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용강(龍岡)
평안도 남부에 있는 고을 이름. 명승지로 황룡산성(黃龍山城)ㆍ기자전(箕子殿)ㆍ오산서원(鰲山書院) 등이 있음.
평안도>용강 , 지명>행정지명
-
용개(龍蓋)
통일신라 때 후백제(後百濟)의 무신. 아자개(阿慈介)의 셋째 아들로 견훤(甄萱)의 동생.
한국>통일신라 , 인명>관인>무신
-
용계서원(龍溪書院)@안동
조선 후기에 경상도 안동(安東)에 건립한 서원.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인 김언기(金彦璣)ㆍ권대기(權大器)를 배향함.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유적>건물>서원,향교
-
용계서원(龍溪書院)@태인
조선 숙종(肅宗) 때 전라도 태인(泰仁)에 건립한 서원. 1701년(숙종 27)에 최서림(崔瑞琳)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고, 김만정(金萬挺)ㆍ은정화(殷鼎和)ㆍ김습(金習)ㆍ한백유(韓伯愈) 등을 추가 배향함.
1701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태인 , 유적>건물>서원,향교
-
용궁(龍宮)
경상도 예천(醴泉)과 상주(尙州) 사이에 있던 고을 이름. 명승지로 수월루(水月樓)ㆍ백화사(白華寺)가 있음. 후에 예천에 병합됨.
경상도>용궁 , 지명>행정지명
-
용담유사(龍潭遺詞)
조선 후기에 동학(東學)의 제1대 교조인 최제우(崔濟愚)가 지은 포교 가사집(布敎歌辭集). 동학의 기본 경전으로, 1881년(고종 18) 최시형(崔時亨)에 의하여 한글본으로 간행됨. 〈용담가(龍潭歌)〉와 〈안심가(安心歌)〉 등 9편으로 구성됨.
1881 한국>근대 , 충청도>단양 , 문헌>서명
-
용담집(龍潭集)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인 박이장(朴而章)의 시문집. 7권 3책. 활자본. 8대손 박규환(朴奎煥)이 간행을 도모하였으며, 1911년 9대손 박인현(朴寅鉉)ㆍ박윤현(朴允鉉) 등이 간행함.
1911 한국>근대 , 문헌>서명
-
용도각(龍圖閣)
중국 송(宋) 나라 태종(太宗) 때 설치한 왕실 도서관. 황제의 문집ㆍ도화(圖畵)ㆍ세보(世譜) 등을 보관하였고, 유학사(有學士)ㆍ직학사(直學士)ㆍ대제(待制)ㆍ직각(直閣) 등의 관리를 둠.
중국>송 , 중국 , 법제>관청
-
용만문견록(龍灣聞見錄)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인 정탁(鄭琢)의 저서. 1책. 필사본.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의주(義州)에서 명(明) 나라와 교섭한 내용을 정리함.
1593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용문산문답(龍門山問答)
조선 영조(英祖) 때의 학자인 남기제(南紀濟)가 지은 《아아록(我我錄)》에 실려 있는 작품. 노론ㆍ소론ㆍ남인ㆍ북인의 네 당파를 대표하는 인물들이 경기도 양평(楊平)의 용문산(龍門山) 설암(雪庵)에서 토론하는 형식으로 당쟁의 전말을 서술함.
1849 한국>조선후기 , 서울 , 문헌>작품명
-
용문서원(龍門書院)@안음
조선 선조(宣祖) 때 경상도 안음(安陰)에 건립한 서원. 1662년(현종 3)에 사액되었으며, 정여창(鄭汝昌)ㆍ임훈(林薰)ㆍ임운(林芸)ㆍ정온(鄭蘊) 등을 배향함.
158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음 , 유적>건물>서원,향교
-
용문서원(龍門書院)@지평
조선 효종(孝宗) 때 경기도 지평(砥平)에 건립한 서원. 1714년(숙종 40)에 사액되었으며, 조욱(趙昱)ㆍ조성(趙晟)ㆍ신변(申抃)ㆍ조형생(趙亨生)ㆍ조문형(趙門衡) 등을 배향함. 현재 경기도 양평군(楊平郡)에 속함.
