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조의생(曺義生)
고려 말~조선 초의 충신. 고려가 망한 뒤 조선 태조(太祖)가 과거를 실시하였으나 이에 응하지 않고 두문동(杜門洞)에 들어가 충의를 지킨 태학생(太學生) 72명 중 한 사람.
1337~?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기타인명>은자
-
조의정(趙義貞)
조선 제11대 중중(中宗)의 부마. 본관은 순창(淳昌). 부사(府使)를 지낸 조침(趙琛)의 아들로, 숙의이씨(淑儀李氏)의 소생인 효정옹주(孝靜翁主)와 혼인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순창 , 인명>왕실>인척
-
조의제문(弔義帝文)
조선 전기의 학자 김종직(金宗直)이 세조(世祖)의 왕위 찬탈(纂奪)을 비난한 글. 세조에게 죽음을 당한 단종(端宗)을, 항우(項羽)에게 죽은 초(楚) 나라 회왕(懷王)에 비유하여 지은 조문으로, 이 글이 사초(史草)에 기록되어 무오사화(戊午史禍)의 발단이 됨.
한국>조선전기 , 문헌>작품명
-
조이종(趙李宗)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광주(廣州). 중종(中宗) 때의 유학인 조극공(趙克恭)의 아버지로, 계공랑(啓功郞)에 이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광주 , 인명>문사>유학
-
조익(趙翼)
조선 선조(宣祖)~효종(孝宗) 때의 문신ㆍ학자. 장현광(張顯光)의 문인으로 좌의정(左議政)을 역임함. 성리학(性理學)의 대가로 예학에 밝았으며 음률(音律)ㆍ병법(兵法)ㆍ복서(卜筮)에도 능했음.
1579~1655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양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조익남(趙翼男)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한양(漢陽). 인조(仁祖) 때 대제학(大提學)ㆍ이조 판서(吏曹判書) 등을 지낸 조경(趙絅)의 아버지로, 사섬시 참봉(司贍寺參奉)을 지냄.
한국>조선시대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조익청(曺益淸)
고려 충숙왕(忠肅王)~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 공민왕이 원(元) 나라에 있을 때 시종(侍從)한 공으로 수종공신(隨從功臣)에 책록됨.
?~1353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조익희(趙益禧)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풍양(豊壤). 중종(中宗) 때의 문신인 조세철(趙世哲)의 아버지로, 충청도 병마우후(忠淸道兵馬虞侯)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양주 , 인명>관인>무신
-
조인규(趙仁奎)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풍양(豊壤). 조세보(趙世輔)의 아들로, 형조 참의(刑曹參議)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조인규(趙仁規)
고려 충렬왕(忠烈王) 때의 문신. 몽고어(蒙古語)를 잘해서 여러 차례 원(元) 나라에 사신으로 다녀오고, 첨의찬성사(僉議贊成事)를 지냄. 딸이 충선왕(忠宣王)의 비(妃)가 되고, 여러 아들이 재상의 지위에 올라 권문세족(權門勢族)으로 성장함.
1227~1308 한국>고려후기 , 평안도>평양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조인벽(趙仁璧)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조(太祖) 때의 무신. 판도판서(版圖判書) 조돈(趙暾)의 아들로, 환조(桓祖)의 딸 정화공주(貞和公主)와 혼인함. 김용(金鏞)의 토벌에 공을 세워 이등공신이 되고, 우왕(禑王) 때 여러 번 왜구를 격퇴하였으며, 위화도 회군(威化島回軍)에도 참여함.
?~1393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함경도>덕원 , 인명>관인>무신ㅣ인명>왕실>인척
-
조인수(趙仁壽)
조선 숙종(肅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풍양(豊壤). 분무공신(奮武功臣) 조현명(趙顯命)의 아버지로, 박세채(朴世采)의 문하에서 수학함. 의금부 도사(義禁府都事) 등을 지냈으나, 인현왕후(仁顯王后) 폐위 이후 두문불출하고 학문에 전념함.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양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조인옥(趙仁沃)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조(太祖) 때의 문신. 판도판서(版圖判書) 조돈(趙暾)의 아들로, 전법판서(典法判書) 등을 지내고, 조선 개국에 공을 세워 개국공신(開國功臣)에 책록됨.
