲)과 함께 금산(錦山) 전투에 참가하여 격전 끝에 순국함.
?~1592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공주 , 인명>종교인>승려
-
영규율수(瀛奎律髓)
중국 원(元) 나라의 방회(方回)가 당(唐)ㆍ송(宋) 양대의 시(詩)를 합하여 편찬한 책. 49권.
중국>원 , 중국 , 문헌>서명
-
영남루(嶺南樓)
경상도 밀양(密陽) 내일동(內一洞)에 있는 누각.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 김주(金湊)가 세웠으며, 화재로 소실되었다가 조선 현종(顯宗) 때 복원됨.
1365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밀양 , 유적>건물>누정
-
영남학파(嶺南學派)
조선시대 영남 지방을 중심으로 활동한 성리학파. 초기는 김종직(金宗直)의 영학파(嶺學派), 중기는 조식(曺植) 등의 남명학파(南冥學派), 이황(李滉)의 퇴계학파(退溪學派), 장현광(張顯光)의 여헌학파(旅軒學派)가 성행하다가 후기에는 퇴계학파가 영남학파의 대표가 됨.
한국>조선시대 , 경상도 , 인명>집단>조직
-
영남호남연해형편도(嶺南湖南沿海形便圖)
조선 후기의 경상도와 전라도 해안을 그린 지도. 해운과 각 포구의 선박ㆍ정박능력, 주요지점 간의 거리 등을 그린 지도로, 찾아보기 힘든 영남과 호남의 연안지도(沿岸地圖)라는 점에서 중요한 가치를 지님.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ㅣ경상도 , 문헌>기타문헌
-
영락대전(永樂大典)
중국 명(明) 나라 성조(成祖) 때 황명을 받아 해진(解縉) 등이 편찬한 유서(類書). 경서(經書)ㆍ사서(史書)ㆍ시문집(詩文集)ㆍ불교(佛敎)ㆍ도교(道敎)ㆍ의학ㆍ천문ㆍ복서(卜筮) 등을 총망라한 백과서(百科書)의 일종.
1407 중국>명 , 중국 , 문헌>서명
-
영록대부(榮祿大夫)
고려 후기 종2품 문관의 품계(品階). 1356년(공민왕 5) 종2품 하계(下階)인 봉익대부(奉翊大夫)를 영록대부(榮祿大夫)로 개칭했다가, 1362년 종2품 상ㆍ하를 합쳐 봉익대부로 고쳤으며, 1369년에는 다시 종2품 상계(上階)를 영록대부로 개칭함.
1356 한국>고려후기 , 법제>관직
-
영변(寧邊)
평안도 남동부에 있는 군(郡). 구룡강(九龍江) 하류에 있어 군사 요충지로 발달하였으며, 비옥한 평야가 있어 농산물이 많이 생산됨.
평안도>영변 , 지명>행정지명
-
영복옹주(永福翁主)
고려 충선왕(忠宣王)의 딸. 본래 평양공(平陽公) 왕현(王眩)의 장녀로서 어머니인 순비허씨(順妃許氏)가 충선왕에게 재가하자 옹주로 봉해지고, 양양공(襄陽君) 김대언(金臺彦)과 혼인함.
한국>고려후기 , 인명>왕실>공주
-
영비(寧妃)
고려 제32대 우왕(禑王)의 계비(繼妃). 본관은 동주(東州). 최영(崔瑩)의 서녀(庶女)로, 우왕이 강화(江華)로 유배될 때 따라감. 우왕이 신돈(辛旽)의 후손이라 하여 위조(僞朝)로 폄하됨에 따라 《고려사(高麗史)》〈후비전(后妃傳)〉에 들지 못함.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왕비
-
영빈관(迎賓館)
경기도 여주(驪州)의 객관(客館) 동쪽에 있었던 관소(館所)의 이름. 조선 세종(世宗) 때 세워졌으며, 중종(中宗) 때 장한공(張漢公)이 ‘빈선관(賓仙館)’이라 편액하였으나 중종의 명으로 개명함.
