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옥보고(玉寶高)
신라 진평왕(眞平王) 때의 은자ㆍ악공. 지리산(智異山) 운상원(雲上院)에 들어가 50년간 거문고로 마음을 수양하여 30여 곡을 작곡함.
한국>신라 , 경상도>하동 , 인명>기타인명>은자ㅣ인명>예술인>음악인
-
옥봉집(玉峯集)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인인 백광훈(白光勳)의 시문집. 3권. 목판본. 임진왜란으로 산일된 유고를 아들 백진남(白振南)이 수집 편차하여 전라 감사(全羅監司) 윤안성(尹安性)의 도움을 받아 1608년(광해군 즉위)에 간행함.
1608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문헌>서명
-
옥부향(玉膚香)
조선 성종(成宗) 때의 기생. 나주(羅州)의 기생으로 외모와 재주가 빼어나 서울 교방(敎坊)에 발탁되었고 치헌(痴軒) 권경유(權景裕)와의 일화가 전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ㅣ서울 , 인명>기술인>기생
-
옥산사(玉山祠)
충청도 보령(保寧)에 있었던 사당. 고려 후기의 문신인 백문절(白文節) 등을 배향함.
충청도>보령 , 유적>건물>사당
-
옥산서원(玉山書院)
조선 선조(宣祖) 때 경상도 경주(慶州)에 건립한 서원. 경주 부윤(慶州府尹) 이제민(李齊閔)이 세워 1574년(선조 7)에 사액되었으며, 이언적(李彦迪)을 배향함.
157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유적>건물>서원,향교
-
옥생향(玉生香)
조선 명종(明宗) 때의 기녀(妓女). 청원위(淸源尉) 한경록(韓景祿)과 간음한 죄로 의금부에서 국문을 받고 변방의 관비(官婢)로 영속(永屬)됨.
한국>조선전기 , 인명>기술인>기생
-
옥성서원(玉城書院)
조선 인조(仁祖) 때 경상도 상주(尙州)에 세운 서원. 김득배(金得培)ㆍ신잠(申潛)ㆍ김범(金範)ㆍ이전(李琠) 등을 배향함.
1632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상주 , 유적>건물>서원,향교
-
옥수강(玉守剛)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반성(班城). 선조(宣祖) 때의 유학인 옥광형(玉光亨)의 아버지로, 포천 훈도(抱川訓導)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옥수후정화(玉樹後庭花)
중국 남북조시대 진(陳) 나라의 마지막 임금인 후주(後主)가 지은 노래. 궁중연회에서 지은 장귀비(張貴妃)와 공귀빈(孔貴嬪)의 자색을 찬미한 노래로, 가사가 방탕하고 곡이 지나치게 구슬퍼서 망국지음(亡國之音)으로 불림.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기타>가무
-
옥연사(玉淵祠)
조선 효종(孝宗) 때 경상도 상주(尙州)에 건립된 사우(祠宇). 봉화 현감(奉化縣監)을 지낸 노경명(盧景命)이 세워 노숭(盧嵩)의 영정을 모셨으나, 숙종(肅宗) 때 불천위사당(不遷位祀堂)이 되면서 노수신(盧守愼)을 배향함.
1658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상주 , 유적>건물>사당
-
옥연음고(玉淵吟藁)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인 유청지(劉淸之)의 저서.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옥조당(玉照堂)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인 장표(張杓)의 집. 집 주변에 매화(梅花) 삼사백 그루를 심고 꽃이 필 때 그 집에서 살았는데, 둘레에 핀 꽃의 밝기가 마치 달이 뜬것처럼 밝았다고 하여 이름함.
중국>송 , 중국 , 유적>건물>사제
-
옥징(玉澄)
조선 전기의 승려. 안동(安東)의 청량사(淸凉寺)에서 수행하였으며, 구봉령(具鳳齡)의 《백담집(栢潭集)》에 그에게 준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종교인>승려
-
옥천(沃川)
충청북도 남부에 있는 고을 이름. 옥천향교(沃川鄕校)ㆍ청산향교(靑山鄕校) 등의 사적이 남아 있음.
