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왕길(王吉)
중국 전한(前漢) 선제(宣帝)~원제(元帝) 때의 문신. 간의대부(諫議大夫) 등을 지냄. 왕길이 공우(貢禹)와 친하였는데, 왕길이 인사를 맡은 자리에 앉자 공우가 갓의 먼지를 털고는 자신을 천거해 주기를 기다렸다는 고사가 전함.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왕단(王旦)
중국 송(宋) 진종(眞宗) 때의 승상(丞相). 병부 시랑(兵部侍郞)을 지낸 진국공(晉國公) 왕호(王祜)의 아들이며, 공부 상서(工部尙書)를 지낸 왕소(王素)의 아버지.
957~1017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왕담(王湛)
중국 남북조시대(南北朝時代) 진(晉) 나라의 학자. 덕(德)을 숨기고 표현하지 않아 사람들에게 치숙(癡叔)이라고 불림. 역리(易理)에 정통하였음.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왕덕보(汪德輔)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주희(朱熹)의 제자.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왕도(王導)
중국 남북조시대 동진(東晉)의 재상(宰相). 원제(元帝)의 총애로 정승에 오르고, 명제(明帝)와 성제(成帝)를 보좌하여 동진의 기초를 다짐.
276~339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왕도곤(汪道昆)
중국 명(明) 나라 세종(世宗)~신종(神宗) 때의 문신ㆍ문인. 의오 현령(義烏縣令) 때 척계광(戚繼光)과 병사를 모집하여 왜구(倭寇)를 격파하고, 병부시랑(兵部侍郞) 등을 지냄. 문장에 뛰어나 이반룡(李攀龍)ㆍ왕세정(王世貞) 등과 함께 학문을 연마함.
1525~1593 중국>명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왕돈(王敦)
중국 남북조시대 동진(東晉) 원제(元帝) 때의 재상(宰相). 동진 창업에 공훈을 세워 재상이 되었으나, 명제(明帝) 때 모반하였다가 병사(病死)함.
266~324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왕동(王同)
중국 전한(前漢)의 학자. 동학 정관(丁寬) 등과 함께 전하(田何)로부터 《주역(周易)》을 전수받아 양하(楊何) 등의 제자에게 전함.
중국>전한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왕륜(王倫)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 흠종(欽宗)에게 발탁되어 병부 시랑(兵部侍郎)에 오름. 금(金)과의 화친을 주장하여 금 나라에 갔다가 억류되어 죽임을 당함.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왕릉(王陵)
중국 한(漢) 나라 고조(高祖) 때의 개국공신. 혜제(惠帝) 사후(死後) 여태후(呂太后)가 여씨(呂氏)들을 왕으로 세우려고 하자 이에 반대하고 관직에 나아가지 않음.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왕망(王莽)
중국 신(新) 나라의 황제. 재위 8~23년. 전한(前漢) 말에 왕위를 찬탈하고 황제가 되었으나 후한(後漢)의 광무제(光武帝)에 의해 멸망함.
B.C.45~A.D.23 중국>신ㅣ중국>전한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왕맹(王猛)
중국 남북조시대(南北朝時代) 전진(前秦)의 승상(丞相). 화산(華山)에 은거해 있다가 전진(前秦)의 세조(世祖) 부견(符堅)의 승상으로 일하면서 국력을 크게 중흥시킴.
325~375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왕면(王沔)
고려 후기의 종친. 문종(文宗)의 아들인 조선후(朝鮮侯) 왕도(王燾)의 증손. 글씨와 문장에 뛰어났으며 의술에도 정통했음.
?~1218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종친
-
왕문단집(王文端集)
중국 명(明) 나라의 문신인 왕가병(王家屛)의 문집.
중국>명 , 중국 , 문헌>서명
-
왕문정공필록(王文正公筆錄)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인 왕증(王曾)의 저서.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왕민(王珉)
중국 남북조시대 동진(東晉)의 문신. 상서성(尙書省) 왕순(王珣)의 동생으로, 관직이 중서령(中書令)에 이름. 왕희지(王羲之)의 족질로 행서(行書)에 뛰어남.