1654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지평 , 유적>건물>서원,향교
-
용문자(龍門子)
중국 명(明) 나라 태조(太祖) 때의 문신ㆍ학자인 송렴(宋濂)의 저서.
중국>명 , 중국 , 문헌>서명
-
용문집(龍門集)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ㆍ학자인 조욱(趙昱)의 시문집(詩文集). 6권 3책. 활자본.
1779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용비어천가(龍飛御天歌)
조선 세종(世宗) 때 정인지(鄭麟趾) 등이 왕명으로 지은 악장(樂章) 이름. 건국의 시조와 왕조의 창건을 송영(頌詠)한 장편 서사시로, 우리나라 최초의 한글 작품.
1447 한국>조선전기 , 서울 , 문헌>작품명
-
용사일기(龍蛇日記)
조선 선조(宣祖) 때 임진왜란 당시 경상우도(慶尙右道) 초유사(招諭使) 김성일(金誠一)의 막료였던 이로(李魯)의 일록(日錄). 1책. 활자본. 1762년(영조 38) 간행됨. 김성일의 활약을 중심으로 기술하였으며, 서명서(徐命瑞)의 서문과 이상정(李象靖)의 발문이 실려 있음.
1762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용산(龍山)
중국 원(元) 나라에 유학온 일본 승려. 중봉 명본(中峰明本) 선사의 제자로, 중국 강남의 도솔사(兜率寺)의 주지로 있었고, 일본에서 중국으로 유학온 승려 윤중암(允中菴)의 스승이었음.
중국>원 , 중국 , 인명>종교인>승려
-
용산서원(龍山書院)
조선 선조(宣祖) 때 전라도 보성(寶城)에 건립한 서원. 1707년(숙종 33)에 사액되었으며, 박광전(朴光前)을 배향함. 1868년(고종 5) 흥선대원군(興宣大院君)의 서원 철폐령으로 훼철되었다가 복원됨.
1607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보성 , 유적>건물>서원,향교
-
용수(龍樹)
인도 대승불교의 승려ㆍ학자. 인도 대승불교사상(大乘佛敎思想)의 기초를 확립하고, 공사상(空思想)을 전개하여 중관학파(中觀學派)로 불림. 저서로 《중론(中論)》등이 있음.
150?~250? 기타지역 , 인명>종교인>승려ㅣ인명>문사>학자
-
용수사(龍壽寺)
경상도 안동(安東)의 용두산(龍頭山)에 있는 사찰. 고려 의종(毅宗) 때 세워졌으며, 이황(李滉)과 이현보(李賢輔) 등이 학문을 탐구하고 강학하던 곳.
1146 한국>고려전기 , 경상도>안동 , 유적>건물>사찰
-
용수산(龍壽山)
경상도 예안(禮安)에 있던 산 이름.
경상도>예안 , 지명>자연지명
-
용술(龍述)
중국 후한(後漢)의 문신. 마원(馬援)이 조카들에게 용백고(龍伯高)를 본받으라고 할 정도로 청렴ㆍ근검했음. 광무제(光武帝)가 마원의 글을 보고 용백고를 영릉 태수(零陵太守)로 삼았음.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용안(龍安)
전라도 북서부에 있던 고을 이름. 조선 초기에는 이곳 금두포(金頭浦)에 득성창(得成倉)이 설치되어 조운(漕運)의 요충지 역할을 함. 현재 전라북도 익산시(益山市)에 속함.
전라도>용안 , 지명>행정지명
-
용암사(龍巖寺)
경기도 개성(開城)의 남산(南山)에 있던 절 이름. 1388년(우왕 14)에 이성계(李成桂)가 이 절의 북쪽 고개를 점거하고서 최영(崔瑩)을 압박함.
경기도>개성 , 유적>건물>사찰
-
용암서원(龍巖書院)@운봉
조선 숙종(肅宗) 때 전라도 운봉(雲峰) 황산(荒山)에 건립한 서원. 박광옥(朴光玉)ㆍ변사정(邊士貞)ㆍ노형필(盧亨弼)ㆍ정몽주(鄭夢周)ㆍ황일호(黃一皓)ㆍ서식(徐湜) 등을 배향함. 1868년(고종 5) 흥선대원군(興宣大院君)의 서원 철폐령으로 훼철된 뒤 복원되지 못함.
