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신증유합(新增類合)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인 유희춘(柳希春)이 《유합(類合)》을 증보하고 수정하여 편찬한 한자 입문서. 《천자문(千字文)》ㆍ《훈몽자회(訓蒙字會)》등과 함께 널리 이용됨. 2권 1책.
1576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신지제(申之悌)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아주(鵝洲). 창원 부사(昌原府使)로 있을 때 명화적(明火賊)을 토평하고 민심을 안정시켜 그 공으로 통정대부(通政大夫)에 오름.
1562~1624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의성 , 인명>관인>문신
-
신직(申直)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평산(平山). 사예(司藝)를 지낸 신봉전(申奉全)의 아들로, 황해도 도사(黃海道都事) 등을 역임함.
1486~?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평산 , 인명>관인>문신
-
신진(申津)
조선 전기의 유학. 정유길(鄭惟吉)과 교유했으며, 《임당유고(林塘遺稿)》와 《백록유고(白麓遺稿)》에 만사(挽詩)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신진(申鎭)
조선 전기의 유학. 김인후(金麟厚)의 《하서전집(河西全集)》에 증시(贈詩)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신진(辛鎭)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영산(靈山). 호조 좌랑(戶曹佐郞)을 지낸 신종원(辛宗遠)의 아버지로, 영원 군수(寧遠郡守)를 지냄.
?~1580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신징(信澄)
조선 명종(明宗) 때의 승려. 용문사(龍門寺)에 주석하면서 권문해(權文海)가 용문사에 머무를 때 도와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천 , 인명>종교인>승려
-
신징(辛澄)
중국 당(唐) 나라 덕종(德宗) 때의 화가. 촉(蜀) 지역에서 주로 활동하고, 특히 불상(佛像)을 잘 그림.
중국>당 , 중국 , 인명>예술인>서화가
-
신찬(申澯)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고령(高靈). 영의정을 지낸 신숙주(申叔舟)의 아들로, 황해도 관찰사(黃海道觀察使)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령 , 인명>관인>문신
-
신찬팔도지리지(新撰八道地理志)
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인 맹사성(孟思誠)ㆍ권진(權軫)ㆍ윤회(尹淮)ㆍ신장(申檣) 등이 찬진(撰進)한 지리지.
1432 한국>조선전기 , 서울 , 문헌>서명
-
신천(信川)
황해도 중앙에 위치한 고을 이름. 관서 지방과 기호 지방의 경계를 이루어 자연․인문에 많은 차이가 있으며, 서강(西江)을 비롯한 여러 강이 망류함. 곳곳에 큰 규모의 저수지가 있으며, 석회암이 분해된 비옥한 농토임.
황해도>신천 , 지명>행정지명
-
신천(辛蕆)
고려 충숙왕(忠肅王) 때의 문신. 본관은 영산(靈山). 안향(安珦)의 문인으로 스승을 문묘(文廟)에 종사하게 하였으며, 지공거(知貢擧)를 거쳐 판밀직사사(判密直司事) 등을 역임함.
?~1339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영산 , 인명>관인>문신
-
신천강씨(信川康氏)
고려 명종(明宗) 때 문하 시중(門下侍中)을 지낸 강지연(康之淵)을 시조로 하는 성씨. 강씨(康氏)의 득성조(得性祖)는 중국 주(周) 나라의 왕족인 강숙(康叔)이며 시조는 그의 후손인 강호경(康虎景)이지만, 우리나라에서는 충렬공(忠烈公) 강지연을 일세조(一世祖)로 함.
한국>고려후기 , 황해도>신천 , 인명>집단>성씨
-
신천서원(新川書院)
조선 인조(仁祖) 때 경상도 합천(陜川)에 건립한 서원. 1684년(숙종 10)에 사액되었으며, 하연(河演)ㆍ하우명(河友明)ㆍ하혼(河渾)ㆍ김뉴(金紐)ㆍ유세훈(柳世勛) 등을 배향함.