351~388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왕발(王勃)
중국 당(唐) 나라의 시인. 양형(楊炯)ㆍ노조린(盧照隣)ㆍ낙빈왕(駱賓王)과 함께 시문으로 명성을 떨쳐 초당사걸(初唐四傑)로 일컬어짐.
649~676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왕방(王雱)
중국 송(宋) 나라 신종(神宗) 때의 문신ㆍ학자. 왕안석(王安石)의 아들로, 신법(新法)을 추진하였으며, 신종의 조칙으로 아버지와 함께 《서경(書經)》ㆍ《시경(詩經)》ㆍ《주례(周禮)》에 대한 훈석(訓釋)을 펴냄.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왕백(王伯)
고려 충렬왕(忠烈王)~충정왕(忠定王) 때의 문신. 신라 태종무열왕(太宗武烈王)의 후손으로, 왕씨는 사성(賜姓).
1277~1350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전주ㅣ강원도>강릉 , 인명>관인>문신
-
왕백(王柏)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주희(朱熹)의 문인(門人)과 종유(從遊)하였고, 주희(朱熹)의 《경재잠(敬齋箴)》을 도식화(圖式化)함.
1197~1274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왕백언(汪伯彦)
중국 송(宋) 나라 휘종(徽宗)~고종(高宗) 때의 문신. 중서시랑(中書侍郞) 등을 지냈으나, 금군(金軍)이 남침했을 때 황잠선(黃潛善) 등과 함께 방비책을 강구하지 않고 화평을 주장하여 송 나라를 패배하게 함.
1069~1141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왕보(王甫)
중국 후한(後漢) 영제(靈帝) 때의 환관. 영제 즉위 후, 환관 조절(曹節)과 함께 진번(陳蕃)과 두무(竇武)를 살해하고 청류세력을 탄압하여 제2차 당고(黨錮)의 화(禍)를 일으킴. 발해왕(勃海王)의 모반사건을 꾸며 복주(伏誅)시키는 등 권세가 하늘을 찔렀으나, 탄핵을 받고 죽음.
?~179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관인>환관
-
왕봉(王鳳)
중국 전한(前漢)의 외척. 원제(元帝)의 비인 왕황후(王皇后)의 동생이며, 성제(成帝)의 외삼촌으로, 성제 즉위 후 정권을 장악하고 전횡함.
?~B.C.22 중국>전한 , 중국 , 인명>왕실>인척
-
왕부(王符)
중국 후한(後漢) 때의 문인. 난세(亂世)에 세속과 영합하지 않고 은거하였으며 《잠부론(潛夫論)》을 지어 당시의 득실(得失)을 논함. 마융(馬融)ㆍ두장(竇章)ㆍ장형(張衡)ㆍ최원(崔瑗) 등과 교유함.
중국>후한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왕부(王裒)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 무제(武帝) 때의 효자. 아버지인 왕의(王儀)가 사마소(司馬昭)에게 억울하게 죽은 것을 비통하게 여겨 나라에서 여러 번 불렀으나 종신토록 벼슬하지 않음.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효자
-
왕비(王伾)
중국 당(唐) 나라 덕종(德宗)~순종(順宗) 때의 문신. 순종 때 왕숙문(王叔文)ㆍ유우석(劉禹錫)ㆍ유종원(柳宗元) 등과 함께 정권을 장악하여 국정을 농단하다가 헌종(憲宗)이 즉위하자 개주 사마(開州司馬)로 좌천됨.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왕빈(王蘋)
중국 송(宋) 나라 고종(高宗) 때의 학자. 정이(程頤)의 문인(門人)으로 정이의 학통을 이음.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왕사기(王士琦)
중국 명(明) 나라 신종(神宗) 때의 문신. 사천 안찰부사(四川按察副使) 등을 지냈으며,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흠차어왜서로감군(欽差禦倭西路監軍)으로 참전하여 유정(劉綎)ㆍ진린(陳璘) 등을 지휘하면서 활약함.
1551~1618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왕사기(王士騏)
중국 명(明) 나라 신종(神宗) 때의 문신ㆍ학자. 왕세정(王世貞)의 아들로, 이부 원외랑(吏部員外郞) 등을 지내고, 《제갈량집(諸葛亮集)》ㆍ《무후전서(武侯全書)》등을 편찬함.
