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조서(趙瑞)
고려 충렬왕(忠烈王)~충선왕(忠宣王) 때의 문신. 조인규(趙仁規)의 아들. 천추사(千秋使)가 되어 원(元) 나라에 파견되었을 때 안길왕(安吉王) 야아길니(也兒吉尼)에게 딸을 혼인시킴.
?~1313 한국>고려후기 , 평안도>평양 , 인명>관인>문신
-
조서강(趙瑞康)
조선 태종(太宗)~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배천(白川). 참찬문하부사(參贊門下府事) 조반(趙胖)의 아들. 《태종실록(太宗實錄)》 편찬에 참여하였고, 이조 참판(吏曹參判) 등을 지냄.
?~1444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배천 , 인명>관인>문신
-
조석문(曺錫文)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 관찰사를 지낸 조항(曺沆)의 아들. 노사신(盧思愼)과 함께 《북정록(北征錄)》을 편찬하고, 영의정(領議政)을 지냄.
1413~147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조석윤(趙錫胤)
조선 인조(仁祖)~효종(孝宗) 때의 문신. 본관은 배천(白川). 김상헌(金尙憲)ㆍ장유(張維)의 문인(門人)으로, 효종 때 양관 대제학(兩館大提學)이 되어 《인조실록(仁祖實錄)》편찬에 참여함.
1605~1655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금천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조선(朝鮮)
우리나라 근세의 통일 왕조. 이성계(李成桂)가 신진 사대부(士大夫)의 추대를 받아 세운 나라로, 태조(太祖)에서 순종(純宗)까지 27대 519년간 존속.
1392~1910 한국>조선시대 , 시간>국명
-
조선(趙璿)
조선 제3대 태종(太宗)의 부마. 영중추원사(領中樞院事)를 지낸 조말생(趙末生)의 아들로, 태종의 딸인 정정옹주(貞靜翁主)와 혼인함.
1410~1437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양주 , 인명>왕실>인척
-
조선경국전(朝鮮經國典)
조선 태조(太祖) 때 정도전(鄭道傳)이 지은 사찬(私撰) 법전(法典). 2권. 필사본. 조선 개국의 기본 정책과 육전(六典)에 관한 업무를 규정하였으며, 성종(成宗) 때 편찬한 《경국대전(經國大典)》의 모체가 됨.
1394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조선기사(朝鮮紀事)
중국 명(明) 나라 영종(英宗)~헌종(憲宗) 때의 문신인 예겸(倪謙)의 저서. 1450년(조선 세종 32) 조선에 사신으로 다녀간 뒤 적은 기행문.
1450 중국>명 , 중국 , 문헌>서명
-
조선부(朝鮮賦)
중국 명(明) 나라의 문신ㆍ학자인 동월(董越)의 저서. 1488년(조선 성종 19) 우리나라에 사신으로 왔다가 돌아가서 조선(朝鮮)의 풍토(風土)를 기록하고 주(註)를 달아 간행함. 조선에서는 1697년(조선 숙종 23)에 간행됨.
중국>명 , 중국 , 문헌>서명
-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
조선 태조(太祖)에서 철종(哲宗)까지 472년간의 역사적 사실을 각 왕별로 기록한 편년체 사서(編年體史書). 《태조실록(太祖實錄)》부터 《철종실록(哲宗實錄)》까지 총 2,077책의 활자본. 국보 제151호. 1997년 10월에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으로 지정됨.
1413~1865 한국>조선시대 , 문헌>서명
-
조선풍속(朝鮮風俗)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인 이준경(李浚慶)의 저서.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조성(趙晟)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음악이론가ㆍ학자ㆍ의원. 본관은 평양(平壤). 정주 판관(定州判官) 조수함(趙守諴)의 아들이며, 조욱(趙昱)의 형. 조광조(趙光祖)의 문인으로 성리학에 밝았고, 군직(軍職)에 나가 의술을 가르쳤으며 편종ㆍ편경을 이정(釐正)함.