1347~1396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조인준(趙仁俊)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제주 판관(濟州判官)으로 있을 때 제주에서 사사된 김정(金淨)을 추모하기 위해 충암묘(冲菴廟)를 건립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제주 , 인명>관인>문신
-
조일건(趙一建)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배천(白川). 교서관 별좌(校書館別坐)를 지낸 조부우(趙府隅)의 아버지로, 영숭전 참봉(永崇殿參奉)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배천 , 인명>관인>문신
-
조일신(趙日新)
고려 충혜왕(忠惠王)~공민왕(恭愍王) 때의 역신(逆臣). 본관은 평양(平壤)으로 조위(趙瑋)의 아들. 공민왕을 수종하여 원(元) 나라에 갔다가 공민왕이 왕위에 오르자 좌리공신(佐理功臣)에 봉해짐. 이후 권력을 멋대로 휘두르다가 왕에게 주살당함.
?~1352 한국>고려후기 , 평안도>평양 , 인명>관인>문신
-
조임도(趙任道)
조선 인조(仁祖) 때의 학자. 장현광(張顯光)의 문인으로, 이황(李滉)의 문묘 종사(文廟從祀)를 반대하는 정인홍(鄭仁弘)을 규탄함. 인조반정(仁祖反正) 후 천거로 공조 좌랑(工曹佐郞)을 지냄.
1585~1664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칠원 , 인명>문사>학자
-
조자지(趙自知)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학자. 본관은 평양(平壤). 남효온(南孝溫)ㆍ홍유손(洪裕孫) 등과 죽림칠현(竹林七賢)을 자처하며 시주(詩酒)와 가무(歌舞)로 소일하였으며, 무오사화(戊午士禍) 때 체포되어 국문(鞫問)을 당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학자
-
조자칭(趙子偁)
중국 송(宋) 나라 효종(孝宗)의 생부. 효종이 즉위하여 수왕(秀王)으로 추존됨.
?~1143 중국>송 , 중국 , 인명>왕실>종친
-
조장(趙璋)
고려 후기의 문신. 옥천조씨(玉川趙氏)의 시조로, 옥천부원군(玉川府院君) 조원길(趙元吉)의 증조부. 문하시중(門下侍中)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순창 , 인명>관인>문신
-
조적(曺頔)
고려 충렬왕(忠烈王)~충숙왕(忠肅王) 때의 역적. 충렬왕 때부터 막강한 권세를 누렸으나, 충혜왕(忠惠王)과 심왕(潘王) 고(暠)가 대립할 때 심왕 편에 서서 충혜왕과 궁을 습격하였다가 진압되어 죽음을 당함.
?~1339 한국>고려후기 , 인명>기타인명>역적
-
조적(祖逖)
중국 남북조시대 동진(東晉) 원제(元帝) 때의 명장(名將). 예주 자사(豫州刺史)로서 북벌(北伐)하여 후조(後趙)의 고조(高祖) 석륵(石勒)을 격파하고 황하(黃河) 이남의 땅을 회복함.
266~321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조적(趙績)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조동호(趙銅虎)의 아들로, 상주 목사(尙州牧使) 등을 지냈으나, 판결사(判決事)로 있을 때 결송(決訟)에 대한 일처리가 서툴러 탄핵을 받음.
147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안 , 인명>관인>문신
-
조전(曺佺)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창녕(昌寧). 울진 현령(蔚珍縣令)을 지낸 조계문(曺繼門)의 아들이고, 김종직(金宗直)의 처남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문사>유학
-
조전(趙佺)
고려 후기의 유학. 본관은 옥천(玉川). 문하시중(門下侍中)을 지낸 조장(趙璋)의 손자이자 옥천부원군(玉川府院君) 조원길(趙元吉)의 아버지로, 옥천부원군(玉川府院君)에 추봉됨.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순창 , 인명>문사>유학
-
조전(趙典)
중국 후한(後漢) 환제(桓帝) 때의 문신. 행실이 돈독하고 학식이 뛰어났으며 황제에게 직언(直言)을 잘 하기로 유명했음.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조절(曹節)
중국 후한(後漢) 환제(桓帝)~영제(靈帝) 때의 환관. 환관 왕보(王甫)와 함께 진번(陳蕃)ㆍ두무(竇武)ㆍ이응(李膺) 등을 살해하고 청류세력을 탄압하여 제2차 당고(黨錮)의 화(禍)를 일으킴.