1624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합천 , 유적>건물>서원,향교
-
신철(申哲)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평산(平山). 병조 좌랑(兵曹佐郞)을 지낸 신변(申抃)의 아우로, 1521년(중종 16)에 일어난 신사무옥(辛巳誣獄)에 연루됨.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평산 , 인명>문사>유학
-
신총(信聰)
조선 태종(太宗)~성종(成宗) 때의 승려. 1401년(태종 1)에 당시 태상왕(太上王)으로 있던 태조(太祖)의 명령을 받들어 《수능엄경(首楞嚴經)》을 정서(精書)ㆍ판각(板刻)하고, 중종(中宗) 때 승려인 영관(靈觀)에게 불경(佛經)을 가르침.
한국>조선전기 , 인명>종교인>승려
-
신충(信忠)
고려 후기의 승려. 운곡(耘谷) 원천석(元天錫)와 교유하여, 《운곡행록(耘谷行錄)》에 그와 관련된 시가 실려 있음.
한국>고려후기 , 인명>종교인>승려
-
신충(申冲)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고령(高靈). 사예(司藝)를 지낸 신여즙(申汝楫)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령 , 인명>문사>유학
-
신통사(神通社)
전라도 담양(潭陽)에 있었던 사찰 이름. 면앙정(俛仰亭)에서 가까운 곳에 위치함.
전라도>담양 , 유적>건물>사찰
-
신편집성마우의방(新編集成馬牛醫方)
조선 정종(定宗) 때 권중화(權仲和)ㆍ한상경(韓尙敬) 등이 엮은 수의학서(獸醫學書). 1책. 목판본. 중국의 여러 문헌에서 말과 소의 질병에 대한 방문(方文)을 모음.
1399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원주 , 문헌>서명
-
신포(申誧)
조선 성종(成宗) 때의 시인ㆍ화가. 호를 장륙(藏六)이라 하였는데, 친구 이종준(李宗準)이 그 호를 탐내어 술 한 병과 바꾼 일화가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문사>문인
-
신포서(申包胥)
중국 춘추전국시대 초(楚) 나라의 대부. 오(吳) 나라가 초 나라를 침략하였을 때 진(秦) 나라의 궁궐에 가서 7일 동안 울며 지원병을 요청하자, 이에 감동하여 출병(出兵)하였다고 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신필주(辛弼周)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영산(靈山). 예조 참의(禮曹參議)를 역임함. 충재(冲齋) 권벌(權橃)ㆍ대관재(大觀齋) 심의(沈義)와 교유하였음.
147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산 , 인명>관인>문신
-
신학(辛鶴)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영산(靈山). 덕원 교수(德源敎授)를 지낸 신국균(辛國鈞)의 아버지로, 문천 군수(文川郡守)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산 , 인명>관인>문신
-
신한(申瀚)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고령(高靈)으로, 좌의정을 지낸 신용개(申用漑)의 아들. 유자광(柳子光)의 당여(黨與)로 지목받기도 하였으나, 광주(光州)ㆍ진주(晉州) 등을 잘 다스려 표창을 받았음.
1482~1543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신할(申硈)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무신. 본관은 평산(平山).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경기수어사(京畿守禦使)가 되어 임진강(臨津江)을 건너다 왜적에게 크게 패하여 순절함.
?~1592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평산 , 인명>관인>무신
-
신함(申涵)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고령(高靈)으로, 파주 목사(坡州牧使)를 지낸 신종옥(申從沃)의 아들. 용강 현령(龍岡縣令)을 지냈으며, 신광한(申光漢)의 《기재집(企齋集)》에 그의 죽음을 애도하는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령 , 인명>관인>문신
-
신항(申沆)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성종의 장녀인 혜숙옹주(惠淑翁主)와 혼인하여 고원위(高原尉)에 봉해졌으며, 중종반정(中宗反正) 후 원종공신(原從功臣)에 책록됨.
