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오세훈(吳世勳)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나주(羅州). 우의정(右議政) 오겸(吳謙)의 아버지로, 부사(府使)를 지냄.
1460~1514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문신
-
오손(烏孫)
중국 한(漢) 나라 때의 투르크계 민족 이름. 천산산맥(天山山脈) 북쪽을 거점으로 활약한 유목민으로, 무제(武帝) 때 장건(張騫)이 이 나라에 사행(使行)한 이래, 한 나라와 흉노(匈奴)와의 관계에 개입하면서 조정자 역할을 담당함.
중국>후한ㅣ중국>전한 , 중국 , 인명>집단>종족
-
오수영(吳守盈)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인ㆍ학자. 이황(李滉)의 문인(門人)으로, 글씨를 잘 써 금보(琴輔)ㆍ이숙량(李叔樑) 등과 함께 ‘선성삼필(宣城三筆)’이라 불림.
1521~160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학자ㅣ인명>문사>문인
-
오수채(吳守蔡)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고창(高敞). 충무위 부사직(忠武衛副司直)을 지낸 오충학(吳沖鶴)의 아들로, 1540년(중종 35)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오수채(吳遂采)
조선 영조(英祖) 때의 문신. 병조 판서를 지낸 오도일(吳道一)의 아들이며 윤증(尹拯)의 문인으로, 대사헌을 지냄. 이돈(李墪)ㆍ엄집(嚴緝)이 증편한 《송도지(松都誌)》를 보완하여 1757년(영조 33)에 《속지(續志)》 1권을 펴냄.
1692~1759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해주 , 인명>관인>문신
-
오수홍(吳守弘)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고창(高敞). 충무위 부사직(忠武衛副司直)을 지낸 오충학(吳沖鶴)의 아들로, 1540년(중종 35)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오승백(吳承伯)
중국 남북조시대 양(梁) 나라의 역적. 선성군리(宣城郡吏)로 있으면서 태수(太守)를 죽이고 난을 일으켰으나, 채준(蔡撙)에게 진압되어 참수됨.
?~510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역적
-
오시립(吳時立)
조선 광해군(光海君)~인조(仁祖) 때의 유학. 본관은 보성(寶城). 오명립(吳名立)ㆍ오유립(吳裕立) 등과 함께 문의(文義)에 송인수(宋麟壽)를 모실 노봉서원(魯峯書院)을 건립했음.
1572~?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문의 , 인명>문사>유학
-
오신중(吳愼中)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나주(羅州). 적개공신(敵愾功臣) 오자치(吳自治)의 아버지로, 이조 참판(吏曹參判)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문신
-
오실(吳實)
중국 진(秦) 말~한(漢) 초의 은자. 진 나라의 폭정을 피해 상현 동산(商縣東山)에 숨은 상산사호(商山四皓)의 한 사람.
중국>전한ㅣ중국>진 , 중국 , 인명>기타인명>은자
-
오악(五岳)
중국의 옛 신앙에 보이는 다섯 개의 산. 태산(泰山)ㆍ숭산(嵩山)ㆍ형산(衡山)ㆍ화산(華山)ㆍ항산(恒山)이 그것으로 중앙과 사방을 상징함.
중국 , 사상>기타사상ㅣ지명>자연지명
-
오악(五嶽)
통일신라시대에 중사(中祀)를 지내던 다섯 개의 명산(名山). 《삼국사기(三國史記)》〈잡지(雜志)〉 제사조(祭祀條)에 의하면 동악(東岳)인 토함산(吐含山), 남악(南岳)인 지리산(智異山), 서악(西岳)인 계룡산(鷄龍山), 북악(北岳)인 태백산(太白山), 중악(中岳)인 부악(父岳, 지금의 팔공산(八公山))을 이름.
한국>통일신라 , 지명>자연지명
-
오억령(吳億齡)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동복(同福). 임진왜란 때 선조를 의주(義州)에 호종하고 우참찬(右參贊) 등을 지냈으나, 광해군 때 폐모론(廢母論)에 반대하다가 탄핵을 받아 낙향함. 문장과 글씨에 뛰어남.