1695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운봉 , 유적>건물>서원,향교
-
용암서원(龍巖書院)@삼가
조선 선조(宣祖) 때 경상도 삼가(三嘉)에 건립된 서원. 1603년(선조 36)에 창건되고 1609년(광해군 1)에 사액되었으며, 조식(曺植)을 배향함. 현재 경상남도 합천(陜川)에 속함.
1603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삼가 , 유적>건물>서원,향교
-
용암집(龍巖集)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학자인 박운(朴雲)의 시문집. 4권 2책. 목판본. 1778년(정조 2) 정간(鄭幹)에 의해 간행됨. 정간과 이상정(李象靖)의 발문이 실려 있음.
1778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용연서원(龍淵書院)
조선 숙종(肅宗) 때 경기도 포천(抱川)에 건립한 서원. 1692년(숙종 18) 사액되었으며, 이덕형(李德馨)ㆍ조경(趙絅)을 배향함.
1691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포천 , 유적>건물>서원,향교
-
용인(龍仁)
경기도 중남부에 있는 고을 이름. 예로부터 풍수지리상 명당(明堂)이 많은 곳으로 일컬어졌으며, 지금의 용인은 옛 용인ㆍ양지(陽智)ㆍ죽산(竹山)의 일부가 합해 이루어짐.
경기도>용인 , 지명>행정지명
-
용인이씨(龍仁李氏)
신라 말 고려 건국에 공을 세우고, 고려 왕실의 부마(駙馬)가 되어 구성백(駒城伯)에 봉해진 이길권(李吉卷)을 시조로 하는 성씨.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용인 , 인명>집단>성씨
-
용재유고(慵齋遺稿)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ㆍ학자인 이종준(李宗準)의 시문집. 1책. 목판본. 1824년(순조 24) 후손 이창욱(李昌郁)이 편집하고, 권사협(權思浹)과 이순빈(李淳賓)이 교정하여 간행함.
1824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용재집(容齋集)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인 이행(李荇)의 시문집. 7책. 활자본. 1586년(선조 19) 손자 이광(李洸)이 함경도 관찰사(咸鏡道觀察使)로 있을 때 간행함. 권두에 주세붕(周世鵬)의 행장(行狀)과 권말에 이안눌(李安訥)의 중간 발문이 실려 있음.
1586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용재총화(慵齋叢話)
조선 전기의 문신ㆍ학자인 성현(成俔)의 잡록류(雜錄類)에 속하는 수필집(隨筆集). 조선시대 수필문학(隨筆文學)의 백미(白眉)로 일컬어짐. 3권 3책,
152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문헌>서명
-
용주유고(龍洲遺稿)
조선 광해군(光海君)~현종(顯宗) 때의 문신인 조경(趙絅)의 시문집. 목판본. 23권 9책. 1674년(숙종 1) 아들 조위봉(趙威鳳)이 교정 편차하고, 1703년(숙종 29) 손자 조구원(趙九畹)이 순천(順天)에서 간행함.
1703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순천 , 문헌>서명
-
용지하(龍池河)
중국 계주(薊州)의 주성(州城) 남쪽에 있는 하천 이름. 노가령(蘆家嶺)의 어귀 사려하(舍黎河)에서 발원하여 옥전(玉田)을 거쳐 백룡항(白龍港)으로 흘러들어감.
중국 , 지명>자연지명
-
용진서원(龍津書院)
조선 숙종(肅宗) 때 함경도 덕원(德源)에 건립한 서원. 1696년(숙종 22) 사액되었으며, 송시열(宋時烈)ㆍ민정중(閔鼎重)을 배향함. 1871년(고종 8) 흥선대원군(興宣大院君)의 서원 철폐령으로 훼철됨.
1695 한국>조선후기 , 함경도>덕원 , 유적>건물>서원,향교
-
용천(龍泉)
황해도 서흥(瑞興) 남쪽 22리 지점에 있는 여울 이름. 산기슭에서 물이 솟아 나와 시내를 이룬 곳으로, 이곳에서 기생과 이별하는 모습을 읊은 어떤 사람의 시구(詩句)를 인용하여 서거정(徐居正)이 ‘오열탄(嗚咽灘)’이라 개명함.