중국>명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왕산(王珊)
고려 후기의 종친. 신종(神宗)의 7대손이며, 공양왕(恭讓王)의 종숙(從叔)인 왕환(王環)의 아들로 순평군(順平君)에 봉해짐.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종친
-
왕산악(王山岳)
고구려 양원왕(陽原王) 때의 국상(國相). 거문고의 대가. 552년(양원왕 8)에 진(晉) 나라에서 도입한 칠현금(七絃琴)을 개조하여 100여 악곡을 지어 연주함.
한국>고구려 , 인명>예술인>음악인ㅣ인명>관인>문신
-
왕상(王祥)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효자. 병에 걸린 계모를 위해 겨울에 잉어를 구하러 연못에 나가자 얼음이 저절로 갈라지고 잉어가 뛰어올랐다는 고사가 전함.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효자
-
왕상빙리(王祥冰鯉)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왕상(王祥)이 병에 걸린 계모를 위해 한겨울에 잉어를 구하러 얼어붙은 강에 나가자 얼음이 저절로 갈라지고 잉어가 뛰어올랐다는 이야기에서 유래한 고사성어. 효심이 지극함을 뜻함.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사상>술어>고사성어
-
왕새(王璽)
중국 명(明) 나라의 문신. 1569년(조선 선조 2)에 황태자 책립조서(皇太子冊立詔書)를 전달하기 위해 조선에 사신으로 옴.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왕서(王恕)
고려 제20대 신종(神宗)의 아들. 제21대 희종(熙宗)의 아우이며, 공양왕(恭讓王)의 6대조. 희종이 폐위될 때 최충헌(崔忠獻)에 의해 교동현(喬洞縣)으로 쫒겨남.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교동ㅣ경기도>개성 , 인명>왕실>왕자
-
왕석(王奭)
고려 제34대 공양왕(恭讓王)의 맏아들. 순비 노씨(純妃盧氏)의 소생으로, 1389년(공양왕 1) 세자로 책봉되었으며, 1391년 하정사(賀正使)로 명(明) 나라에 다녀옴.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왕자
-
왕석작(王錫爵)
중국 명(明) 나라 세종(世宗)~신종(神宗) 때의 문신. 예부 상서(禮部尙書) 등을 거쳐 재상을 지냈으며, 성품이 강직하여 조정의 의론과 어긋나는 경우가 많았음.
1534~1610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왕선(王詵)
중국 북송(北宋) 때의 서화가. 시(詩)와 사(詞)를 잘 지었고 서예에 능했으며, 특히 산수화를 잘 그림. 소동파(蘇東坡)ㆍ황정견(黃庭堅)ㆍ미불(米芾) 등과 친교가 깊었음.
1048~1104 중국>송 , 중국 , 인명>예술인>서화가
-
왕선지(王仙芝)
중국 당(唐) 나라 희종(僖宗) 때의 반란지도자. 소금 밀매상인(密賣商人) 출신으로, 인민의 평등을 구호로 내걸고 장원(長垣)에서 반란을 일으켜 뒤에 합세한 황소(黃巢) 등과 함께 크게 세력을 떨치다가, 기주(蘄州)에서 증원유(曾元裕)에게 패하여 죽음.
?~878 중국>당 , 중국 , 인명>기타인명>역적
-
왕세정(王世貞)
중국 명(明) 나라 세종(世宗)~신종(神宗) 때의 문신ㆍ문인ㆍ학자. 젊을 때부터 문명이 높아 ‘후칠자(後七子)’의 한 사람으로 손꼽히고, 이반룡(李攀龍)과 함께 명대 후기 고문사파(古文辭派)의 지도자가 됨. 형부 상서(刑部尙書) 등을 지냄.
1526~1590 중국>명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왕세충(王世充)
중국 수(隨) 말~당(唐) 초의 무신. 수 양제(煬帝)의 신임을 얻어 고위직에 올랐으나 황제 양동(楊侗)을 폐위하고 스스로 정국(鄭國)을 세워 왕위에 오름. 후에 이세민(李世民)에게 패퇴하여 항복함.