1552~1618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동복 , 인명>관인>문신
-
오언의(吳彦毅)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고창(高敞)으로, 현감(縣監)을 지낸 오석복(吳碩福)의 아들. 이우(李堣)의 문인이며, 지방관으로 있으면서 치적을 많이 쌓았음.
1494~156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안 , 인명>관인>문신
-
오여벌(吳汝橃)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고창(高敞). 오운(吳澐)의 아들이며 정구(鄭逑)의 문인으로, 창원 부사(昌原府使) 등을 지냄. 저서로 《중국역대총론(中國歷代總論)》ㆍ《동국역대기사(東國歷代紀事)》 등이 있음.
1579~1635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고창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오여필(吳與弼)
중국 명(明) 나라 때의 은자. 명(明) 영종(英宗)이 불러 좌유덕(左諭德)의 벼슬을 제수했지만 사양하고 낙향(落鄕)하였으며, 천문(天文)ㆍ병법(兵法)ㆍ음양(陰陽) 등에 통달함.
중국>명 , 중국 , 인명>기타인명>은자
-
오역(吳棫)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천주통판(泉州通判)을 지내고, 주희(朱熹)가 극찬한 훈석학(訓釋學)의 대가로 《서비전(書裨傳)》ㆍ《시보음(詩補音)》ㆍ《논어지장(論語指掌)》ㆍ《고이속해(考異續解)》ㆍ《초사석음(楚辭釋音)》ㆍ《운보(韻補)》ㆍ《자학보운(字學補韻)》등의 많은 저서를 남김.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오연총(吳延寵)
고려 숙종(肅宗)~예종(睿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해주(海州). 병부 낭중(兵部郞中) 등을 지내고, 송(宋) 나라에서 《태평어람(太平御覽)》을 들여옴. 예종 때 여진(女眞) 소탕에 공을 세워 협모동덕치원공신(協謀同德致遠功臣)에 책록됨.
1055~1116 한국>고려전기 , 황해도>해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오영(吳英)
중국 송(宋) 나라 때의 학자. 주희(朱熹)의 문인(門人)이며, 고종(高宗) 소흥(紹興) 연간에 진사(進士)가 됨.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오영창(吳永昌)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해주(海州). 한성부 판윤(漢城府判尹)을 지낸 오결(吳潔)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해주 , 인명>문사>유학
-
오예손(吳禮孫)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해주(海州). 이조 판서(吏曹判書)를 지낸 오상(吳祥)의 아버지로, 1497년(연산군 3)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제천 현감(堤川縣監)ㆍ예조 좌랑(禮曹佐郞)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해주 , 인명>관인>문신
-
오왕(吳王)
중국 한(漢) 나라 때의 제후. 전한(前漢) 고조(高祖)의 조카로, 경제(景帝) 때 오초칠국(吳楚七國)의 난을 일으켰다가 주아부(周亞夫)에 의해 평정됨.
중국>전한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오운(伍員)
중국 춘추전국시대 오(吳) 나라의 재상. 초(楚) 나라 사람으로 아버지와 형이 초(楚) 평왕(平王)에게 처형당함. 오 나라 부차(夫差)를 도와 월(越) 나라를 이기는데 큰 공을 세웠으나, 후에 부차(夫差)에게 처형당함.
B.C.559~B.C.484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오운(吳澐)
조선 명종(明宗)~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고창(高敞). 이황(李滉)ㆍ조식(曺植)의 문인. 광주 목사(光州牧使) 등을 지냈으며,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곽재우(郭再祐)와 함께 의병으로 활동함.
1540~1617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함안 , 인명>관인>문신
-
오운묘(伍員廟)
중국 절강성(浙江省) 항주(杭州)에 있는 사당. 춘추시대 초(楚) 나라 대부(大夫)인 오자서(伍子胥)를 기리기 위해 세운 것으로, 당(唐) 나라 적인걸(狄仁傑)의 음사(淫祠) 철폐 때에도 보존되었음.
