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백호통의(白虎通義)
중국 후한(後漢) 때 반고(班固)가 장제(章帝)의 명을 받들어 편찬한 경서(經書). 4권. 79년 장제의 명으로 여러 학자가 북궁(北宮) 백호전(白虎殿)에 모여 오경(五經)의 동이(同異)를 변정(辨正)하고 토론한 내용을 44편으로 수록함.
79 중국>후한 , 중국 , 문헌>서명
-
백화산성(白華山城)
고려 충렬왕(忠烈王) 때 충청도 태안(泰安)에 축조한 석성(石城). 사방이 절벽으로 되어 있는 지형에 쌓아 외적의 접근이 어려운 요새 역할을 하였으며, 한때 읍성(邑城)으로 사용되기도 함.
1287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태안 , 유적>시설>성,진,책
-
백휘(白揮)
고려 목종(穆宗)~문종(文宗) 때의 문신ㆍ무신. 목종 때 대사마대장군(大司馬大將軍)으로 수원군(水原君)에 봉해지고, 문종 때 평장사(平章事)를 지냄.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수원 , 인명>관인>무신ㅣ인명>관인>문신
-
백흥남(白興南)
조선 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해미(海美). 옥봉(玉峯) 백광훈(白光勳)의 아들이며, 선명(善鳴) 백진남(白振南)의 동생. 광해군 때 무안 현감(務安縣監)을 지냄.
1570~?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영암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문사>문인
-
번남문집(樊南文集)
중국 당(唐) 나라 시인 이상은(李商隱)의 문집. 원본은 오래 전에 없어졌고, 청(淸) 나라 때 주학령(朱鶴齡) 등이 여러 서적 가운데서 이상은의 글을 찾아 모아 문집을 만듦.
중국>당 , 중국 , 문헌>서명
-
번소(樊素)
중국 당(唐) 나라 때의 기생. 시인 백거이(白居易)의 가기(家妓)로, 노래를 잘하였음.
중국>당 , 중국 , 인명>기술인>기생
-
번수(樊須)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학자. 공자(孔子)의 제자로, 공자에게 인(仁)과 농사 등에 관해 가르침을 받음.
B.C.505~?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번역금강경삼가해(翻譯金剛經三家解)
조선 성종(成宗) 때 《번역금강경오가해(翻譯金剛經五家解)》의 일부를 뽑아 만든 책. 5권 5책. 활자본. 세종(世宗)이 소헌왕후(昭憲王后)를 위하여 문종(文宗)과 세조(世祖)에게 번역하게 한 것을 성종 때 자성대비(慈聖大妃)가 학조(學祖)에게 교정하게 하고, 내수사(內需司)에서 간행하도록 함. 한계희(韓繼禧)ㆍ강희맹(姜希孟)의 발문(跋文)이 있음.
1482 한국>조선전기 , 서울 , 문헌>서명
-
번영(樊英)
중국 후한(後漢) 순제(順帝) 때의 학자. 오경(五經)에 정통한 학자로서 순제에게 사부(師傅)의 대우를 받음.
중국>후한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번종사(樊宗師)
중국 당(唐) 나라 현종(玄宗) 때의 시인ㆍ문신. 문장을 지을 때 난삽(難澁)ㆍ괴벽(乖僻)한 데로 흘러 읽을 수 없는 지경에 이르렀으므로, 그의 문장을 삽체(澁體)라 불렀음. 강주 자사(絳州刺史)ㆍ간의대부(諫議大夫)를 지냄.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번천문집(樊川文集)
중국 당(唐) 나라의 시인인 두목(杜牧)의 시문집. 20권.
중국>당 , 중국 , 문헌>서명
-
번쾌(樊噲)
중국 한(漢) 나라 고조(高祖) 때의 무신. 항우(項羽)가 초청한 홍문(鴻門)의 연회에서 유방(劉邦)을 구출하였으며, 한 나라가 천하를 통일한 후에 좌승상에 이르고 무양후(舞陽侯)가 됨.