황해도>서흥 , 지명>자연지명
-
용천검(龍泉劍)
중국 춘추전국시대 초(楚) 나라의 명검(名劍). 구야자(歐冶子)와 간장(干將)이 함께 만든 세 자루 가운데 하나로,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뇌환(雷煥)이 예장(豫章)의 풍성(豊城) 땅속에서 얻었다는 고사가 전함. 원래는 용연검(龍淵劍)으로 불렸으나 당(唐) 나라 고조의 휘(諱)인 ‘연(淵)’을 피하여 용천(龍泉)이라 하였음.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물품>기타용품>무기
-
용천관(龍川館)
황해도 서흥도호부(瑞興都護府) 용천역(龍泉驛) 곁에 있는 관원(館院). 광해군(光海君) 때 평안도 병마평사(平安道兵馬評事)인 송방조(宋邦祚)가 이곳에서 중국 명(明) 나라에 들어가는 보빙사(報聘使)의 짐을 검색하던 중 급사함.
한국>조선시대 , 황해도>서흥 , 유적>건물>관사
-
용천담적기(龍泉談寂記)
조선 중종(中宗) 때 김안로(金安老)가 경기도 용천(龍泉)에서 유배 생활을 하면서 적막함을 달래기 위해 지은 일종의 필기류(筆記類).
1525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풍덕 , 문헌>작품명
-
용천문집(龍川文集)
중국 송(宋) 나라 효종(孝宗) 때의 학자인 진량(陳亮)의 저서.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용추동(龍湫洞)
경상도 문경(聞慶)에 있던 마을 이름. 김안국(金安國)이 신연(申淵)과 이곳에서 술을 마시며 즐겼던 일을 회상하는 내용이 《모재집(慕齋集)》에 실려 있음.
경상도>문경 , 지명>자연지명
-
용풍(鄘風)
《시경(詩經)》의 15개 국풍(國風) 중의 하나. 총 10편(篇) 30장(章)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모두 서주(西周) 때의 시가(詩歌)임.
중국>주 , 중국 , 문헌>편명
-
용학강록(庸學講錄)
중국 송(宋) 나라 효종(孝宗) 때의 문신ㆍ학자인 진공석(陳孔碩)의 저서.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용학보의(庸學補疑)
조선 고종(高宗)~근대의 문신ㆍ순국지사인 송병순(宋秉珣)이 《중용(中庸)》과 《대학(大學)》에 대한 해의(解疑)의 자료로 엮은 책. 2권 2책. 목활자본. 1897년 문인들에 의해 간행됨. 송병선(宋秉璿)의 서문, 편자와 박제응(朴齊應)의 발문이 실려 있음.
1897 한국>근대 , 문헌>서명
-
용학석의(庸學釋義)
조선 명종(明宗) 때 안위(安瑋)와 문명개(文命凱)가 이황(李滉)의 확정되지 않은 《대학(大學)》ㆍ《중용(中庸)》에 대한 학설을 모아 간행한 책. 이황의 큰 반발을 샀음.
1567 한국>조선전기 , 평안도>중화 , 문헌>서명
-
용학십이도(庸學十二圖)
중국 남송(南宋) 때의 학자인 요로(饒魯)의 저서.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용헌고(慵軒稿)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인 황사우(黃士祐)의 시문집. 목판본. 《회산세고(檜山世稿)》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시대 , 문헌>서명
-
용헌집(容軒集)
고려 우왕(禑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인 이원(李原)의 시문집. 1476년(성종 7) 손자 이륙(李陸)에 의해 《철성연방집(鐵城聯芳集)》에 편입시켜 간행되었으며, 1957년 후손 이우기(李宇基)ㆍ이정태(李庭泰) 등에 의해 중간됨.
147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대구 , 문헌>서명
-
용호집(龍湖集)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유학인 박문영(朴文楧)의 시문집. 2책. 목활자본. 1862년(철종 13) 9세손 박경기(朴慶基)에 의해 간행되었으며, 조병덕(趙秉悳)의 서문과 박경기의 발문이 실려 있음.
1862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용화산(龍華山)
전라도 익산(益山)의 북쪽 8리 지점에 있는 산 이름. 남쪽 기슭에 미륵사(彌勒寺)가 있어 ‘미륵산(彌勒山)’으로도 불림. 현재 전라북도 익산시(益山市) 금마면(金馬面)에 속함.