중국 , 유적>건물>사당
-
오운체(五雲體)
아름다운 서체(書體)를 뜻함. 중국 당(唐) 나라의 문인인 위척(韋陟)이 서찰(書札)을 쓸 때 시첩(侍妾)에게 쓰도록 모두 맡기고 자신은 서명(署名)만 하였는데, 그렇게 스스로 쓴 이름이 오색 구름처럼 아름답다고 자칭한 데서 온 말임.
중국>당 , 중국 , 사상>기법>방법
-
오원유(吳元瑜)
중국 송(宋) 나라 신종(神宗) 때의 문신ㆍ화가. 합주 단련사(合州團練使)를 지냄. 어려서 최백(崔白)에게 배웠는데, 특히 화훼도(花卉圖)ㆍ영모도(翎毛圖) 등에 뛰어남.
중국>송 , 중국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오원제(吳元濟)
중국 당(唐) 나라 헌종(憲宗) 때의 문신. 채주 자사(蔡州刺史)로 있으면서 반란을 일으켰으나, 절도사(節度使) 이소(李愬)에게 사로잡혀 장안(長安)에서 참수됨.
?~817 중국>당 , 중국 , 인명>기타인명>역적ㅣ인명>관인>문신
-
오월동주(吳越同舟)
오(吳) 나라 왕 부차(夫差)와 월(越) 나라 왕 구천(句踐)이 같은 배를 타고 가다가 풍랑을 만나 서로 단합했다는 고사에서 유래한 말로, 서로 미워하면서도 공통의 어려움이나 이해에 대해서는 협력하는 경우를 비유한 말. 《손자(孫子)》〈구지편(九地篇)〉에 나옴.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사상>술어>고사성어
-
오위(五衛)
조선 전기의 중앙 군사조직. 1457년(세조 3)에 군제를 의흥위(義興衛)ㆍ용양위(龍驤衛)ㆍ호분위(虎賁衛)ㆍ충좌위(忠佐衛)ㆍ충무위(忠武衛) 등 오위(五衛)로 개편함.
한국>조선전기 , 법제>제도
-
오위도총부(五衛都摠府)
조선시대의 중앙군인 오위(五衛)를 지휘 감독한 최고 군령기관(軍令機關). 군정(軍政)의 문란과 임진왜란(壬辰倭亂)을 계기로 문제점이 드러나자 훈련도감(訓練都監)ㆍ어영청(御營廳) 등으로 대체하고 1882년(고종 19)에 폐지됨.
한국>조선시대 , 법제>관청
-
오유(吳猷)
중국 명(明) 나라의 환관. 조선 명종(明宗)을 국왕(國王)으로 책봉한다는 천자(天子)의 교지(敎旨)를 가지고 장봉(張奉)과 함께 조선에 옴.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환관
-
오유립(吳裕立)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유학. 본관은 보성(寶城). 오명립(吳名立)ㆍ오시립(吳時立) 등과 함께 문의(文義)에 송인수(宋麟壽)를 모실 노봉서원(魯峯書院)을 건립했음.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문의 , 인명>문사>유학
-
오유충(吳惟忠)
중국 명(明) 나라의 무신. 임진왜란(壬辰倭亂)과 정유재란(丁酉再亂) 때 조선에 원군으로 파견되어 참전함.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오윤겸(吳允謙)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해주(海州)로, 성혼(成渾)의 문인. 일본에 가서 임진왜란 때 잡혀갔던 포로 150여 명을 쇄환하고, 하극사(賀極使)로 명(明) 나라를 다녀옴. 영의정(領議政)을 지냄.
1559~1636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오윤지(吳允祉)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해주(海州)로, 전생서 봉사(典牲署奉事)를 지낸 오치정(吳致精)의 아들. 1513년(중종 8)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진천 , 인명>문사>유학
-
오음산(五音山)
강원도 횡성(橫城)과 홍천(洪川)의 경계에 있는 산. 높이 930m. 횡성과 홍천을 잇는 교통로로 삼마치(三馬峙)가 있음.