1492~1555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삭녕ㅣ서울 , 인명>기술인>의원ㅣ인명>예술인>음악인ㅣ인명>문사>학자
-
조세경(趙世卿)
고려 후기의 무신. 본관은 배천(白川). 참찬문하부사(參贊門下府事) 조반(趙胖)의 아버지로, 호군(護軍)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황해도>배천 , 인명>관인>무신
-
조세림(趙世琳)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직산(稷山). 승의부위(承義副尉) 조원종(趙元鍾)의 아들로, 1513년(중종 8)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부평 , 인명>문사>유학
-
조세보(趙世輔)
조선 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풍양(豊壤). 형조 참의(刑曹參議) 조인규(趙仁奎)의 아버지로, 지평(持平)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양주 , 인명>관인>문신
-
조세숙(曹世叔)
중국 후한(後漢)의 문인ㆍ학자. 반고(班固)의 여동생인 반소(班昭)의 남편으로 요절함.
중국>후한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문사>문인
-
조세영(趙世英)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풍양(豊壤). 조지부(趙之孚)의 아들. 학문이 널리 알려져 1535년에 조사수(趙士秀) 등과 함께 사유록(師儒錄)에 올랐고, 사성(司成)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조세우(曺世虞)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 고양 군수(高陽郡守)를 지낸 조척(曺倜)의 아들. 1513년(중종 8)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한 후 이언적(李彦迪)ㆍ송희규(宋希奎) 등과 교유함.
1483~?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조세진(趙世珍)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한양(漢陽). 조선 개국공신(開國功臣) 조영무(趙英茂)의 아버지로, 예의 판서(禮儀判書)를 지냄.
한국>고려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조세철(趙世哲)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풍양(豊壤). 조익희(趙益禧)의 아들로, 1516년(중종 11)에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부사(府使)를 지냄.
1477~?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양주 , 인명>관인>문신
-
조세침(趙世琛)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순창(淳昌). 전력부위(展力副尉) 조지원(趙之瑗)의 아들로, 1513년(중종 8)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순창 , 인명>문사>유학
-
조속(趙涑)
조선 인조(仁祖)~현종(顯宗) 때의 서화가. 본관은 풍양(豊壤)으로, 조수륜(趙守倫)의 아들. 시ㆍ서ㆍ화 삼절(詩書畵三絶)로 일컬어지고, 영모(翎毛)ㆍ매죽(梅竹)ㆍ산수(山水)에 능했음.
1595~1668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양주 , 인명>예술인>서화가
-
조수(曹壽)
중국 전한(前漢) 무제(武帝) 때의 외척. 전한의 개국공신(開國功臣) 조참(曹參)의 증손으로, 무제(武帝)의 누이 평양공주(平陽公主)와 결혼함.
중국>전한 , 중국 , 인명>왕실>인척
-
조수(趙須)
조선 태종(太宗)~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평양(平壤)으로, 찬성사(贊成事) 조호(趙瑚)의 아들. 학문에 정진하여 명성이 높고, 세종 때 성균관 사예(司藝)로 서용되어 집현전 학사를 지도함.
한국>조선전기 , 평안도>평양 , 인명>관인>문신
-
조수륜(趙守倫)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풍양(豐壤). 성혼(成渾)의 문하에서 수학하고, 동문들과 함께 《우계집(牛溪集)》을 편집ㆍ출간함. 평택 현감(平澤縣監) 등을 지냈으나, 신율(申慄)의 역옥(逆獄)에 연루되어 옥사(獄死)함.
1555~1612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조수만(趙壽萬)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함안(咸安). 생육신(生六臣) 중 한 사람인 조려(趙旅)의 손자로, 부친인 조금호(趙金虎)보다 먼저 요절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안 , 인명>문사>유학
-
조수문(曺秀文)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창녕(昌寧). 함양 군수(咸陽郡守) 조호(曺浩)의 아버지로, 벼슬하지 않고 은거(隱居)하며 김종직(金宗直)과 함께 호남(湖南)의 유학 발전에 기여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창평 , 인명>문사>유학
-
조수원(曺守元)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무신. 본관은 창녕(昌寧). 모재(慕齋) 김안국(金安國)의 문인으로, 영의정(領議政)을 지낸 창녕부원군(昌寧府院君) 조석문(曺錫文)의 손자. 충좌위 부사맹(忠佐衛副司猛)을 지냄.