전라도>익산 , 지명>자연지명
-
용흥강(龍興江)
함경도 동부를 거쳐 동해 송전만(松田灣)으로 흘러드는 강 이름.
함경도>영흥 , 지명>자연지명
-
우(禹)
중국 최초의 국가를 세운 하(夏) 나라의 왕. 순(舜) 임금의 왕위를 계승하여 8년간 재위 중에 하 왕조의 기초를 세우고, 수토(水土)를 잘 다스렸으나 과로로 죽음.
중국>하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우^여(牛^女)
한국ㆍ중국ㆍ일본에 전래되는 견우직녀(牽牛織女) 설화의 주인공인 견우와 직녀를 함께 부르는 말.
고대 , 사상>술어>관용어
-
우^율(牛^栗)
조선 선조(宣祖) 때의 성리학자인 문간공(文簡公) 우계(牛溪) 성혼(成渾)과 문성공(文成公) 율곡(栗谷) 이이(李珥)를 함께 부르는 말.
한국>조선후기ㅣ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ㅣ강원도>강릉ㅣ서울 , 사상>술어>관용어
-
우^이(牛^李)
중국 당(唐) 나라 목종(穆宗)~무종(武宗) 때의 문신인 우승유(牛僧孺)와 이종민(李宗閔)을 함께 부르는 말. 우이당쟁(牛李黨爭)을 벌인 '우당(牛黨)'의 대표적인 인물들을 가리킴.
중국>당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우^직(禹^稷)
중국 최초의 국가를 세운 하(夏) 나라 왕인 우(禹)와, 주(周) 왕조의 전설적 시조(始祖)인 후직(后稷)을 함께 부르는 말. 순(舜) 임금의 어진 신하를 가리킴.
중국>하ㅣ고대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우^직^설(禹^稷^卨)
중국 고대 하(夏) 나라를 세운 우(禹)와 농관(農官)인 후직(后稷), 사도(司徒)인 설(契)을 함께 부르는 말. 순(舜) 임금의 어진 신하를 가리킴.
중국>하ㅣ고대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우^창(禑^昌)
고려 제32대 우왕(禑王)과 제33대 창왕(昌王)을 함께 부르는 말. 조선 태조(太祖) 이성계(李成桂)에 의해 폐위된 사람을 가리킴.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사상>술어>관용어
-
우가장(牛家庄)
중국 요동(遼東)에 있던 역참(驛站). 조선시대에 북경(北京)을 왕래할 때 경유하던 요동과 산해관(山海關) 사이의 16개 역참 중의 하나로, 해주위(海州衛)와 사령(沙嶺) 사이에 있었음.
중국 , 지명>행정지명
-
우강집(盱江集)
중국 송(宋) 나라 인종(仁宗) 때의 문신ㆍ학자인 이구(李覯)의 문집. 37권. 저자가 일생 동안 지은 글을 모아 엮은 책으로 경학(經學)과 관련된 내용이 대부분이며, 원(元) 나라 때 판각됨.
중국>원 , 중국 , 문헌>서명
-
우겸(于謙)
중국 명(明) 나라 성조(成祖)~대종(代宗) 때의 문신. 영종(英宗)이 토목(土木)의 변(變)으로 포로가 되자 영종의 아우 대종(代宗)을 옹립하고 수도를 사수하였으며, 다시 돌아온 영종이 복위에 성공한 후 피살됨.
1398~1457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우계(愚溪)
중국 호남성(湖南省) 영주(永州)에 있는 시내 이름. 원래 이름은 ‘염계(冉溪)’인데, 당(唐) 나라 때 유종원(柳宗元)이 영주로 유배되었을 적에 ‘우계’로 개명(改名)하여 자신의 불우한 처지를 나타냄.
중국 , 지명>자연지명
-
우계(羽溪)
강원도 강릉(江陵) 남쪽 60리 지점에 있던 고을 이름. 통일신라 경덕왕(景德王) 때 삼척(三陟)에 속하였다가 고려 현종(顯宗) 때 강릉의 속현이 되었으며, 현재 강릉시 옥계면(玉溪面) 일대에 속함.