?~B.C.189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번통덕(樊通德)
중국 전한(前漢) 때의 기생. 영현(伶玄)의 첩. 조비연(趙飛燕) 자매의 운명에 관해 깊은 동정과 더불어 애달픈 자태를 보여 세간에 회자됨.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기술인>기생
-
벌경예부(伐鯨鯢賦)
중국 당(唐) 나라 숙종(肅宗) 때 이부 낭중(吏部郞中) 최수(崔倕)가 융갈(戎羯)을 치기 위해 출정(出征)하는 군대를 격려하며 지어 올린 글.
중국>당 , 중국 , 문헌>작품명
-
범^마(范^馬)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학자인 범진(范鎭)과 사마광(司馬光)을 함께 부르는 말. 의기(意氣) 투합(投合)이 잘 되는 사람을 가리킴.
중국>송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범^여(范^呂)
중국 송(宋) 나라 인종(仁宗)~철종(哲宗) 때의 문신인 범순인(范純仁)과 여공저(呂公著)를 함께 부르는 말. 인재를 가리킴.
중국>송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범겸(范謙)
중국 명(明) 나라 신종(神宗) 때의 문신. 예부 상서(禮部尙書)를 지냈으며, 광해군의 세자 책봉을 반대함.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범계(范啓)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문신. 손작(孫綽)의 벗으로, 재학(才學)과 도의(道義)로 이름을 날리고, 황문시랑(黃門侍郞)을 지냄.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범관(范寬)
중국 송(宋) 나라 때의 산수화가. 어려서 이성(李成)에게 화법을 배웠는데, 특히 설경산수(雪景山水)에 뛰어남. 저서로 《설보(雪譜)》가 있음.
?~1027 중국>송 , 중국 , 인명>예술인>서화가
-
범려(范蠡)
중국 춘추전국시대 월(越) 나라의 대부. 문종(文種)과 더불어 월왕 구천(句踐)을 도와 오(吳) 나라를 멸하는 데 큰 공을 세움.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범련(泛蓮)
중국 남북조시대 제(齊) 나라의 유고지(庾杲之)가 재상 왕검(王儉)의 막료가 되자, 소면(蕭緬)이 왕검에게 “녹수에 떠다니며 홍련에 기대었구나[泛綠水依芙蓉]”라며 유고지의 인품을 칭찬한 데서 유래한 고사성어. 훌륭한 막료(幕僚)로 등용됨을 뜻함.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사상>술어>고사성어
-
범문자(范文子)
중국 춘추전국시대 진(晉) 나라 경공(景公) 때의 대부(大夫). 도공(悼公)의 패업을 도운 범선자(范宣子)의 아버지.
?~B.C.574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범방(范滂)
중국 후한(後漢) 환제(桓帝) 때의 문신. 청렴결백한 성품으로 부패한 환관(宦官)을 배척하다가 당고지화(黨錮之禍) 때에 옥사(獄死)함.
137~169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범사정(泛槎亭)
조선 숙종(肅宗) 때 경기도 개성(開城) 박연폭포(朴淵瀑布) 아래에 지은 정자. 《중경지(中京誌)》에 의하면 1700년(숙종 26)에 건물을 짓고, 현판을 달았다고 함.
1700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개성 , 유적>건물>누정
-
범상(范祥)
중국 송(宋) 나라 인종(仁宗) 때 문신. 호부 시랑(戶部侍郎)을 지낸 범육(范育)의 아버지로, 지당주사(知唐州事)를 지냄.
?~1060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범선자(范宣子)
중국 춘추전국시대 진(晉) 나라 도공(悼公) 때의 대부. 법률제도를 개혁하여 도공이 패업(霸業)을 이루는 데 크게 기여함.
?~B.C.547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범성대(范成大)
중국 송(宋) 고종(高宗)~광종(光宗) 때의 문신ㆍ시인. 시에 능하여 육유(陸游)ㆍ양만리(楊萬里)ㆍ우무(尤袤) 등과 더불어 중흥사대시인(中興四大詩人)으로 일컬어짐.