?~181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관인>환관
-
조정(趙挺)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양주(楊州). 영의정(領議政)에 추증된 조충수(趙忠秀)의 아들이자 공신 조진(趙振)의 동생. 임진왜란 때 세자를 호종(扈從)한 공으로 우의정(右議政)에 이르렀으나 인조반정 후 대간의 탄핵을 받음.
1551~1629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양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조정(趙鼎)
중국 송(宋) 나라의 충신. 정이(程頤)의 제자. 재상(宰相)으로서 국력 배양에 진력하다가 진회(秦檜)와의 불화로 파직되어 적소(謫所)에서 단식으로 항거함.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조정기(趙廷機)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풍양(豊壤). 사섬시 정(司贍寺正)을 지낸 조종경(趙宗敬)의 아들이자 평택 현감(平澤縣監) 조수륜(趙守倫)의 아버지. 학문이 뛰어나 오랫동안 선조의 시강(侍講)을 맡았으며, 장령(掌令)을 지냄.
1535~1575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조조(鼂錯)
중국 전한(前漢) 문제(文帝)~경제(景帝) 때의 문신. 신불해(申不害). 공손앙(公孫鞅) 등에게 형명학(形名學)을 배움. 법가(法家)의 영향을 받아 태상장고(太常掌故)에 임용되었고, 오초칠국(吳楚七國)의 난으로 참형됨.
?~B.C.154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조존성(趙存性)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양주(楊州). 조창원(趙昌遠)의 아버지로, 성혼(成渾)ㆍ박지화(朴枝華)의 문하에서 수학함. 강화 부사(江華府使) 등 외직 재임시 선정을 베풀어 백성들의 칭송을 받았으며, 호조 판서(戶曹判書) 등을 지냄.
1554~1628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조종경(趙宗敬)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풍양(豊壤). 조팽(趙彭)의 아들로, 전한(典翰)ㆍ사섬시 정(司贍寺正) 등을 지냄. 김안로의 탄핵으로 파직되자 과천(果川)으로 내려가 학문 연구에 전념함.
1495~1535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과천ㅣ서울 , 인명>관인>문신
-
조종도(趙宗道)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조식(曺植)의 문인으로, 정여립(鄭汝立)의 모반 사건에 연루되었다가 풀려나고, 정유재란(丁酉再亂) 때 안의(安義)의 황석산성(黃石山城)에서 왜적과 싸우다 전사함.
1537~1597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함안 , 인명>관인>문신
-
조종영(趙鍾永)
조선 정조(正祖)~순조(純祖) 때의 문신. 문과에 급제하여 안주 목사(安州牧使)로 홍경래(洪景來)의 난을 평정하는 데 공을 세워 황해도 관찰사(黃海道觀察使)가 되고, 우참찬(右參贊)에 이름.
1771~1829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조종의(趙宗懿)
중국 송(宋) 영종(英宗)의 아들. 복국공(濮國公)으로 봉하여 영종의 생부인 복왕(濮王)의 제사를 받들게 하였음.
중국>송 , 중국 , 인명>왕실>왕자
-
조주구(趙州狗)
중국 당(唐) 나라의 승려인 종심(從諗)의 선담(禪談)에서 유래된 화두. 조주(趙州)의 선사였던 종심에게 한 선승이 개의 불성(佛性) 유무에 관해 묻고 답한 데서 유래한 말.
중국>당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조준(趙俊)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횡성(橫城). 중종(中宗) 때의 문신인 조응세(趙應世)의 아버지로, 평양부 서윤(平壤府庶尹)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횡성 , 인명>관인>문신
-
조준(趙浚)
고려 우왕(禑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조덕유(趙德裕)의 아들로, 조선 개국에 공을 세워 개국공신(開國功臣)에 책록되고, 과전법(科田法)을 실시하여 토지제도를 정비하였으며, 하륜(河崙) 등과 함께 《경제육전(經濟六典)》을 편찬함.
1346~1405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평안도>평양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조중휘(趙仲輝)
조선 세조(世祖)~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양주(楊州). 관찰사 조근(趙瑾)의 아들. 영릉 참봉(英陵參奉)을 지냈으며, 학문이 숙성하고 백가(百家)에 밝음.
