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신안(新安)
중국 안휘성(安徽省)에 있는 고을 이름. 송(宋) 나라의 유학자인 주희(朱熹)의 고향으로 잘 알려져 있음.
중국 , 지명>행정지명
-
신안(申晏)
고려 말~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본관은 평산(平山). 종부령(宗簿令) 등을 역임하였으며, 조선 개국 후 녹(祿)을 거절하고 평산의 황의산(黃衣山)에 들어가 충절을 지킴.
?~1417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황해도>평산 , 인명>관인>문신
-
신안서원(新安書院)
조선 선조(宣祖) 때 전라도 임실(任實)에 건립한 서원. 1819년(순조 19)에 사액되었으며, 한호겸(韓好謙)ㆍ송경원(宋慶元)ㆍ한필성(韓必聖)ㆍ한명유(韓鳴愈) 등을 배향함.
1588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임실 , 유적>건물>서원,향교
-
신암(申黯)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평산(平山)으로, 대사성(大司成)을 지낸 신민일(申敏一)의 아버지. 김포 현령(金浦縣令)ㆍ중추부 경력(中樞府經歷) 등을 지냄.
1537~?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신야집(新野集)
조선 순조(純祖) 때의 문신ㆍ학자인 이인행(李仁行)의 시문집. 14권 7책. 목활자본. 서문(序文)과 발문(跋文)이 없어 간행 경위는 불분명함. 4권 2책의 속집(續集)에는 이정식(李貞植)의 발문이 있음.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신어(新語)
중국 전한(前漢)의 학자인 육가(陸賈)가 쓴 책. 한(漢) 나라 고조(高祖) 유방(劉邦)을 위해 저술한 것으로, 진(秦) 나라가 망하고 한(漢) 나라가 천하를 얻게 된 이유와 고금(古今)의 치란(治亂)에 관한 것들을 12편(篇)으로 엮음.
중국>전한 , 중국 , 문헌>서명
-
신억수(申億壽)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평산(平山). 신의충(申義忠)의 아버지이자, 신각(申恪)의 조부로, 1513년(중종 8) 식년(式年)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승문원 교감(承文院校勘)을 지냄.
?~1527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신언(申彦)
고려 후기의 문신. 현감(縣監) 등을 역임하였으며, 이색(李穡)의 《목은고(牧隱稿)》에 그를 전송하며 지은 시가 실려 있음.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영해 , 인명>관인>문신
-
신언숙(申彦淑)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평산(平山). 명종의 후궁인 숙의신씨(淑儀申氏)의 아버지로, 강서 현령(江西縣令) 등을 지냄.
1512~1556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평산 , 인명>관인>문신
-
신엄(申儼)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평산(平山). 신승준(申承濬)의 아들로, 사헌부 집의(司憲府執義)를 거쳐 청요직(淸要職)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평산 , 인명>관인>문신
-
신여량(申汝樑)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고령(高靈). 상호군(上護軍) 신한(申瀚)의 아들로, 한성 판관(漢城判官)ㆍ순천 군수(順川郡守)ㆍ내자시 첨정(內資寺僉正) 등을 지냄.
1505~1580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신여석(申汝晳)
조선 숙종(肅宗) 때의 문신. 본관은 평산(平山). 돈녕부 도정(敦寧府都正)을 지낸 신해(申垓)의 아들로, 성천 부사(成川府使) 등을 지냄.
1632~1695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평산 , 인명>관인>문신
-
신여식(申汝拭)
조선 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평산(平山). 광주 부윤(廣州府尹)을 지낸 신준(申埈)의 아들로, 1648년(인조 26) 식년(式年)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하고, 파주 목사(坡州牧使)를 지냄.
1627~?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신여정(申汝挺)
조선 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평산(平山). 광주 부윤(廣州府尹)을 지낸 신준(申埈)의 아들로, 1635년(인조 13)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하여 양성 현감(陽城縣監)을 지냈으며, 영국공신(寧國公臣)에 책록됨.
1615~1651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신여종(申汝悰)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평산(平山). 신거(申據)의 아들로, 이조 참판(吏曹參判)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평산 , 인명>관인>문신
-
신여주(申汝柱)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고령(高靈). 상호군(上護軍) 신한(申瀚)의 아들로, 선공감 첨정(繕工監僉正)ㆍ가평 군수(加平郡守) 등을 지냄.
