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신달정(辛達廷)
조선 중종(中宗) 때의 효자. 본관은 영월(寧越). 고려 후기 전법 판서(典法判書)를 지낸 신당계(辛唐系)의 6세손. 효행(孝行)으로 예천(醴泉) 옥동사(玉洞祠)에 향사(享祀)됨.
1483~152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창 , 인명>기타인명>효자
-
신담(申湛)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고령(高靈). 이조 참판에 증직된 신영원(申永源)의 아들로,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전주 부윤(全州府尹)으로 의병 2천여 명을 모집해 왜군에 대항함. 군자감 정(軍資監正)ㆍ예조 판서(禮曹判書)를 지냄.
1519~1595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한산 , 인명>관인>문신
-
신담(申澹)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영산 현감(靈山縣監)으로 선정을 베풀어 백성들이 생사당(生祠堂)을 세웠음. 1490년(성종 21)에 김일손(金馹孫)이 생사당기(生祠堂記)를 지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산 , 인명>관인>문신
-
신당계(辛唐系)
고려 말의 문신. 본관은 영월(寧越)로, 전법 판서(典法判書)를 지냄. 조선 중종(中宗) 때의 효자 신달정(辛達廷)의 6대조.
한국>고려후기 , 강원도>영월 , 인명>관인>문신
-
신당동(新堂洞)
서울 중구에 있는 고을 이름. 광희문(光熙門) 밖에 있는 신당(神堂)을 중심으로 무당촌을 이루었으므로 신당(神堂)이라 부르다가 갑오개혁(甲午改革) 때 발음이 같은 신당(新堂)으로 고침.
서울 , 지명>자연지명
-
신당서(新唐書)
중국 송(宋) 나라의 구양수(歐陽修)와 송기(宋祁) 등이 편찬한 당(唐) 나라의 정사(正史). 당 나라의 건국부터 멸망까지의 사실(史實) 기록으로, 《구당서(舊唐書)》에 빠진 것과 틀린 것을 바로잡아 펴냄. 225권.
1060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신대수(申大壽)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곡성(谷城). 신세달(申世達)의 아들로, 현감(縣監)을 지냄.
1526~?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곡성 , 인명>관인>문신
-
신대왕(新大王)
고구려 제8대 국왕. 재위 165~179. 태조왕(太祖王)의 동생으로, 귀족 세력을 통제하여 중앙 집권적 지배체재를 정비하고, 176년 왕자 남무(男武)를 태자로 책봉하여 왕위 부자 상속제의 기틀을 마련함.
89~179 한국>고구려 , 인명>왕실>국왕
-
신덕린(申德隣)
고려 후기~조선 전기의 서화가. 본관은 고령(高靈). 해서(楷書)ㆍ초서(草書)ㆍ예서(隷書)에 능하며, 특히 예서의 한 종류인 팔분체(八分體)의 필체가 독특하여 당시 사람들이 덕린체(德隣體)라고 부름. 이색(李穡)ㆍ정몽주(鄭夢周) 등과 교유하고, 고려 멸망 후 광주(光州)에서 은거함.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예술인>서화가
-
신덕왕(神德王)
신라 제53대 왕. 재위 912~917. 아달라이사금(阿達羅尼師今)의 후손으로, 대아찬(大阿飡) 예겸(乂兼)과 정화부인(貞和夫人)의 아들. 귀족들의 추대를 받아 즉위하였으나, 당시 경주 지역을 제외한 국토의 대부분을 궁예(弓裔)와 견훤(甄萱) 세력에게 상실함.
?~917 한국>통일신라 , 경상도>경주 , 인명>왕실>국왕
-
신덕왕후(神德王后)
조선 태조(太祖) 이성계(李成桂)의 계비(繼妃). 본관은 신천(信川). 상산부원군(象山府院君) 강윤성(康允成)의 딸로, 태조가 즉위하자 현비(顯妃)에 책봉됨.
?~1396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기도>포천ㅣ서울 , 인명>왕실>왕비
-
신덕하(申德夏)
조선 영조(英祖) 때의 무신. 본관은 평산(平山). 세종(世宗) 때 좌의정(左議政)을 지낸 문희공(文僖公) 신개(申槩)의 10대손. 황해 병사(黃海兵使)로 재임 중 죽음.