강원도>강릉 , 지명>행정지명
-
우계집(牛溪集)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인 성혼(成渾)의 시문집. 14권 8책. 목판본. 원집(原集)은 1621년(광해군 13)에 간행되고, 속집(續集)은 1682년(숙종 8)에 간행됨.
1621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임실 , 문헌>서명
-
우계집(雨溪集)
조선 영조(英祖) 때의 학자인 김명석(金命錫)의 시문집. 4권 2책. 필사본. 김회운(金會運)이 쓴 행장으로 볼 때 1830년대에 증손 김엽운(金曄運)이 편집한 것으로 추정됨.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우곡서원(愚谷書院)
조선 숙종(肅宗) 때 경상도 풍기(豊基)에 건립한 서원. 유운룡(柳雲龍)ㆍ이준(李埈)ㆍ황섬(黃暹)ㆍ황준량(黃俊良) 등을 배향함.
1708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풍기 , 유적>건물>서원,향교
-
우공(于公)
중국 전한(前漢) 때의 문신. 옥송(獄訟)을 공평히 처리하면서 그 음덕으로 가문을 크게 일으킬 자손이 나올 것을 예측하고 집 대문을 크게 만들었는데, 아들 우정국(于定國)이 승상(丞相), 손자 우영(于永)이 어사대부(御史大夫)가 되었다는 고사가 전함.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우공(愚公)
중국 고대 전설상의 인물. 나이 90에 자기가 살던 북산(北山)을 가로막고 있는 태항산(太行山)과 왕옥산(王屋山)을 옮기기로 맹세하고 흙을 퍼 나르자 천제(天帝)가 감동하여 두 산을 옮겨 주었다 함.
고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우공(禹貢)
조선 세종(世宗)~ 성종(成宗) 때의 무신. 본관은 단양(丹陽)으로 우선언(禹善言)의 아버지. 세조(世祖) 때 모련위(毛憐衛)의 야인(野人)을 토벌하고, 이시애(李施愛)의 난을 평정하여 적개공신(敵愾功臣)이 되었으며, 단성군(丹城君)으로 봉해짐.
1415~1473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단양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우공로(禹恭老)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단양(丹陽). 증 병조 판서(贈兵曹判書) 우승경(禹承瓊)의 아들이며, 동래 현령(東萊縣令) 우종손(禹從孫)의 아버지로, 병조 참판(兵曹參判)에 추증됨.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단양 , 인명>문사>유학
-
우공이산(愚公移山)
꾸준히 노력하면 큰일을 이룰 수 있음을 비유한 말. 전설에, 북산(北山)의 우공(愚公)이 집 앞을 가로막은 태항산(太行山)과 왕옥산(王屋山)을 옮기기로 맹세하고 흙을 퍼 나르자, 천제(天帝)가 과아씨(夸蛾氏)의 두 아들을 시켜 산을 옮겨 주었다 함.
고대 , 중국 , 사상>술어>고사성어
-
우공지역도(禹貢地域圖)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문신ㆍ학자인 배수(裵秀)의 저서. 지도 제작상의 6가지 기본원칙을 제창하여 중국 제도학(製圖學)의 이론적 근거를 마련함. 명(明) 나라 말기 유럽 제도법이 도입될 때까지 중국 지도제작의 규범이 됨.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문헌>서명
-
우관(禹瓘)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십성당(十省堂) 엄흔(嚴昕) 등과 죽마계(竹馬契)를 만들어 서로 숙식을 함께 하며 교유했던 일이 《십성당집(十省堂集)》에 실려 있음.
1506~?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우국재집(友菊齋集)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ㆍ문인인 홍경손(洪敬孫)의 시문집. 4권 1책. 목활자본. 1729년(영조 5) 12세손 홍병모(洪秉模)에 의해 편집ㆍ간행됨.
1729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우금산성(禹金山城)
삼국시대 전라북도 부안(扶安)에 축조한 산성. 복신(福信) 등의 백제부흥군이 나당연합군(羅唐聯合軍)의 김유신(金庾信)ㆍ소정방(蘇定方)에 맞서 싸우다가 패배한 곳으로, 백제 최후의 항거 거점이 됨.