충청도>옥천 , 지명>행정지명
-
옥천서원(玉川書院)@순천
조선 명종(明宗) 때에 순천 부사(順天府使) 이정(李楨)이 전라도 순천(順天)에 세운 서원. 1568년(선조 1)에 사액되었으며, 김굉필(金宏弼)을 배향함.
1564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순천 , 유적>건물>서원,향교
-
옥천서원(玉川書院)@예천
조선 현종(顯宗) 때 경상도(慶尙道) 예천(醴泉)에 세운 서원. 임춘(林椿)ㆍ반유(潘濡)ㆍ태두남(太斗南)ㆍ송복기(宋福基) 등을 배향함.
1667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예천 , 유적>건물>서원,향교
-
옥청소응궁(玉淸昭應宮)
중국 송(宋) 나라 진종(眞宗) 때 궁중에 건립한 도교사원(道敎寺院).
중국>송 , 중국 , 유적>건물>사찰
-
옥하관(玉河館)
중국 북경(北京) 서쪽으로 흐르는 사하(沙河)의 옥하교(玉河橋) 위에 있던 관소(館所)의 이름. 우리나라 사신(使臣)의 숙소로 이용되었음.
중국>청 , 중국 , 유적>건물>관사
-
옥황상제(玉皇上帝)
도가(道家)의 최고신. 중국 도교의 신들 가운데 가장 널리 알려지고 공경받음.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온계동규(溫溪洞規)
조선 명종(明宗)~헌종(憲宗) 때까지 유지된 경상도 안동(安東) 온계동(溫溪洞)의 동규(洞規)의 내용을 기록한 책. 필사본. 1책. 이황(李滉)이 수정하여 유명해짐.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온교(溫嶠)
중국 남북조시대(南北朝時代) 진(晉) 나라의 문신. 소준(蘇峻)이 모반했을 때 도간(陶侃)을 맹주(盟主)로 추대하고 군대를 모아 소준을 공격함.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온길(溫佶)
중국 당(唐) 나라 현종(玄宗) 때의 문신. 예부 상서(禮部尙書)를 지낸 온조(溫造)의 아버지로, 태상승(太常丞)을 지냄.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온비경시집(溫飛卿詩集)
중국 당(唐) 나라의 시인인 온정균(溫庭筠)의 문집. 7권.
중국>당 , 중국 , 문헌>서명
-
온사(溫師)
조선 중종(中宗) 때의 승려. 김정(金淨)과 교유하였으며, 김정이 자(字)를 지어준 일이 《충암집(冲庵集)》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회양 , 인명>종교인>승려
-
온성(穩城)
함경북도 북부에 있는 고을 이름. 우리나라 최북단의 고을로, 서ㆍ북ㆍ동쪽에 두만강(豆滿江)을 국경으로 하여 중국 길림성(吉林省)과 마주하고 있음.
함경도>온성 , 지명>행정지명
-
온양(溫陽)
충청남도 동북부에 있던 고을 이름. 대표적인 온천지로, 조선 세조(世祖)가 자주 온천욕을 즐겼는데, 어느 날 신천(神泉)에서 찬물이 솟아오르자 길조라 여겨 ‘신정(神井)’이란 이름을 하사하고 그 자리에 비를 세웠다고 함. 지금은 충청남도 아산시(牙山市)에 속함.
충청도>온양 , 지명>행정지명
-
온양정씨(溫陽鄭氏)
고려시대의 은청광록대부(銀靑光祿大夫) 호부 상서(戶部尙書) 정보천(鄭普天)을 시조로 하는 성씨.
한국>고려시대 , 충청도>온양 , 인명>집단>성씨
-
온재유고(韞齋遺稿)
조선 숙종(肅宗) 때의 문신인 김진옥(金鎭玉)의 시문집. 6권 2책. 목활자본. 1849년(헌종 15) 후손 김재선(金在宣)ㆍ김명수(金命洙) 등이 편집, 간행.
1849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온정균(溫庭筠)
중국 당(唐) 나라의 시인. 과거장에서 여덟 번 팔짱을 끼니 팔운시(八韻詩)가 완성되었기에 온팔차(溫八叉)라 불림. 염시(艶詩)를 많이 지었으며, 사(詞)와 악부(樂府)에도 뛰어남. 당시 이상은(李商隱)과 함께 온이(溫李)로 병칭됨.
