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숭보사(崇報祠)
경상도 의령(宜寧)에 있었던 사당. 조선 헌종(憲宗) 때 세워졌으며, 표연말(表沿沫)을 배향하였음.
1841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의령 , 유적>건물>사당
-
숭산(嵩山)
중국 하남성(河南省) 등봉현(登封縣) 북쪽에 있는 산. 중국 오악(五嶽)의 하나로 방위상 중앙에 위치하며, 남북조시대부터 종교와 문화의 중심지로 유명하였고, 소림사(少林寺) 등의 사찰이 있음.
중국 , 지명>자연지명
-
숭양서원(崧陽書院)
조선 선조(宣祖) 때 경기도 개성(開城)에 건립한 서원. 1575년(선조 8)에 사액되고, 정몽주(鄭夢周)ㆍ서경덕(徐敬德)ㆍ김육(金堉) 등을 배향함.
1573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개성 , 유적>건물>서원,향교
-
숭의사(崇義祠)
조선 후기 경상도 청도(淸道)에 건립한 용강서원(龍岡書院) 내의 사당. 임진왜란(壬辰倭亂) 때에 공을 세운 밀성박씨(密城朴氏) 문중의 부자 형제, 종반숙질(從班叔侄) 등의 창의공신(倡義功臣) 14의사를 배향함.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청도 , 유적>건물>사당
-
숭의전(崇義殿)
조선 정종(定宗) 때 경기도 마전(麻田)에 건립된 사당. 고려 태조(太祖)를 비롯한 8왕의 신위(神位)를 봉안하여 제사지내던 곳으로, 복지겸(卜智謙)ㆍ신숭겸(申崇謙) 등을 배향함.
1399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마전 , 유적>건물>사당
-
숭인문(崇仁門)
고려의 수도인 개경(開京)의 동문(東門). 이 문밖에서 군대를 검열하기도 하고, 1174년(명종 4)에는 승려들이 이의방(李義方)을 죽이기 위해 이 문을 불태우려 하기도 함.
한국>고려시대 , 경기도>개성 , 유적>시설>성,진,책
-
숭절서원(崇節書院)
조선 현종(顯宗) 때 경기도 개성(開城)에 건립된 서원. 1714년(숙종 40)에 사액되었으며, 송상현(宋象賢)ㆍ김연광(金鍊光)ㆍ유극량(劉克良)을 배향함.
1666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개성 , 유적>건물>서원,향교
-
숭현서원(崇賢書院)
조선 선조(宣祖) 때 충청도 회덕(懷德)에 건립한 서원. 1609년(광해군 1)에 중건되어 같은 해 사액되었으며, 정광필(鄭光弼)ㆍ송준길(宋浚吉) 등을 배향함.
1580?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회덕 , 유적>건물>서원,향교
-
슬한재집(瑟僩齋集)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인 박민헌(朴民獻)의 문집.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습가지(習家池)
중국 호북성(湖北省) 양양(襄陽)에 있는 못 이름. 토호(土豪)인 습씨(習氏)의 원지(園池)로, 진(晉) 나라 때 산간(山簡)이 양양 태수로 있으면서 이곳의 빼어난 경치를 사랑하여 술을 즐겨 마시던 곳으로 유명함.
중국 , 유적>시설>기타시설
-
습개경(襲蓋卿)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학자. 형주(衡州) 상녕(常寧) 사람으로, 주자(朱子)의 문인(門人).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습재집(習齋集)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이자 시인인 권벽(權擘)의 시집. 4권. 목판본. 아들 권필(權韠)이 4권으로 편차하여 1608(광해군 즉위년)에 이정귀(李廷龜)ㆍ최립(崔岦)의 서문을 받아 충청도 공주(公州)에서 목판으로 간행함.