1487~150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무신
-
조수함(趙守諴)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평양(平壤). 의영고 영(義盈庫令) 조성(趙晟)과 장수 현감(長水縣監) 조욱(趙昱)의 아버지로, 정주 판관(定州判官) 등을 지냄.
1471~1523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조숙(曺淑)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으로, 조승로(曺承老)의 아들. 1540년(중종 35)에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시정(寺正)을 지냄. 김인후(金麟厚)ㆍ임운(林芸) 등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문신
-
조숙덕(曺淑德)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창녕(昌寧). 보문각 태학사(寶文閣太學士) 조순(曺純)의 6대손이며, 동래 부사(東萊府使) 조희(曺禧)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담양 , 인명>문사>유학
-
조숙령(趙叔領)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승려 혼수(混脩)의 아버지.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광주 , 인명>관인>문신
-
조순(曺純)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 보문각 태학사(寶文閣太學士)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담양 , 인명>관인>문신
-
조순(趙舜)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함안(咸安). 생육신(生六臣) 중 한 명으로 꼽히는 조려(趙旅)의 손자로, 이조 참판(吏曹參判)을 지냄.
1467~152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안 , 인명>관인>문신
-
조순생(趙順生)
조선 세종(世宗)~단종(端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한양(漢陽). 개국공신(開國功臣) 조인옥(趙仁沃)의 손자로, 병조 참의(兵曹參議)를 지냈으나 계유정난(癸酉靖難) 때 안평대군(安平大君)의 일파로 몰려 죽음.
?~145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조순손(趙順孫)
중국 송(宋) 이종(理宗)~도종(度宗) 때의 문신ㆍ학자. 이부 상서(吏部尙書)ㆍ참지정사(參知政事)를 역임했으며, 《사서찬소(四書纂疏)》를 지음.
1215~1277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조술(曺述)
조선 숙종(肅宗) 때의 유학. 본관은 창녕(昌寧). 초기 사림파(士林派)의 대표적 인물인 조위(曺偉)의 5대손. 조위의 문집인 《매계집(梅溪集)》의 간행을 추진하고 그 발문(跋文)을 씀.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금산 , 인명>문사>유학
-
조숭령(趙崇齡)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홍주(洪州). 순천부 교수(順天府敎授)를 지낸 조지종(趙之琮)의 아들로, 1513년(중종 8) 사마 양시(司馬兩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태인 , 인명>문사>유학
-
조숭문(趙崇文)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무신. 부정(副正) 조유(趙瑜)의 아들. 성삼문(成三問) 등의 단종(端宗) 복위사건에 연루되어 아들 조철산(趙哲山)과 함께 죽임을 당함.
?~1456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옥천 , 인명>관인>무신
-
조숭조(趙崇祖)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한양(漢陽). 조광조(趙光祖)의 문인인 조희윤(趙希尹)의 아버지로, 장례원 사평(掌隸院司評)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조습(趙襲)
중국 후한(後漢)의 서예가. 명필(名筆) 나휘(羅暉)와 함께 서법(書法)의 명가(名家)로 불림.
중국>후한 , 중국 , 인명>예술인>서화가
-
조승로(曺承老)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창녕(昌寧). 시정(寺正)을 지낸 조숙(曺淑)의 아버지로, 사맹(司猛)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무신
-
조승숙(趙承肅)
고려 우왕(禑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함안(咸安). 정몽주(鄭夢周)의 문인으로 감무(監務) 등을 지내고, 조선 개국 후 고향에 은거하여 후진양성에 전념함. 두문동칠십이현(杜門洞七十二賢) 중의 한 사람.