1439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여주 , 유적>건물>관사
-
영사(瑛師)
고려 말~조선 초의 승려. 원천석(元天錫)과 교유하여 《운곡행록(耘谷行錄)》에 서권(書卷)이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인명>종교인>승려
-
영사(寧師)
고려 말~조선 초의 승려. 원천석(元天錫)과 교유하여 《운곡행록(耘谷行錄)》에 서권(書卷)이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인명>종교인>승려
-
영사공신(寧社功臣)
조선 인조(仁祖) 6년에 유효립(柳孝立)의 모반(謀叛)을 고한 신하들에게 내린 훈호(勳號).
1628 한국>조선후기 , 서울 , 법제>제도
-
영산(靈山)
경상도 북부 중앙에 위치한 지명. 본래 독립된 군(郡)이었으나 1914년 행정구역 개편으로 창녕(昌寧)에 속하게 됨. 진산(鎭山)으로 영취산(靈鷲山)이 있음.
경상도>영산 , 지명>행정지명
-
영산강(榮山江)
전라도 담양(潭陽) 용추봉(龍湫峰)에서 발원하여 광주(光州)ㆍ나주(羅州)ㆍ영암(靈巖) 등지를 지나 황해로 흘러드는 강. 길이 115.5km.
전라도>영암ㅣ전라도>담양ㅣ전라도>나주 , 지명>자연지명
-
영산군(寧山君)
조선 제9대 성종(成宗)의 열세 번째 아들. 어머니는 숙용심씨(淑容沈氏). 정막개(鄭莫介)가 반역을 고발한 박영문(朴永文)ㆍ신윤무(辛允武) 등의 옥사에 관련되어 귀양 갔다가 이홍간(李弘榦)의 아룀으로 인하여 석방됨.
1490~153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왕자
-
영산신씨(靈山辛氏)
고려 인종(仁宗) 때 송(宋) 나라 사신으로 고려에 귀화하여 문하시랑평장사(門下侍郞平章事)를 지낸 신경(辛鏡)을 시조로 하는 성씨. 9세손 때 영월신씨(寧越辛氏)로 분관함.
한국>고려전기 , 경상도>영산 , 인명>집단>성씨
-
영성대군(永城大君)
조선 태조(太祖) 이성계(李成桂)의 형. 환조(桓祖) 이자춘(李子春)과 의혜왕후(懿惠王后) 사이의 장남. 성리학에 조예가 깊어 길재(吉再)ㆍ정몽주(鄭夢周) 등과 교유하며 경리(經理)를 강론(講論)함.
1333~1392 한국>조선전기 , 함경도>영흥 , 인명>왕실>종친
-
영수(穎水)
중국 하남성(河南省)의 기산(箕山) 아래로 흐르는 물. 요(堯) 임금으로부터 천하를 거절하고 은둔한 허유(許由)와 소보(巢父)가 이 물에 귀를 씻은 고사로 유명함.
중국 , 지명>자연지명
-
영수각(靈壽閣)
조선 숙종(肅宗) 때 기로소(耆老所) 안에 건립된 누각(樓閣). 숙종이 기로소에 들어가면서 건립하여 어첩(御帖)을 보관함.
1719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유적>건물>누정
-
영승촌(迎勝村)
경상도 안음(安陰)에 있는 고을 이름. 전철(全轍, 1481~1558)이 지은 정자에 퇴계(退溪) 이황(李滉)이 사락정(四樂亭)이라고 이름을 붙이고 시를 지어주었음. 지금은 경상남도 거창군(居昌郡)에 속함.
경상도>안음 , 지명>자연지명
-
영암(靈巖)
전라도 남서부에 있는 고을 이름. 동쪽으로 장흥(長興), 남쪽으로 강진(康津)과 접하였으며, 대표적인 산으로 월출산(月出山)과 사찰로는 도갑사(道岬寺) 등이 있음.
전라도>영암 , 지명>행정지명
-
영양(英陽)
경상도 북동부에 있는 고을 이름.
경상도>영해 , 지명>행정지명
-
영양군(永陽君)
조선 제11대 중종(中宗)의 네 번째 서자. 창빈안씨(昌嬪安氏)의 소생으로, 선조(宣祖)의 아버지인 덕흥대원군(德興大院君) 이초(李岹)의 동모형(同母兄)임.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왕자
-
영양역(寧陽驛)
조선시대 경상도 영해(寧海) 서쪽 75리에 설치된 역(驛) 이름. 안기도(安奇道) 소관.