812~870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온조(溫造)
중국 당(唐) 나라의 문신. 온길(溫佶)의 아들로, 흥원군(興元軍)을 평정한 공로로 산남서도 절도사(山南西道節度使)가 되었으며, 예부 상서(禮部尙書) 등을 지냄.
766~835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온조왕(溫祚王)
백제 제1대 국왕. 재위 B.C.18~A.D.28. 고구려(高句麗) 시조 동명성왕(東明聖王)의 셋째 아들로, 백제를 건국하고 재위 9년에 마한(馬韓)을 멸망시킴.
?~28 한국>백제 , 충청도>천안 , 인명>왕실>국왕
-
옹^구(顒^逑)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인 정구(鄭逑)와 김우옹(金宇顒)을 함께 부르는 말. 조식(曹植)의 문하에서 학명이 뛰어났던 두 사람을 일컬음.
한국>조선후기 , 사상>술어>관용어
-
옹문주(雍門周)
중국 춘추전국시대 제(齊) 나라의 악공. 거문고의 명인(名人)으로, 언설(言說)에도 능하여 맹상군(孟嘗君)이 그의 말을 듣고 눈물을 흘리고 거문고 연주를 듣고서 구슬픈 마음을 가누지 못하였다고 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예술인>음악인
-
옹성산(甕城山)
전라도 화순(和順)의 옛 지명인 동복면(同福面)에 있는 산. 573m. 고려 때 축성한 철옹산성(鐵瓮山城)이 산자락을 휘감고 있으며 산의 모습이 옹기 항아리처럼 생겼다고 하여 옹성산으로 불림.
전라도>동복 , 지명>자연지명
-
옹영(翁泳)
중국 송(宋) 나라 때의 학자. 주역(周易)에 능통했고, 하도(河圖)에 관한 설(說)이 회자(膾炙)되고 있음.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옹진(甕津)
황해도 남서부 옹진반도(甕津半島)에 있는 고을 이름. 황해(黃海)의 해안선을 서남쪽에 끼고 있어 예로부터 많은 전란을 겪어 오랫동안 수군진영(水軍鎭營) 등 국방의 요충지가 많았음.
황해도>옹진 , 지명>행정지명
-
옹치(雍齒)
중국 진(秦)~전한(前漢) 때의 무신. 한(漢) 고조(高祖)의 미움을 받았으나 제장(諸將)들을 안정시키기 위한 장량(張良)의 계책으로 인해 십방후(什方侯)에 봉해짐.
중국>전한ㅣ중국>진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와룡암(臥龍巖)
경상도 합천(陜川) 수옥동(漱玉洞)에 있는 바위 이름. 옥동(玉洞) 문익성(文益成)이 말년에 그 아래에 집을 짓고 거처함.
경상도>합천 , 지명>자연지명
-
와룡지(臥龍池)
황해도 연안(延安)의 남쪽 3리 지점에 있던 저수지. 당진(唐津)의 합덕지(合德池), 상주(尙州)의 공검지(恭儉池)와 함께 과거 우리나라 삼대지(三大池)로 꼽혔으며, 겨울에 얼음이 갈라지는 모양으로 풍흉(豐凶)을 점쳤다고 함.
황해도>연안 , 지명>자연지명
-
와신기사(臥薪記事)
조선 선조(宣祖) 때의 학자인 송제민(宋齊民)의 저서.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의병장 김덕령(金德齡)의 의병군에 가담했다가 김덕령이 옥사하자 종일 통곡하고 저술함.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와신상담(臥薪嘗膽)
섶 위에서 잠을 자고 쓸개를 핥음. 중국 춘추전국시대 월왕(越王) 구천(勾踐)과 오왕(吳王) 부차(夫差) 사이의 고사에서 유래한 말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온갖 고난을 참고 견딘다는 뜻.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사상>술어>고사성어
-
와운암(臥雲庵)
중국 사천성(四川省)의 아미산(峨眉山) 금정(金頂) 부근에 있는 사찰.