1357~1417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함양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조승훈(祖承訓)
중국 명(明) 나라의 무신. 요양 부총병(遼陽副摠兵)으로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곽몽징(郭夢徵) 등과 함께 조선에 오천여 명의 병사를 이끌고 와서 평양을 공격했으나 패함.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조식(曹植)
중국 삼국시대 위(魏) 나라의 시인. 위 나라의 초대 황제 문제(文帝) 조비(曹丕)의 아우. 오언시(五言詩)를 서정시로 완성하여 문학사상에 많은 영향을 끼침.
192~232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왕실>제후
-
조식(曺植)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학자. 출사하지 않고 학문과 제자 교육에 힘썼으며 이황(李滉)과 더불어 영남 사림의 지도자적인 역할을 함.
1501~157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ㅣ경상도>삼가ㅣ경상도>김해ㅣ서울 , 인명>문사>학자
-
조신(曺伸)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역관ㆍ문신. 본관은 창녕(昌寧). 문장이 뛰어나 사역원 정(司譯院正)에 특선(特選)되었고, 명(明) 나라에서 시(詩)로 이름을 날림. 조위(曺偉)의 서제(庶弟)이며, 김종직(金宗直)의 처남.
1454~?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금산 , 인명>관인>역관ㅣ인명>관인>문신
-
조신(曺信)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명(明) 나라에 과거를 보러가는 도중, 영광(靈光)의 자은도(慈恩島) 근해에서 풍랑으로 배가 부서져 물에 빠져 죽음.
?~1373 한국>고려후기 , 인명>관인>문신
-
조악(趙㮙)
중국 송(宋) 휘종(徽宗)의 아들. 기왕(沂王)으로 봉해졌으며, 아들이 이종(理宗)으로 등극함.
중국>송 , 중국 , 인명>왕실>왕자ㅣ인명>왕실>제후
-
조안(趙安)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함안(咸安). 생육신(生六臣) 중의 한 사람인 조려(趙旅)의 아버지로, 사복시 정(司僕寺正)에 추증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안 , 인명>문사>유학
-
조야(趙埜)
조선 영조(英祖) 때의 유학. 본관은 함안(咸安). 생육신(生六臣)인 조려(趙旅)의 《어계집(漁溪集)》 간행에 참여함.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함안 , 인명>문사>유학
-
조약(刁約)
중국 송(宋) 나라 인종(仁宗)~영종(英宗) 때의 문신ㆍ문장가. 소식(蘇軾)과 교유했으며, 만년(晩年)에는 고향인 윤주(潤州)로 돌아가 문한(文翰)으로 여생을 마쳤음.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조양각(朝陽閣)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 부사(府使) 이용(李容)이 경상도 영천(永川)에 지은 누각.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소실되었다가 인조(仁祖) 때 중수됨. 내부에 서거정(徐居正)의 시 등이 남아 있음.
1363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영천(永川) , 유적>건물>누정
-
조양기(趙良琪)
고려 원종(元宗)~충렬왕(忠烈王) 때의 무신. 본관은 한양(漢陽). 충렬왕의 명을 받고 원(元) 나라 세조(世祖)가 일본을 정벌할 때 김방경(金方慶)과 함께 참가하여 공을 세움. 쌍성총관(雙城摠管)을 지냄.
1261~? 한국>고려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무신
-
조양자(趙襄子)
중국 춘추전국시대 진(晉) 나라의 정경(正卿). 조간자(趙簡子)의 아들로, 지(智)를 멸하고 한(韓)ㆍ위(魏)와 함께 진 나라의 영토를 삼분한 이른바 삼가분진(三家分晉)을 이룸.
?~B.C.425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조양정(趙揚庭)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한양(漢陽). 조찬한(趙纘韓)의 아버지로, 충의위(忠義衛)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무신
-
조언(趙堰)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함안(咸安). 사헌부 감찰(司憲府監察) 조응경(趙應卿)의 아들이자 정유재란(丁酉再亂) 때 전사한 조종도(趙宗道)의 아버지. 송인수(宋麟壽)의 문하에서 수학하고 음보로 준원전 참봉(濬源殿參奉)을 지냄.