경상도>영해 , 지명>행정지명
-
영연서원(靈淵書院)
조선 숙종(肅宗) 때 경상도 고령(高靈)에 건립한 서원. 1711년(숙종 37)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신덕린(申德隣)ㆍ박은(朴誾)ㆍ정사현(鄭師賢)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하여 창건하여 위패를 봉안함.
1711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고령 , 유적>건물>서원,향교
-
영왕(靈王)@주
중국 주(周) 나라의 황제. 재위 B.C.571~B.C.545. 구씨산(緱氏山)의 신선(神仙)이 된 왕자교(王子喬)의 아버지로, 직간(直諫)하던 왕자교를 폐위하고 차자인 경왕(敬王)에게 황위를 물려줌.
?~B.C.545 중국>주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영왕(靈王)@춘추전국(초)
중국 춘추전국시대 초(楚) 나라의 제후. 재위B.C.540~B.C.529. 토목과 사치를 좋아하여 장화대(章華臺)를 만들고, 음탕한 생활을 하였으나 뒤에 공자비(公子比)에게 패하여 자결함.
?~B.C.529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영왕(寧王)
중국 당(唐) 나라 제6대 현종(玄宗)의 형. 처음에 황태자(皇太子)가 되었다가 뒤에 영(寧) 땅의 왕(王)으로 봉해짐. 아들은 ‘주중팔선인(酒中八仙人)’ 중의 한 사람으로 알려진 이진(李璡).
?~741 중국>당 , 중국 , 인명>왕실>왕자
-
영우(靈祐)
중국 당(唐) 나라 때의 승려. 위앙종(潙仰宗)의 창시자. 항주(杭州) 용흥사(龍興寺)에서 수계를 받고, 백장 회해(百丈懷海)의 입실제자가 되어 불법을 전수받음.
771~853 중국>당 , 중국 , 인명>종교인>승려
-
영운(靈雲)
조선 후기의 승려. 동원(東園) 김귀영(金貴榮)ㆍ봉래(蓬萊) 양사언(楊士彥) 등과 교유함.
한국>조선후기 , 인명>종교인>승려
-
영원산성(領原山城)
신라시대 강원도 원주(原州) 치악산(雉岳山)에 쌓은 산성(山城). 거란의 침입 때 향공진사(鄕貢進士) 원충갑(元沖甲)이 이 성곽을 지켰으며, 임진왜란 때 원주 목사(原州牧使) 김제갑(金悌甲)이 이곳에서 순절함.
한국>신라 , 강원도>원주 , 유적>시설>성,진,책
-
영월(寧越)
강원도 남부에 있는 고을 이름. 북쪽으로 정선(旌善), 서쪽으로 원주(原州), 남쪽으로 충청도 제천(堤川), 동쪽으로 태백(太白)과 접함. 조선의 단종(端宗)이 유배되어 죽음을 맞이한 곳으로 유명함.
강원도>영월 , 지명>행정지명
-
영월신씨(寧越辛氏)
고려 인종(仁宗) 때 송(宋) 나라 사신으로 고려에 귀화한 신경(辛鏡)을 시조로 하는 영산신씨(靈山辛氏)와 동일 혈족으로, 9세손에 와서 영월(寧越)로 분관하여 생긴 성씨.
한국>고려전기 , 강원도>영월 , 인명>집단>성씨
-
영유(甯兪)
중국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 위(衛) 나라 성공(成公) 때의 대부. 나라에 도(道)가 있을 때는 지혜롭게 행동하고, 나라가 무도할 때는 어리석게 행동하여 공자(孔子)의 칭송을 받음.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영은문(迎恩門)
조선 중종(中宗) 때 중국 사신을 맞아들이던 모화관(慕華館) 앞에 건립한 문. 본래 이름은 영조문(迎詔門)이었는데 명 나라 사신 설정총(薛廷寵)에 의해 영은문(迎恩門)으로 개칭되었고, 뒤에 서재필(徐載弼) 등이 이 자리에 독립문(獨立門)을 세움.
1537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유적>시설>기타시설
-
영응대군(永膺大君)
조선 제4대 세종(世宗)의 여덟째 아들. 본관은 전주(全州). 어머니는 소헌왕후(昭憲王后) 심씨(沈氏). 정충경(鄭忠敬)ㆍ송복원(宋復元)의 딸과 혼인하였으며, 《명황계감(明皇誡鑑)》의 가사를 한글로 번역하고, 글씨ㆍ그림ㆍ음률(音律)에 능함.