중국 , 유적>건물>사찰
-
와유록(臥遊錄)
고려부터 조선 중기까지의 산수 유람에 대한 시문을 모은 책. 12권 12책. 필사본. 17세기 중반 편찬한 것으로 추정되며, 명승지ㆍ문화유산ㆍ풍속 등의 내용이 실려 있음. 조선 후기 김창흡(金昌翕)이 금강산(金剛山)을 유람할 때 이 책을 가지고 갔다고 함.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완간(阮簡)
중국 남북조시대(南北朝時代) 진(晉) 나라 때의 문인. 죽림칠현(竹林七賢)의 한 사람인 완함(阮咸)의 조카.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완계서원(浣溪書院)
조선 현종(顯宗) 때 경상도 거창(居昌)에 건립한 서원. 1664년(현종 5)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김식(金湜)의 절의와 학문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함. 1680년(숙종 6)에 사액되었고, 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훼철됨.
1664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거창 , 유적>건물>서원,향교
-
완릉집(宛陵集)
중국 송(宋) 나라의 시인 매요신(梅堯臣)의 시집. 60권. 송 시풍(宋詩風)의 개조(開祖)가 되었던 시인의 시를 수록함.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완림남진(阮琳南珍)
베트남 완(阮) 왕가의 문신. 사신(使臣)으로 명(明) 나라에 와 통주(通州)에 있는 역루(驛樓)에 시를 남김.
중국>명 , 기타지역 , 인명>관인>문신
-
완문질(阮文質)
베트남 여조(黎朝) 때의 문신. 명(明) 헌종(憲宗) 때 하절사(賀節使)로 중국을 방문해 조선의 사신(使臣) 홍귀달(洪貴達)과 교유함.
중국>명 , 기타지역 , 인명>관인>문신
-
완수(阮脩)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학자. 《노자(老子)》와 역학(易學)에 밝았고, 외출할 때 술 살 돈 1백 전(錢)을 늘 지팡이에 걸고 다닌 것으로 유명함.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완심도(玩心圖)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인 유희춘(柳希春)의 저서. 전란을 거치면서 산일되어 전하지 않음.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완안(阮安)
베트남 여조(黎朝) 때의 문신. 명(明) 헌종(憲宗) 때 하절사(賀節使)로 중국을 방문해 조선의 사신(使臣) 홍귀달(洪貴達)과 시를 주고받음.
중국>명 , 기타지역 , 인명>관인>문신
-
완안종간(完顔宗幹)
중국 금(金) 나라 태조(太祖)의 장남. 제4대 해릉왕(海陵王)의 아버지. 금 건국초기 재상으로서 법률ㆍ행정조직을 만들고 중국문화를 받아들임.
중국>금 , 중국 , 인명>왕실>왕자
-
완안종망(完顔宗望)
중국 금(金) 나라 태조(太祖)의 차남. 완안종간(完顔宗幹)의 동생. 용장(勇壯)으로 이름을 떨쳤으며 연전연승으로 송(宋) 나라를 멸망시킴.
중국>금 , 중국 , 인명>왕실>왕자
-
완안종필(完顔宗弼)
중국 금(金) 나라 태조(太祖)의 넷째 아들. 태사도원수(太師都元帥) 등을 지냈으며, 군사를 이끌고 장강(長江)을 건너 악비(岳飛)ㆍ한세충(韓世忠) 등 송(宋) 나라의 명장들과 사투를 벌였고, 영토를 확장하는 데 공을 세음.
?~1148 중국>금 , 중국 , 인명>왕실>왕자
-
완안종한(完顔宗翰)
중국 금(金) 나라 태조(太祖)의 아들. 요(遼) 나라와 송(宋) 나라를 공략하는 데 활약함.
중국>금 , 중국 , 인명>왕실>왕자
-
완역재집(玩易齋集)
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인 강석덕(姜碩德)의 문집. 청렴과 효우(孝友)로 명망이 높았던 저자의 시문을 수록함.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완우(阮瑀)
중국 삼국시대 위(魏) 나라의 문신. 건안칠자(建安七子)의 한 사람으로, 채옹(蔡邕)의 문인(門人)이며 조조(曹操)의 참모가 되어 문서를 관장함.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완원군(完原君)
조선 제9대 성종(成宗)의 세 번째 서자. 숙의홍씨(淑儀洪氏)의 소생.