1608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공주 , 문헌>서명
-
습정집(習靜集)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인 송방조(宋邦祚)의 저서.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습착치(習鑿齒)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학자. 박학다문(博學多聞)하고 불교 이론에 밝아 승려 도안(道安)과 친교(親交)하였고, 촉(蜀)을 정통(正統)으로 하는 역사서 《한진춘추(漢晉春秋)》를 저술함.
317~?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승가사(僧伽寺)
통일신라 경덕왕(景德王) 때 수태(秀台)가 서울의 삼각산(三角山: 지금의 북한산)에 창건한 사찰. 함허(涵虛)ㆍ성월(城月) 등의 고승을 배출하였고, 보물로 지정된 승가사석조승가대사상(僧伽寺石造僧伽大師像) 등이 있음.
756 한국>통일신라 , 서울 , 유적>건물>사찰
-
승과(僧科)
고려 광종(光宗) 9년에 시작되어 조선 전기까지 승려에게 실시한 과거(科擧). 1565년(명종 20) 도첩제(度牒制)가 폐지되면서 승과도 혁파됨.
958 한국>고려전기 , 법제>제도
-
승련사(勝蓮寺)
고려시대 전라도 남원(南原)의 만행산(萬行山)에 창건한 사찰. 현재는 터만 남았으며, 중긍(中亙)ㆍ각운(覺雲) 등의 고승들이 머물던 곳으로 유명함. 1361년(공민왕 10)에 승려 연온(衍昷)이 주관하여 중창하고 승련사(勝蓮寺)라 편액함.
한국>고려시대 , 전라도>남원 , 유적>건물>사찰
-
승로(承露)
머리띠의 하나. 고대에 상투를 묶어 맬 때 사용하던 직물(織物).
중국 , 물품>기타물품
-
승명집(承明集)
중국 송(宋) 나라 태종(太宗) 때의 문신ㆍ문인으로 사문(詞文)에 능했던 왕우칭(王禹稱)의 저서. 10권.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승선암(乘仙巖)
황해도 해주(海州) 수양산(首陽山)에 있는 바위 이름. 율곡(栗谷) 이이(李珥)가 찾아가 시를 읊은 곳임.
황해도>해주 , 지명>자연지명
-
승안(勝安)
조선 전기의 승려. 교종판사(敎宗判事) 천측(天則)의 상좌(上座)이며, 송인(宋寅)과 시(詩)로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종교인>승려
-
승예(僧叡)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승려. 구마라습(鳩摩羅什) 문하 사철(四哲)의 한 사람으로, 스승의 불경 번역(飜譯)에 참가하여 《묘법연화경(妙法蓮華經)》ㆍ《대지도론(大智度論)》등의 서문을 씀.
355~439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종교인>승려
-
승자총통(勝字銃筒)
조선 전기에 만든 휴대용 소화기(小火器). 《기효신서(紀效新書)》에 기재된 쾌창(快槍)의 일종으로, 고려 말에 전래되어 일본에서 조총이 전래되기 전까지 주로 사용됨. 오늘날 전해지는 것은 1583년(선조 16) 김지(金墀)가 만든 이후의 것임.
한국>조선전기 , 물품>기타용품>무기
-
승정원(承政院)
조선시대 왕명의 출납을 관장하던 관청. 국왕과 밀착되어 중추적인 정치기구의 역할을 하였으며, 승선원(承宣院)ㆍ비서감(秘書監)ㆍ비서원(秘書院) 등으로 이름이 바뀌었다가 1907년에 폐지됨.
한국>조선시대 , 서울 , 법제>관청
-
승정원일기(承政院日記)
조선시대에 승정원(承政院)에서 매일 취급한 문서(文書)와 사건을 기록한 일기. 원래 조선 개국 초부터 일기가 있었으나, 임진왜란(壬辰倭亂) 때에 소실되어 1623년(인조 1)부터 1894년(고종 31)까지 270여 년간의 일기만이 현존함.