1502~155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신여즙(申汝楫)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고령(高靈). 신충(申冲)의 아들로, 첨정(僉正)을 역임함.
150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령 , 인명>관인>문신
-
신여철(申汝哲)
조선 효종(孝宗)~숙종(肅宗) 때의 무신. 본관은 평산(平山)으로, 돈녕부 도정(敦寧府都正) 신해(申垓)의 아들. 경신대출척(庚申大黜陟) 때 서인(西人) 편에 서서 활동했으며, 공조 판서(工曹判書) 등을 지냄.
1634~1701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평산 , 인명>관인>무신
-
신연(申淵)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고령(高靈). 파주 목사(坡州牧使)를 지낸 신종옥(申從沃)의 아들로, 신숙주(申叔舟)의 증손(曾孫).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령 , 인명>관인>문신
-
신영(申瑛)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평산(平山)으로, 상촌(象村) 신흠(申欽)의 조부. 김식(金湜)의 문인으로 기묘명현(己卯明賢)의 한 사람임.
1499~1559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평산 , 인명>관인>문신
-
신영손(辛永孫)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영월(寧越). 야은(冶隱) 길재(吉再)의 문인으로 김숙자(金淑滋)와 교유하였고, 황해도 관찰사(黃海道觀察使) 등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영월 , 인명>관인>문신
-
신영원(申永源)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고령(高靈). 임진왜란 때 전주 부윤(全州府尹)을 지낸 신담(申湛)의 아버지로, 이조 참판(吏曹參判)에 추증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령 , 인명>문사>유학
-
신영철(申永澈)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고령(高靈). 영의정을 지낸 신숙주(申叔舟)의 손자로, 파주 목사(坡州牧使) 등을 역임함.
1471~152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령 , 인명>관인>문신
-
신영홍(申永洪)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고령(高靈). 영의정을 지낸 신숙주(申叔舟)의 손자로, 추성정난공신(推誠定難功臣)에 책록되었으며 첨지사(僉知事) 등을 역임함.
146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령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신영희(辛永禧)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학자. 본관은 영산(靈山). 김종직(金宗直)의 문인으로, 사마시(司馬試)에 합격했으나 직산(稷山)에 은둔하여 학문에 정진함.
1442~1511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직산ㅣ서울 , 인명>문사>학자
-
신예(辛裔)
고려 충혜왕(忠惠王)~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본관은 영산(靈山). 원(元) 나라 환관 고용보(高龍普)와 함께 충혜왕을 잡아가도록 도와주었고, 고용보의 위세를 빌어 정권을 농락함.
?~1355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문신
-
신옥(申沃)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평산(平山). 곡성 현감(谷城縣監)을 역임하였으며, 이황(李滉)과 학문을 논하는 편지를 주고받음.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평산 , 인명>관인>문신
-
신옥형(申玉衡)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무신. 본관은 평산(平山). 병조 참의(兵曹參議) 신공(申恭)의 아들로, 청주 판관(淸州判官)ㆍ전라우도 수사(全羅右道水使)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평산 , 인명>관인>무신
-
신완(申琓)
조선 현종(顯宗)~숙종(肅宗) 때의 문신. 본관은 평산(平山). 박세채(朴世采)의 문인으로 영의정(領議政) 등을 지냄. 세자였던 경종(景宗)을 시해하려 했다는 혐의로 탄핵을 받음.
1646~1707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평산 , 인명>관인>문신
-
신용개(申用漑)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김종직(金宗直)의 문인으로 무오사화(戊午士禍)ㆍ갑자사화(甲子士禍)에 연루되어 고초를 겪었으며, 중종반정(中宗反正) 후 명(明) 나라에 가서 고명(誥命)을 받아온 공으로 원종공신(原從功臣)에 책록됨.