1445~1505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조지수(趙之壽)
고려 후기의 문신. 한양조씨(漢陽趙氏)의 시조. 명종(明宗)~강종(康宗)까지 네 명의 왕을 섬기고, 첨의중서사(僉議中書事) 등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함경도>덕원ㅣ서울 , 인명>관인>문신
-
조지운(趙之耘)
조선 후기의 문신ㆍ화가. 본관은 풍양(豊壤)으로, 선비화가 조속(趙涑)의 아들. 현감(縣監)을 지내고, 선비의 기풍과 심의(心意)가 가득한 묵매와 수묵화조를 잘 그려 〈숙조도(宿鳥圖)〉등의 작품을 남김.
1637~?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양주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조지원(趙之瑗)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순창(淳昌). 중종(中宗) 때의 유학인 조세침(趙世琛)의 아버지로, 전력 부위(展力副尉)에 이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순창 , 인명>관인>무신
-
조지종(趙之琮)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홍주(洪州). 중종(中宗) 때의 유학인 조숭령(趙崇齡)의 아버지로, 순천 교수(順天敎授)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태인 , 인명>관인>문신
-
조지주(趙之周)
조선 문종(文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한양(漢陽)으로, 판중추부사 조혜(趙惠)의 아들. 문음(門蔭)으로 인수부 승(仁壽府丞)에 서용되어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등을 지냄.
1448~1492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조진(趙振)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조충수(趙忠秀)의 아들이며, 이황(李滉)의 문인. 왕자 사부(王子師傅)로 천거되고 공조 판서(工曹判書) 등을 지냄. 광해군(光海君)이 즉위하자 잠저(潛邸)에 있을 때 보도한 공으로 공신에 책록되고 한산군(漢山君)에 봉해짐.
1535~?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양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조진(趙眞)
고려 후기의 유학. 본관은 옥과(玉果). 해좌칠현(海左七賢)의 한 사람인 조통(趙通)의 아들.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옥과 , 인명>문사>유학
-
조징(趙澄)
조선 중중(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1566년(명종 21) 중시(重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여러 관직을 지내고, 1574년(선조 7) 사신으로 명(明) 나라에 다녀오던 중 해주(海州)에서 병사함.
1511~157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조찬한(趙纘韓)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한양(漢陽)으로, 조양정(趙揚庭)의 아들. 영천 군수(榮川郡守) 시절 삼도토포사(三道討捕使)로 도둑을 토벌하고, 형조 참의(刑曹參議)ㆍ선산 부사(善山府使) 등을 지냄. 시부(詩賦)에 능함.
1572~1631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조참(曹參)
중국 전한(前漢)의 문신. 진(秦) 나라의 옥리(獄吏) 출신으로 한(漢) 나라 통일에 공을 세워 평양후(平陽侯)로 책봉되고, 혜제(惠帝) 때는 상국(相國)에 오름.
?~B.C.190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조참(趙參)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함안(咸安). 조동호(趙銅虎)의 아들이며, 이조 참판(吏曹參判)을 지낸 조순(趙舜)의 동생. 1507년(중종 2) 식년시(式年試)에 급제하여 집의(執義) 등을 지냄.
147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안 , 인명>관인>문신
-
조창(趙昌)
중국 오대십국(五代十國)~송(宋) 때의 화가. 골법(骨法)보다도 채색에 특징이 있는 사생적인 화조화(花鳥畵)를 잘 그렸으며, 그의 화풍이 휘종(徽宗) 때 화원(畵院)에게 영향을 미침.
중국>송 , 중국 , 인명>예술인>서화가
-
조창원(趙昌遠)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양주(楊州). 지돈녕부사(知敦寧府事)를 지낸 조존성(趙存性)의 아들로, 형조 좌랑(刑曹佐郞) 등을 지내고, 딸이 인조의 계비(繼妃)로 간택됨.
1583~1646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조척(曺倜)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 사헌부 감찰(司憲府監察) 등을 역임하였고, 함창(咸昌)의 원으로 있을 때 함녕루(咸寧樓)를 중수함. 기문(記文)이 종형(從兄)인 조위(曺偉)의 《매계집(梅溪集)》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문신
-
조천기행록(朝天紀行錄)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장가인 이정귀(李廷龜)가 연경(燕京)에 있을 때 지은 기행문. 중국 문인들에게 자신이 지은 〈도로기행시(道路紀行詩)〉를 보여주자 왕휘(汪煇)가 서문을 지어주고 출간했으며, 《월사집(月沙集)》에 수록되어 있음.