한국>조선시대 , 서울 , 문헌>서명
-
승조(僧肇)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승려. 구마라습(鳩摩羅什) 문하 사철(四哲)의 한 사람으로, 저서 《조론(肇論)》은 대승의 공(空) 사상에 대한 깊은 이해를 보여준 것으로 후세에 큰 영향을 미침.
384~414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종교인>승려
-
승찬(僧璨)
중국 남북조시대 서위(西魏)~수(隋) 나라 때의 선승(禪僧). 중국 선종의 삼조(三祖)로, 이조(二祖) 혜가(慧可)에게서 법을 이어받은 후 도신(道信)에게 법을 전함.
?~606 중국>수ㅣ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종교인>승려
-
승형(承逈)
고려 명종(明宗)~고종(高宗) 때의 승려(僧侶). 능엄선(楞嚴禪)의 주창자. 지눌(知訥)에게 법요(法要)를 받고, 1210년(희종 6)에 연법사(演法寺) 법회(法會)를 주관하여 선풍(禪風)을 확립함.
1172~1221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상주 , 인명>종교인>승려
-
시^역(詩^易)
유교 경전(儒敎經典)인 오경(五經)의 시경(詩經)과 역경(易經)을 함께 부르는 말.
중국 , 문헌>기타문헌
-
시간(屍諫)
죽으면서도 임금에게 간언(諫言)함. 춘추전국시대 위(衛) 나라의 대부 사추(史鰌)가 자신이 죽은 뒤 주검을 문밖에 내놓는 것으로 영공(靈公)에게 간언(諫言)하여 깨닫게 했다는 고사로, 《공자가어(孔子家語)》 등에 전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사상>술어>고사성어
-
시경(詩經)
유교 경전(儒敎經典)인 오경(五經)의 하나로, 중국에서 가장 오래된 시집(詩集). 춘추시대(春秋時代)의 민요를 중심으로 305편을 수록하였음.
중국 , 문헌>서명
-
시경집전(詩經集傳)
중국 송(宋) 나라의 유학자인 주희(朱熹)가 1177년(효종 15)에 쓴 시경(詩經)에 대한 주석서(註釋書). 주희가 성리학(性理學)을 정립하고, 유교의 경전(經傳) 중 시경을 새로운 철학적 시각에서 해석한 책.
1177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시남집(市南集)
조선 인조(仁祖)~현종(顯宗) 때의 문신ㆍ학자인 유계(兪棨)의 시문집. 송시열(宋時烈)의 산정을 받아 아들 유명윤(兪命胤) 등이 정서한 것을 문인인 윤증(尹拯)이 편차하여 저자의 계자(季子) 유명흥(兪命興)과 함께 1690년(숙종 16)에 간행함.
1690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현풍 , 문헌>서명
-
시례하(是禮河)
중국 강소성(江蘇省) 양주(揚州) 지역에 있는 하천 이름. 최부(崔溥)의 《표해록(漂海錄)》에 나옴.
중국 , 지명>자연지명
-
시목촌(柿木村)
경상도 함양(咸陽)에 있는 고을 이름. 성종(成宗) 때의 문신인 표연말(表沿沫)의 묘소가 있음.
경상도>함양 , 지명>행정지명
-
시법(諡法)
중국 송(宋) 나라 때 당송팔대가(唐宋八大家)로 명성을 떨친 소순(蘇洵)의 저서. 4권. 시호(諡號)에 관한 방법을 논함.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시서석의(詩書釋義)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문인인 유희춘(柳希春)이 지은 《시경(詩經)》과 《서경(書經)》에 대한 주석서.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시설(詩說)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학자인 장뢰(張耒)의 저서.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시암집(時庵集)
조선 후기 문인인 시암(時庵) 조상우(趙相禹)의 문집. 7책 3권. 목활자본. 송래희(宋來熙)의 서문과 조한규(趙韓圭)의 발문이 있음.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시전(詩傳)
중국 송(宋) 나라 때 당송팔대가(唐宋八大家)의 한 사람인 소철(蘇轍)이 지은 《시경(詩經》에 대한 주석서.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시전촌(枾田村)
충청도 온양(溫陽)에 있는 고을 이름. 아계(鵝溪) 이산해(李山海)가 1600년(선조 33)에 파면되고 물러나 거처하던 곳임.