1477~150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령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신항서원(莘巷書院)
조선 선조(宣祖) 때 충청도 청주(淸州)에 건립한 서원. 현종(顯宗) 때 사액(賜額)되고, 이색(李穡)ㆍ이이(李珥)ㆍ김정(金淨) 등을 배향함.
1570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 , 유적>건물>서원,향교
-
신해(申垓)
조선 인조(仁祖) 때의 문신. 영의정을 지낸 신경진(申景禛)의 둘째 아들로, 돈녕부 도정(敦寧府都正)을 지냈으며, 숙부인 신경인(申景禋)의 계후(繼後)가 되어 평원군(平原君)에 봉해짐.
1598~1637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평산 , 인명>관인>문신
-
신해(申瀣)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고령(高靈)으로, 파주 목사(坡州牧使)를 지낸 신종옥(申從沃)의 아들. 청풍 군수(淸風郡守)를 지낼 때 머무른 청신당(淸神堂)에 관해 김안국(金安國)이 지은 기문(記文)이 있음.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신현(申礥)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통판(通判)을 지냄. 유호인(兪好仁)의 《뇌계집(㵢谿集)》〈낙강범주시발(洛江泛舟詩跋)〉에 그와 관련한 기록이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관인>문신
-
신현(申贒)
고려 충숙왕(忠肅王)~공민왕(恭愍王) 때의 학자. 우탁(禹倬)의 문인으로, 원(元) 나라의 주공천(朱公遷)ㆍ허겸(許謙)ㆍ전당(錢唐) 등 학자들과 교유하고, 당시 대학자로 추앙받음. 명(明) 나라 황제로부터 스승의 대우를 받고 불훤재(不諼齋)라는 호를 하사받음.
1298~1377 한국>고려후기 , 황해도>평산 , 인명>문사>학자
-
신형(申泂)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고령(高靈). 신숙주(申叔舟)의 아들이자 신광한(申光漢)의 아버지로, 장령(掌令)ㆍ내자시 정(內資寺正)을 역임함.
144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령 , 인명>관인>문신
-
신형하(申亨夏)
조선 후기의 유학. 숙함(叔咸) 송덕상(宋德相)의 문인으로, 역적으로 몰린 송덕상을 신원하기 위해 글을 지었다가 발각되어 귀양감.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평산 , 인명>문사>유학
-
신호(申浩)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무신. 본관은 평산(平山). 임진왜란 때 이순신(李舜臣)을 도와 견내량(見乃梁)ㆍ안골포(安骨浦) 등의 해전에서 공을 세워 통정대부가 되었고, 남원성(南原城) 전투에서 전사함.
1539~1597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고부 , 인명>관인>무신
-
신호(申濩)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영천(永川). 신광한(申光漢)의 문인으로, 직강(直講)ㆍ첨정(僉正)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천(永川) , 인명>관인>문신
-
신혼(申混)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고령(高靈). 옥과 현감(玉果縣監)을 지냈으며, 송순(宋純)의 《면앙집(俛仰集)》에 차운시(次韻詩)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령 , 인명>관인>문신
-
신홍(申弘)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아주(鵝州). 신인보(申仁甫)의 아버지로, 영동정(令同正)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거제 , 인명>관인>문신
-
신홍조(愼弘祚)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거창(居昌). 연산군 때 좌의정을 지낸 신수근(愼守勤)의 아들로, 삭녕(朔寧)과 양근(楊根)의 군수(郡守)를 역임함.
1490~155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거창 , 인명>관인>문신
-
신화국(申華國)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평산(平山). 아들 신잡(申磼)이 호성공신(扈聖功臣)에 책록되자 평주부원군(平州府院君)에 추숭(追崇)됨.
1517~157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신회(信廻)
고려 말~조선 초의 승려. 자초(自超)와 달공(達空)의 제자로, 혜근(惠勤)이 다녀온 중국 강절(江浙) 지방을 유람함.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인명>종교인>승려
-
신효창(申孝昌)
고려 공양왕(恭讓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ㆍ무신. 본관은 평산(平山). 충청도 관찰사(忠淸道觀察使)와 좌군도총제(左軍都摠制)를 역임하였으나, 탄핵을 받아 무주(茂朱)로 귀양 갔다 돌아옴.