1126~1193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범세동(范世東)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금성(錦城). 정몽주(鄭夢周)의 문인으로, 간의대부(諫議大夫) 등을 지내고 성리학에 조예가 깊었으며, 고려가 망하자 두문동(杜門洞)에 은거하다가 낙향하여 끝까지 절의(節義)를 지킴.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전라도>나주ㅣ경기도>개성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범수(范睢)
중국 춘추전국시대 진(秦) 나라의 재상. 원래는 위(魏) 나라 사람으로 변설(辨說)에 능하였으며, 진 소왕(昭王)을 도와 원교근공책(遠交近攻策)을 주창하여 육국(六國) 통일의 기초를 마련하고, 그 공으로 응후(應侯)에 봉해짐.
?~B.C.255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범순인(范純仁)
중국 송(宋) 나라 인종(仁宗)~철종(哲宗) 때의 문신. 사마광(司馬光)과 같은 보수파였지만 왕안석(王安石)의 신법(新法) 중 일부 합리적인 것은 수용하는 등 유연한 자세를 견지함.
1027~1101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범식(范式)
중국 후한(後漢) 때의 문신. 형주 자사(荊州刺史)와 여강 태수(廬江太守)를 지냈으며, 친구인 장소(張劭)와 약속한 거경지신(巨卿之信)의 고사로 유명함.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범여규(范如圭)
중국 송(宋) 고종(高宗) 때의 문신. 범염조(范念祖)와 범염덕(范念德)의 아버지로, 비서랑(秘書郞)을 지냈음.
1102~1160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범여위(范汝爲)
중국 송(宋) 나라 고종(高宗) 때의 도적. 고종 때 경제적 여건에 비해 인구가 과다해지고 이에 따라 생활이 어려워지자 농민들을 이끌고 난을 일으킴.
중국>송 , 중국 , 인명>기타인명>도적
-
범염(范冉)
중국 후한(後漢) 환제(桓帝) 때의 문신. 당고지화(黨錮之禍)를 당해서도 권력에 아첨하지 않고 청렴함을 지킨 고사로 유명함.
112~185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범염덕(范念德)
중국 송(宋) 나라 때의 유학자. 주자(朱子)의 문인. 범여규(范如圭)의 아들.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범염조(范念祖)
중국 송(宋) 나라 때의 관료. 범여규(范如圭)의 아들로, 경술(經術)을 연구하고 실용적인 학문을 추구함.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범엽(范曄)
중국 남북조시대(南北朝時代) 송(宋) 나라의 학자ㆍ문신. 경사(經史)를 섭렵하고 글을 잘하여 문제(文帝) 초에 후한(後漢)의 사서(史書)를 정리하여 다시 새로운 《후한서(後漢書)》를 완성함. 상서 이부랑(尙書吏部郞)을 지냄.
398~445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범운(范雲)
중국 남북조시대 제(齊)~양(梁) 나라의 문신ㆍ문인. 양 나라 무제(武帝) 때 이부 상서(吏部尙書)ㆍ상서 우복야(尙書右僕射)를 지냄. 문장에 능하여 임방(任昉)ㆍ심약(沈約)ㆍ소연(蕭衍) 등과 더불어 경릉팔우(竟陵八友)라 일컬어짐.
451~503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범육(范育)
중국 송(宋) 나라 신종(神宗)~철종(哲宗) 때의 문신. 지당주사(知唐州事)를 지낸 범상(范祥)의 아들로, 호부 시랑(戶部侍郎)을 지냄.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범조우(范祖禹)
중국 송(宋) 신종(神宗) 때의 문신ㆍ역사가. 사마광(司馬光)과 함께 《자치통감(資治通鑑)》을 기술하고, 당(唐) 나라의 역사 비평서인 《당감(唐鑑)》을 저술함.
1041~1098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범준(范浚)
중국 송(宋) 고종(高宗) 때의 유학자. 《맹자(孟子)》의 주(注)에 그의 유명한 저작인 〈심잠(心箴)〉이 실려 있음.
1102~1151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범중엄(范仲淹)
중국 송(宋) 나라 인종(仁宗) 때의 문신ㆍ학자. 곽황후(郭皇后)의 폐립 문제로 여이간(呂夷簡)과 대립하고, 구양수(歐陽修)ㆍ한기(韓琦) 등과 붕당을 형성함.