한국>백제 , 전라도>부안 , 유적>시설>성,진,책
-
우길생(禹吉生)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단양(丹陽). 단양백(丹陽伯) 우현보(禹玄寶)의 아버지로, 문하시중(門下侍中) 등을 지냄. 1362년(공민왕 10) 홍건적(紅巾賊)이 침입했을 때 공을 세워 공신에 책록되고, 적성군(赤城君)에 봉해짐.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단양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우두선(牛頭禪)
중국 선종(禪宗)의 하나. 당(唐) 나라 우두(牛頭)가 창시한 선풍(禪風)으로, 삼론학적(三論學的) 요소가 강함.
중국>당 , 중국 , 사상>이론>교리
-
우득록(愚得錄)
조선 선조(宣祖) 때의 학자인 정개청(鄭介淸)의 문집. 3권. 목판본. 제자인 나덕만(羅德峻)의 후손들이 편찬하고, 저자의 외손인 윤세태(尹世泰)와 고윤(高玧) 등이 주관하여 간행함.
1692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문헌>서명
-
우륵(于勒)
가야 가실왕(嘉實王)~신라 진흥왕(眞興王) 때의 악사(樂師). 하가야(下伽倻)ㆍ상가야(上伽倻) 등 십이곡(十二曲)을 지은 가야금의 명인. 우리나라 3대 악성(樂聖) 중의 한 사람으로 추앙됨.
한국>가야ㅣ한국>신라 , 충청도>충주 , 인명>예술인>음악인
-
우륵십이곡(于勒十二曲)
대가야의 악사 우륵(于勒)이 지은 12현금(絃琴)의 12가지 연주곡. 곡명은 대부분 당시의 군ㆍ현 이름에서 따온 것으로, 〈상가라도(上加羅都)〉ㆍ〈하가라도(下加羅都)〉ㆍ〈보기(寶伎)〉ㆍ〈달기(達己)〉ㆍ〈사물(思勿)〉ㆍ〈물혜(勿慧)〉ㆍ〈상기물(上奇勿)〉ㆍ〈하기물(下奇勿)〉ㆍ〈사자기(獅子伎)〉ㆍ〈거열(居烈)〉ㆍ〈사팔혜(沙八兮)〉ㆍ〈이사(爾赦)〉 등임.
한국>가야 , 기타>가무
-
우맹선(禹孟善)
조선 연산군(燕山君)~명종(明宗) 때의 무신. 본관은 단양(丹陽). 동래 현령(東萊縣令) 우종손(禹從孫)의 아들로, 1501년(연산군 7) 무과(武科)에 급제하여 지훈련원사(知訓鍊院事)를 지냄. 1545년(명종 1) 위사원종공신(衛社原從功臣)에 책록됨.
1475~1551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단양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우무(尤袤)
중국 송(宋) 나라의 시인ㆍ문신. 태상소경(太常少卿) 등의 벼슬을 역임했고, 범성대(范成大)ㆍ육유(陸游)ㆍ양만리(楊萬里) 등과 남송사가(南宋四家)라 칭송됨.
1127~1202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우문호(宇文護)
중국 남북조시대 북주(北周)의 문신ㆍ종친. 서위(西魏)의 공제(恭帝)ㆍ북주의 민제(閔帝)와 명제(明帝)를 죽이면서 조정의 대권을 계속 장악하다가, 무제(武帝)에 의해 살해됨.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종친
-
우미인(虞美人)
중국 진(秦) 나라 말기에 활약한 항우(項羽)의 총희(寵姬). 항우가 유방(劉邦)의 군사에 의해 사면초가(四面楚歌)에 놓이자 항우의 노래에 화답하면서 자결함.
?~B.C.202 중국>진 , 중국 , 인명>왕실>후궁
-
우미인초(虞美人草)
중국 송(宋) 나라 증공(曾鞏)이 우미인(虞美人)의 사적을 소재로 지은 시. 진(秦) 나라 말기 항우(項羽)가 한(漢) 나라 유방(劉邦)에게 패하여 죽을 때, 그의 총희(寵姬)인 우미인이 자결하였는데, 그 무덤 위에 개양귀비가 피어났다는 고사가 있음.
중국>송 , 중국 , 문헌>작품명
-
우바새(優婆塞)
출가(出家)하지 않고 세속인으로서 불법(佛法)을 믿고 따르는 남자 신도를 이르는 말. 불교의 사부대중(四部大衆)의 하나.