1463~151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령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신용희(申用羲)
고려 후기의 학자. 본관은 영해(寧海). 문정공(文貞公) 신현(申賢)의 아들로, 운곡(耘谷) 원천석(元天錫)의 스승.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영해 , 인명>문사>학자
-
신우(信牛)
조선 전기의 승려. 황준량(黃俊良)의 《금계집(錦溪集)》에 〈차증신우사(次贈信牛師)〉가 수록되어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종교인>승려
-
신우정(辛禹鼎)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영산(靈山).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를 지낸 신균(辛均)의 아들로, 풍저창 수(豐儲倉守)를 지냄. 세종(世宗)의 아들 의창군(義昌君) 이강(李玒)의 딸과 혼인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산 , 인명>관인>문신
-
신우호(申友顥)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평산(平山). 상주 목사(尙州牧使)를 지낸 신윤종(申允宗)의 아들로, 돈녕부 봉사(敦寧府奉事)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평산 , 인명>관인>문신
-
신원(信圓)
조선 태종(太宗) 때의 승려. 혜근(惠勤)의 법손(法孫)이며 자초(自超)의 문도로, 혜근의 발자취를 따라 중국 강남(江南)을 유력(遊歷)했다 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종교인>승려
-
신원록(申元祿)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효자ㆍ학자. 본관은 아주(鵝州)로, 조식(曺植)ㆍ주세붕(周世鵬)ㆍ이황(李滉)의 문하에서 수학함. 8년간 팔공산(八公山)에 올라가 약초를 캐면서 병든 아버지를 보살핌.
1516~157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의성 , 인명>기타인명>효자ㅣ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신유(愼有)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거창(居昌). 의정부 우참찬(議政府右參贊)을 지낸 신희복(愼希復)의 아들로, 세자익위사 위수(世子翊衛司衛率)ㆍ통례원 상례(通禮院相禮)ㆍ한성부 서윤(漢城府庶尹) 등을 지냄.
1527~?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신유(申愈)
조선 숙종(肅宗) 때의 학자. 본관은 평산(平山). 송시열(宋時烈)ㆍ권상하(權尙夏)의 문인으로, 문장이 뛰어났음.
1673~1706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진잠ㅣ충청도>예산 , 인명>문사>학자
-
신유(申瀏)
조선 인조(仁祖)~숙종(肅宗) 때의 무신. 본관은 평산(平山)으로, 장현광(張顯光)의 문인. 효종(孝宗) 때 나선정벌(羅禪征伐)에 참여해 전공(戰功)을 세우고, 포도대장(捕盜大將)을 지냄.
1619~1680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인동 , 인명>관인>무신
-
신유정(辛有定)
고려 우왕(禑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무신. 본관은 영산(靈山). 1386년(우왕 12) 남해에서 왜구를 격퇴시키고, 이성계(李成桂)의 휘하에서 무공을 세움. 조선 건국 후 원종공신(原從功臣)이 되었으며, 평안도 도안무사(平安道都安撫使) 등을 지냄.
1347~1426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영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신윤문(辛允文)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영월(寧越). 관찰사(觀察使) 신영손(辛永孫)의 손자로 용강 현령(龍岡縣令) 등을 역임하였으며, 중종반정(中宗反正)에 참여한 공으로 정국공신(靖國功臣)에 책록됨.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영월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신윤보(申潤輔)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고령(高靈). 해주 목사(海州牧使) 등을 역임하다가, 무오사화(戊午士禍)가 일어나자 순천(順天)에 오림정(五林亭)을 짓고 은거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순천 , 인명>관인>문신
-
신윤원(申允元)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평산(平山). 성종 때 원종공신(原從功臣)에 책록되고, 군자감 정(軍資監正) 등을 지냄.
1431~1494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평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신윤조(辛潤祖)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영산(靈山). 병조 판서(兵曹判書)를 지낸 신인손(辛引孫)의 아들로, 제용감 첨정(濟用監僉正)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산 , 인명>관인>문신
-
신윤종(申允宗)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평산(平山). 상주 목사(尙州牧使)ㆍ돈녕부 정(敦寧府正) 등을 지냈으며, 영천(永川)에 있는 명원루(明遠樓)를 개축함.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평산 , 인명>관인>문신
-
신응개(申應凱)
조선 전기의 문신. 약포(藥圃) 정탁(鄭琢)과 교유하였으며, 통정대부(通政大夫)에 오름.