989~1052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범증(范增)
중국 진(秦) 나라 말기 항우(項羽)의 모사(謀士). 유방(劉邦)을 제거하기 위해 마련한 ‘홍문(鴻門)의 회동(會同)’이 실패로 끝난 이후 유방의 내통자로 의심받고 실권을 잃음.
B.C.277~B.C.204 중국>진 ,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범진(范鎭)
중국 송(宋) 나라 인종(仁宗)~철종(哲宗) 때의 문신ㆍ학자. 왕안석(王安石)의 신법(新法)에 적극 반대하고, 《신당서(新唐書)》ㆍ《인종실록(仁宗實錄)》편찬에 참여함.
1008~1089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범질(范質)
중국 후당(後唐)~북송(北宋) 때의 대신. 후당 때 지제고(知制誥)를 지내고, 후주(後周) 때 참지추밀원사(參知樞密院事)를 지냈으며, 북송 때 재상을 지내고 노국공(魯國公)에 봉해짐.
911~964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범충(范冲)
중국 송(宋) 나라 철종(哲宗)~고종(高宗) 때의 문신. 고종(高宗) 때 사관(史官)으로 《신종실록(神宗實錄)》ㆍ《고이(考異)》 등을 편찬함. 《자치통감(資治通鑑)》 편찬에 참여한 범조우(范祖禹)의 아들.
1067~1142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범충선공묘지명(范忠宣公墓志銘)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인 범순인(范純仁)에 대한 묘지명(墓誌銘). 문신 증조(曾肇)가 지은 것으로 《범충선집(范忠宣集)》에 실려 있음.
중국>송 , 중국 , 문헌>작품명
-
범충선집(范忠宣集)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 범순인(范純仁)의 문집. 20권. 남송(南宋) 가정(嘉定) 연간에 심기(沈圻)에 의해 처음 간행된 후 여러 번 재간됨.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범허정집(泛虛亭集)
조선 전기의 문신ㆍ학자인 상진(尙震)의 시문집(詩文集). 1942년에 상위(尙渭)가 9권 4책의 석인본(石印本)으로 간행함.
1942 한국>근대 , 문헌>서명
-
법경(法冏)
중국 남북조시대 양(梁) 나라의 고승(高僧).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종교인>승려
-
법달(法達)
조선 전기의 승려. 선조(宣祖) 때의 문신인 양사언(楊士彦)ㆍ송인(宋寅) 등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종교인>승려
-
법량(法諒)
신라 말의 승려. 진감선사(眞鑑禪師) 혜소(慧昭)의 제자로, 최치원(崔致遠)이 지은 '쌍계사진감선사대공탑비(雙磎寺眞鑑禪師大空塔碑)'에 혜소(慧昭)의 열반 후 슬피 울며 스승의 유명(遺命)을 따르는 모습이 묘사됨.
한국>통일신라 , 인명>종교인>승려
-
법련(法蓮)
조선 전기의 승려.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학자인 홍인우(洪仁祐)가 관동(關東) 지방을 유람할 때 그가 곡기(穀氣)를 끊고 수행하는 것을 보았다고 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종교인>승려
-
법상종(法相宗)
중국 당(唐) 나라의 현장(玄奬)ㆍ규기(窺基)에 의해 성립한 유식사상(唯識思想) 계통의 불교종파. 존재의 공성(空性)보다도 현상을 세밀히 분석해 설명함. 우리나라는 통일신라시대의 태현(太賢)을 초조로 삼음.
중국>당 , 중국 , 사상>이론>교리
-
법어집(法語集)
고려 말의 승려 달공(達空)의 선문답(禪問答)을 모은 책. 이색(李穡)이 발문(跋文), 권근(權近)이 서(序)를 지음.
한국>고려후기 , 문헌>서명
-
법왕(法王)
백제 제29대 국왕. 재위 599~600. 혜왕(惠王)의 아들이며, 무왕(武王)의 아버지. 즉위 후 살생(殺生)을 금지하고 왕흥사(王興寺)를 짓는 등 불력(佛力)에 의지하여 국정을 운영함.
?~600 한국>백제 , 충청도>부여 , 인명>왕실>국왕
-
법융(法融)@조선
조선 후기의 승려. 영응(靈應)ㆍ대선(大禪) 등과 함께 영관(靈觀)으로부터 가르침을 받음.