1517~157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안 , 인명>관인>문신
-
조언경(曺彦卿)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으로, 조계은(曹繼殷)의 아들. 1515년(중종 10)에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이조 좌랑(吏曹佐郞)이 되었으나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파직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문신
-
조언박(曺彦博)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 중종(中宗) 때의 문신인 조한필(曺漢弼)의 아들로, 호조 좌랑(戶曹佐郞)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조언수(趙彦秀)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양주(楊州). 조방좌(趙邦佐)의 아들이자 조사수(趙士秀)의 형으로, 명종(明宗) 때 위사원종공신(衛社原從功臣)으로 책록되고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를 지냄.
1497~1574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양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조언형(曺彦亨)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 조영(曺永)의 아들이며, 남명(南冥) 조식(曺植)의 아버지.
1469~152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문신
-
조여우(趙汝愚)
중국 송(宋) 나라 효종(孝宗)~영종(寧宗) 때의 재상. 송 나라의 황족으로 주희(朱熹)의 친구. 영종 때 한탁주(韓侂冑)의 무고로 귀양 가서 죽음.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종친
-
조연(趙涓)
고려 우왕(禑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한양(漢陽). 조선이 건국되자 왕을 호위하고, 제2차 왕자의 난 때 이방원(李芳遠)을 도와 좌명공신(佐命功臣)이 됨.
1374~1429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조연수(趙延壽)
고려 충렬왕(忠烈王)~충숙왕(忠肅王) 때의 문신. 본관은 평양(平壤). 조인규(趙仁規)의 아들. 첨의찬성사(僉議贊成事) 등을 지냈으며 충숙왕의 미움을 사 섬으로 유배됨.
1278~1325 한국>고려후기 , 평안도>평양 , 인명>관인>문신
-
조영(曺永)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창녕(昌寧). 중종(中宗) 때의 문신인 조언형(曺彦亨)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문사>유학
-
조영(趙瑩)
고려 후기의 유학. 본관은 평양(平壤). 충렬왕(忠烈王) 때 첨의찬성사(僉議贊成事)를 지낸 조인규(趙仁規)의 아버지로, 금자광록대부 추밀원부사(金紫光祿大夫樞密院副使)에 추증됨.
한국>고려후기 , 평안도>평양 , 인명>문사>유학
-
조영규(趙英珪)
고려 말~조선 초의 무신. 신창조씨(新昌趙氏)의 시조. 이방원(李芳遠)과 모의하여 정몽주(鄭夢周)를 선죽교에서 격살한 일로 이행(李行)의 탄핵을 받음. 개국공신(開國功臣)에 책록되고, 참찬문하부사(參贊門下府事)에 추증됨.
?~1395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신창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조영무(趙英茂)
고려 공양왕(恭讓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무신. 본관은 한양(漢陽)으로, 조세진(趙世珍)의 아들. 조선 개국에 공을 세우고 제1ㆍ2차 왕자의 난 때 공을 세워 공신(功臣)에 봉해짐.
?~1414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조영석(趙永錫)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한양(漢陽). 중종(中宗) 때의 문신인 조우(趙佑)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조영인(趙永仁)
고려 의종(毅宗)~신종(神宗) 때의 문신. 본관은 횡성(橫城)으로, 정당문학 판예부사(政堂文學判禮部事)를 지낸 조충(趙冲)의 아버지. 태자(太子)의 보도(輔導)를 맡은 바 있으며, 문하시중으로 치사(致仕)함.
1133~1202 한국>고려후기 , 강원도>횡성 , 인명>관인>문신
-
조온(趙溫)
고려 우왕(禑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한양(漢陽). 용원부원군(龍原府院君) 조인벽(趙仁璧)의 아들로, 이성계(李成桂)의 신진세력에 참여하여 조선 개국에 공을 세움.
1347~1417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조옹(趙雍)
중국 원(元) 나라의 서화가. 조맹부(趙孟頫)의 둘째 아들로 서화로 이름이 알려졌으며 산수(山水)에 능했음.
1289~1360? 중국>원 , 중국 , 인명>예술인>서화가
-
조용(趙庸)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세조(世祖) 때의 문신ㆍ학자. 정몽주(鄭夢周)의 문인(門人). 조선 개국 후 예문관 대제학(藝文館大提學)ㆍ대사성(大司成)ㆍ세자우빈객(世子右賓客) 등을 지냄. 진보조씨(眞寶趙氏)의 시조.