?~621 중국>당ㅣ중국>수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왕소(王素)
중국 송(宋) 나라 인종(仁宗) 때의 문신. 벼슬이 지간원(知諫院)에 이르렀으며 왕에게 직간을 잘 하기로 유명함.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왕소군(王昭君)
중국 전한(前漢) 원제(元帝)의 후궁. 흉노(匈奴)와의 화친정책으로 호한야 선우(呼韓邪單于)에게 시집가 연지(閼氏)가 됨.
중국>전한 , 중국 , 인명>왕실>후궁
-
왕수(王洙)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학자. 벼슬이 시강학사(侍講學士)에 이르고 《역전(易傳)》등의 저술을 남김. 당(唐) 나라 두보(杜甫)의 시문집(詩文集) 《두공부집(杜工部集)》20권을 편찬함.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왕수(王燧)
고려 제11대 문종(文宗)의 아들. 어머니는 인경현비(仁敬賢妃) 이씨(李氏)로, 문종의 딸인 적경궁주(積慶宮主)와 혼인함. 1099년(숙종 4) 역모죄로 유배되었다가 죽음.
?~1112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왕자
-
왕수(王琇)
고려 후기의 종친. 예성부원대군(蘂城府院大君) 왕온(王昷)의 셋째 아들.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종친
-
왕수(王遂)
중국 송(宋) 나라 이종(理宗) 때의 문신. 화문각 직학사(華文閣直學士)를 지냈으며, 《주자대전속집(朱子大全續集)》을 편찬함.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왕수관(王守官)
중국 명(明) 나라 신종(神宗) 때의 무신.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요동광녕진수총병관(遼東廣寧鎭守總兵官) 양응훈(楊應勳) 소속의 구원병으로 참전함.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왕수인(王守仁)
중국 명(明) 나라의 학자ㆍ문신. 양명학(陽明學)의 창시자. 심성론(心性論)으로 동아시아 여러 나라의 철학 사상에 깊은 영향을 미침.
1472~1528 중국>명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왕숙(王淑)
고려 충렬왕(忠烈王)~충선왕(忠宣王) 때의 문신ㆍ종친. 경안궁주(慶安宮主)와 혼인하였다가 뒤에 다시 충렬왕의 딸인 정녕원비(靖寧院妃)와 재혼함. 원(元) 나라에 머물렀던 충선왕의 전지정치(傳旨政治)로 인해 국정을 대행함.
1238~1312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종친
-
왕숙(王璹)
고려 충선왕(忠宣王)~충숙왕(忠肅王) 때의 종친. 현종(顯宗)의 11대손으로, 원(元) 나라 궁정의 세력을 믿고 많은 불법을 저질렀음.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종친
-
왕숙(王肅)
중국 삼국시대 위(魏)~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학자ㆍ문신. 진(晉) 무제(武帝)의 외조부.
195~256 중국>남북조시대ㅣ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왕숙문(王叔文)
중국 당(唐) 나라 덕종(德宗)~헌종(憲宗) 때의 문신. 순종(順宗) 때 왕비(王伾)ㆍ유우석(劉禹錫)ㆍ유종원(柳宗元) 등과 함께 조정 혁신에 힘쓰고 탐관오리인 이실(李實)을 축출하였으나, 환관(宦官)의 병권을 탈취하려다 실패한 후 피살됨.
753~806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왕순(王恂)
고려 제21대 희종(熙宗)의 손자. 아버지는 경원공(慶原公) 왕조(王祚)로, 원종(元宗)의 딸 함녕궁주(咸寧宮主)과 결혼하였고, 1279년(충렬왕 5) 일본 정벌에 쓸 전함(戰艦)을 감독함.
?~1285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종친
-
왕순(王珣)@고려
고려 후기의 종친. 예성부원대군(蘂城府院大君) 왕온(王昷)의 맏아들로, 영가부원군(永嘉府院君) 권보(權溥)의 사위.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종친
-
왕순(王珣)@남북조(晉)
중국 남북조시대 동진(東晉)의 문신. 재학(才學)과 문장(文章)으로 효무제(孝武帝)의 총애를 받아 상서성(尙書省)의 고위직에 오름.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왕순(王舜)
중국 전한(前漢)~신(新) 때의 문신. 왕망(王莽)의 심복으로, 유흠(劉歆)ㆍ견풍(甄豊)과 함께 왕망의 왕위 찬탈을 도움.