한국>조선후기 , 중국 , 문헌>서명
-
조천록(朝天錄)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인 정사룡(鄭士龍)이 지은 책. 1537년(중종 32) 중국 사신을 영접할 때 지은 글로서 총 115제가 수록되어 있으며, 저자의 문집 《호음잡고(湖陰雜稿)》에 실려 전함.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조천유(趙千裕)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평양(平壤). 보조공신(輔祚功臣) 조인규(趙仁規)의 손자이며 조서(趙瑞)의 아들로, 원윤(元尹)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평안도>평양 , 인명>관인>문신
-
조천일기(朝天日記)
조선 인조(仁祖) 때의 문신인 김육(金堉)의 기행문. 목판본. 1권 1책. 저자가 1636년(인조 14)에 동지사(冬至使)로서 명(明) 나라에 다녀오는 과정을 기록한 것으로, 조선 사절이 명 나라에 다녀온 마지막 기록으로 남음.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조철산(趙哲山)
조선 세조(世祖) 때의 유학. 본관은 옥천(玉川). 조숭문(趙崇文)의 아들로 단종복위운동(端宗復位運動)을 하다가 고신(告身)을 환수당하고 원지에 유배되어 아버지와 함께 처형됨.
?~1456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순창 , 인명>문사>유학
-
조최(趙衰)
중국 춘추전국시대 진(晉) 나라의 대부. 영공(靈公)의 왕위 옹립에 공헌한 조둔(趙盾)의 아버지로, 문공(文公)~양공(襄公)에 걸쳐 국정을 잘 보좌함.
?~B.C.622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조춘(趙椿)
고려 전기의 무신. 평양조씨(平壤趙氏)의 시조. 추밀원 부사(樞密院副使)로 송(宋) 나라에 가서 금(金) 나라를 정벌하는 데 큰 공을 세워 송 나라의 상장군(上將軍)이 되었다고 함.
한국>고려전기 , 평안도>평양 , 인명>관인>무신
-
조충(趙冲)
고려 명종(明宗)~고종(高宗) 때의 문신. 명종 때 음서(蔭敍)로 내시(內侍)에 임명됨. 1219년 몽고(蒙古)ㆍ동진(東眞)군과 연합하여 거란군(契丹軍)의 항복을 받고 몽고군 원수인 합진(哈眞)과 형제의 맹약을 맺은 공으로, 정당문학 판예부사(政堂文學判禮部事)에 오름.
1171~1220 한국>고려후기 , 강원도>횡성 , 인명>관인>문신
-
조충국(趙充國)
중국 전한(前漢) 무제(武帝)~선제(宣帝) 때의 장군. 무제를 도와 흉노의 정벌에 많은 공을 세워 기린각(麒麟閣)에 초상이 걸림.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조충손(趙衷孫)
조선 세종(世宗)~단종(端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한양(漢陽). 조육(趙育)의 아들로, 병조 정랑(兵曹正郞) 등을 지냈으나, 안평대군(安平大君)의 역모에 연루되어 고신(告身)이 추탈되고 유배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조충수(趙忠秀)
조선 명종(明宗) 때의 유학. 본관은 양주(楊州). 한산군(漢山君) 조진(趙振)의 아버지로, 영의정(領議政)과 한양부원군(漢陽府院君)에 추증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조충숙(趙忠肅)
고려 말 조선~초의 충신. 본관은 함안(咸安). 고려가 망한 뒤 조선 태조(太祖)가 과거를 실시하였으나 이에 응하지 않고 두문동(杜門洞)에 들어가 충의를 지킨 태학생(太學生) 중 72명 한 사람.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기타인명>은자
-
조치우(曺致虞)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군수(郡守) 조말손(曺末孫)의 아들로, 사옹원 정(司饔院正) 등을 지냄. 청렴하고 효행이 뛰어나 왕으로부터 《소학(小學)》과 옥비(玉碑)를 하사받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문신
-
조침(趙琛)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순창(淳昌). 중종의 부마인 순원위(淳原尉) 조의정(趙義貞)의 아버지로, 부사(府使)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순창 , 인명>관인>문신
-
조태구(趙泰耉)
조선 숙종(肅宗)~경종(景宗) 때의 문신. 본관은 양주(楊州)로, 우의정 조사석(趙師錫)의 아들. 소론의 영수로 1721년(경종 1)에 신임사화(辛壬士禍)를 일으켜 김창집(金昌集) 등 노론 4대신을 역모죄로 몰아 사사(死賜)하게 한 뒤 영의정에 오름.