?~1450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무신ㅣ인명>관인>문신
-
신후(申煦)
조선 명종(明宗) 때의 효자. 본관은 평산(平山). 예로써 행동하고, 효성이 지극하여 부모상을 당해서는 정성을 다함. 《율곡전서(栗谷全書)》에 묘지명(墓誌銘)이 실려 있음.
1528~1561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평산 , 인명>기타인명>효자
-
신후갑(愼後甲)
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거창(居昌). 강원도 관찰사(江原道觀察使)를 지낸 신자건(愼自健)의 아버지로, 1438년(세종 20) 식년(式年)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예조 참의(禮曹參議)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신흠(申欽)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평산(平山). 계축화옥(癸丑禍獄) 때 선조의 유교칠신(遺敎七臣)이라는 이유로 파직되었으나, 인조반정(仁祖反正) 이후 삼정승을 지냄. 이정귀(李廷龜)ㆍ장유(張維)ㆍ이식(李植)과 함께 조선 중기 한문학의 정종(正宗)으로 일컬어짐.
1566~1628 한국>조선후기 , 강원도>춘천ㅣ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신희남(愼喜男)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거창(居昌). 붕당을 싫어하여 자청해서 금산 군수(金山郡守)로 나갔다가 벼슬을 버리고 고향에 내려갔으며, 시와 글씨에 뛰어나 한호(韓濩)에게 서예를 가르침.
1517~1591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영암 , 인명>관인>문신
-
신희눌(愼希訥)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모재(慕齋) 김안국(金安國)이 기묘사화(己卯士禍)로 파직된 후 명승지를 유람할 때, 서자적(徐自適)ㆍ박원량(朴元良)ㆍ최광한(崔光瀚)ㆍ공상린(孔祥麟)ㆍ박희량(朴希良)ㆍ박감(朴敢) 등과 함께 종유(從遊)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신희복(愼希復)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거창(居昌). 조광조(趙光祖)의 문인으로, 명종의 대군(大君) 시절 사부(師傅)를 지냈음. 명종 즉위 후에 개성 유수(開城留守)ㆍ우참찬(右參贊) 등을 역임함.
1493~1565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신희안(愼希顔)
조선 전기의 유학. 《첨모당집(瞻慕堂集)》에 임운(林芸)이 쓴 〈숙현수조여경우구호(宿玄水朝與景愚口號)〉란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신희정(辛熙貞)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영산(靈山). 1506년(연산군 12)에 별시(別試)에 급제하여, 첨정(僉正)을 지냄. 이자(李耔)의 《음애집(陰崖集)》에 그에게 보낸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산 , 인명>관인>문신
-
신희현(愼希賢)
조선 전기의 유학. 임억령(林億齡)의 《석천시집(石川詩集)》에 그에게 보낸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심^송(沈^宋)
중국 당(唐) 나라의 문신ㆍ시인인 심전기(沈佺期)와 송지문(宋之問)을 함께 부르는 말. 율시(律詩)라는 새로운 형식의 운율(韻律)을 완성시킨 사람을 가리킴.
중국>당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심^이(沈^李)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인 심의겸(沈義謙)과 이감(李戡)을 함께 부르는 말. 훈구세력과 사림세력의 다툼을 비유한 말.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강릉ㅣ경상도>청송 , 사상>술어>관용어
-
심강(沈鋼)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청송(靑松). 명종의 장인으로 청릉부원군(靑陵府院君)에 봉해지고, 오위도총부 도총관(五衛都摠府都摠管)을 지냄.
1514~1567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심건(沈鍵)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청송(靑松). 동지돈녕부사(同知敦寧府事) 심봉원(沈逢源)의 아들로, 승문원 정자(承文院正字)ㆍ사간원 정언(司諫院正言) 등을 지냄.