?~1424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예천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조용조제(租庸調制)
중국의 수(隋)~당(唐) 나라 때 완성된 조세체계. 조(租)는 토지, 용(庸)은 사람, 조(調)는 호(戶)에 부과하는 조세제도로 관리들의 백성 착취의 대상이 되어 많은 폐단을 낳아 덕종(德宗) 때 폐지됨.
중국>당ㅣ중국>수 , 중국 , 법제>제도
-
조우(趙佑)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한양(漢陽). 현량과(賢良科)에 급제하여 교리(校理)가 되었으나, 기묘사화(己卯士禍)로 인해 파방(罷榜)되었다가 음보(蔭補)로 현감(縣監) 등을 지냄.
148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조우인(曺友仁)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 광해군(光海君)을 풍자하는 시를 지어 투옥되었다가 인조반정(仁祖反正)으로 풀려나 우부승지(右副承旨) 등을 지냄. 시ㆍ글씨ㆍ그림에 능했음.
1561~1625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함창 , 인명>관인>문신
-
조욱(趙昱)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평양(平壤). 조광조(趙光祖)ㆍ김식(金湜)의 문인(門人)으로, 시문(詩文)ㆍ서화(書畫)에 능하고, 서경덕(徐敬德)ㆍ이황(李滉)ㆍ김안국(金安國) 등과 교유하였으며, 장수 현감(長水縣監) 등을 지냄.
1498~155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천ㅣ경기도>삭녕 , 인명>문사>학자
-
조운(趙雲)
중국 삼국시대 촉(蜀) 나라의 명장(名將). 공손찬(公孫瓚)의 휘하에 있다가 유비(劉備)에게 귀의하였으며, 단기필마로 위기에 처한 감부인(甘夫人)과 유선(劉禪)을 구해내는 등 용감무쌍하였으며, 여러 싸움에서 많은 공을 세움.
?~229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조운흘(趙云仡)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이인복(李仁復)의 문인으로, 홍건적(紅巾賊)의 침입 때 왕을 호종한 공으로 2등공신이 되고, 조선 개국 후 강릉 부사(江陵府使)로 제수됨.
1332~1404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상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조원(趙瑗)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임천(林川). 조응공(趙應恭)의 아들로, 조응관(趙應寬)에게 출계함. 조식(曺植)의 문인으로, 삼척 부사(三陟府使)ㆍ동부승지(同副承旨)를 지냄.
1544~1595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조원강(趙元綱)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한양(漢陽). 중종(中宗) 때의 문신 조광조(趙光祖)의 아버지로, 사헌부 감찰(司憲府監察)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조원기(趙元紀)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정랑(正郞) 조충손(趙衷孫)의 아들이며 조광조(趙光祖)의 숙부로, 판중추부사(判中樞府事)를 지냄.
1457~1533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조원길(趙元吉)
고려 충목왕(忠穆王) 때의 문신. 본관은 옥천(玉川)으로, 조전(趙佺)의 아들. 정몽주(鄭夢周)ㆍ설장수(楔長壽)와 함께 공양왕을 옹립하여 1등공신이 되고 옥천부원군(玉川府院君)에 봉해짐. 고려가 망하자 순창(淳昌)으로 내려가 벼슬을 하지 않고 절의를 지킴.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순창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조원정(曺元正)
고려 의종(毅宗)~명종(明宗) 때의 무신. 정중부(鄭仲夫)의 난 때 이의방(李義方)을 도운 공으로 장군에 오름. 자신을 좌천시킨 두경승(杜景升) 등에게 원한을 품고 석린(石隣) 등과 모의하여 제거하려다가 그 사실이 발각되어 살해당함.