?~1749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평산 , 인명>관인>무신
-
신도반(申屠蟠)
중국 후한(後漢) 말의 학자ㆍ은자. 당고(黨錮)의 화를 피해 산 속에 들어가 살면서 대장군 하진(何進)과 동탁(董卓) 등의 초빙을 물리치고 절조(節操)를 지키며 여생을 마침.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기타인명>은자ㅣ인명>문사>학자
-
신도적(申徒狄)
중국 은(殷) 나라의 충신. 은 나라의 마지막 왕 주(紂)를 간(諫)하다 듣지 않으므로 돌을 지고 하수(河水)에 빠져 죽었음.
중국>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신독재유고(愼獨齋遺稿)
조선 선조(宣祖)~효종(孝宗) 때의 문신ㆍ학자인 김집(金集)의 시문집. 목판본. 15권 7책. 1710년(숙종 36)에 연산(連山)의 둔암서원(遯巖書院)을 중심으로 문인(門人)들이 유고(遺稿)를 간행하였을 것으로 추정됨.
1710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연산 , 문헌>서명
-
신돈(辛旽)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승려(僧侶). 공민왕의 신임을 얻어 사부(師傅)로서 국정을 맡음. 정치개혁을 단행하고 민심을 얻었으나 권문세족의 공격을 받아 반역의 혐의로 처형됨.
?~1371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영산 , 인명>종교인>승려
-
신라(新羅)
B.C. 1세기경에 영남(嶺南) 지방에서 일어나 최초로 한반도를 통일한 고대국가의 하나. 혁거세(赫居世)부터 경순왕(敬順王)까지 56대 992년간 존속.
B.C.57~A.D.935 한국>신라 , 시간>국명
-
신륜(辛崙)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영산(靈山). 예조 참의(禮曹參議) 신필주(辛弼周)의 아들로, 조식(曺植)과 교유하였으며, 광주 목사(光州牧使) 등을 역임함.
1504~156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산 , 인명>관인>문신
-
신륵사(神勒寺)
경기도 여주(驪州) 북내면(北內面)의 봉미산(鳳尾山)에 있는 사찰. 신라 진평왕(眞平王) 때 원효(元曉)가 창건하였다고 전해지며, 조선 성종(成宗)때 영릉(英陵)의 원찰(願刹)이 되면서 보은사(報恩寺)로 불림.
한국>신라 , 경기도>여주 , 유적>건물>사찰
-
신릉군(信陵君)
중국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 위(魏) 소왕(昭王)의 막내아들. 전국시대(戰國時代) 사공자(四公子) 중 한 명으로, 인의(仁義)를 중시하고 덕(德)을 강조함.
?~B.C.243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왕자
-
신립(申砬)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무신. 본관은 평산(平山). 임진왜란 때 삼도 순변사(三道巡邊使)가 되어 출전하여 충주의 탄금대(彈琴臺)에서 배수진을 치고 왜군과 대결하였으나 참패한 뒤 강물에 투신 순절함.
1546~1592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평산 , 인명>관인>무신
-
신만(申漫)
조선 영조(英祖) 때의 무신. 본관은 평산(平山). 세종(世宗) 때 좌의정(左議政)을 지낸 문희공(文僖公) 신개(申槩)의 후손. 경상 좌수사(慶尙左水使) 등을 역임함.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무신
-
신말주(申末舟)
조선 단종(端宗) 때의 문신. 본관은 고령(高靈). 공조 참판(工曹參判) 신장(申檣)의 아들이며 신숙주(申叔舟)의 동생으로, 대사간을 지냄. 단종이 폐위된 후에 벼슬에서 물러나 귀래정(歸來亭)을 짓고 산수를 즐김.
1429~1503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순창ㅣ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문신
-
신말평(申末平)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세종(世宗) 때 좌의정(左議政)을 지낸 문희공(文僖公) 신개(申槩)의 손자로, 《악학궤범(樂學軌範)》 편찬사업에 공헌함.
1452~1509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평산 , 인명>관인>문신
-
신명(信明)
조선 전기의 승려. 《소재집(穌齋集)》ㆍ《무릉잡고(武陵雜稿)》 등에 그와 관련된 시(詩)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종교인>승려
-
신명수(申蓂秀)
조선 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평산(平山). 참봉(參奉) 신광섭(申光涉)의 아들로, 옥계(玉溪) 노진(盧禛)의 문인. 이황(李滉)에게서 역(易)에 대해 배움.