충청도>온양 , 지명>행정지명
-
시천집(詩川集)
조선 숙종(肅宗) 때의 유학인 이후원(李厚遠)의 시집. 이덕수(李德壽)의 《서당사재(西堂私載)》에 서문이 실려 있음.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시평보유(詩評補遺)
조선 숙종(肅宗)~영조(英祖) 때의 문신ㆍ학자인 홍만종(洪萬宗)의 시화(詩話)를 수록한 시론집. 《소화시평(小華詩評)》의 속편으로, 우리나라 말로 된 가곡이나 속요ㆍ속담까지도 그 가치를 인정하려는 혁신적 문학관을 담고 있음.
1938 한국>근대 , 전라도>전주 , 문헌>서명
-
시화총림(詩話叢林)
조선 숙종(肅宗)~영조(英祖) 때의 문신ㆍ학자인 홍만종(洪萬宗)의 시화집(詩話集). 4권 4책. 필사본. 고려시대에서 조선시대에 이르는 문인들의 시ㆍ소설ㆍ수필 등을 《역옹패설(櫟翁稗說)》ㆍ《지봉유설(芝峰類說)》등에서 뽑아 수록함.
1712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시황(始皇)
중국 진(秦) 나라의 황제. 재위 B.C.246~B.C.210. 기원전 221년에 중국을 통일하고 스스로 시황제(始皇帝)라 칭함. 중앙집권을 확립하고 도량형ㆍ화폐를 통일하였으며 만리장성을 증축함. 분서갱유(焚書坑儒) 등으로 위세를 떨침.
B.C.259~B.C.210 중국>진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식료찬요(食療撰要)
조선 세조(世祖) 때 어의(御醫) 전순의(全循義)가 편찬한 우리나라 최초의 식이요법서(食餌療法書). 손순효(孫舜孝)가 경상 감사(慶尙監司)로 있을 때 성종(成宗)의 명을 받아 상주(尙州)에서 간행함.
148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상주 , 문헌>서명
-
식료찬요(食療纂要)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인 성세창(成世昌)의 저서.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식부궁(息夫躬)
중국 전한(前漢) 애제(哀帝) 때의 문신. 제후 유운(劉雲)을 무고(誣告)하여 자살하게 만들고, 애제에게 거짓 진언을 하다가 왕가(王嘉)에 의해 저지 당함. 광록대부(光祿大夫)를 지냄.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식암유고(息庵遺稿)
조선 현종(顯宗)~숙종(肅宗) 때의 문신인 김석주(金錫胄)의 시문집. 25권 14책. 활자본. 초간본은 아들 김도연(金道淵)이 편차하여 간행하고, 중간본은 저자의 문인인 홍숙(洪璛)이 1697년(숙종 23)에 전라도 영광(靈光)에서 간행함.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식암집(息庵集)
조선 명종(明宗)~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인 황섬(黃暹)의 시문집. 5권 3책. 목판본. 신경준(申景濬)이 1769년(영조 45)에 간행함.
1769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식영(息影)
고려 후기의 승려. 선원사(禪源寺)에서 보각국사(普覺國師) 혼수(混脩)에게 능엄경(楞嚴經)을 가르침. 시문(詩文)에 조예가 깊고, 사대부들과 교류가 많았음.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인천 , 인명>종교인>승려ㅣ인명>문사>문인
-
식영정(息影亭)
조선 명종(明宗) 때 전라도 창평(昌平)에 건립한 정자. 김성원(金成遠)이 장인 임억령(林億齡)을 위해 건립함. 송강(松江) 정철(鄭澈)이 이곳을 무대로 종유하며 《성산별곡(星山別曲)》 등의 수많은 작품을 남김. 현재 담양(潭陽)에 속함.