강원도>횡성ㅣ강원도>홍천 , 지명>자연지명
-
오음유고(梧陰遺稿)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인 윤두수(尹斗壽)의 시문집. 고활자본. 3권 3책. 1635년(인조 13)에 아들 윤방(尹昉)이 편집ㆍ간행함.
1635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오응정(吳應井)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무신. 본관은 해주(海州). 1574년(선조 7) 무과(武科)에 급제하였으며, 정유재란(丁酉再亂) 때 전라도 방어사(全羅道防禦使)로 남원성(南原城) 전투에서 활약하다 전사함. 남원(南原)의 충렬사(忠烈祠)에 배향됨.
1548~1597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해주 , 인명>관인>무신
-
오익(吳翌)
중국 송(宋) 나라 때의 학자. 오봉(五峯) 호굉(胡宏)의 문인(門人). 남헌(南軒) 장식(張栻) 등과 교유하였고, 주희(朱熹)가 그의 행장(行狀)을 지었음.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오인걸(吳人傑)
중국 송(宋) 나라 때의 학자. 주희(朱熹)의 문인(門人)이며 주역(周易)에 밝아 《역도설(易圖說)》을 저술함.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오자(吳子)
중국 춘추전국시대 위(魏) 나라의 장수인 오기(吳起)가 쓴 병서(兵書). 1권 6편. 유교를 곁들인 병법서로 예로부터 널리 익힘.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문헌>서명
-
오자영(吳自瑩)@오세우의아버지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보성(寶城). 정언(正言)을 지낸 오세우(吳世祐)의 아버지로, 함경도 병마수군우후(咸鏡道兵馬水軍虞侯)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보성 , 인명>관인>무신
-
오자영(吳自瑩)@조선전기
조선 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구성 부사(龜城府使) 등을 지냄. 조위(曺偉)가 중국으로 사신 갈 때 의주(義州)에서 시문(詩文)을 주고받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관인>문신
-
오자왕승복전(圬者王承福傳)
중국 당(唐) 나라의 학자인 한유(韓愈)가 지은 전(傳). 오자(圬者) 왕승복(王承福)을 빌어 고관을 풍자하는 내용을 담음.
중국>당 , 중국 , 문헌>작품명
-
오자지가(五子之歌)
《서경(書經)》의 편명. 하(夏) 나라 임금 태강(太康)이 안일하게 놀이에 빠져 유궁(有窮)의 수령 예(羿)에 의해 폐위되자, 태강의 다섯 아우가 그 어머니를 모시고 태강이 사냥을 나간 낙수(洛水)의 북편에서 태강을 기다리며, 우(禹) 임금의 훈계를 서술하여 노래를 지어 부른 내용.
중국>하 , 중국 , 문헌>편명
-
오자치(吳自治)
조선 세조(世祖) 때의 무신. 본관은 나주(羅州). 1467년(세조 13)에 이시애(李施愛)의 난을 진압한 공으로 적개공신(敵愾功臣)에 책록되고 영정(影幀)을 하사받음.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오작교(烏鵲橋)
한국ㆍ중국ㆍ일본에 전래되는 견우직녀(牽牛織女) 설화에 나오는 다리 이름. 칠석(七夕)에 견우(牽牛)와 직녀(織女)를 만나게 하기 위해 까마귀와 까치가 은하에 모여 자기들의 몸을 잇대어 만든다는 다리.
유적>시설>기타시설
-
오장(吳章)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학자인 육기(陸機)의 저서. 2권.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문헌>서명
-
오장(吳長)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함양(咸陽). 오건(吳健)의 아들로, 임진왜란 때 의병으로 활약하고, 광해군 때 영창대군(永昌大君)의 옥사와 폐모론(廢母論)에 맞서다가 삭직되어 낙향한 후, 정온(鄭蘊)을 비호하다가 토산(兎山)으로 유배됨.