1480~1509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왕자
-
완위(阮偉)
베트남 여조(黎朝) 때의 문신. 명(明) 헌종(憲宗) 때 하절사(賀節使)로 중국을 방문해 조선의 사신(使臣) 홍귀달(洪貴達)과 교유함.
중국>명 , 기타지역 , 인명>관인>문신
-
완유(阮裕)
중국 남북조시대(南北朝時代) 진(晉) 나라의 문신. 호방함과 덕행으로 이름난 사람으로, 왕돈(王敦)의 주부(主簿)로 있다 반란을 눈치채고 파면당한 뒤 은거함.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완적(阮籍)
중국 삼국시대 위(魏) 나라의 문인ㆍ학자ㆍ문신. 죽림칠현(竹林七賢)의 일원이며, 노장(老莊)의 학문을 연구하였으나 정계에서 물러난 후 술과 청담(淸談)으로 세월을 보냄.
210~263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완조(阮肇)
중국 후한(後漢) 명제(明帝) 때의 서생(書生). 전설에 유신(劉晨)과 함께 천태산(天台山)에 약초를 캐러 갔다가 선녀를 만나 혼인한 후 반년 만에 고향이 그리워 돌아와 보니, 이미 많은 세월이 흘러 아는 사람이 없었다는 이야기가 전함.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기타인명>은자
-
완첨(阮瞻)
중국 남북조시대(南北朝時代) 진(晉) 나라의 학자. 사도(司徒) 왕융(王戎)이 성인(聖人)의 명교(名敎)와 노장(老莊)의 차이점을 물었는데, 장무동(將無同)이라 대답하여 관속(官屬)이 되었기에 삼어연(三語掾)이라 일컬어짐.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완함(阮咸)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은자. 노장(老莊)의 허무주의(虛無主義)를 주장했고, 숙부인 완적(阮籍)과 함께 죽림칠현(竹林七賢)의 일원이 됨.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은자
-
왕^맹^위^유(王^孟^韋^柳)
중국 당(唐) 나라의 시인인 왕유(王維)ㆍ맹교(孟郊)ㆍ위응물(韋應物)ㆍ유종원(柳宗元)을 함께 부르는 말. 시명(詩名)으로 이름을 날렸던 네 사람을 일컬음.
중국>당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왕^사(王^謝)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재상인 왕도(王導)와 사안(謝安)을 함께 부르는 말. 명문거족(名門巨族)으로 이름을 날렸던 두 집안의 대표적인 인물 두 사람을 일컬음.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왕^소(王^蘇)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시인인 왕안석(王安石)과 소식(蘇軾)을 함께 부르는 말. 당송팔대가(唐宋八大家)에 속하는 인물들로, 시문(詩文)에 뛰어난 사람을 가리킴.
중국>송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왕^양(王^楊)
중국 당(唐) 나라의 시인인 왕발(王勃)과 고종(高宗) 때의 문신ㆍ문인인 양형(楊炯)을 함께 부르는 말. 초당사걸(初唐四傑)에 속하는 인물들로, 시문(詩文)으로 명성을 떨친 사람을 가리킴.
중국>당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왕^여(王^呂)
중국 송(宋) 나라 인종(仁宗) 때의 재상인 왕증(王曾)과 여이간(呂夷簡)을 함께 부르는 말. 정치적으로 대립한 재상을 가리킴.
중국>송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왕^우(王^虞)
중국 남북조시대 동진(東晉)의 서예가인 왕희지(王羲之)와 왕희지의 서법을 익힌 당(唐) 태종(太宗) 때의 서예가인 우세남(虞世南)을 함께 부르는 말. 서예가로 명성을 떨친 사람을 가리킴.