1560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창평 , 유적>건물>누정
-
식우집(拭疣集)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학자ㆍ문신인 김수온(金守溫)의 시문집. 초간본은 성종(成宗)의 명으로 교서관에서 간행하였으나 화재로 거의 소실되고, 1673년(현종 14)에 14대손 김우준(金禹濬)이 시문을 모아 엮은 필사본을 1961년에 종손 김낙중(金洛中)이 중간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문헌>서명
-
식후(息侯)
중국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 식(息) 나라의 제후. 초(楚) 나라 문왕(文王)에게 절세미인인 부인을 빼앗기고 죽임을 당함.
?~B.C.681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신(莘)
중국 고대의 나라 이름. 이윤(伊尹)이 유신(有莘)의 들에서 밭을 갈다 은(殷) 나라 탕왕(湯王)의 부름을 받고 재상(宰相)이 됨.
중국>은 , 중국 , 시간>국명
-
신^곽(申^郭)
중국 후한(後漢)의 학자인 신도반(申屠蟠)과 곽태(郭泰)를 함께 부르는 말. 신도반은 동탁(董卓)의 초빙을 물리치고 절조를 지켰으며 곽태는 학문과 인격으로 사람의 존경을 받았으므로, 난세에 큰 스승을 가리킴.
중국>후한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신^상(申^商)
중국 춘추전국시대 위(衛) 나라의 공손앙(公孫鞅)과 한(韓) 나라의 신불해(申不害)를 함께 부르는 말. 법가(法家)의 대표적인 인물들이며, 전국시대(戰國時代)를 뜻하는 말로도 쓰임.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신^포(信^布)
중국 전한(前漢) 때 고조(高祖) 유방(劉邦)을 도와 천하를 통일한 한신(韓信)과, 진(秦) 말~한(漢) 초에 항우(項羽)의 휘하에 있다가 유방에게 귀부하였으나 후에 모반한 경포(黥布)를 함께 부르는 말. 용맹한 자를 가리킴.
중국>전한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신^한(申^韓)
중국 춘추전국시대 한(韓) 나라의 법가(法家) 사상가인 신불해(申不害)와 한비(韓非)를 함께 부르는 말. 형법학(刑法學)의 창시자를 가리킴.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신각(申恪)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무신. 본관은 평산(平山). 아버지는 조선 명종(明宗) 때 문신 신의충이며, 할아버지는 교감(校勘)을 지낸 신억수(申億壽). 부인은 효령대군의 4대손으로 풍덕군수를 지낸 이광윤(李光胤)의 딸 전주 이씨.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양주 해유령(楊州蟹踰嶺) 전투에서 공을 세우고도 김명원(金命元)의 잘못된 장계(狀啓)로 처형당함.
?~1592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평산 , 인명>관인>무신
-
신강(申剛)
조선 전기의 문인. 주세붕(周世鵬)과 교유하여 서호(西湖)에서 수작한 일이 《무릉잡고(武陵雜稿)》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문인
-
신개(申槩)
조선 태조(太祖)~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평산(平山). 1417년(태종 17)에 집현전 제학(集賢殿提學)이 되고, 1436년(세종 18)에 《고려사(高麗史)》수찬에 참여함. 1439년(세종 21) 우의정에 올라 야인의 침입을 막기 위한 장성 축조를 건의함.
1374~1446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관인>문신
-
신개(申漑)
조선 전기의 유학. 모재(慕齋) 김안국(金安國)의 문인(門人). 성호문(成好問) 등과 함께 김안국(金安國)에게서 자(字)를 받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신거(申據)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평산(平山). 이조 참판(吏曹參判)을 지낸 신여종(申汝悰)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평산 , 인명>문사>유학
-
신거(辛裾)
고려 말의 문신. 본관은 영월(寧越). 전법 판서(典法判書)를 지낸 신당계(辛唐系)의 아버지로, 문하 찬성사(門下贊成事)를 지냄.