한국>조선후기 , 인명>관인>문신
-
신응구(申應榘)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고령(高靈). 동지중추부사 신벌(申橃)의 아들로, 성혼(成渾)ㆍ이이(李珥)의 문하에서 수학함. 인조반정 후 승정원 좌부승지(承政院左副承旨) 등을 지냄.
1553~1623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남포ㅣ서울 , 인명>관인>문신
-
신응순(辛應純)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학자. 본관은 영월(寧越). 정묘호란(丁卯胡亂) 때 의병을 모집하는 역할을 맡기도 하였으나 벼슬하지 않고 후진양성에 힘썼으며, 《예설(禮說)》 2권을 저술함.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영광 , 인명>문사>학자
-
신응시(辛應時)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영월(寧越). 백인걸(白仁傑)의 문인으로 성혼(成渾)ㆍ이이(李珥)와 교유하고, 주자학(朱子學)에 조예가 깊음.
1532~1585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영월 , 인명>관인>문신
-
신응지(申應之)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평산(平山). 홍문관 교리(弘文館校理)를 지낸 신분(申賁)의 아들로, 의흥 현감(義興縣監) 등을 역임하였음.
1420~1482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평산 , 인명>관인>문신
-
신응하(申應河)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고령(高靈)으로, 동몽교관(童蒙敎官)을 지냈음. 고경명(高敬命)과 교유하여, 《제봉집(霽峯集)》에 그를 송별하며 쓴 〈송신경문환경(送申景文還京)〉이란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신응회(辛應會)
조선 전기의 문인. 백담(栢潭) 구봉령(具鳳齡)이 그와 관련하여 지은 시가 《백담집(栢潭集)》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문인
-
신의(申檥)
조선 중종(中宗)의 부마. 본관은 고령(高靈). 좌승지를 역임한 신수경(申秀涇)의 아들로, 문정왕후(文定王后)의 소생인 경현공주(敬顯公主)와 결혼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령 , 인명>왕실>인척
-
신의경(申義慶)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학자. 본관은 평산(平山)으로, 1620년(광해군 12) 사마시(司馬試)에 입격함. 사계(沙溪) 김장생(金長生)과 함께 예학(禮學)을 강론하고 상례(喪禮)를 깊이 연구하여 《상례비요(喪禮備要)》 1책을 지음.
1557~?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평산 , 인명>문사>학자
-
신의상법요(新儀象法要)
중국 송(宋) 나라 신종(神宗) 때의 학자인 소송(蘇頌)이 지은 천문학(天文學) 관련 문헌. 3권. 1092년에 저자가 직접 제작한 천문기기인 수운의상대(水運儀象臺)의 설계 방법을 설명함.
1172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신의왕후(神懿王后)
조선 태조(太祖)의 정비(正妃). 본관은 안변(安邊). 안천부원군(安川府院君) 한경(韓卿)의 딸로 조선이 개국되기 전에 죽었으며, 소생은 정종(定宗)을 비롯한 6남 2녀임.
1337~1391 한국>고려후기 , 함경도>함흥ㅣ함경도>안변 , 인명>왕실>왕비
-
신의충(申義忠)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평산(平山). 교감(校勘) 지낸 신억수(申億壽)의 아들이자, 신각(申恪)의 아버지로, 홍섬(洪暹)이 지은 만시(挽詩)가 《인재집(忍齋集)》에 실려 있음.
1504~?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평산 , 인명>관인>문신
-
신익성(申翊聖)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선조의 딸인 정숙옹주(貞淑翁主)의 남편으로 선무원종공신(宣武原從功臣)에 책록됨. 병자호란(丙子胡亂) 때의 척화오신(斥和五臣) 중 한 사람.
1588~1644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평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신익전(申翊全)
조선 인조(仁祖)~효종(孝宗) 때의 문신. 본관은 평산(平山). 영의정을 지낸 신흠(申欽)의 아들. 1636년(인조 14)에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예조 참판(禮曹參判) 등을 지냄. 저서로 《동강유집(東江遺集)》이 있음.
1605~1660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신인보(申仁甫)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본관은 아주(鵝州). 영동정(令同正) 신홍(申弘)의 아들로, 1360년(공민왕 9) 동당시(東堂試)에 급제하였고, 목은(牧隱) 이색(李穡)과 교유하였음.