한국>조선후기 , 인명>종교인>승려
-
법융(法融)@당
중국 당(唐) 나라의 선승(禪僧)이며 우두선(牛頭禪)의 개조(開祖). 19세에 경사(經史)에 통달하고, 《대반야경(大般若經)》을 읽다가 진공(眞空)의 이치를 깨달음.
594~657 중국>당 , 중국 , 인명>종교인>승려
-
법장(法藏)
고려 말 조선 초의 승려. 본관은 신주(愼州). 나옹(懶翁) 혜근(惠勤)에게서 법(法)을 이어받았으며, 송광사를 복원(復元)함. 수선사(修禪寺) 16국사(國師) 중 제16세를 지냄.
1350~1428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황해도>신천 , 인명>종교인>승려
-
법주사(法住寺)
신라 진흥왕(眞興王) 때 충청도 보은(報恩) 속리산에 창건한 절. 혜공왕(惠恭王) 때 진표(眞表)와 그의 제자 영심(永深)이 절의 중흥에 크게 기여함. 팔상전(捌相殿) 등의 유명 국보와 보물이 다수 소장되어 있음.
553 한국>신라 , 충청도>보은 , 유적>건물>사찰
-
법지(法知)
신라 진흥왕(眞興王) 때의 음악인. 대나마(大奈麻)를 지냄. 우륵(于勒)으로부터 전수받은 12곡을 5곡으로 간추렸는데, 이 곡은 후에 신라의 대악(大樂)으로 채택됨.
한국>신라 , 인명>예술인>음악인
-
법진(法珍)
고려 후기의 승려. 중국 원(元) 나라 연경(燕京)에서 태어났으며, 목은(牧隱) 이색(李穡)과 교유함.
한국>고려후기 , 중국 , 인명>종교인>승려
-
법진(法眞)
중국 후한(後漢) 효순제(孝順帝) 때의 처사(處士). 여러 학문에 통달하여 관서(關西) 지역의 대유(大儒)가 됨
99~189 중국>후한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법천(法泉)
고려 후기의 승려. 목은(牧隱) 이색(李穡)과 교유함.
한국>고려후기 , 인명>종교인>승려
-
법헌(法獻)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승려. 시풍(始豊) 적성산(赤城山) 석실에서 선(禪)을 수행함. 최치원(崔致遠)의 진감화상비명(眞監和尙碑銘)에 기록이 있음.
423~497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종교인>승려
-
법화경종요(法華經宗要)
신라의 고승 원효(元曉)가 《묘법연화경(妙法蓮華經)》의 요점을 발췌ㆍ해설한 책. 소승불교와 대승불교 등의 상대적 논란을 지양하고, 모든 중생은 불성(佛性)을 갖고 있어 반드시 일불승(一佛乘) 해탈의 자리로 돌아갈 수 있음을 천명함.
한국>통일신라 , 문헌>서명
-
벽도향(碧桃香)
조선 전기의 기생. 《지천집(芝川集)》에 황정욱(黃廷彧)과 양주(楊州)의 공암(孔巖)으로 뱃놀이를 간 내용이 보임.
한국>조선전기 , 인명>기술인>기생
-
벽산당집(碧山堂集)
중국 명(明) 나라의 문신ㆍ문인인 화찰(華察)의 문집. 《지퇴헌집(知退軒集)》등의 저술도 있음.
중국>명 , 중국 , 문헌>서명
-
벽상공신(壁上功臣)
고려시대 공신(功臣)에게 내린 호(號). 고려 건국 후 신흥사(新興寺) 공신당(功臣堂)에 그린 삼한공신(三韓功臣)을 삼한벽상공신(三韓壁上功臣)으로 부른 데서 유래함.
한국>고려시대 , 법제>제도
-
벽성(壁星)
이십팔수(二十八宿) 가운데 열넷째 별자리에 있는 별들. 문서(文書)를 주관하는 별로서 문장(文章)을 주관하는 규성(奎星)과 함께 문운(文運)을 관장하는 별로 알려짐.