?~161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함양 , 인명>관인>문신
-
오재집(梧齋集)
조선 인조(仁祖) 때의 문신인 양만용(梁曼容)의 문집. 10권 2책. 목활자본. 1917년에 후손인 양선묵(梁璿默)이 편집, 간행함. 권두에 송병화(宋炳華)의 서문이 있음.
1917 한국>근대 , 전라도>곡성 , 문헌>서명
-
오전(吳詮)
조선 전기의 유학. 그가 낙향(落鄕)할 때 김인후(金麟厚)가 시를 지어 전송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오정립(吳挺立)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해주(海州). 부훤당(負暄堂) 오상(吳祥)의 맏형인 오경(吳慶)의 아들.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해주 , 인명>문사>유학
-
오제(五帝)
중국 고대 전설상에 전하는 다섯 명의 황제. 여러 가지 설이 있으나, 대개 소호(少昊)ㆍ전욱(顓頊)ㆍ제곡(帝嚳)ㆍ요(堯)ㆍ순(舜)을 말함.
고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오조천(吾早川)
황해도 우봉(牛峯) 서쪽에 있는 하천 이름. 성거산(聖居山)에서 발원하여 저탄(渚灘)으로 흘러 들어가며, 언덕 위에 돌이 병풍처럼 둘러져 있어 기이하고 웅장함. 당고(唐皐)의 시가 있음.
황해도>우봉 , 지명>자연지명
-
오종도(吳宗道)
중국 명(明) 나라 신종(神宗) 때의 장군.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수병을 이끌고 와서 공적을 세웠으며, 1593년(선조 26)에 거제(巨濟)를 지키기 위해 진주(晉州)를 지나가면서 의병장 김천일(金千鎰)을 위해 쓴 제문(祭文)이 있음.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오죽헌(烏竹軒)
조선시대 강원도 강릉(江陵)에 세운 별당(別堂). 성종(成宗) 때 대사헌(大司憲)을 지낸 최응현(崔應賢)의 고택에 딸린 건물로, 1536년(중종 31) 이이(李珥)가 태어난 곳으로 유명함.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강릉 , 유적>건물>사제
-
오준(吳準)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연일(延日). 기묘사화(己卯士禍)로 파직되었다가 다시 서용(敍用)되어 형조 판서(刑曹判書)를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일 , 인명>관인>문신
-
오진영(吳震泳)
근대의 학자. 본관은 해주(海州). 전우(田愚)의 문인으로 간재학파(艮齋學派)의 대표적 인물. 의리론(義利論)을 앞세워 유교전통을 수호하고, 〈포고천하문(布告天下文)〉을 짓는 등 독립운동에도 참여함. 죽천집(竹川集) 간행에 관여함.
?~1944 한국>근대 , 충청도>진천 , 인명>문사>학자
-
오징(吳澄)
중국 원(元) 나라의 학자. 천문학(天文學)에 밝아 《찬언(纂言)》을 저술하였는데, 조선시대에 혼천의(渾天儀)를 만드는 데 기본틀이 됨.
1249~1333 중국>원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오천서원(梧川書院)
조선 영조(英祖) 때 경상도 대구(大丘)에 건립한 서원. 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인 양희지(楊熙止)를 배향함.
1744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대구 , 유적>건물>서원,향교
-
오천서원(烏川書院)
조선 선조(宣祖) 때 경상도 영일(迎日)에 세운 서원. 1612년(광해군 4)에 사액되었으며, 정습명(鄭襲明)ㆍ정몽주(鄭夢周)ㆍ정사도(鄭思道)ㆍ정철(鄭澈) 등을 배향함.