1660~1723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조통(趙通)
고려 명종(明宗)~신종(神宗) 때의 문신ㆍ학자. 고공낭중(考功郞中)으로 금(金) 나라에 사신으로 가서 구류되었다가 풀려남. 오세재(吳世才)ㆍ임춘(林椿) 등과 해좌칠현(海左七賢)으로 불리고, 경사(經史)와 백가(百家)에 모두 뛰어남.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옥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조파(祖播)
중국 송(宋) 나라의 승려. 구양백호(歐陽伯虎)와 백운거사(白雲居士) 이규보(李奎報)를 통해 시와 선물을 전하여 공공상인(空空上人)과 막역한 교우를 맺음.
중국>송 , 중국 , 인명>종교인>승려
-
조팽(趙彭)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풍양(豊壤). 중종(中宗) 때의 문신인 조종경(趙宗敬)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양주 , 인명>문사>유학
-
조필(趙泌)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순창(淳昌). 생원(生員) 조희(趙禧)의 아들로, 1513년(중종 8)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평산 , 인명>문사>유학
-
조하(趙嘏)
중국 당(唐) 무종(武宗)~선종(宣宗) 때의 문신ㆍ시인. 842년(무종 2) 진사에 에 오르고 선종 때 위남위(渭南尉)에 이름. “장적일성인의루(長笛一聲人倚樓)”라는 시구로 유명해짐.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조한보(曺漢輔)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학자. 사용(司勇) 조변옹(曺變雍)의 아들. 성리학(性理學)ㆍ선학(禪學) 등에 뛰어나며, 당시 이언적(李彦迪)과 벌인 성리학 논쟁이 유명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문사>학자
-
조한영(曺漢英)
조선 인조(仁祖)~현종(顯宗) 때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 이식(李植)ㆍ김장생(金長生)의 문인으로, 《인조실록(仁祖實錄)》의 편찬에 참가하고 한성부 우윤(漢城府右尹) 등을 지냄.
1608~1670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조한필(曺漢弼)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 조등(曺璒)의 아들로, 1510년(중종 5)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감사(監司)를 지냄.
148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문신
-
조항(曺沆)
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 조경수(曺敬修)의 아들이며 영의정을 지낸 조석문(曺錫文)의 아버지로, 전라도 관찰사(全羅道觀察使)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문신
-
조헌(趙憲)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문신ㆍ의병장. 본관은 배천(白川). 이이(李珥)ㆍ성혼(成渾)의 문인.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옥천(沃川) 등에서 의병을 일으켜 활약하였으나 금산(錦山) 전투에서 700명의 의병과 분전하다가 함께 전사함.
1544~1592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김포 , 인명>관인>문신
-
조혁(趙奕)
고려 후기의 무신. 원(元) 나라에서 활동한 승려 해원(海圓)의 아버지로, 검교감(檢校監)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함열 , 인명>관인>무신
-
조현당(釣賢堂)
경상남도 합천(陜川) 해인사(海印寺) 북쪽 5리 지점의 내원사(內院寺) 안에 있던 당(堂) 이름. 조선 전기 학자인 김일손(金馹孫)의 기문(記文)이 전함.
경상도>합천 , 유적>건물>사찰
-
조현명(趙顯命)
조선 숙종(肅宗)~영조(英祖) 때의 문신. 본관은 풍양(豊壤)으로, 도사(都事) 조인수(趙仁壽)의 아들. 이인좌(李麟佐)의 난 때 공을 세워 분무공신(奮武功臣)에 책록되고, 영의정(領議政)에 이름. 소론(少論)에 속하면서 영조의 탕평책(蕩平策)을 지지함.
1691~1752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조형생(趙亨生)
조선 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평양(平壤). 우암(愚菴) 조욱(趙昱)의 손자이며, 권결(權潔)의 사위로 현감(縣監)을 역임함. 1714년 경기도 양평에 있는 운계서원(雲谿書院)에 배향됨.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지평 , 인명>관인>문신
-
조혜(趙惠)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한양(漢陽). 한평부원군(漢平府院君) 조연(趙涓)의 아들이며 성종(成宗) 때의 문신 조지주(趙之周)의 아버지로, 판중추원사(判中樞院事)를 지냄.