중국>신ㅣ중국>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왕승(王昇)
고려 후기의 종친. 조선 건국 후 왕씨 일족이 유폐될 때, 건국의 공으로 화를 면함.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종친
-
왕승변(王僧辯)
중국 남북조시대 양(梁) 나라의 무신. 후경(侯景)의 난을 평정하고 뒤에 영녕군공(永寧郡公)에 봉해짐.
?~555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왕십붕(王十朋)
중국 송(宋) 나라 때의 시인ㆍ문신. 주희(朱熹)ㆍ왕응신(汪應辰) 등의 학자들과 교유했으며, 소동파(蘇東坡)의 시(詩)를 집주(集註)한 《집주분류동파선생시(集註分類東坡先生詩)》로 유명함.
1112~1171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왕씨담록(王氏談錄)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학자인 왕흠신(王欽臣)의 저서. 그밖의 저서에는 《광풍미집(廣諷味集)》등이 있음.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왕안국(王安國)
중국 송(宋) 신종(神宗) 때의 문신. 신법(新法)으로 개혁정책을 단행한 왕안석(王安石)의 동생으로, 예부 상서(禮部尙書)를 지냄.
1028~1074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왕안석(王安石)
중국 송(宋) 신종(神宗) 때의 문신ㆍ시인. 신종(神宗)에게 발탁되어 신법(新法)이라는 혁신 정책을 단행함. 당송팔대가(唐宋八大家) 중 한 사람으로 꼽힘.
1021~1086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왕야(王埜)
중국 송(宋) 나라 영종(寧宗) 때의 문신ㆍ학자. 예부 상서(禮部尙書)를 지냈으며, 《주자대전정집(朱子大全正集)》을 편찬함.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왕양(王陽)
중국 한(漢) 나라의 문신ㆍ효자. 익주 자사(益州刺史)가 되어 고을을 순시하던 도중 공래현(邛崍縣)의 구절판(九折坂)이라는 험한 길을 지날 때, 부모가 물려준 몸으로 녹봉을 위하여 이런 험한 길을 갈 수 없다 하고는 돌아와 벼슬을 사직한 고사가 전함.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기타인명>효자ㅣ인명>관인>문신
-
왕역행(王力行)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주희(朱熹)의 제자.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왕연(王衍)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 혜제(惠帝) 때의 문신. 승상(丞相)을 지냈으며, 후조(後趙)의 고조(高祖)인 석륵(石勒)에게 살해당함.
256~311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왕연(王𤦷)
고려 후기의 종친. 경화옹주(敬和翁主)의 아버지이며, 당성부원군(唐城府院君) 홍빈(洪彬)의 장인.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종친
-
왕열(王烈)
중국 후한(後漢)~삼국시대(三國時代) 위(魏) 나라의 문신. 진식(陳寔)에게 사사한 후 그 의행(義行)으로 벼슬하여 송사(訟事)를 잘 판결하였다고 함.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왕염(王炎)
중국 송(宋) 나라 효종(孝宗)~영종(寧宗) 때의 문신ㆍ학자. 군기소감(軍器少監) 등을 역임하였으며, 시문(詩文)에 뛰어나고 경사(經史)에 능통하여 예기(禮記)ㆍ사서(四書) 등을 주석함. 저서에 《쌍계집(雙溪集)》이 있음.
1137~1218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왕온(王昷)
고려 후기의 종친. 현종(顯宗)의 아들인 평양공(平壤公) 왕기(王基)의 10대손.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종친
-
왕온(王溫)
고려 후기의 종친. 현종(顯宗)의 8대손이며, 청화후(淸化侯) 왕경(王璟)의 아들. 삼별초(三別抄)의 배중손(裵仲孫)ㆍ노영희(盧永禧) 등에 의하여 왕으로 추대되었으나 삼별초가 패퇴하자 홍다구(洪茶丘)에게 피살됨.
?~1271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종친
-
왕온(王蘊)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문신. 효무제(孝武帝)의 황후인 효무정황후(孝武定皇后)의 아버지로, 벼슬이 오병상서(五兵尚書)에 이르고 광록대부(光祿大夫)에 봉해짐.