158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일 , 유적>건물>서원,향교
-
오초칠국지란(吳楚七國之亂)
중국 한(漢) 나라 경제(景帝) 때 오(吳)ㆍ초(楚)ㆍ교서(膠西)ㆍ교동(膠東)ㆍ치천(淄川)ㆍ제남(濟南)ㆍ조(趙) 등의 오초칠국(吳楚七國)이 일으킨 반란. 경제가 제후의 세력을 약화시키기 위하여 봉지(封地)를 깎아 내리자, 오왕(吳王)을 비롯한 여섯 제후가 반발하였으나 주아부(周亞夫)가 평정함.
B.C.154 중국>전한 , 중국 , 사건>역모
-
오추마(烏騅馬)
중국 진(秦) 나라 말기의 무장(武將)인 항우(項羽)가 타던 애마(愛馬) 이름. 적토마(赤兎馬)와 함께 준마(駿馬)의 대명사로 일컬어지며, 시(詩)의 소재로도 자주 쓰임.
중국>진 , 중국 , 자연물>동물
-
오충사(五忠祠)
조선 후기에 전라도 보성(寶城)에 건립된 사당. 1830년(순조 30)에 사액되었으며, 보성선씨(寶城宣氏)의 문중 사당(門中祠堂)으로 선윤지(宣允祉)ㆍ선형(宣炯)ㆍ선거이(宣居怡)ㆍ선세강(宣世綱)ㆍ선약해(宣若海) 등 다섯 명을 배향함.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보성 , 유적>건물>사당
-
오충학(吳沖鶴)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고창(高敞). 중종(中宗) 때의 유학인 오수홍(吳守弘)ㆍ오수채(吳守蔡)의 아버지로, 충무위 부사직(忠武衛副司直)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고창 , 인명>관인>무신
-
오치인(吳致仁)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1488년(성종 19) 진주목 판관(晉州牧判官)으로 있을 때 진주(晉州) 촉석루(矗石樓)에서 조위(曺偉)ㆍ김일손(金馹孫) 등과 금란계(金蘭契)를 맺었으며, 1491년(성종 22) 촉석루를 중수했음.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해주 , 인명>관인>문신
-
오치정(吳致精)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해주(海州). 중종(中宗) 때의 유학인 오윤지(吳允祉)의 아버지로, 전생서 봉사(典牲署奉事)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해주 , 인명>관인>문신
-
오태주(吳泰周)
조선 제18대 현종(顯宗)의 부마(駙馬). 본관은 해주(海州). 오두인(吳斗寅)의 아들로, 현종의 셋째 딸인 명안공주(明安公主)와 혼인하고, 귀후서 제조(歸厚署提調) 등을 지냄. 글씨에 뛰어나 왕실의 옥책(玉册)ㆍ신판(神板)ㆍ유지(幽誌) 등을 많이 씀.
1668~1716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해주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왕실>인척
-
오포(烏浦)
경상도 영덕(盈德)의 남쪽에 있던 포구 이름. 만호(萬戶)를 설치하여 병선(兵船)을 정박시켰으나, 수세(水勢)가 매우 사납고 모래가 해구(海口)를 메워 폐지됨.
경상도>영덕 , 지명>행정지명
-
오필대(吳必大)
중국 송(宋) 나라 때의 학자. 주희(朱熹)의 문인(門人)으로 이학(理學)에 통달하여 명성이 높았지만 일찍 죽었음.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오한(吳僩)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인. 본관은 함양(咸陽). 종제인 덕계(德溪) 오건(吳健)과 함께 조식(曺植)에게서 수학하며 학문에 전념함.
1546~158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ㅣ경상도>산음 , 인명>문사>문인
-
오한(吳漢)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1479년(성종 10) 나주 객관(羅州客館)을 중수할 때 나주 통판(羅州通判)으로 참여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문신
-
오행총괄(五行摠括)
조선 세조(世祖) 때의 문신인 서거정(徐居正)의 저서. 세조의 명으로 녹명(祿命)에 대한 궁리(窮理)를 위해 지음.
1467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오향성(五香城)
강원도 회양(淮陽)에 있는 마하연(摩訶衍) 주변 지역을 부르는 말. 마하연은 절 이름인데, 이 주위에 향나무가 빙 둘러져 있어 이곳을 오향성(五香城)이라 부름.