1324~?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거제 , 인명>관인>문신
-
신인손(辛引孫)
조선 태종(太宗)~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영산(靈山). 평안도 도안무사(平安道都按撫使)를 지낸 신유정(辛有定)의 아들. 1408년(태종 8) 식년(式年)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벼슬이 병조 판서(兵曹判書)에 이름.
1384~144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산 , 인명>관인>문신
-
신일(辛馹)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영산(靈山). 덕원 교수(德源敎授)를 지낸 신국균(辛國鈞)의 아들로, 대구 부사(大邱府使)ㆍ선산 부사(善山府使)ㆍ제용감 정(濟用監正)을 지냄.
150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산 , 인명>관인>문신
-
신임(申銋)
조선 효종(孝宗)~영조(英祖) 때의 문신. 본관은 평산(平山). 박세채(朴世采)의 문인으로, 좌참찬(左參贊)과 공조 판서(工曹判書)를 지냄. 신임옥사(辛壬獄事)가 일어나자 동궁을 보호하는 상소를 올렸다가 제주도로 위리안치(圍籬安置)됨.
1639~1725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신임사화(辛壬士禍)
조선 경종(景宗) 원년인 신축년(1721)과 이듬해인 임인년(1722)에 일어난 사화. 이이명(李頤命)ㆍ김창집(金昌集)ㆍ이건명(李健命)ㆍ조태채(趙泰采) 등 노론(老論) 4대신이 왕제(王弟) 연잉군(延礽君)을 세제(世弟)로 책봉하도록 주청한 일에 대하여, 조태구(趙泰耉) 등 소론(少論)이 공격하면서 일어남.
1721~1722 한국>조선후기 , 사건>사화
-
신자건(愼自健)
조선 세조(世祖)~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거창(居昌). 예조 참의(禮曹參議)를 지낸 신후갑(愼後甲)의 아들로, 강원도 관찰사(江原道觀察使) 등을 지냈으나, 파직당한 뒤에는 교하(交河)로 내려가 서예에 전념함.
1443~1527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교하 , 인명>관인>문신
-
신자경(申自敬)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무신. 본관은 평산(平山). 좌군도총제(左軍都摠制)를 지낸 신효창(申孝昌)의 둘째 아들로,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ㆍ대호군(大護軍)을 지냄.
1413~1470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목천 , 인명>관인>무신
-
신자교(申子橋)
조선 세종(世宗)~단종(端宗) 때의 문신. 본관은 고령(高靈). 영의정을 지낸 신숙주(申叔舟)와 사촌간으로, 사간원 사간(司諫院司諫) 등을 역임하다가 세조(世祖)가 왕위에 오르자 낙향함.
1413~1484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남원 , 인명>관인>문신
-
신자근(申自謹)
조선 태종(太宗)~단종(端宗) 때의 문신. 본관은 평산(平山). 좌군도총제(左軍都摠制)를 지낸 신효창(申孝昌)의 맏아들로, 인순부 윤(仁順府尹)을 지냄.
?~1454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평산 , 인명>관인>문신
-
신자수(申自守)
조선 세종(世宗)~단종(端宗) 때의 문신. 본관은 평산(平山). 좌군도총제(左軍都摠制)를 지낸 신효창(申孝昌)의 아들이고, 세종의 아들인 광평대군(廣平大君)의 장인이 됨. 첨지중추원사(僉知中樞院事)를 지내고, 후에 좌의정(左議政)에 추증됨.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평산 , 인명>관인>문신
-
신자승(申自繩)
조선 세종(世宗)~예종(睿宗) 때의 문신. 본관은 평산(平山). 보문각 대제학(寶文閣大提學)ㆍ좌의정을 지낸 신개(申槩)의 아들로, 성균관 대사성(成均館大司成) 등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평산 , 인명>관인>문신
-
신잠(申潛)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ㆍ문인ㆍ화가. 기묘사화(己卯士禍)로 파직되고 신사무옥(辛巳誣獄) 때 오랜 기간 유배되었음. 시(詩)ㆍ서(書)ㆍ화(畵)에 모두 뛰어나 삼절(三絶)로 일컬어졌는데, 묵죽(墨竹)에 특히 뛰어났다고 함.