중국>당ㅣ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왕^위(王^魏)
중국 당(唐) 나라 고조(高祖) 때 태자(太子)인 이건성(李建成)을 보필하다가 동생인 태종(太宗)이 보위에 오르자 관직에 올라 태종을 보좌한 왕규(王珪)와 위징(魏徵)을 함께 부르는 말. 적대관계인 조정에 출사하여 충성을 바친 훌륭한 신하를 가리킴.
중국>당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왕^이(王^李)
중국 명(明) 나라 세종(世宗)~신종(神宗) 때의 문신ㆍ문인인 이반룡(李攀龍)과 왕세정(王世貞)을 함께 부르는 말. 복고설(復古說)을 계승하고 고문사설(古文辭說)을 제창한 후칠자(後七子)의 대표적인 인물을 가리킴.
중국>명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왕^조(王^曹)
중국 후한(後漢) 영제(靈帝) 때의 환관인 왕보(王甫)와 조절(曹節)을 함께 부르는 말. 환관으로 나라를 그르치고 현인을 해친 사람들을 가리킴.
중국>후한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왕^조(王^趙)
중국 남북조시대 동진(東晉)의 서예가인 왕희지(王羲之)와 원(元) 나라의 서화가ㆍ문인인 조맹부(趙孟頫)를 함께 부르는 말. 서예가로 명성을 떨친 사람을 가리킴.
중국>원ㅣ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왕^하(王^何)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 무제(武帝)의 사위인 왕제(王濟)와 하증(何曾)을 함께 부르는 말. 사치스런 생활을 한 사람을 가리킴.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왕^한(王^韓)
중국 수(隋) 나라의 학자인 왕통(王通)과 당(唐) 나라의 문신ㆍ학자인 한유(韓愈)를 함께 부르는 말.
중국>당ㅣ중국>수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왕^황(汪^黃)
중국 송(宋) 나라 휘종(徽宗)~고종(高宗) 때의 문신인 왕백언(汪伯彦)과 황잠선(黃潛善)을 함께 부르는 말. 금군(金軍)이 남침했을 때 대비책을 강구하지 않고 화평을 주장하여 송 나라를 패배하게 한 사람들로, 간신을 가리킴.
중국>송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왕가(王嘉)
중국 한(漢) 나라 때의 문신. 전한(前漢) 칠상(七相) 중의 한 명이며, 애제(哀帝) 때 변사(辯士)인 식부궁(息夫躬)의 계략을 저지함.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왕가병(王家屛)
중국 명(明) 나라 목종(穆宗)~신종(神宗) 때의 문신. 성격이 곧고 충성스러워 직간(直諫)을 잘하였으며, 신종 때 재상을 지냄.
1536~1604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왕개(王介)
중국 송(宋) 나라 때의 문신. 왕야(王埜)의 아버지로, 주희(朱熹)와 여조겸(呂祖謙)에게 배웠음. 직언(直言)을 잘하였고 집영전 수찬(集英傳修撰)을 역임함.
1158~1213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왕경(王暻)
고려 제17대 인종(仁宗)의 아들. 의종(毅宗)의 아우로, 1148년(의종 2) 대령후(大寧侯)로 책봉되었으나, 1157년(의종 11) 천안부(天安府)로 유배됨.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왕자
-
왕경(王璟)
고려 고종(高宗) 때의 종친. 계성후(桂城侯) 왕원(王沅)의 아들로 청화후(淸化侯)로 책봉됨. 승화후(承化侯) 왕온(王溫)과 영녕공(永寧公) 왕준(王綧)의 아버지.
?~1259 한국>고려후기 , 인명>왕실>종친
-
왕경민(王敬民)
중국 명(明) 나라 때의 문신. 공과 우급사중(工科右給事中) 등을 역임하였으며, 조선 선조(宣祖) 때 한림(翰林) 황홍헌(黃洪憲)과 함께 황사(皇嗣) 탄생의 조서를 반포하기 위해 사신으로 옴.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왕계(王季)
중국 주(周) 나라의 태왕(太王)인 고공단보(古公亶父)의 막내아들. 문왕(文王)의 아버지로, 무왕(武王) 때 왕으로 추존됨.
중국>주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왕고(王暠)
고려 충렬왕(忠烈王)의 손자. 충숙왕(忠肅王) 때 독로화(禿魯花)로서 원(元) 나라에 머무름. 충숙왕ㆍ충혜왕(忠惠王) 때 고려 왕위를 도모했으나 실패함.