자연물>천체
-
벽송집(碧松集)
조선 전기의 승려 지엄(智嚴)의 시문집. 1권 1책. 1569년(선조 2)에 휴정(休靜)이 산실된 지엄의 가송(歌頌) 20수를 모아서 간행함.
1569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벽암록(碧巖錄)
중국 송(宋) 나라 때의 임제종(臨濟宗) 승려 원오(圜悟)가 지은 선종(禪宗)의 공안집(公案集). 10권. 중현(重顯)이 지은 《설두송고(雪竇頌古)》를 모체로 하여, 각칙(各則)마다 수시(垂示)ㆍ착어(著語)ㆍ평창(評唱)을 달아 완성함.
1125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벽오유고(碧梧遺稿)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인 이시발(李時發)의 문집. 8권 4책. 저자의 시문 및 남구만(南九萬)이 지은 시장(諡狀), 송시열(宋時烈)이 지은 신도비명(神道碑銘) 등이 실려 있음.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벽오집(碧梧集)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인 이문량(李文樑)의 시문집. 1912년 후손 이희조(李羲肇)ㆍ이유용(李裕容)에 의해 수집ㆍ간행됨.
1912 한국>근대 , 문헌>서명
-
벽운집(碧雲集)
중국 오대십국 남당(南唐)의 문신ㆍ문인인 이중(李中)의 문집. 총 3권.
중국>오대십국 , 중국 , 문헌>서명
-
벽파정(碧波亭)@황주
황해도 황주(黃州)에 있는 누정. 고려 의종(毅宗)이 1168년(의종 22)에 이곳에 배를 띄우고 밤새 연회를 베풀었다는 기록이 전함.
황해도>황주 , 유적>건물>누정
-
벽파정(碧波亭)@진도
전라도 진도(珍島)에 있는 누정. 임진왜란 때 이순신(李舜臣)이 명량대첩(鳴梁大捷)을 거둔 곳으로 유명하고, 진도에서 귀양살이한 노수신(盧守愼)이 시(詩) 여러 수를 남김.
전라도>진도 , 유적>건물>누정
-
벽파정(碧波亭)@울산
경상도 울산(蔚山) 오산(鰲山)에 있는 누정. 이 누정을 두고 읊은 정포(鄭誧)ㆍ이곡(李穀) 등의 시가 전함.
경상도>울산 , 유적>건물>누정
-
벽파진(碧波津)
전라도 진도(珍島)에 있었던 나루터. 진도의 동부에 위치하여 진도의 관문 역할을 함. 임진왜란 때 수군영(水軍營)이 배치되어 있었던 곳으로 외적의 침입 경계에 중요한 역할을 함.
전라도>진도 , 지명>자연지명
-
변경장(邊慶長)
조선 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원주(原州). 남원 도호부사(南原都護府使) 변영청(邊永淸)의 아들로, 1570년(선조 3)에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153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유학
-
변계량(卞季良)
고려 우왕(禑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밀양(密陽). 이색(李穡)ㆍ권근(權近)ㆍ정몽주(鄭夢周)의 문인으로, 조선 초기 관인문학의 대표적인 인물이며, 주로 조선 건국을 찬양하는 글을 씀. 오랜 기간 대제학(大提學)을 맡아 외교문서를 작성하여 명문장가로 이름을 떨침.
1369~1430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밀양 , 인명>관인>문신
-
변곤(卞壼)
중국 남북조시대 서진(西晉)의 충신. 상서령(尙書令) 등을 지냈으며, 소준(蘇峻)의 난 때 반란군과 싸우다 두 아들 변진(卞眕)ㆍ변우(卞盱)와 함께 죽은 ‘변문충효(卞門忠孝)’의 고사가 전함.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변공(邊貢)
중국 명(明) 나라의 문신ㆍ문인. 태상승(太常丞) 등을 지냈으며, 고문사설(古文辭說)을 주창한 ‘전칠자(前七子)’ 중의 한 사람.