강원도>회양 , 지명>자연지명
-
오혁충(吳奕忠)
고려 후기의 문신. 태허정(太虛亭) 최항(崔恒)의 외조부(外祖父)이며, 판종부시사(判宗簿寺事)를 역임했음.
한국>고려후기 , 인명>관인>문신
-
오현단(五賢壇)
조선 고종(高宗) 때 전라도 제주(濟州)에 쌓은 제단(祭壇). 1871년(고종 8) 귤림서원(橘林書院)이 훼철된 후, 서원에 배향되었던 김정(金淨)ㆍ김상헌(金尙憲)ㆍ정온(鄭蘊) 등 오현(五賢)을 기리기 위해 만듦. 현재는 제주시에 속함.
1892 한국>근대 , 전라도>제주 , 유적>시설>기타시설
-
오호도(嗚呼島)
중국 청도(靑島) 동북쪽 발해만(渤海灣)에 있는 섬 이름. 한(漢) 나라 고조(高祖)가 천하를 통일하고 오호도에 숨어 있는 전횡(田橫)에게 귀순을 명하였는데, 전횡이 자살하자 이 섬에 있던 500여 명이 모두 자살한 이야기가 전해짐.
중국 , 지명>자연지명
-
오획(烏獲)
중국 춘추전국시대 진(秦) 나라 무왕(武王) 때의 용사(勇士). 천균(千鈞)의 무게를 들어 올릴 수 있는 장사로, 무왕의 총애를 받음.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오흠로(吳欽老)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울산(蔚山)으로, 길재(吉再)로부터 학문을 배워 도학에 밝았음. 김종직(金宗直)과 교유하였고 효성으로 이름이 났으며 황주 판관(黃州判官)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울산 , 인명>관인>문신
-
오흥문(吳興門)
조선 전기의 학자. 본관은 해주(海州). 율곡(栗谷) 이이(李珥)의 문인(門人)임.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해주 , 인명>문사>학자
-
오희길(吳希吉)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인ㆍ문신. 본관은 나주(羅州). 김인후(金麟厚)ㆍ정여립(鄭汝立)의 문인으로, 정여립의 모반사건에 연루되었으나 절교한 것이 드러나 풀려남. 임진왜란 때 태조(太祖)의 어진(御眞) 등을 보전한 공로로 위성공신(衛聖功臣)에 책록됨. 저서로《도동연원록(道東淵源錄)》이 있음.
1556~1623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나주ㅣ전라도>고창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오희년(吳禧年)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해주(海州). 율곡(栗谷) 이이(李珥)의 문인(門人).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해주 , 인명>문사>유학
-
오희맹(吳希孟)
중국 명(明) 나라 세종(世宗) 때의 문신. 조선 중종(中宗) 때 명 나라의 황태자가 태어나자 조사(詔使) 공용경(龔用卿)과 함께 부사(副使)로 조선에 와 황제의 조서(詔書)를 전달함.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오희순(吳希舜)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해주(海州). 아들 오결(吳潔)과 함께 이이(李珥)의 문하에서 수학하고, 예빈시 직장(禮賓寺直長) 등을 지냄. 성혼(成渾)의 《우계집(牛溪集)》에 그에게 답한 편지가 실려 있음.
1538~1620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해주 , 인명>관인>문신
-
오희안(吳希顔)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기묘사화(己卯士禍)에 연루된 스승 김식(金湜)을 은닉시켰다가 체포되어 벽동(碧潼)으로 귀양감.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무주 , 인명>문사>유학
-
옥계집(玉溪集)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인 노진(盧禛)의 시문집. 목판본. 초간본은 문인 정염(丁焰)이 저자의 유고(遺稿) 가운데 약간을 초록(抄錄)하여 임진왜란 이전에 목판본으로 간행하였으나 남아 있지 않고, 손자 노척(盧脊)이 1632년(인조 10)에 중간함.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옥과(玉果)
전라남도 북동부에 위치한 고을 이름. 지금은 전라남도 곡성군(谷城郡)에 속함.