1434~1467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왕자
-
영일(迎日)
경상도 동부 동해에 연해 있는 고을 이름. 연오랑(延烏郞)ㆍ세오녀(細烏女) 설화가 전하는 일월지(日月池)와 오천서원(烏川書院) 등의 유적이 있음. 지금은 경상북도 포항시(浦項市)에 속함.
경상도>영일 , 지명>행정지명
-
영정(永貞)
조선 전기의 승려. 백담(栢潭) 구봉령(具鳳齡)이 퇴계(退溪) 이황(李滉)의 묘필(妙筆)을 이어 받은 것으로 평가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종교인>승려
-
영제(靈帝)
중국 후한(後漢)의 제12대 황제. 재위 168~189. 재위 시에 환관들의 농간에 미혹되어 당고지화(黨錮之禍)를 야기 시키는 등 국정이 문란하여 황건(黃巾)의 난이 일어남.
156~189 중국>후한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영조(英祖)
조선 제21대 왕. 재위 1724~1776. 재위 기간 중에 탕평책(蕩平策)과 균역법(均役法)을 추진하고, 가혹한 형벌을 폐지하여 실학을 장려하는 등 많은 업적을 남김.
1694~1776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왕실>국왕
-
영종(英宗)@송
중국 송(宋) 나라의 제5대 황제. 재위 1064~1067. 재위 초기에 허약하여 조태후(曹太后)가 수렴청정을 하였고, 서하(西夏)와 군사적 대립을 화친으로 해결함.
1032~1067 중국>송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영종(英宗)@원
중국 원(元) 나라의 제11대 황제. 재위 1321~1323. 재위 중 한족(漢族)의 인재를 등용하고 세금을 감면하는 한편 법제를 정비하여 대원통제(大元通制) 등을 반포함.
1303~1323 중국>원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영종(英宗)@명
중국 명(明) 나라의 제6대, 제8대 황제. 재위 1436~1449, 1457~1464. 선종(宣宗)의 장남. 인종(仁宗) 때의 정책을 계승하여 안정을 이루었지만 황태후 장씨(張氏)가 죽고 원로대신들이 실각하자 반대 세력에 의해 양위했다가 다시 복위함.
1427~1464 중국>명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영종(寧宗)
중국 송(宋) 나라의 제13대 황제. 재위 1194~1224. 국정운영이 미숙하여 충분한 준비 없이 금(金) 나라를 공격했다가 패하여 금 나라와 백질지국(伯侄之國)이라는 굴욕적인 외교관계를 맺고 조공을 늘리는 수모를 당함.
1168~1224 중국>송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영주산(瀛洲山)
중국 고대 전설상의 신선이 산다는 산 이름. 삼신산(三神山) 중 하나이자, 오도(五島)의 하나.
고대 , 중국 , 지명>기타지명
-
영중곡(郢中曲)
중국 춘추전국시대 초(楚) 나라의 악곡(樂曲). 양춘곡(陽春曲)ㆍ백설곡(白雪曲) 등 수준 높은 노래가 많아 일반적으로 격조 높은 노래를 뜻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기타>가무ㅣ사상>술어>관용어
-
영지(靈芝)
조선 전기의 승려. 소세양(蘇世讓)과 교유하여 《양곡집(陽谷集)》에 시권(詩卷)이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종교인>승려
-
영지산(靈芝山)
경상북도 안동(安東)에 있는 산 이름. 도산서원(陶山書院)을 둘러싸고 있는 산으로, 이 산의 지류로 도산(陶山)과 서취병산(西翠屛山)이 있음.
경상도>안동 , 지명>자연지명
-
영지정사(靈芝精舍)
경상도 안동(安東) 도산면(陶山面)의 영지산(靈芝山) 남쪽에 있던 정사(精舍). 조선 중종(中宗) 때 이현보(李賢輔)가 낙향하여 세운 것으로, 이황(李滉)과 교유하던 곳.
154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유적>건물>누정
-
영창(永昌)
중국 남북조시대 동진(東晉)의 제1대 원제(元帝)의 연호. 해당 연한 322~323.