1549~?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공주 , 인명>문사>유학
-
신명순성왕태후(神明順成王太后)
고려 태조(太祖)의 비(妃). 태사 내사령(太師內史令)에 추증된 유긍달(劉兢達)의 딸로, 정종(定宗)ㆍ광종(光宗) 등 다섯 왕자와 낙랑(樂浪)ㆍ흥방(興芳) 두 공주를 둠.
한국>고려전기 , 충청도>충주ㅣ경기도>개성 , 인명>왕실>왕비
-
신명인(申命仁)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인. 김식(金湜)의 문인(門人)으로,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조광조(趙光祖) 등 사림파의 구명을 위해 상소함. 정광필(鄭光弼)ㆍ안당(安瑭)ㆍ이장곤(李長坤)ㆍ김정(金淨)ㆍ조광조(趙光祖)ㆍ김식(金湜)ㆍ기준(奇遵) 등과 함께 팔현(八賢)이라 불림.
1492~?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평산 , 인명>문사>문인
-
신명지(申命之)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 아버지는 홍문관 교리(弘文館校理)를 지낸 신분(申賁)이며, 의흥 현감(義興縣監)을 지낸 신응지(申應之)의 형. 영천 군수(永川郡守)를 지냄.
1416~1492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평산 , 인명>관인>문신
-
신명화(申命和)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평산(平山). 신사임당(申師任堂)의 아버지로 진사에 급제하였으나 벼슬에 나가지는 않았음.
1476~1522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강릉 , 인명>문사>유학
-
신무문(神武門)
서울 북악산(北岳山) 남쪽에 있는, 경복궁(景福宮)의 북쪽 궐문 이름. 조선 세종(世宗) 때 건립되었으며, 경복궁 후원(後苑)으로 통하였음.
1433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유적>건물>궁궐
-
신무왕(神武王)
신라 제45대 왕. 재위 839년. 원성왕(元聖王)의 증손이며 희강왕(僖康王)의 종제(從弟). 839년(민애왕 2)에 장보고(張保皐)의 지원을 받아 왕위에 올랐으나 같은 해 7월에 병사함.
?~839 한국>통일신라 , 경상도>경주 , 인명>왕실>국왕
-
신묵(信黙)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승려. 봉은사(奉恩寺)의 주지를 지냈으며, 금강산(金剛山)에 머무르기도 함. 최연(崔演)ㆍ노수신(盧守愼)ㆍ송인(宋寅) 등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종교인>승려
-
신문왕(神文王)
신라 제31대 왕. 재위 681~692. 문무왕(文武王)의 장자(長子). 국학을 창설하여 학문을 장려하고, 설총(薛聰)ㆍ강수(强首)와 같은 대학자를 등용함. 통일신라의 국가 제도를 완비하고 국왕의 권위를 확립함.
?~692 한국>통일신라 , 경상도>경주 , 인명>왕실>국왕
-
신미(信眉)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승려. 유학자이면서 숭불(崇佛)을 주장한 김수온(金守溫)의 형. 세조가 스승으로 대우하고 혜각존자(慧覺尊者)라는 호를 내렸으며, 1461년(세조 7)에 훈민정음(訓民正音) 보급을 위해 설치한 간경도감(刊經都監)을 주관함.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영동 , 인명>종교인>승려
-
신민일(申敏一)
조선 광해군(光海君)~효종(孝宗) 때의 문신. 본관은 평산(平山). 중추부 경력(中樞府經歷)을 지낸 신암(申黯)의 아들로, 대사성(大司成)을 지냄. 저서로는 《화당집(化堂集)》이 있음.
1576~1650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평산 , 인명>관인>문신
-
신박(申樸)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유학. 본관은 고령(高靈)으로, 내자시 첨정(行內資寺僉正)을 지낸 신여량(申汝樑)의 아들. 1605년(선조 38)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하였으며, 권필(權韠)과 교유함.
1555~?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신배(申培)
중국 전한(前漢) 때의 학자. 순자(荀子)의 문하에서 《시경(詩經)》을 배웠으며, 특히 시경에 정통하여 《한서(漢書)》 예문지(藝文志)에 언급된 《노고(魯故)》와 《노설(魯說)》을 지었음. 무제(武帝) 때 태중대부(太中大夫)를 지냄.