한국>고려후기 , 강원도>영월 , 인명>관인>문신
-
신거관(愼居寬)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을사사화(乙巳士禍) 때 윤원형(尹元衡) 일파에 의하여 관직이 삭탈되고 평해(平海)로 유배되었으나, 1555년(명종 10) 재등용되어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에 이름.
1498~156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거창 , 인명>관인>문신
-
신거이(愼居易)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형조 정랑(刑曹正郞), 내섬시 정(內贍寺正)을 지냄.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 신거관(愼居寬)의 사촌 형.
1482~155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거창 , 인명>관인>문신
-
신건(申健)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평산(平山). 돈녕부 봉사(敦寧府奉事)를 지낸 신우호(申友顥)의 아들로, 한백겸(韓百謙)의 외조부. 예빈시 정(禮賓寺正)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신건(辛健)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영산(靈山). 문신인 신숙(辛肅)의 아들로, 정언(正言)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산 , 인명>관인>문신
-
신검(神劒)
후백제(後百濟)의 제2대 왕. 재위 935~936. 견훤(甄萱)의 장남. 견훤이 넷째 아들 금강(金剛)에게 왕위를 물려주려고 하자, 두 동생 양검(良劍)ㆍ용검(龍劍) 등과 공모하여 견훤을 금산사(金山寺)에 유폐시키는 한편, 금강을 죽이고 스스로 왕이라 칭함.
한국>통일신라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국왕
-
신견(信堅)
조선 전기의 승려. 해남(海南) 두륜산(頭輪山)에 있는 두륜사(頭輪寺) 승려로, 김인후(金麟厚)ㆍ백광훈(白光勳)ㆍ박순(朴淳) 등과 시(詩)로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해남 , 인명>종교인>승려
-
신경(辛鏡)
고려 인종(仁宗) 때의 문신. 북송(北宋)에서 건너 온 팔학사(八學士)의 한 사람으로, 영산(靈山)에 정착하여 영산신씨(靈山辛氏)의 시조가 됨. 금자광록대부(金紫光錄大夫)ㆍ문하시랑평장사(門下侍郞平章事) 등을 지냄.
1107~? 한국>고려전기 , 중국ㅣ경상도>영산 , 인명>기타인명>귀화인ㅣ인명>관인>문신
-
신경립(辛敬立)
조선 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영월(寧越). 진사(進士) 신내옥(辛乃沃)의 아들로, 유운룡(柳雲龍)의 문인. 임진왜란(壬辰倭亂)이 일어나자 안동(安東)에서 의병을 일으킴.
155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유학
-
신경원(申景瑗)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무신. 영의정(領議政) 신경진(申景禛)의 종제(從弟). 이괄(李适)의 난 때 반군을 무찔러 진무공신(振武功臣)으로 평녕군(平寧君)에 봉해짐. 병자호란(丙子胡亂) 때 사도 부원수(四道副元帥)가 되어 항거했음.
1581~1641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평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신경유(申景裕)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무신. 신립(申砬)의 아들. 인조반정(仁祖反正) 뒤 정사공신(靖社功臣)으로 동평군(東平君)에 봉해짐. 호위대장(扈衛大將) 등을 역임했지만 방자한 행동과 탐욕 등으로 탄핵을 받음.
1581~1633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평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신경윤(申景潤)
조선 전기의 유학. 윤근수(尹根壽)가 차운한 〈차태헌운봉증온진정주인(次苔軒韻奉贈薀眞亭主人)〉이라는 시(詩)가 《월정집(月汀集)》에 수록되어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신경인(申景禋)
조선 광해군(光海君)~인조(仁祖) 때의 무신. 신립(申砬)의 아들. 인조반정(仁祖反正) 뒤 정사공신(靖社功臣)으로 동성군(東城君)에 봉해짐. 호위대장(扈衛大將) 겸 포도대장(捕盜大將)을 거쳐 어영대장(御營大將)에 특차되어 중앙의 군사권을 장악함.