?~1187 한국>고려후기 , 인명>관인>무신
-
조원종(趙元鍾)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직산(稷山). 중종(中宗) 때의 유학인 조세림(趙世琳)의 아버지로, 승의부위(承義副尉)에 이름.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직산 , 인명>관인>무신
-
조위(曺偉)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울진 현령(蔚珍縣令)을 지낸 조계문(曺繼門)의 아들이며, 김종직(金宗直)의 문인. 김일손(金馹孫)이 준 사초(史草)를 실록(實錄)에 기록한 일로 무오사화(戊午士禍)에 연루되어 유배됨.
1454~150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금산 , 인명>관인>문신
-
조위(趙瑋)
고려 충선왕(忠宣王)~충목왕(忠穆王) 때의 문신. 충숙왕과 심양왕 고(瀋陽王暠) 사이에 알력이 있을 때 형들은 심양왕 편을 들었으나 그는 이에 가담하지 않아 지밀직(知密直)에 특진되고, 충목왕 때 평양부원군(平壤府院君)으로 진봉됨.
1287~1348 한국>고려후기 , 평안도>평양 , 인명>관인>문신
-
조위총(趙位寵)
고려 의종(毅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병부 상서(兵部尙書)로 서경유수(西京留守)를 겸하고 있을 때 무신난이 일어나자, 정중부(鄭仲夫) 일당의 토벌을 구실로 군사를 일으켰으나 윤인첨(尹鱗瞻)을 원수로 한 토벌군에게 패퇴됨.
?~1176 한국>고려후기 , 평안도>평양 , 인명>관인>문신
-
조위한(趙緯韓)
조선 광해군(光海君)~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한양(漢陽). 조양정(趙揚庭)의 아들이자 선산 부사(善山府使)를 지낸 조찬한(趙纘韓)의 형으로,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를 지냄.
1567~1649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조유(趙瑜)
조선 전기의 유학. 세조(世祖)~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인 조달생(趙達生)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조육(趙育)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한양(漢陽). 병조 정랑(兵曹正郞)을 지낸 조충손(趙衷孫)의 아버지로, 의영고 사(義盈庫使)를 지내고 이조 참판(吏曹參判)에 추증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조윤구(曺允懼)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창녕(昌寧). 중종(中宗) 때 함안 군수(咸安郡守) 등을 지낸 조효연(曺孝淵)의 아들로, 1543년(중종 38)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문사>유학
-
조윤성(曺允誠)
조선 태종(太宗)~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수성(壽城). 병마절도사(兵馬節度使)를 지낸 조극치(曺克治)의 아버지로, 승문원 박사(承文院博士)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대구 , 인명>관인>문신
-
조윤신(曺允愼)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창녕(昌寧). 중종(中宗) 때 함안 군수(咸安郡守) 등을 지낸 조효연(曺孝淵)의 아들로, 충무위 부사직(忠武衛副司直)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무신
-
조윤양(趙允讓)
중국 송(宋) 나라 영종(英宗)의 생부(生父). 영종이 즉위하여 복안의왕(濮安懿王)으로 추숭함.
중국>송 , 중국 , 인명>왕실>종친
-
조은택(趙恩澤)
중국 송(宋) 나라의 유학. 문신ㆍ학자로 명망이 높았던 조번(趙蕃)의 아들.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유학
-
조응경(趙應卿)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함안(咸安). 조수만(趙壽萬)의 아들로, 일찍이 부모를 여의고 조부인 조금호(趙金虎) 슬하에서 자라면서 지극한 효행으로 이름을 떨침. 사헌부 감찰(司憲府監察) 등을 지냄.
1487~154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안 , 인명>관인>문신
-
조응공(趙應恭)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임천(林川). 선조(宣祖) 때 동부승지(同副承旨)를 지낸 조원(趙瑗)의 생부로, 예조 좌랑(禮曹佐郞)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임천 , 인명>관인>문신
-
조응관(趙應寬)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임천(林川). 선조(宣祖) 때 동부승지(同副承旨)를 지낸 조원(趙瑗)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임천 , 인명>문사>유학
-
조응세(趙應世)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횡성(橫城). 평양부 서윤(平壤府庶尹)을 지낸 조준(趙俊)의 아들로, 1534년(중종 29)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하여 참봉(參奉)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