중국>전한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신백(申伯)
중국 주(周) 나라 선왕(宣王) 때의 어진 재상. 선왕의 외숙(外叔). 외교 관계를 번창시킨 공으로 사(射) 땅에 봉해짐.
중국>주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신벌(申橃)
조선 명종(明宗)~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고령(高靈). 승정원 좌부승지(承政院左副承旨) 등을 지낸 신응구(申應榘)의 아버지로, 동지중추원사(同知中樞院事) 등을 지냄.
1523~161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고령 , 인명>관인>문신
-
신법(新法)
중국 송(宋) 나라 신종(神宗) 때 왕안석(王安石)이 추진한 부국강병책. 국가재정의 확보와 국가행정의 효율성 증대, 중소농민과 중소상인의 구제를 목표로 하여 어느 정도의 실적을 거두게 되지만, 화폐경제 강요로 인해 영세 농민의 몰락을 가속화시킴.
1069 중국>송 , 중국 , 법제>법률
-
신변(申抃)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평산(平山). 병조 좌랑(兵曹佐郞)이 되었을 때 기묘사화(己卯士禍)로 파직되고, 동생 신철(申哲)이 신사무옥(辛巳誣獄)에 연루되었을 때 누명을 쓰고 처형당함.
1470~1521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지평 , 인명>관인>문신
-
신복담(辛福聃)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영산(靈山). 첨정(僉正)을 지낸 신희정(辛熙貞)의 아버지로, 연기 현감(燕岐縣監)을 지냄.
?~145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산 , 인명>관인>문신
-
신복순(申復淳)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영의정(領議政) 신숙주(申叔舟)의 손자이며, 고양부원군(高陽府院君) 신준(申浚)의 아들. 중종반정(中宗反正) 이후 원종일등공신(原從一等功臣)에 책봉되어 2품직에 오름.
1464~154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령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신복의(辛服義)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영산(靈山). 수원 부사(水原府使)를 지낸 신상은(辛尙殷)의 아들. 1508년(중종 3) 역모사건에 연루되어 처형됨.
?~150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신봉전(申奉全)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평산(平山). 황해도 도사(黃海道都事)를 지낸 신직(申直)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평산 , 인명>관인>문신
-
신부(申溥)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영의정(領議政)을 지낸 문충공(文忠公) 신숙주(申叔舟)의 아들. 영산(靈山)과 고령(高靈)의 현감縣監)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령 , 인명>관인>문신
-
신분(申濆)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고령(高靈). 전의감 부정(典醫監副正)을 지냈으며, 전서(篆書)를 잘 썼음.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부평 , 인명>관인>문신
-
신분(申賁)
조선 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평산(平山). 영천 군수(永川郡守)를 지낸 신명지(申命之)와 의흥 현감(義興縣監)을 지낸 신응지(申應之)의 아버지로, 홍문관 교리(弘文館校理)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평산 , 인명>관인>문신
-
신불해(申不害)
중국 춘추전국시대 한(韓) 나라 소후(昭侯) 때의 학자ㆍ재상. 황제(黃帝)와 노자(老子)에 기본하여 형명(刑名)을 주로 연구하였는데, 법가(法家)의 조종(祖宗)이 됨.
?~B.C.337?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경대부
-
신비(愼妃)
고려 제31대 공민왕(恭愍王)의 비(妃). 충목왕(忠穆王) 때의 재상인 곡성부원군(曲城府院君) 염제신(廉悌臣)의 딸로, 공민왕이 살해된 뒤 중이 됨.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왕비
-
신비(辛毗)
중국 삼국시대(三國時代) 위(魏) 나라의 건의관(建議官). 문제(文帝) 때에 시중(侍中)이 되었으며 직간(直諫)을 좋아했음. 견거절함(牽裾折檻)의 고사로 유명함.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신빈(申濱)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의주 판관(義州判官)을 지냄. 진하사(進賀使)로 중국에 가는 소세양(蘇世讓)을 배웅할 때 받은 시가 《양곡집(陽谷集)》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평안도>의주 , 인명>관인>문신
-
신빈김씨(愼嬪金氏)
조선 제4대 세종(世宗)의 후궁. 계양군(桂陽君)을 비롯해서 6남을 둠.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후궁
-
신사무옥(辛巳誣獄)
조선 중종(中宗) 때 일어난 안처겸(安處謙) 일당의 옥사(獄事) 사건. 안당(安瑭)의 아들 안처겸(安處謙)이 기묘사화(己卯士禍)로 득세한 심정(沈貞)ㆍ남곤(南袞) 등을 제거(除去)할 것을 모의하자 이를 고변한 송사련(宋祀蓮)은 득세하고, 안처겸 일파는 처형됨.