1590~1643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평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신경진(申景禛)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ㆍ무신. 본관은 평산(平山). 신립(申砬)의 아들이며 김장생(金長生)의 문인. 인조반정(仁祖反正)에 가담하여 정사공신(靖社功臣)에 책록되고 평성군(平城君)에 봉해짐. 병자호란 때 남한산성(南漢山城)을 수비하고, 영의정(領議政)에 오름.
1575~1643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ㅣ인명>관인>문신
-
신경진(辛慶晉)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영월(寧越). 부제학(副提學)을 지낸 신응시(辛應時)의 아들. 이이(李珥)의 문인으로, 문무(文武)의 재능을 겸비하여 명성이 높았고 예조 참판(禮曹參判)ㆍ대사헌(大司憲)을 지냄.
1554~1619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신경희(申景禧)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평산부원군(平山府院君) 신잡(申磼)의 아들. 음보(蔭補)로 임관되어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권율(權慄)의 휘하에 종군함. 반역을 모의했다는 대북(大北)의 무고로 장살(杖殺)됨.
?~1615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평산 , 인명>관인>문신
-
신계성(申季誠)
조선 연산군(燕山君)~명종(明宗) 때의 학자. 성리학(性理學)에 뜻을 두고 벼슬에 나아가지 않음. 박영(朴英)에게 수학(受學)하고, 김대유(金大有)ㆍ조식(曺植) 등과 종유(從遊)하여 삼고(三高)라 불림.
1499~156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밀양 , 인명>문사>학자
-
신계원(愼繼源)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1488년(성종 19) 진주(晉州) 촉석루(矗石樓)에서 조위(曺偉)ㆍ김일손(金馹孫) 등과 금란계(金蘭契)를 맺음. 창녕 현감(昌寧縣監)ㆍ장흥 부사(長興府使) 등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거창 , 인명>관인>문신
-
신계형(申季衡)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유희춘(柳希春)과 함께 1537년(중종 32)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하여 연은전 참봉(延恩殿參奉)이 되었고, 추천으로 진안 현감(鎭安縣監)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진안 , 인명>관인>문신
-
신공(申公)
중국 춘추전국시대 초(楚) 나라의 대부. 원왕(元王)이 목생(穆生)ㆍ백생(白生)과 함께 대부로 삼아 예우하였으나, 훗날 백생과 함께 죄에 연루되어 붉은 죄수복을 입고 저자에서 절구질을 하게 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신공(申恭)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무신. 1480년(성종 11) 과거에 급제하고, 중종반정(中宗反正) 때 정국공신(靖國功臣)에 올라 훈련원 도정(訓鍊院都正)ㆍ병조 참의(兵曹參議)를 지냄.
1451~1510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평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신공제(申公濟)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고령(高靈). 이조 판서(吏曹判書)ㆍ좌참찬(左參贊)ㆍ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등을 지내고, 초서(草書)와 예서(隸書)를 잘 씀.
1469~1536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순창 , 인명>관인>문신
-
신광섭(申光涉)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평산(平山). 옥계(玉溪) 노진(盧禛)의 문인인 신명수(申蓂秀)의 아버지로, 참봉(參奉)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공주 , 인명>관인>문신
-
신광수(申光洙)
조선 영조(英祖) 때의 문신ㆍ시인. 본관은 고령(高靈). 1746년(영조 22)에 관산융마(關山戎馬)란 시(詩)로 급제했는데, 이 시는 당시 과시(科詩)의 모범이 됨. 1774년(영조 50)에 관서지방의 풍속ㆍ고적ㆍ고사 등을 소재로 한 관서악부(關西樂府)를 지었으며, 《석북집(石北集)》을 남김.