1491~155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령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신잡(申磼)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평산(平山).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비변사 당상(備邊司堂上)으로 활약하였으며, 호성공신(扈聖功臣)에 책록됨.
1541~1609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평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신장(申檣)
조선 태종(太宗)~세종(世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고령(高靈)으로, 영의정을 지낸 신숙주(申叔舟)의 아버지. 《정종실록(定宗實錄)》편찬에 참여하고, 유학(儒學)에 조예가 깊고 서예에도 능함.
1382~143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령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신재(愼在)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거창(居昌). 의정부 우참찬(議政府右參贊)을 지낸 신희복(愼希復)의 셋째 아들로, 좌랑(佐郞)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거창 , 인명>관인>문신
-
신재집(新齋集)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인 최산두(崔山斗)의 문집. 1책. 활자본. 저자의 유문(遺文)과 행적을 모아 엮은 책으로, 기정진(奇正鎭)이 1870년(고종 7)에 수집하여 저자의 후손과 함께 간행함.
1870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신전(愼詮)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거창(居昌). 신이충(愼以衷)의 아들. 1429년(세종 11) 식년(式年)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하여, 황해도 관찰사(黃海道觀察使)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거창 , 인명>관인>문신
-
신점(申點)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평산(平山). 사은사(謝恩使)로 명 나라에 파견되었다가 임진왜란이 발발하자 병부 상서 석성(石星)을 움직여 요동(遼東)의 군대 3,000명을 파견하게 함.
1530~?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신정(愼正)
조선 전기의 유학. 《고봉집(高峯集)》에 기대승(奇大升)의 화답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신정(申炡)
조선 후기의 유학. 숙함(叔咸) 송덕상(宋德相)의 문인으로, 역적으로 몰린 송덕상을 신원하기 위해 몰래 일을 꾸미다 발각되어 귀양감.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평산 , 인명>문사>유학
-
신정왕(愼靚王)
중국 주(周) 나라의 왕. 재위 B.C.320~B.C.315. 이름은 희정(姬定)으로, 난왕(赧王)의 아버지.
?~B.C.315 중국>주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신정왕후(神貞王后)
조선 제24대 헌종(憲宗)의 어머니. 본관은 풍양(豊壤). 풍은부원군(豊恩府院君) 조만영(趙萬永)의 딸로, 1819년(순조 19)에 효명세자(孝明世子)의 빈(嬪)이 됨. 1834년 아들 헌종(憲宗)이 즉위하여 효명세자가 익종(翼宗)으로 추봉되자 왕대비가 됨. 능은 수릉(綏陵).
1808~1890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왕실>왕비
-
신제(申梯)
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고령(高靈). 사간원 사간(司諫院司諫)을 지낸 신자교(申子橋)의 아버지로, 지평 현감(砥平縣監) 등을 지냄.
1393~144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령 , 인명>관인>문신
-
신조(神照)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조(太祖) 때의 천태종(天台宗) 승려. 공민왕의 총애를 받았고, 요동정벌 때 이성계(李成桂)를 따라 종군하여 회군(回軍)에 기여한 공으로 회군공신(回軍功臣)에 책록됨.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수원ㅣ강원도>원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종교인>승려
-
신존(愼存)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거창(居昌). 의정부 우참찬(議政府右參贊)을 지낸 신희복(愼希復)의 둘째 아들로, 직장(直長)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거창 , 인명>관인>문신
-
신종(神宗)@명
중국 명(明) 나라 제14대 황제. 재위 1572~1620. 목종(穆宗)의 셋째 아들로,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출병과 가혹한 징세로 국력을 약화시킴.
1563~1620 중국>명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신종(神宗)@고려
고려의 제20대 국왕. 재위 1197~1204. 인종(仁宗)의 다섯째 아들이며 명종(明宗)의 동모제(同母弟)로, 최충헌(崔忠獻) 형제가 명종을 폐하고 왕으로 추대하였는데, 재위 중 잇따라 민란이 일어남.