1521 한국>조선전기 , 사건>사화
-
신사원(愼思遠)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거창(居昌). 양근 군수(楊根郡守)를 지낸 신홍조(愼弘祚)의 아들로, 조지서 별좌(造紙署別坐)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신사임당(申師任堂)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서화가(書畵家)ㆍ문인. 본관은 평산(平山). 이이(李珥)의 어머니로, 시ㆍ글씨ㆍ그림에 모두 뛰어남.
1504~1551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강릉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문사>문인
-
신사헌(愼思獻)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거창(居昌). 1558년(명종 13) 별시(別試) 문과(文科)에서 뇌물을 바쳐 급제한 사실이 있으나 권신인 이량(李樑)을 섬겨 다음해에 복과(復科)됨. 후에 육간(六奸)으로 지목되어 거제에 유배됨.
1520~?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신사형(辛士衡)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영산(靈山). 1537년(중종 32) 식년시(式年試)에 급제하여 초계 군수(草溪郡守)ㆍ상주 목사(尙州牧使) 등을 지냈으며, 문장에 뛰어났음.
1506~157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양산 , 인명>관인>문신
-
신산(信山)
고려 후기의 승려. 운곡(耘谷) 원천석(元天錫)와 교유하여 《운곡행록(耘谷行錄)》에 그와 관련된 시가 실려 있음.
한국>고려후기 , 인명>종교인>승려
-
신산서원(新山書院)
조선 선조(宣祖) 때 경상도 김해(金海) 건립된 서원. 조식(曺植)이 제자들과 강학하던 산해정(山海亭) 터에 건립되어, 1609년(광해군 1)에 사액됨. 조식(曺植)ㆍ신계성(申季誠) 등을 배향함.
157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김해 , 유적>건물>서원,향교
-
신삼제(申三悌)
조선 전기의 학자.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학자인 김언기(金彦璣)의 제자.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학자
-
신상(申鏛)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연산군일기》 편찬에 참여함. 사림파 학자들의 등용에 힘썼으며, 기묘사화(己卯士禍)가 일어나자 그들의 구명에 노력하였음.
1480~1530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평산 , 인명>관인>문신
-
신상은(辛尙殷)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영산(靈山). 이지(履之) 신복의(辛服義)의 아버지로, 수원 부사(水原府使)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산 , 인명>관인>문신
-
신상절(辛尙節)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무신. 본관은 영산(靈山)으로, 학봉(鶴峯) 김성일(金誠一)의 문인. 훈융 첨사(訓戎僉使)ㆍ갑산 부사(甲山府使)ㆍ군기시 부정(軍器寺副正) 등을 지냄.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영산 , 인명>관인>무신
-
신생(申生)
중국 춘추전국시대 진(晉) 나라 헌공(獻公)의 태자. 헌공이 여희(驪姬)를 총애하여 그의 아들 해제(奚齊)를 세우고자 신생을 곡옥(曲沃)에 나가 살게 하였는데, 여희의 참소로 자살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왕자
-
신서(新序)
중국 전한(前漢) 말기의 학자 유향(劉向)이 편집한 고사집. 총 10편의 176개 이야기로 이루어져 있음.
중국>전한 , 중국 , 문헌>서명
-
신서(新書)
중국 전한(前漢) 문제(文帝) 때의 문인 가의(賈誼)의 저서. 한(漢) 나라의 폐단을 지적한 정치이론서로, 고사(古事)와 우언(寓言)을 소재로 정치 사상을 펼침.
중국>전한 , 중국 , 문헌>서명
-
신서(申瑞)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그가 문경(聞慶)에 부임할 때 신응시(辛應時)가 지은 이별의 시가 《백록유고(白麓遺稿)》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관인>문신
-
신서(神瑞)
중국 남북조시대 북위(北魏)의 제2대 명원제(明元帝)가 414년부터 415까지 쓰던 연호.