1712~1775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고령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신광한(申光漢)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대제학을 지낸 당대의 문장가. 을사사화(乙巳士禍) 때 위사공신(衛社功臣)이 되고, 우찬성(右贊成)으로 양관(兩館) 대제학을 겸했으며, 좌찬성(左贊成)을 지냄.
1484~1555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신국균(辛國鈞)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문천 군수(文川郡守) 신학(辛鶴)의 아들로, 덕원 교수(德源敎授)를 지냄. 신재(愼齋) 주세붕(周世鵬)이 지은 묘지명(墓誌銘)이 있음.
1479~154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문신
-
신국형(申國衡)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1524년(중종 19) 별시(別試)에 급제하여 부사(府使)를 지냄. 《장음정유고(長吟亭遺稿)》에 나식(羅湜)의 송별시(送別詩)가 있음.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평산 , 인명>관인>문신
-
신귀수(辛龜壽)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풍저창 수(豊儲倉守) 신우정(辛禹鼎)의 아들로, 철산 군수(鐵山郡守)ㆍ군자감 첨정(軍資監僉正)을 지냄. 모재(慕齋) 김안국(金安國)이 지은 묘갈명(墓碣名)이 있음.
1484~153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문신
-
신극례(辛克禮)
조선 태조(太祖)~태종(太宗) 때의 무신. 본관은 영산(靈山). 제1차 왕자의 난 때 상장군으로 공을 세워 좌명공신(佐命功臣)에 녹훈되고 취산군(鷲山君)에 봉해짐.
?~140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신극성(愼克成)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연산군의 비(妃) 신씨(愼氏)의 일족. 상주 목사(尙州牧使) 등을 역임했으나 가렴주구를 일삼아, 의성 현령(義城縣令) 이장길(李長吉), 선산 부사(善山府使) 남경(南憬)과 함께 삼맹호(三猛虎)로 일컬어짐.
1458~153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거창 , 인명>관인>문신
-
신급(申礏)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평산(平山). 평주부원군(平洲府院君)에 추증된 신화국(申華國)의 아들이며 신립(申砬)의 형. 추천으로 선공감역(繕工監役)에 제수되었지만 나가지 않음.
1543~1592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평산 , 인명>관인>문신
-
신기질(辛棄疾)
중국 송(宋) 나라의 시인ㆍ무신. 사(詞)에 뛰어나 남송(南宋) 최고의 시인(詩人)으로 평가받음. 북송(北宋)의 유영(柳永)ㆍ주방언(周邦彦), 남송의 강기(姜夔)와 아울러 사대사인(四大詞人)으로 일컬어짐.
1140~1207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무신
-
신내옥(辛乃沃)
조선 명종(明宗)~광해군(光海君) 때의 유학. 본관은 영월(寧越)로, 충좌위 부사직(忠佐衛副司直)을 지낸 신중곤(辛仲坤)의 아들.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출사(出仕)하지 않고 도학(道學)에 전념함. 유운룡(柳雲龍)ㆍ김성일(金誠一)ㆍ권호문(權好文) 등과 교유함.
1525~161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ㅣ강원도>영월 , 인명>문사>유학
-
신녕(新寧)
경상도 영천(永川)에 있던 옛 고을 이름. 신라 초기에는 화산현(花山縣)이었는데 통일신라시대에 신녕현(新寧縣)으로 고쳤다가 1914년 영천에 병합됨.
경상도>영천(永川) , 지명>행정지명
-
신농(神農)
중국 고대 전설상의 제왕(帝王) 또는 신(神). 백성에게 농경을 가르쳤으며, 백초(百草)를 맛보고 약초를 찾아내 병을 치료하였다고 함.
고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신단(辛湍)
조선 전기의 유학. 《백담집(栢潭集)》에 구봉령(具鳳齡)이 지은 〈신원우신문경(新院遇辛聞慶)〉이 수록되어 있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문경 , 인명>문사>유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