1144~1204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신종(神宗)@송
중국 송(宋) 나라의 제6대 황제. 재위 1067~1085. 영종(英宗)의 장자로, 왕안석(王安石)을 등용하여 부국강병책을 시행하였으나, 서하(西夏) 원정 등 외정(外征)에 실패하여 실의에 빠져 죽음.
1048~1085 중국>송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신종옥(申從沃)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고령(高靈). 영의정을 지낸 신숙주(申叔舟)의 손자이며 한명회(韓明澮)의 외손으로, 파주 목사(坡州牧使) 등을 역임함.
1455~150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령 , 인명>관인>문신
-
신종원(辛宗遠)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영산(靈山). 영원 군수(寧遠郡守)를 지낸 신진(辛鎭)의 아들로, 연천 현감(連川縣監)ㆍ호조 좌랑(戶曹佐郞) 등을 지냄.
1551~1607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신종호(申從濩)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고령(高靈). 문과에 세 차례 장원하여 예빈시 부정(禮賓寺副正) 등을 역임하였고, 《동국여지승람(東國輿地勝覽)》ㆍ《성종실록(成宗實錄》 편찬에 참여함. 문장과 시ㆍ글씨에 뛰어났음.
1456~1497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관인>문신
-
신주(申澍)
조선 세조(世祖) 때의 문신. 영의정을 지낸 신숙주(申叔舟)의 장남으로, 통례문 봉례(通禮門奉禮)를 역임하였으나 젊은 나이에 병사함.
1435~145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령 , 인명>관인>문신
-
신주(辛柱)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무신. 본관은 영산(靈山). 이징옥(李澄玉)의 난을 평정하는데 공로가 있었고, 함경남도 병마절도사(咸鏡南道兵馬節度使) 등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산 , 인명>관인>무신
-
신준(申埈)
조선 광해군(光海君)~인조(仁祖) 때의 무신. 본관은 평산(平山). 영의정을 지낸 신경진(申景禛)의 아들로, 인조반정(仁祖反正) 후 정사공신(靖社功臣)에 책록되고, 형조 판서(刑曹判書) 등을 지냄.
1592~?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평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신준(申浚)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우참찬(右參贊) 등을 지내면서 언로(言路)의 개방 등 시무십조(時務十條)를 진언하였고, 중종반정(中宗反正)에 가담하여 정국공신(靖國功臣)에 책록됨.
1444~150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령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신준(神駿)
고려 의종(毅宗) 때의 승려. 원래 문인이었으나, 무신정변(武臣政變) 때 위험에서 벗어나기 위해 불교에 귀의하여 명산을 두루 방랑함.
한국>고려후기 , 인명>종교인>승려
-
신준미(申遵美)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평산(平山). 조광조(趙光祖)의 문인으로 현량과(賢良科)에 급제하였으나, 기묘사화(己卯士禍)로 취소된 후 벼슬에 나아가지 않고 은거함.
1491~1562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공주 , 인명>관인>문신
-
신중곤(辛仲坤)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영월(寧越). 신내옥(辛乃沃)의 아버지로, 충좌위 부사직(忠佐衛副司直)ㆍ어모장군(禦侮將軍)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영월 , 인명>관인>무신
-
신중전(申仲全)
고려 후기의 무신. 본관은 은풍(殷豊). 왜구(倭寇)를 무찌른 공(功)으로 상호군(上護軍) 은산백(殷山伯)에 봉해졌으며, 동지밀직사사(同知密直司事) 등을 역임함.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풍기 , 인명>관인>무신
-
신중주(申仲舟)
조선 단종(端宗) 때의 문신. 본관(本貫)은 고령(高靈). 공조 참판(工曹參判)을 지낸 신장(申檣)의 아들이며, 신숙주(申叔舟)의 형. 지순창군사(知淳昌郡事)를 지내다가 단종이 세조(世祖)에게 양위(讓位)하자 관직에서 물러나 동생 신말주(申末舟)와 함께 순창에 은거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순창 , 인명>관인>문신
-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조선 중종(中宗) 때 이행(李荇) 등이 왕명에 따라 《동국여지승람(東國輿地勝覽)》을 새로 증보하여 편찬한 조선 전기의 전국 지리지(全國地理志). 55권 25책. 목판본.
1530 한국>조선전기 , 서울 , 문헌>서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