?~146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조호(曺浩)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 성균 생원(成均生員) 조수문(曺秀文)의 아들로, 1489년(성종 20)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함양 군수(咸陽郡守)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문신
-
조호(趙瑚)
고려 우왕(禑王)~조선 태조(太祖) 때의 문신. 본관은 평양(平壤). 성균관 사예(司藝)를 지낸 조수(趙須)의 아버지로, 의정부 찬성사(議政府贊成事) 등을 지냄. 1409년(태종 9)에 민무구(閔無咎)의 제거와 관련하여 승려 묘음(妙音)의 고발로 수감되어 사사됨.
?~1410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평안도>평양 , 인명>관인>문신
-
조호익(曺好益)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창녕(昌寧). 칭병으로 관직을 거절하다가 유배되었으나 유배지에서 학문 및 후학 양성에 힘써 학풍을 크게 진작시킴. 임진왜란 때 전공을 세워 여러 관직을 제수받지만 대부분 사직함.
1545~1609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창원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조혼(曺渾)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 밀직사사(密直司事)를 지낸 조경수(曺敬修)의 아들이자 창성군(昌城君) 조효문(曺孝門)의 아버지로, 참판(參判)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문신
-
조확(趙擴)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양주(楊州). 좌참찬(左參贊)을 지낸 조언수(趙彦秀)의 아들로, 예문관 검열(藝文館檢閱)을 지냄.
1535~1575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조횡(趙竑)
중국 송(宋) 나라의 왕자ㆍ제후. 영종(寧宗)이 아들이 없어 종실(宗室)인 조횡(趙竑)을 황자(皇子)로 세워 장래의 후계로 삼으려 했지만, 정승(政丞) 사미원(史彌遠)에 의해 저지당하고 결국 죽임을 당함. 서산(西山) 진덕수(眞德秀)의 제자.
?~1225 중국>송 , 중국 , 인명>왕실>왕자ㅣ인명>왕실>제후
-
조효문(曺孝門)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참판 조혼(曺渾)의 아들. 세조의 즉위 때 좌익공신(佐翼功臣)에 책록되고 예조 참판(禮曹參判)을 지냈으며, 창성군(昌城君)에 봉해짐. 악학도감 제조(樂學都監提調)를 겸하면서 악률(樂律)을 개정함.
?~146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조효연(曺孝淵)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 조치우(曺致虞)의 아들이며 이우(李堣)의 문인. 함안 군수(咸安郡守) 등을 지냈으며, 시문(詩文)에 능했음. 퇴계(退溪) 이황(李滉)이 묘갈명(墓碣銘)을 씀.
1486~153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원 , 인명>관인>문신
-
조훈(趙勛)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한양(漢陽). 문신 조광림(趙廣臨)ㆍ조광보(趙廣輔)ㆍ조광좌(趙廣佐)의 아버지로, 금산 군수(金山郡守)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조희(曺禧)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 보문각 태학사(寶文閣太學士) 조순(曺純)의 7대손이며, 조숙덕(曺淑德)의 아들. 1517년(중종 12)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동래 부사(東萊府使) 등을 지냄.
1490~156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문신
-
조희(趙禧)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순창(淳昌). 중종(中宗) 때의 유학인 조필(趙泌)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순창 , 인명>문사>유학
-
조희문(趙希文)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학자ㆍ문신. 조림(趙琳)의 아들이며 김인후(金麟厚)의 문인. 성리학(性理學)에 밝아 김인후의 학설을 계승ㆍ발전시키고, 문장에도 능하여 정철(鄭澈)ㆍ기대승(奇大升) 등과 교유함.
1527~157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안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조희윤(趙希尹)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한양(漢陽). 장례원 사평(掌隸院司評)을 지낸 조숭조(趙崇祖)의 아들이며 조광조(趙光祖)의 문인으로, 김인후(金麟厚)와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조희한(趙希漢)
중국 송(宋) 나라의 유학. 주자(朱子)의 문인(門人)으로 한주(漢州) 파릉인(巴陵人)임.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유학
-
조희현(趙希賢)
중국 명(明) 효종(孝宗) 때의 문신. 숭덕현(崇德縣)의 지현(知縣)을 역임함.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족한당문집(足閒堂文集)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ㆍ학자인 백인국(白仁國)의 시문집. 1권. 목판본. 1909년(순종 3)에 후손 백순우(白淳愚) 등이 간행한 《원고세고(元皐世稿)》에 실려 있음.
1909 한국>근대 , 문헌>서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