322~323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시간>연호
-
영창대군(永昌大君)
조선 제14대 선조(宣祖)의 열네 번째 아들. 인목왕후(仁穆王后)의 소생으로, 광해군(光海君)을 지지하던 이이첨(李爾瞻) 등의 대북파(大北派)의 무고로 강화(江華)로 유배되어 죽음을 당함.
1606~1614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강화ㅣ서울 , 인명>왕실>왕자
-
영척(甯戚)
중국 춘추전국시대 제(齊) 나라의 대부. 집이 가난하여 남의 소를 치다가 환공(桓公)이 지나간다는 소식을 듣고서 쇠뿔을 두드리며 자신의 시름을 노래하자, 환공이 불러서 대화한 후 뛰어난 식견에 기뻐하며 대부로 삼았다 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영천(榮川)@경상도
경상도 북부에 있는 고을 이름. 동쪽으로 안동(安東), 서쪽으로 풍기(豐基)와 접해 있음. 현재는 영주시(榮州市)에 속함.
경상도>영천(榮川) , 지명>행정지명
-
영천(永川)@경상도
경상도 남동부에 있는 지명. 동쪽으로 경주(慶州), 서쪽으로 대구(大丘)와 접함. 진산(鎭山)으로 모자산(母子山)이 있고, 사찰로 운부사(雲浮寺) 등이 있음.
경상도>영천(永川) , 지명>행정지명
-
영천(潁川)
중국 하남성(河南省)에 있던 고을 이름. 하(夏) 나라 때의 은자인 허유(許由)가 숨어 살았던 기산(箕山) 등이 있음.
중국 , 지명>행정지명
-
영천서원(寧川書院)
조선 광해군(光海君) 때 전라도 남원(南原)에 건립된 서원, 1686년(숙종 12) 사액되었으며, 안처순(安處順)ㆍ정환(丁煥)ㆍ정황(丁熿) 등을 배향함.
1619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남원 , 유적>건물>서원,향교
-
영천이씨(永川李氏)
고려 초에 평장사(平章事)를 지낸 이문한(李文漢)을 시조로 하는 성씨.
한국>고려전기 , 경상도>영천(永川) , 인명>집단>성씨
-
영천지(榮川誌)
조선 광해군(光海君)~현종(顯宗) 때의 문신인 학사(鶴沙) 김응조(金應祖)가 찬술한 경상도 영천(榮川)에 대한 지지(地誌).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영천(榮川) , 문헌>서명
-
영천집(盈川集)
중국 당(唐) 나라 고종(高宗) 때의 문신이자 문인인 양형(楊炯)의 문집. 30권.
중국>당 , 중국 , 문헌>서명
-
영천집(靈川集)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ㆍ문인ㆍ화가인 신잠(申潛)의 문집. 시(詩)ㆍ서(書)ㆍ화(畵)에 모두 뛰어나 삼절(三絶)로 불렸던 저자의 주요 저서.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영철(瑩徹)
조선 전기의 승려. 상관음(上觀音)의 주지로 김정(金淨)과 교유하여 《충암집(冲庵集)》에 〈제철시권(題徹詩卷)〉이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종교인>승려
-
영춘(靈椿)
장수(長壽)하는 나무의 이름. 《장자(莊子)》 〈소요유(逍遙遊)〉에 나오는 나무 이름으로, 8천 년 만에 봄이 되고 8천 년 만에 가을이 된다고 함.
중국 , 자연물>식물
-
영취산(靈鷲山)
경상도 영산(靈山) 동북쪽 7리 지점에 있는 산 이름. 영산의 진산(鎭山)으로, 천축(天竺)의 영취산과 모양이 같은 데서 유래함. 보림사(寶林寺) 등의 불사가 있음.
경상도>영산 , 지명>자연지명
-
영침(嬴鍼)
중국 춘추전국시대 진(秦) 나라 환공(桓公)의 아들. 경공(景公)의 동생으로, 환공이 둘째 아들인 자신을 총애하자 어머니의 충고를 받아들여 진(晉) 나라로 달아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왕자
-
영통사(靈通寺)
고려 현종(顯宗) 때 경기도 개성(開城)에 건립된 사찰. 대각국사(大覺國師) 의천(義天)이 출가한 절로, 대각국사비명(大覺國師碑銘)과 동서삼층석탑(東西三層石塔)이 있으며, 《동국여지승람(東國輿地勝覽)》에 기록이 있음.