1519~1550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심견(沈肩)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풍산(豊山). 상주 목사(尙州牧使)를 지낸 심치(沈寘)의 아들로, 와서 별좌(瓦署別坐)를 역임함.
1426~149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심결(沈決)
조선 문종(文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청송(靑松). 영의정을 지낸 심온(沈溫)의 아들이며, 세종(世宗)의 비(妃)인 소헌왕후(昭憲王后)의 동생. 세조의 즉위를 도와 원종공신(原從功臣)에 책록되고, 판돈녕부사(判敦寧府事)를 지냄.
1419~1470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심결(沈潔)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삼척(三陟).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심붕서(沈鵬瑞)의 아버지.
한국>조선후기 , 강원도>삼척 , 인명>문사>유학
-
심경(心經)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학자인 진덕수(眞德秀)가 선현(先賢)의 여러 책 가운데에서 심법(心法)에 관한 글들을 모아 엮은 책. 1권.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심경(沈憬)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청송(靑松)으로, 이이(李珥)의 문인. 이발(李潑) 형제가 기축옥사(己丑獄事)에 연루되어 처형되었을 때 장사를 지냈다는 죄로 유배되었다가 풀려났으며, 정인홍(鄭仁弘)이 폐모론을 일으키자 규탄하다가 유배감.
1556~1616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면천 , 인명>관인>문신
-
심경(沈鯁)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청송(靑松). 효력부위(效力副尉)를 지낸 심희창(沈希昌)의 아들로, 1513년(중종 8)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진원 , 인명>문사>유학
-
심경발휘(心經發揮)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인 정구(鄭逑)가 지은 책. 4권 2책. 동주자본(銅鑄字本). 송(宋) 나라 때의 진덕수(眞德秀)가 편찬한 《심경心經)》의 미진한 점을 보완하고 부록을 더하여 수록함.
1603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심경보사(心經補辭)
조선 후기의 학자인 배일장(裵一長)의 저서. 산곡여막(山谷廬幕)에서 학구(學究) 끝에 저술한 것으로 알려짐.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심경부주(心經附註)
중국 명(明) 나라 헌종(憲宗)~효종(孝宗) 때의 문신ㆍ학자인 정민정(程敏政)의 주석서. 송(宋) 나라의 문신ㆍ학자인 진덕수(眞德秀)의 《심경(心經)》에 주를 달아 간행함.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심경석의(心經釋疑)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학자인 이황(李滉)이 송(宋) 나라 진덕수(眞德秀)의 《심경(心經)》을 해석한 책. 활자본. 4권 1책. 원래는 이황의 강의 내용을 이덕홍(李德弘)ㆍ이함형(李咸亨) 등이 기록한 것으로, 숙종(肅宗) 때 송시열(宋時烈) 등이 왕명(王命)으로 교정하여 간행함. 송시열이 쓴 서(序)가 있음.
1681 한국>조선후기 , 서울 , 문헌>서명
-
심경지(沈慶之)
중국 남북조시대 송(宋) 나라의 무신. 이민족의 반란을 진압하고 많은 전공을 세워 건무장군(建武將軍)에 임명되고, 역모를 고변하여 시중(侍中)에 올랐다가 폐제(廢帝)에 의해 사사됨.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심공무(沈公懋)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삼척(三陟). 삼척심씨(三陟沈氏)의 비조(鼻祖)인 심동로(沈東老)의 아들로, 서운관 부정(書雲觀副正)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강원도>삼척 , 인명>관인>문신
-
심관(沈灌)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삼척(三陟). 세조(世祖)~성종(成宗) 때 활동한 심준(沈濬)의 형으로, 이조(吏曹)와 호조(戶曹)의 참판(參判)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삼척 , 인명>관인>문신
-
심괄(沈括)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ㆍ문신. 사천감(司天監)이 되어 천체관측법ㆍ역법(曆法) 등을 창안하였고, 천문ㆍ수학ㆍ지리ㆍ본초(本草) 등 과학에 밝았으며, 저서에는 《몽계필담(夢溪筆談)》이 있음.