1476~1532 중국>명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변광(邊廣)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영주(榮州)에서 안동(安東)으로 이거(移居)한 원주변씨(原州邊氏)의 입향조(入鄕祖). 충무위 부사직(忠武衛副司直) 변희예(邊希乂)의 아들로, 1513년(중종 8)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1493~155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천(榮川)ㅣ경상도>안동 , 인명>문사>유학
-
변구상(卞九祥)
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우부승지(右副承旨) 변중량(卞仲良)의 아들. 시(詩)에 뛰어나 변시마(卞詩魔)로 일컬어짐.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밀양 , 인명>관인>문신
-
변귀수(邊龜壽)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고려가 멸망하자 충절을 지킨 두문동칠십이현(杜門洞七十二賢) 중 한 명으로 전해짐.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관인>문신
-
변망론(辨亡論)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학자인 육기(陸機)가 지은 논설(論說). 오(吳) 나라의 멸망을 개탄하는 내용임.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문헌>작품명
-
변명윤(邊明胤)
조선 전기의 문신. 간재(艮齋) 최연(崔演)과 교유하였으며, 동지부사(同知副使)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인명>관인>문신
-
변무록(辨誣錄)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학자인 소백온(邵伯溫)의 저술. 소백온의 저술은 《변무록(辨誣錄)》외에 《견문록(聞見錄)》 등 기타 저술과 함께 백여 권에 달함.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변벽(卞璧)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인. 본관은 밀양(密陽). 변중량(卞仲良)의 5대손으로, 벼슬에 뜻을 두지 않고 성리학(性理學) 연구에 평생을 바침.
1483~152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밀양 , 인명>문사>문인
-
변사(邊涘)
조선 선조(宣祖) 때의 모반자. 정여립(鄭汝立)과 모반하여 기축옥사(己丑獄死)를 일으켰으나 동모자의 고변으로 사실이 발각되어 토포군에게 포위되자 정여립과 함께 자결함.
?~1589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안악 , 인명>기타인명>역적
-
변사겸(邊士謙)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무신. 본관은 원주(原州). 중종반정(中宗反正)의 공으로 정국공신(靖國功臣)에 녹훈되고 원양군(原陽君)에 봉해짐.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원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변사정(邊士貞)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의병장. 본관은 장연(長淵). 일재(一齋) 이항(李恒)의 문인으로,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남원에서 의병을 모집하고 많은 전투에서 전공을 세움.
1529~1596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남원 , 인명>관인>문신
-
변산(邊山)
전라북도 부안(扶安)에 있는 산 이름. 뛰어난 경관을 이루고 있어 일찍이 한국 팔경(八景)의 하나로 꼽혀왔으며, 산이면서 바다와 직접 닿아 있는 것이 특징임.
전라도>부안 , 지명>자연지명
-
변성(邊成)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원주(原州). 변처령(邊處寧)의 아들로, 1522년(중종 17) 별시(別試)에 급제하였고, 장악원 정(掌樂院正) 등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원주 , 인명>관인>문신
-
변성온(卞成溫)
조선 후기의 문인. 본관은 밀양(密陽). 하서(河西) 김인후(金麟厚)의 문인(門人)으로, 장성(長城)에 필암서원(筆巖書院)의 건립을 주도함.
1529~?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무장 , 인명>문사>문인
-
변소(邊韶)
중국 후한(後漢) 때의 학자. 유가(儒家)의 경전(經典)을 두루 통달하였으며, 훌륭한 문장으로 이름 높아 제자가 수백에 달하였음.
중국>후한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변수(邊脩)
조선 중중(中宗) 때의 무신. 중종반정(中宗反正)의 공으로 정국공신(靖國功臣)에 녹훈되고 원천군(原川君)에 봉해짐.
1447~1524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원주 , 인명>관인>무신
-
변안열(邊安烈)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무신. 본래 중국 심양(瀋陽) 사람으로 고려에 귀화하여 원주(原州)로 본관을 하사받았으며, 홍건적(紅巾賊)과 왜구(倭寇) 격퇴에 공을 세움.
?~1390 한국>고려후기 , 중국ㅣ강원도>원주 , 인명>기타인명>귀화인ㅣ인명>관인>무신
-
변영청(邊永淸)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원주(原州). 원주부원군(原州府院君) 변광(邊廣)의 아들로, 이황(李滉)의 문인. 남원 부사(南原府使)ㆍ대구 부사(大丘府使)ㆍ상의원 정(尙衣院正) 등을 지냄.
1516~158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