전라도>옥과 , 지명>행정지명
-
옥광형(玉光亨)
조선 선조(宣祖) 때의 생원. 본관은 반성(班城). 옥수강(玉守剛)의 아들로, 1579년(선조 12) 식년시(式年試)에 입격하였으며, 윤근수(尹根壽)의 《월정집(月汀集)》에 그에게 보낸 시가 실려 있음.
1531~?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문사>유학ㅣ인명>관인>문신
-
옥동(玉洞)
경상도 진성현(眞城縣)의 북쪽에 있는 고을 이름. 이황(李滉)을 배향한 옥동서원(玉洞書院)이 있음.
경상도>진보 , 지명>행정지명
-
옥동사(玉洞祠)
조선시대에 경상도 예천(醴泉)에 건립된 사우(祠宇). 효행(孝行)으로 신달정(辛達廷)을 배향함.
한국>조선시대 , 경상도>예천 , 유적>건물>사당
-
옥동서원(玉洞書院)@상주
조선 중종(中宗) 때 경상도 상주(尙州)에 건립한 서원. 처음 이름은 백화서원(白華書院)이었으나, 1789년(정조 13)에 옥동서원(玉洞書院)으로 사액되었고, 황효헌(黃孝獻)ㆍ황희(黃喜) 등을 배향함.
151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상주 , 유적>건물>서원,향교
-
옥동서원(玉洞書院)@진보
조선 선조(宣祖) 때 이황(李滉)의 문인인 이정회(李庭檜)가 경상도 진보(眞寶)에 세운 서원. 이황(李滉)을 배향함. 현재 경상북도 영양(英陽)에 그 터가 있음.
1602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진보 , 유적>건물>서원,향교
-
옥동정사(玉洞精舍)
조선 명종(明宗) 때 옥동(玉洞) 문익성(文益成)이 고향인 경상도 합천(陜川) 천곡(泉谷) 수옥동(漱玉洞)에 건립한 정사(精舍). 1552년(명종 7) 건립하여 강학지(講學地)로 삼음.
152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합천 , 유적>건물>누정
-
옥동집(玉洞集)
조선 선조(宣祖) 때의 학자인 문익성(文益成)의 문집. 2권 1책. 목판본. 1873년(고종 10)에 후손 문경순(文景純)ㆍ문욱순(文郁純) 등이 간행함.
1873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경주 , 문헌>서명
-
옥룡산(玉龍山)
전라남도 장흥(長興)의 천관산(天冠山) 남쪽에 위치한 산. 옥룡사(玉龍寺) 등이 있음.
전라도>장흥 , 지명>자연지명
-
옥매(玉梅)
장미과(薔薇科)의 낙엽관목(落葉灌木). 설중사우(雪中四友)의 하나로, 흰 꽃이 피며 정원수(庭園樹)로 많이 심음.
자연물>식물
-
옥명(玉明)
조선 성종(成宗) 때의 승려. 가야산(伽倻山) 내원암(內院庵)에 있던 승려로 취라(吹螺)를 잘 불었고, 김종직(金宗直)ㆍ김일손(金馹孫)ㆍ유호인(兪好仁) 등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합천 , 인명>종교인>승려
-
옥문관(玉門關)
중국 한(漢) 나라 무제(武帝) 때인 B.C.2세기 말 감숙성(甘肅省) 돈황현(敦煌縣) 만리장성(萬里長城) 서쪽 끝에 설치한 관문. 북도(北道)의 출발점으로, 남도(南道)의 출발점인 양관(陽關)과 함께 서역(西域)으로 통하는 중요한 관문.
중국>전한 , 중국 , 유적>시설>성,진,책
-
옥보(玉寶)
조선 전기의 승려. 금강산(金剛山)에서 수행하였으며, 이산해(李山海)의 《아계유고(鵝溪遺稿)》에 그에게 준 서문(序文)이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종교인>승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