1031~1095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심광문(沈光門)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청송(靑松). 안성 군수(安城郡守)를 지낸 심빈(沈濱)의 아들이며, 형조 판서(刑曹判書)를 지낸 심광언(沈光彦)의 형. 장흥고 영(長興庫令)ㆍ안악 군수(安岳郡守) 등을 지냄.
1476~152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청송 , 인명>관인>문신
-
심광언(沈光彦)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청송(靑松)으로, 안성 군수(安城郡守)를 지낸 심빈(沈濱)의 아들. 지방관으로 나가서는 선정(善政)을 베풀었으며, 법률에 밝아 형정(刑政)을 오랫동안 주관하며 송사를 바르게 처리함.
1490~156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심광종(沈光宗)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청송(靑松). 전한(典翰)을 지낸 신의흠(沈義欽)의 아버지로, 창녕 현감(昌寧縣監)ㆍ감찰(監察)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청송 , 인명>관인>문신
-
심구(沈構)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삼척(三陟).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심붕서(沈鵬瑞)의 아들이며, 심상점(沈尙漸)의 아버지.
한국>조선후기 , 강원도>삼척 , 인명>문사>유학
-
심귀령(沈龜齡)
조선 태조(太祖)~태종(太宗) 때의 무신. 본관은 풍산(豊山). 제2차 왕자의 난 때 이방원(李芳遠)을 도와 좌명공신(佐命功臣)에 봉해졌으며, 판공안부사(判恭安府事)를 역임함.
1349~141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심귀요(沈貴瑤)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호방평(胡方平)의 스승으로 《주역(周易)》에 정통함.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심극례(沈克禮)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풍산(豊山). 성종(成宗) 때의 문신인 심견(沈肩)의 넷째 아들로, 고양 군수(高陽郡守)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심극인(沈克仁)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풍산(豊山). 성종(成宗) 때의 문신인 심견(沈肩)의 셋째 아들.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유학
-
심극충(沈克忠)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풍산(豊山). 성종(成宗) 때의 문신인 심견(沈肩)의 아들.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유학
-
심극효(沈克孝)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풍산(豊山)으로, 대관재(大觀齋) 심의(沈義)의 종형(從兄). 청학동(靑鶴洞)에 율정(栗亭)을 짓고 청학노선(靑鶴老仙)이라 자호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심금(沈錦)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청송(靑松). 형조 판서(刑曹判書)를 지낸 심광언(沈光彦)의 아들로, 1555년(명종 10)에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하고 감찰(監察)ㆍ과천 현감(果川縣監)을 지냄. 이조 판서(吏曹判書)에 증직됨.
1531~1565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심기리(心氣理)
조선 전기의 문신ㆍ학자인 정도전(鄭道傳)이 유가(儒家)의 입장에서 불가(佛家)와 도가(道家)를 비판하고 유가의 우수성을 찬양한 글. 〈심난기(心難氣)〉ㆍ〈기난심(氣難心)〉ㆍ〈이유심기(理諭心氣)〉의 3편으로 구성됨.
1394 한국>조선전기 , 문헌>작품명
-
심달원(沈達源)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갑자사화(甲子士禍)로 참수된 심순문(沈順門)의 아들로, 심형(沈泂)에게 출계(出系)함.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외방으로 귀양갔다 돌아와 통례원 좌통례(通禮院左通禮)를 지내고, 외교문서 작성에 공을 세움.
149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청송 , 인명>관인>문신
-
심담(沈淡)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삼척(三陟). 숙종(肅宗) 때 유학인 심세강(沈世綱)의 아버지.
한국>조선후기 , 강원도>삼척 , 인명>문사>유학
-
심대(沈岱)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청송(靑松).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선조(宣祖)를 호종하여 의주로 수행하였으며, 경기도 관찰사(京畿道觀察使)가 되어 남하하다가 삭녕(朔寧)에서 왜적의 기습을 받아 전사함.