329~384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왕용(王用)
고려 때의 문신. 윤근수(尹根壽)의 《월정집(月汀集)》에 그의 신도비(神道碑)에 대한 토석(吐釋)이 실려 있음.
한국>고려시대 , 인명>관인>문신
-
왕우(王瑀)@공양왕의동생
고려 공양왕(恭讓王) 때의 종친. 신종(神宗)의 7대손이며 공양왕(恭讓王)의 아우. 조선 개국 후 왕씨 일족이 유폐될 때, 고려 왕조의 제사를 받들기 위해 화를 면함.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왕자
-
왕우(王瑀)@왕온의아들
고려 후기의 종친. 예성부원대군(蘂城府院大君) 왕온(王昷)의 둘째 아들.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종친
-
왕우(王遇)
중국 송 나라 효종(孝宗)~영종(寧宗) 때의 문신ㆍ학자. 주희(朱熹)의 문인으로, 요덕명(廖德明)ㆍ황간(黃榦) 등과 교유함. 우사 낭중(右司郞中) 등을 지냈으며, 저서로 《논맹강의(論孟講義)》 등을 남김.
1141~1211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왕우승집(王右丞集)
중국 당(唐) 나라의 시인ㆍ화가인 왕유(王維)의 문집. 6권. 성당(盛唐)의 대시인이었던 왕유의 시문이 수록됨.
중국>당 , 중국 , 문헌>서명
-
왕우칭(王禹偁)
중국 송(宋) 나라 태종(太宗) 때의 문신ㆍ문인. 사문(詞文)에 능했음. 강직한 성품 때문에 여러 차례 좌천되었으나, 〈삼출부(三黜賦)〉를 지어 자신의 뜻을 나타냄.
954~1001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왕원(王沅)
고려 후기의 종친. 현종(顯宗)의 아들 평양공(平壤公) 왕기(王基)의 5대손.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종친
-
왕원(王遠)
중국 한(漢) 나라 환제(桓帝) 때의 선인(仙人). 그가 채경(蔡經)의 집에 내려와 선녀 마고(麻姑)를 불러왔는데, 마고가 그를 섬긴 이래 동해가 세 번 뽕밭으로 변하는 천지의 변화가 있었다고 설명한 데서 상전벽해(桑田碧海)라는 말이 유래됨.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기타인명>도사
-
왕월(王越)
중국 명(明) 나라 대종(代宗)~효종(孝宗) 때의 문신. 병부 상서(兵部尙書) 등을 역임하였으며, 환관 왕직(汪直) 등과 결탁하여 권세를 누림. 조선 성종(成宗) 때 경복궁(景福宮) 안에서 멀리 바람에 날려온 그의 시권(詩券)을 주워 주년사(奏年使) 편에 부쳤다 함.
1423~1498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왕유(王瑜)
고려 후기의 종친. 보성군(寶城君) 왕희(王熙)의 아들. 《목은고(牧隱藁)》의 〈양주통도사석가여래사리지기(梁州通度寺釋迦如來舍利之記)〉에 그와 관련한 기록이 남아 있음.
?~1369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종친
-
왕유(王維)
중국 당(唐) 나라의 시인ㆍ화가ㆍ문신. 산수화에 능하고, 문인화(文人畫)의 시조로 추앙됨.
699~759 중국>당 , 중국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왕유종(王劉琮)
중국 삼국시대 위(魏) 나라의 문신. 아버지 왕찬(王粲)의 권유로 조조(曹操)에게 귀의하여 보좌함.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왕융(王戎)
중국 삼국시대(三國時代)~남북조시대(南北朝時代) 진(晉) 나라의 은자. 사도(司徒)의 관직을 지내다 정권교체기에 관직을 버리고 죽림칠현(竹林七賢) 중 한 사람이 됨.
233~305 중국>남북조시대ㅣ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은자
-
왕음(王愔)
고려 제11대 문종(文宗)의 아들. 어머니는 인예태후(仁睿太后) 이씨(李氏)이며, 순종(順宗)ㆍ선종(宣宗)ㆍ숙종(肅宗)ㆍ대각국사(大覺國師)의 동생.