사상>술어>핵심어
-
우바이(優婆夷)
출가(出家)하지 않고 세속인으로서 불법(佛法)을 믿고 따르는 여자 신도를 이르는 말. 불교의 사부대중(四部大衆)의 하나.
사상>술어>핵심어
-
우번(虞翻)
중국 삼국시대(三國時代) 오(吳) 나라의 문신ㆍ학자. 기도위(騎都尉)로 있으면서 손권(孫權)의 잘못을 거리낌없이 간하다 단양(丹陽) 경현(涇縣)으로 귀양간 뒤에 다시 교주(交州)로 귀양가 죽었음. 역리(易理)에 정통했음.
146~233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우복룡(禹伏龍)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단양(丹陽). 민순(閔純)의 문인으로, 임진왜란 때 용궁 현감(龍宮縣監)으로서 고을을 사수한 뒤 안동 부사(安東府使)로 승진하였으며, 홍주 목사(洪州牧使) 시절에 선정을 베풀어 선조의 신임을 얻음.
1547~1613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단양 , 인명>관인>문신
-
우복집(愚伏集)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ㆍ학자인 정경세(鄭經世)의 시문집. 20권 10책. 목판본. 사위 송준길(宋浚吉)과 후손 정도응(鄭道應)의 주관 하에 정리 편차하여, 1657년(효종 8) 상주(尙州) 도남서원(道南書院)에서 간행함.
1657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상주 , 문헌>서명
-
우봉(牛峯)
황해도 남동쪽에 있던 옛 고을 이름. 1651년(효종 2)에 강음(江陰)과 병합하여 금천(金川)으로 개명함. 현재 황해북도 금천군(金川郡)에 속함.
황해도>우봉 , 지명>행정지명
-
조사연(趙師淵)
중국 송(宋) 효종(孝宗)~영종(寧宗) 때의 학자ㆍ문신. 송 왕조의 종실(宗室)로, 조사하(趙師夏)의 형. 주희(朱熹)의 문인(門人)으로 《자치통감강목(資治通鑑綱目)》 편찬에 참여하였음.
1150?~1210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조사하(趙師夏)
중국 송(宋) 나라 광종(光宗)~영종(寧宗) 때의 학자ㆍ문신. 주희(朱熹)의 문인(門人)이자 손서(孫壻)로, 주희의 예서(禮書) 편찬을 도움.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조상(曹爽)
중국 삼국시대 위(魏) 나라 명제(明帝)~제왕(齊王) 때의 문신. 하후현(夏侯玄)의 외사촌 형으로, 시중(侍中) 등을 지냄. 명제의 유자(幼子) 제왕(齊王) 방(芳)을 애써 보호하다가, 사마의(司馬懿)에게 복주됨.
?~249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조상검(曺尙儉)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창녕(昌寧)으로, 동래 부사(東萊府使) 조희(曺禧)의 아들.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문사>유학
-
조상관(趙相觀)
조선 영조(英祖) 때의 문신. 1763년(영조 39)에 통신사(通信士)로 일본에 갔을 때 일본의 태학사(太學士) 도국흥(陶國興)이 김성일(金誠一)의 후손에게 보내는 편지를 받아옴.
한국>조선후기 , 인명>관인>문신
-
조상우(趙相禹)
조선 인조(仁祖)~효종(孝宗) 때의 문인. 본관은 양주(楊州). 김장생(金長生)의 문인(門人)으로 참판(參判)에 증직되고, 온양(溫陽)에 있는 정퇴서원(靜退書院)에 배향됨.
1582~1657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양주 , 인명>문사>문인
-
조상치(曺尙治)
조선 중종(中宗)~단종(端宗) 때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 학자 조한보(曺漢輔)의 할아버지로, 길재(吉再)ㆍ이안유(李安柔)의 문인. 집현전 부제학(集賢殿副提學) 등을 지냈으며, 세조(世祖)가 왕위를 찬탈하자 사직하고 은거하면서 후학을 양성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문신
-
조서(曺湑)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창녕(昌寧). 의릉 참봉(義陵參奉)을 지낸 조은손(曺銀孫)의 아들로, 문신인 송사침(宋士琛)ㆍ노수신(盧守愼)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문사>유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