414~415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시간>연호
-
신석간(申石澗)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고령(高靈). 영의정(領議政)을 지낸 문충공(文忠公) 신숙주(申叔舟)의 현손(玄孫)으로, 부사(府使)를 지낸 신연(申淵)의 아들.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령 , 인명>관인>문신
-
신석정(申碩汀)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고령(高靈). 음보(蔭補)로 전설사 별제(典設司別提)에 제수되었고, 영원(寧遠)과 평해(平海)의 군수(郡守)를 지냄.
1506~1580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신석조(辛碩祖)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영산(靈山). 1426년(세종 8)에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고, 개성 유수(開城留守) 등을 지냄. 저서로 《연빙당집(淵氷堂集)》이 있음.
1407~145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산 , 인명>관인>문신
-
신선전(神仙傳)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학자인 갈홍(葛洪)이 지은 책. 여러 신선의 이야기가 수록됨.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문헌>서명
-
신섬(申暹)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퇴계(退溪) 이황(李滉)의 문인(門人)으로, 용궁 현감(龍宮縣監)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용궁 , 인명>관인>문신
-
신성군(信城君)
조선 제14대 선조(宣祖)의 네 번째 서자. 인빈김씨(仁嬪金氏)의 소생으로, 선조의 사랑을 독차지하여 한때 세자 책봉이 거론되기도 했으나 좌절됨.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피란 도중 의주(義州)에서 병사함.
1578~1592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왕실>왕자
-
신성하(申聖夏)
조선 숙종(肅宗)~영조(英祖) 때의 문신. 세종(世宗) 때 좌의정(左議政)을 지낸 문희공(文僖公) 신개(申槩)의 10대손으로, 문장이 뛰어남.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평산 , 인명>관인>문신
-
신세달(申世達)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곡성(谷城). 곡성신씨(谷城申氏)의 시조(始祖). 현감(縣監)을 지낸 신대수(申大壽)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곡성 , 인명>문사>유학
-
신세련(辛世璉)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영산(靈山). 노모의 봉양을 위해 면천 군수(沔川郡守)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산 , 인명>관인>문신
-
신세호(辛世瑚)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영산(靈山). 1502년(연산군 8) 알성시(謁聖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온양 군수(溫陽郡守)ㆍ사헌부 지평(司憲府持平)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신수(神秀)
중국 당(唐) 나라의 승려. 북종선(北宗禪)의 조사(祖師). 동산사(東山寺)의 오조(五祖) 홍인(弘忍) 선사(禪師)에게 수학하고, 무후(武后)ㆍ중종(中宗)ㆍ예종(睿宗) 3대에 걸쳐 국사(國師)를 지냄. 낙양(洛陽)의 천공사(天空寺)에서 입적함.
605~706 중국>당 , 중국 , 인명>종교인>승려
-
신수겸(愼守謙)
조선 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거창(居昌). 거창부원군(居昌府院君) 신승선(愼承善)의 아들이며, 연산군(燕山君)의 비(妃) 거창(居昌) 신씨(愼氏)의 동생. 개성 유수(開城留守)로 부임하였다가 중종반정(中宗反正) 후에 임지에서 피살됨.
?~150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거창 , 인명>관인>문신
-
신수경(申秀涇)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고령(高靈). 영천위(靈川尉) 신의(申檥)의 아버지로, 여주 목사(驪州牧使)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령 , 인명>관인>문신
-
신수근(愼守勤)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거창(居昌). 거창부원군(居昌府院君) 신승선(愼承善)의 아들. 연산군(燕山君)의 비(妃)인 거창(居昌) 신씨(愼氏)의 동생이자, 중종(中宗)의 비(妃)인 단경왕후(端敬王后)의 아버지. 좌의정(左議政)을 지냈으나, 중종반정(中宗反正)에 반대하다 피살됨.
1450~150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거창 , 인명>관인>문신
-
신수린(申壽麟)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평산(平山). 중종(中宗) 때 영의정을 지낸 성희안(成希顔)의 매제(妹弟). 소세양(蘇世讓)의 《양곡집(陽谷集)》에 묘갈명(墓碣銘)이 실려 있음.
1477~1546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평산 , 인명>관인>문신
-
신수무(辛秀武)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영산(靈山). 중종(中宗) 때 예조 참의(禮曹參議)를 지낸 신필주(辛弼周)의 아버지로, 황주 판관(黃州判官)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산 , 인명>관인>문신
-
신수붕(申壽鵬)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평산(平山)으로, 홍산 현감(鴻山縣監)을 지낸 신언숙(申彦淑)의 아버지. 부사직(副司直)을 지냄.