1546~1592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청송 , 인명>관인>문신
-
심대부(沈大孚)
조선 광해군(光海君)~효종(孝宗) 때의 문신. 본관은 청송(靑松). 심대(沈岱)의 아들이며, 정구(鄭逑)의 문인. 후에 효종이 된 봉림대군(鳳林大君)의 사부(師傅)를 지냈으며, 내직과 외직을 두루 역임함.
1586~1657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심덕부(沈德符)
고려 충숙왕(忠肅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고려 말의 정치제도 개혁과 왜구의 토벌에 공을 세우고, 조선 건국 후에는 신왕조 건설의 일익을 담당함.
1328~1401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청송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심동로(沈東老)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본명은 한(漢)으로 삼척심씨(三陟沈氏)의 비조(鼻祖). 중서사인(中書舍人)을 지냈으며, 공민왕이 동로(東老)라는 이름을 하사함.
한국>고려후기 , 강원도>삼척 , 인명>관인>문신
-
심룡(沈龍)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청송(靑松). 세종(世宗) 때 영의정(領議政)을 지낸 심온(沈溫)의 조부로, 문하시중(門下侍中)에 추증(追贈)됨.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청송 , 인명>관인>문신
-
심린부인갈(沈潾夫人碣)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ㆍ서화가인 유이손(柳耳孫)이 소해(小楷)로 쓴 갈(碣). 경기도 파주(坡州)에 있음.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문헌>작품명
-
심명세(沈命世)
조선 인조(仁祖) 때의 문신. 인조반정(仁祖反正)에 참여하여 정사공신(靖社功臣) 청운군(靑雲君)에 봉해졌으며, 이괄(李适)의 난과 정묘호란(丁卯胡亂) 때 인조를 호종함.
1587~1632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청송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심문계(沈文桂)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삼척(三陟). 조선 전기의 문신 심관(沈灌)ㆍ심준(沈濬) 형제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삼척 , 인명>문사>유학
-
심문숙(沈文叔)
중국 남북조시대 송(宋) 나라의 문신. 폐제(廢帝)에 의해 사사된 무신 심경지(沈慶之)의 아들. 시중(侍中) 등을 지냈으나 폐제(廢帝)의 포악함을 보고 자살함.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심반(沈攀)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삼척(三陟). 중종(中宗) 때 우참찬을 지낸 심언광(沈彦光)의 7대손.
한국>조선후기 , 강원도>삼척 , 인명>문사>유학
-
심봉원(沈逢源)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청송(靑松)으로, 영의정 심연원(沈連源)과 좌의정 심통원(沈通源)의 동생. 성균관 사예(成均館司藝)ㆍ홍문관 전한(弘文館典翰) 등 청요직을 두루 지내고, 음률(音律)ㆍ의술(醫術)ㆍ서법(書法)에도 통달함.
1497~1574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충주 , 인명>관인>문신
-
심분(沈汾)
중국 오대십국(五代十國) 남당(南唐) 때의 문인. 36인의 신선(神仙)에 관한 이야기를 모은 《속선전(續仙傳)》을 지음.
중국>오대십국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심붕서(沈鵬瑞)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삼척(三陟).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를 지냄.
한국>조선후기 , 강원도>삼척 , 인명>관인>문신
-
심빈(沈濱)
조선 세조(世祖)~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청송(靑松). 우참찬 심광언(沈光彦)과 안악 군수(安岳郡守) 심광문(沈光門)의 아버지로, 안성 군수(安城郡守) 등을 지냄.
1455~150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청송 , 인명>관인>문신
-
심사공(沈思恭)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풍산(豊山). 화천군(花川君) 심정(沈貞)의 아들로, 1513년(중종 8년) 진사시(進士試)에 합격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심사손(沈思遜)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풍산(豊山). 좌의정(左議政)을 지낸 심정(沈貞)의 아들로, 평안도 만포(滿浦)에서 변방방어에 힘쓰던 중 야인(野人)의 기습으로 죽음.
1493~152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