?~1345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왕자
-
왕고(王翶)
중국 명(明) 나라 성조(成祖)~복위 영종(英宗) 때의 문신. 태자태보(太子太保)ㆍ이부 상서(吏部尙書) 등을 역임하였으며, 영종에게 중망(重望)을 받음.
1384~1467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왕공(王恭)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 효무제(孝武帝)~안제(安帝) 때의 문신. 왕온(王蘊)의 아들로, 태자 첨사(太子詹事) 등을 지냄. 성격이 검소하고 청렴하였으며, 학창의(鶴氅衣)를 입고 눈 속을 걸어다니자 사람들이 신선에 비유하였다 함.
?~398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왕공신(王拱辰)
중국 송(宋) 인종(仁宗)~신종(神宗) 때의 문신. 낙양 유수(洛陽留守)ㆍ어사중승(御史中丞)을 지냄.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왕광(王曠)
중국 남북조시대 동진(東晉)의 문신. 중국의 서성(書聖) 왕희지(王羲之)의 아버지로, 회남 태수(淮南太守)를 지냄.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왕굉(王宏)
중국 남북조시대(南北朝時代) 동진(東晉)의 문신. 강주 자사(江州刺使)로 있을 때 도연명(陶淵明)에게 술을 보냈다는 백의인(白衣人) 고사로 유명함.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왕굉(王竤)
중국 명(明) 나라 때의 문신. 섬서성(陝西省) 하주(河州) 사람으로, 병부 상서(兵部尙書) 등을 역임함.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왕교(王喬)
중국 후한(後漢) 명제(明帝) 때의 문신. 업현(鄴縣)의 수령을 역임하였으며, 신술(神術)이 있었다고 함.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왕구사(王九思)
중국 명(明) 나라의 문신ㆍ문인. 고문사설(古文辭說)을 주창한 ‘칠재자(七才子)’ 중의 한 사람으로, 사곡(詞曲)에 뛰어났으며 이부 낭중(吏部郞中) 등을 지냄.
1468~1551 중국>명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왕규(汪逵)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ㆍ문신. 주희(朱熹)와 여조겸(呂祖謙)이 종학(從學)한 왕응신(汪應辰)의 아들. 단명전 학사(端明殿學士)를 지냄.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왕규(王圭)
고려 태조(太祖)의 손자. 목종(穆宗)의 비(妃)인 선정왕후(宣正王后)의 아버지.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종친
-
왕규(王珪)@고려
고려 후기의 문신ㆍ종친. 사재감 직장(司宰監直長) 홍지(洪智)의 장인이며 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使) 홍경손(洪敬孫)의 외조부. 고려의 왕족으로서 중대광(重大匡)에 오르고, 수연대군(壽延大君)으로 불림.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종친
-
왕규(王珪)@당
중국 당(唐) 나라 태종(太宗) 때의 문신. 왕승변(王僧辯)의 손자로, 고조(高祖) 때 태자중사인(太子中舍人)이 되어 이건성(李建成)을 보필하였으나, 이건성이 피살된 후 태종(太宗)이 즉위하자 재기용되어 예부 상서(禮部尙書) 등을 지냄.
571~639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왕규(王規)
고려 태조(太祖)~혜종(惠宗) 때의 문신. 태조 왕건(王建)을 받들어 대광(大匡)에 이르고, 두 딸을 태조의 비로 들인 왕실의 외척으로서 막강한 정치권력을 장악함. 외손자를 왕위에 앉히고자 모반을 꾀하다가 혜종에게 죽임을 당함.
?~945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광주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왕근(王瑾)
고려 후기의 종친. 신종(神宗)의 7대손이며, 공양왕(恭讓王)의 종숙(從叔)인 왕환(王環)의 아들.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종친
-
왕기(王基)
고려 제8대 현종(顯宗)의 아들. 어머니는 원혜태후(元惠太后)이며, 문종(文宗)의 동생. 태사 겸 내사령(太師兼內史令)을 지냄.
?~1069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왕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