?~1542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평산 , 인명>관인>문신
-
신수영(愼守英)
조선 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거창(居昌). 거창부원군(居昌府院君) 신승선(愼承善)의 아들이자, 연산군(燕山君)의 비(妃)인 거창(居昌) 신씨(愼氏)의 동생. 벼슬이 형조 판서(刑曹判書)에 이르렀으나, 중종반정(中宗反正)으로 피살됨.
?~150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거창 , 인명>관인>문신
-
신숙(辛肅)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영산(靈山). 정언(正言)을 지낸 신건(辛健)의 아버지이고, 대사헌(大司憲) 등을 지낸 강석덕(姜碩德)의 사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산 , 인명>관인>문신
-
신숙서(申淑胥)
조선 문종(文宗)~단종(端宗) 때의 문신. 단종(端宗)이 폐위된 후 충절을 지켰으며, 계룡산(鷄龍山) 동학사(東鶴寺)의 초혼각(招魂閣) 동무(東撫)에 배향됨.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평산 , 인명>관인>문신
-
신숙주(申叔舟)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ㆍ학자. 훈민정음(訓民正音) 창제에 큰 공을 세웠으며, 계유정난(癸酉靖難)에 참여한 공(功) 등으로 정난공신(靖難功臣)ㆍ좌익공신(佐翼功臣)ㆍ익대공신(翊戴功臣)ㆍ좌리공신(佐理功臣) 등에 책록됨.
1417~147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령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신숭겸(申崇謙)
고려 태조(太祖) 때의 무신. 본관은 평산(平山). 궁예(弓裔)를 몰아내고 왕건(王建)을 추대하여 고려 건국에 큰 공을 세움으로써 개국일등공신(開國一等功臣)에 책록되었으며, 견훤(甄萱)과의 공산전투(公山戰鬪)에서 태조를 구출하고 전사함.
?~927 한국>고려전기ㅣ한국>통일신라 , 전라도>곡성ㅣ강원도>춘천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신승서(申承緖)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평산(平山)으로, 신흠(申欽)의 아버지. 1558년(명종 13)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하여, 구례 현감(求禮縣監)ㆍ개성부 도사(開城府都事) 등을 지냄.
1531~1572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신승선(愼承善)
조선 단종(端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거창(居昌). 연산군의 장인으로 익대공신(翊戴功臣) 등에 책록됨. 영의정 등을 역임하였고, 《성종실록(成宗實錄)》의 편찬을 주관함.
1436~150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거창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신승조(申承藻)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고령(高靈). 신숙주(申叔舟)의 형인 신중주(申仲舟)의 손자이며, 부사(府使) 등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령 , 인명>관인>문신
-
신승준(申承濬)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평산(平山)으로, 원종공신(原從功臣)에 책록된 신윤원(申允元)의 아들이며 신엄(申儼)의 아버지.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했으나, 일찍 죽음.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평산 , 인명>문사>유학
-
신시행(申時行)
중국 명(明) 세종(世宗)~신종(神宗) 때의 문신. 이부 상서(吏部尙書)ㆍ건극전 대학사(建極殿大學士) 등을 지냈음. 문장에 뛰어났으며, 저서에는 《사한당집(賜閑堂集)》이 있음.
1535~1614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신식(申栻)
조선 명종(明宗) 때의 유학. 본관은 고령(高靈). 내자시 첨정(內資寺僉正)을 지낸 신여량(申汝樑)의 아들로, 1555년(명종 10)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우계(牛溪) 성혼(成渾)의 손윗동서.
1528~?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신식(申湜)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고령(高靈). 이황(李滉)ㆍ성운(成運)의 문인으로 대사헌(大司憲)을 지냄. 학식이 높고, 예악(禮樂)에도 밝았으나, 정여립(鄭汝立)의 일파라는 탄핵을 받아 곤양(昆陽)에 유배됨.
1551~1623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신악부(新樂府)
중국 당(唐) 나라 때의 시인인 백거이(白居易)가 지은 풍유시(諷諭詩). 50수(首)로 구성됨. 백성의 희로(喜怒)를 노래하고, 정치의 폐단(弊端) 등을 풍자한 악부시(樂府詩).
809 중국>당 , 중국 , 문헌>작품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