1027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개성 , 유적>건물>사찰
-
영평(永平)
경기도 북동부에 있던 고을 이름. 현재는 경기도 포천시(抱川市)에 속함.
경기도>영평 , 지명>행정지명
-
영풍군(永豊君)
조선 제4대 세종(世宗)의 여덟 번째 서자. 금성대군(錦城大君)과 순흥 부사 이보흠(李甫欽) 등의 단종복위 기도에 연루되어 위리안치(圍籬安置)되었다가 살해됨.
1434~1457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영해(寧海)
경상도 동북부에 있던 고을 이름. 서쪽으로 진보(眞寶), 북쪽으로 강원도 평해(平海)와 접해있으며 현재는 경상북도 영덕군(盈德郡)에 속함.
경상도>영해 , 지명>행정지명
-
영해군(寧海君)
조선 제4대 세종(世宗)의 아홉 번째 서자. 신빈김씨(愼嬪金氏)의 소생으로, 처음 이름은 장(璋)이었으나 후일 당(瑭)으로 바꿈.
1435~1477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왕자
-
영해신씨(寧海申氏)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 판사(判事)를 지낸 신득청(申得淸)을 시조로 하는 성씨. 전해지는 문헌이 없어 세계(世系)를 알 수 없으며 문정공(文貞公) 신현(申贒)을 시조라고 하는 문헌도 있음.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영해 , 인명>집단>성씨
-
영현(伶玄)
중국 전한(前漢)의 문신ㆍ문인. 회남상(淮南相) 등을 지냈으며, 첩인 번통덕(樊通德)에게 성제(成帝)의 황후인 비연(飛燕)의 자매(姉妹)에 대한 고사를 듣고 《비연외전(飛燕外傳)》을 지음.
중국>전한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영회(詠懷)
중국 삼국시대 위(魏) 나라의 문인ㆍ학자ㆍ문신인 완적(阮籍)의 시집. 85수. 현실에 대한 불만과 비애 등을 다룬 연작(連作) 형태의 작품으로, 오언시 연작의 선구적 역할을 하며 작가의 대표작으로 뽑힘.
중국>삼국시대 , 중국 , 문헌>서명
-
영흥(永興)@시간
중국 남북조시대(南北朝時代) 북위(北魏)의 제2대 명원제(明元帝)의 연호. 기간은 409~413.
409~413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시간>연호
-
영흥(永興)@지명
함경도 남부에 있는 고을 이름. 북쪽으로 정평(定平), 남쪽으로 고원(高原)ㆍ문천(文川)과 접해 있으며, 동쪽은 동해의 영흥만에 면해 있음. 조선 태조(太祖)가 태어난 선원전(璿源殿)이 있음.
함경도>영흥 , 지명>행정지명
-
영희(甯喜)
중국 춘추전국시대 위(衛) 나라의 대부. 상공(殤公)을 죽이고, 손임보(孫林父)와 아버지인 영식(甯殖)에 의해 축출된 헌공(獻公)을 복위시켰으나 후에 헌공(獻公)에게 살해됨.
?~B.C.546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예(羿)
중국 고대 전설상의 명궁(名弓). 하(夏) 나라 때 유궁씨(有窮氏)의 수령으로 태강(太康)을 축출하고 왕이 되었다가 한착(寒浞)에게 피살되었다는 설과, 요(堯) 임금의 신하로 열 개의 태양 중에 아홉 개를 쏘아 떨어뜨리고 사나운 괴수를 퇴치하였다는 설이 있음.
고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예^마(倪^馬)
중국 명(明) 나라의 문신인 예겸(倪謙)과 사마순(司馬恂)을 함께 부르는 말. 1450년(조선 세종 32) 경종(景宗)의 즉위를 알리기 위해 조선에 왔던 두 사신을 일컬음.
중국>명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예^시(禮^詩)
유교 경전(儒敎經典)인 오경(五經) 중 예기(禮記)와 시경(詩經)을 함께 부르는 말.