?~1086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왕자
-
왕응신(汪應辰)
중국 송(宋) 고종(高宗)~효종(孝宗) 때의 문신ㆍ학자. 이부 상서(吏部尙書)를 거쳐 단명전 학사(端明殿學士)를 역임함. 주자(朱子)가 선인(善人)의 종주라고 칭함.
1118~1176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왕의(王義)
고려 공민왕(恭愍王)의 장인. 익비한씨(益妃韓氏)의 아버지.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인척
-
왕이(王廙)
중국 남북조시대(南北朝時代) 진(晉) 나라의 서화가. 시문(詩文)ㆍ서화(書畵)ㆍ음악(音樂)ㆍ박혁(博奕)을 잘하기로 유명했음.
273~322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문사>문인
-
왕자(王滋)
고려 제25대 충렬왕(忠烈王)의 아들. 어머니는 정화궁주(貞和宮主)이며, 충선왕(忠宣王)의 이복형. 1279년(충렬왕 5) 세자를 피하여 충청도 동심사(東深寺)에서 4년간 은거하기도 함.
?~1308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아산ㅣ경기도>개성 , 인명>왕실>왕자
-
왕자교(王子喬)
중국 주(周) 나라 영왕(靈王)의 태자. 이름은 진(晉)으로, 직간(直諫)을 하다가 폐세자(廢世子)가 되어 구씨산(緱氏山)에 들어가 신선(神仙)이 되었다 함.
중국>주 , 중국 , 인명>왕실>왕자
-
왕자대(王子帶)
중국 주(周) 나라의 왕자. 양왕(襄王)의 숙부로, 양왕이 즉위하자 북적(北狄)을 이용해 찬탈하려 하였으나 실패하고 진(晉) 문공(文公)에게 죽임을 당함.
중국>주 , 중국 , 인명>왕실>왕자
-
왕자조(王子朝)
중국 주(周) 나라의 왕자. 제24대 경왕(景王)의 서자(庶子)로, 경왕이 죽은 후 개(匄)와 왕위를 다투고 국인(國人)들이 세운 경왕의 장자인 도왕(悼王)을 죽였으나, 진(晉) 나라가 개를 옹립하여 경왕(敬王)으로 삼자 초(楚) 나라로 도망감.
?~B.C.505 중국>주 , 중국 , 인명>왕실>왕자
-
왕자첩(王子捷)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 선공(宣公) 때의 무인. 경대부 왕손소(王孫蘇)의 부하로서, 당시 왕손소와 정치적으로 대립하고 있는 소백(召伯)과 모백(毛伯)을 죽임.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왕자호(王子虎)
중국 주(周) 나라 장왕(莊王)의 아들이며, 양왕(襄王)의 숙부. 제(齊) 나라 환공(桓公)이 태자 정(鄭)을 양왕으로 세우는데 밀사로 파견되었고, 후에 그 가족이 왕숙씨(王叔氏)로 봉해짐.
?~B.C.624 중국>주 , 중국 , 인명>왕실>왕자
-
왕장(汪張)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주희(朱熹)의 문인으로 《주자대전(朱子大全)》에 주희와 주고받은 서찰의 내용이 실려 있음.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왕저(王著)
중국 오대십국 후주(後周)~송(宋) 태종(太宗) 때의 문신. 송 태종(太宗) 때 한림 시서(翰林侍書)ㆍ전중시어사(殿中侍御史)ㆍ태상경(太常卿) 등을 역임함.
?~990 중국>송ㅣ중국>오대십국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왕적(王績)
중국 수(隋)~당(唐) 나라의 시인ㆍ문신. 문중자(文中子) 왕통(王通)의 동생. 비서성 정자(秘書省正字)ㆍ문하성 대조(門下省待詔) 등을 지낸 후 관직을 그만두고 노장(老莊)에 심취함.
585~644 중국>당ㅣ중국>수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왕적(王適)
중국 당(唐) 나라 헌종(憲宗) 때의 문신. 대리평사(大理評事) 등을 지냈으나, 한유(韓愈)가 지은 그의 묘명(墓銘)에 후고(侯高)를 속이고 그의 딸과 혼인한 일이 실려 있어 세인(世人)들의 조롱을 받음.
770~814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