중국 , 문헌>기타문헌
-
예^착(羿^浞)
중국 하(夏) 나라의 명궁(名弓)인 예(羿)와 그의 신하인 한착(寒浞)을 함께 부르는 말. 서로 죽이고 죽여 왕위를 찬탈했던 두 사람을 일컬음.
고대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예겸(倪謙)
중국 명(明) 나라 영종(英宗)~헌종(憲宗) 때의 문신. 1450년(조선 세종 32) 경제(景帝)의 등극을 알리러 조선에 온 사신으로 예부 상서(禮部尙書)를 지내고, 저서로 《조선기사(朝鮮紀事)》를 남김.
1415~1479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예기(禮記)
예(禮)의 이론과 실제를 풀이한 유교 경전. 전한(前漢) 무제(武帝) 때 유덕(劉德)이 공자와 그 후학들이 지은 131편의 책을 모아 정리한 뒤, 유향(劉向)이 214편으로 엮고, 대덕(戴德)이 85편으로, 대성(戴聖)이 49편으로 간추림. 대성이 편찬한 《소대례(小戴禮)》가 현존하는 《예기(禮記)》임.
중국>전한 , 중국 , 문헌>서명
-
예기유회(禮記類會)
조선 인조(仁祖)~숙종(肅宗) 때의 문신ㆍ학자인 홍석(洪錫)의 저서.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예기집설(禮記集說)
중국 원(元) 나라 때의 학자인 진호(陳澔)가 지은 《예기(禮記》의 주석서(註釋書). 체계적으로 편찬되어 명대(明代)에 과거(科擧)의 전용서(專用書)로 사용됨.
중국>원 , 중국 , 문헌>서명
-
예림서원(禮林書院)
조선 명종(明宗) 때 경상도 밀양(密陽)에 건립한 서원. 원래 이름은 덕성서원(德城書院)인데, 임진왜란 때 소실되어 복원하고 현재의 위치로 이건하면서 예림서원(禮林書院)으로 개칭함. 김종직(金宗直)ㆍ박한주(朴漢柱) 등을 배향함.
156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밀양 , 유적>건물>서원,향교
-
예맥(濊貊)
예맥족(濊貊族)이 거주했던 한반도의 동북부인 강원도ㆍ함경도 일대를 통칭하는 지명 또는 나라. 한족(韓族)을 형성한 예족과 맥족을 이르기도 함.
인명>집단>종족ㅣ시간>국명ㅣ지명>자연지명
-
예문관(藝文館)
고려~조선시대 왕의 칙령(勅令)과 교명(敎命)의 기록을 맡아보던 관청.
한국>고려전기 , 법제>관청
-
예문일통(禮門一統)
조선 정조(正祖) 때의 문신ㆍ학자인 김종덕(金宗德)의 저서.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예문희집(倪文僖集)
중국 명(明) 나라 영종(英宗)~헌종(憲宗) 때의 문신인 예겸(倪謙)의 문집. 총 32권.
중국>명 , 중국 , 문헌>서명
-
예백(芮伯)
중국 주(周) 나라 때의 제후. 주 여왕(厲王)의 실정을 비난하였는데, 그 내용이 《시경(詩經)》의 〈상유(桑柔)〉에 실려 있음.
중국>주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예범(禮範)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인 이종사(李宗思)의 저서.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예부(禮部)
신라 진평왕(眞平王) 8년에 설치된 외교(外交)와 의례(儀禮)를 맡아본 관서(官署). 관원으로는 영(令)ㆍ경(卿)ㆍ대사(大舍) 등이 있었으며, 고려 후기까지 존속됨.
586 한국>통일신라ㅣ한국>고려시대ㅣ한국>신라 , 법제>관청
-
예사의(倪士毅)
중국 원(元) 나라의 학자. 스승인 진역(陳櫟)이 지은 《사서발명(四書發明)》과 호병문(胡炳文)이 지은 《사서통(四書通)》을 합하여 《사서집석(四書輯釋)》을 찬술함.
1303~1348 중국>원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예산(禮山)
충청도 중부에 있는 고을 이름. 동쪽으로 온양군(溫陽郡), 서쪽으로 덕산현(德山縣)과 접해 있음. 오현(烏縣)으로 불리며 반포조(反哺鳥) 까마귀와 같은 효의 고장으로 이름 높음.
충청도>예산 , 지명>행정지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