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주역차기(周易箚記)
조선 후기의 학자인 남도진(南道振)이 《주역(周易)》에 대하여 차기(箚記) 형식으로 쓴 책.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주역참동계발휘(周易參同契發揮)
중국 송(宋) 말~원(元) 초의 학자인 유염(兪琰)의 저서. 3권. 《주역(周易)》의 형식을 빌려 도교(道敎)의 연단 양생(煉丹養生) 이론을 논술한 위백양(魏伯陽)의 《주역참동계(周易參同契)》에 대한 연구 해설서.
중국>원 , 중국 , 문헌>서명
-
주옥사(珠玉詞)
중국 송(宋) 나라 인종(仁宗) 때의 문인이자 재상인 안수(晏殊)의 시집. 1권. 사(詞) 작품 130여 수가 수록되어 있으며, 사대부들의 연회(宴會) 모습, 흐르는 세월에 대한 아쉬움, 남녀의 이별하는 정을 읊은 내용이 대부분임.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주옹(周顒)
중국 남북조시대(南北朝時代) 제(齊) 나라의 문신. 공치규(孔稚圭)와 함께 종산(鍾山)에 은거하고 있었는데, 황제가 부르자 나아가 벼슬하다가 다시 돌아가려고 하니까 공치규가 북산이문(北山移文)을 지어 거절하였다고 함.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주운(朱雲)
중국 전한(前漢) 원제(元帝)~성제(成帝) 때의 문신. 성품이 강직하여 괴리 령(槐里令)을 지낼 때 성제에게 상방검(尙方劍)을 빌어 간신 장우(張禹)를 죽일 것을 간하였다가 죽음을 당함. 난간이 부러지도록 붙잡고 간하였다는 절함(折檻) 고사로 유명함.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주유(周瑜)@삼국(오)
중국 삼국시대(三國時代) 오(吳) 나라의 무신. 손견(孫堅)의 아들 손책(孫策)과 형제처럼 교유하였으며, 위(魏)의 조조(曹操)가 진격해 오자 촉(蜀)의 제갈공명(諸葛孔明)과 함께 적벽대전(赤壁大戰)에서 위군(魏軍)을 대파하였음.
175~210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주유(周瑜)@고려
고려 후기의 유학. 본관은 상주(尙州). 도은공파(陶隱公派)의 중시조로 주세붕(周世鵬)의 고조임. 고려가 망하자 불사이군(不事二君)의 충절로 벼슬을 단념하고 합천(陜川)에 은거함.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합천 , 인명>문사>유학
-
주윤창(周允昌)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상주(尙州). 김종직(金宗直)의 문하에서 김굉필(金宏弼)과 함께 유학(遊學)하였음. 1480(성종 11) 친시(親試)에 급제하였고, 군수(郡守)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상주 , 인명>관인>문신
-
주의(周顗)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문신. 원제(元帝) 때 형주 자사(荊州刺史)ㆍ상서 우복야(尙書右僕射) 등을 지냈으나, 반란을 일으킨 진동대장군(鎭東大將軍) 왕돈(王敦)에 의해 살해됨.
269~322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주의(奏議)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인 황중(黃中)의 저서. 10권.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주의산(周義山)
중국 전한(前漢)의 도사. 불사(不死)를 추구하여 묵상하며 단도(丹道)를 이룩하였다고 함. 송(宋) 나라 때의 도사인 백옥섬(白玉蟾)과 함께 언급되기도 함.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기타인명>도사
-
주의패설(奏議稗說)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ㆍ학자인 성현(成俔)의 저서. 6권. 《용재총화(慵齋叢話)》발문(跋文)에는 12권으로 되어 있음.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주이(周怡)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상주(尙州). 주세귀(周世龜)의 아들로, 1546년(명종 1) 증광시(增廣試) 문과(文科)에 급제하고 도사(都事) 등을 지냄. 타고난 성품과 거동이 훌륭하여 신선 같다는 평을 들음.
1515~156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상주 , 인명>관인>문신
-
주이(周頤)
통일신라 원성왕(元聖王) 때의 문신ㆍ귀화인. 상주주씨(尙州周氏)의 시조(始祖). 중국 당(唐) 나라 덕종(德宗) 때 병부 시랑(兵部侍郞)을 지내고 부사(副使)가 되어 신라에 왔다가 귀화하였다고 하며, 상주 총관(尙州摠管) 등을 지냄.
중국>당ㅣ한국>통일신라 , 중국ㅣ경상도>상주 , 인명>기타인명>귀화인ㅣ인명>관인>문신
-
주인궤(朱仁軌)
중국 당(唐) 나라의 효자. 벼슬을 사양하고 부모를 봉양하고 살면서 자식들에게는 일생 동안 남에게 밭두둑을 양보해도 1묘(畝)의 밭도 손실되는 것이 아니라고 훈계하였음. 주희(朱熹)의 〈무원다원주씨세보서(婺源茶院朱氏世譜序)〉에 의하면 금릉 주씨(金陵朱氏)의 시조라고 함.
중국>당 , 중국 , 인명>기타인명>효자
-
주자(朱泚)
중국 당(唐) 나라 대종(代宗)~덕종(德宗) 때의 무신. 덕종 때 아우인 주도(朱滔)가 반란을 일으키자 사병(士兵)들의 추대를 받아 황제가 됨. 봉천(奉天)으로 피난한 덕종을 치려다가 이성(李晟)에게 패한 후 부장(部將)에게 피살됨.
742~784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주자대전(朱子大全)
중국 송(宋) 나라의 성리학자인 주희(朱熹)의 문집. 목판본. 본편 100권, 별집 11권, 속집 10권. 주희의 모든 학설과 학자들의 질의(質疑)에 대해 회답한 편지, 시(詩)ㆍ기(記)ㆍ명(銘)ㆍ비문(碑文)ㆍ묘지(墓誌) 등을 엮음.
1165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주자대전차의(朱子大全箚疑)
조선 숙종(肅宗) 때의 문신ㆍ학자인 송시열(宋時烈)이 주희(朱熹)의 《주자대전(朱子大全)》가운데 난해한 문자, 구절, 잘못 판각된 글자 등을 주석ㆍ고증ㆍ변증한 책. 121권 17책. 제자인 권상하(權尙夏) 등이 간행함.
1689?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주자만년정론(朱子晩年定論)
중국 명(明) 나라의 문신ㆍ학자인 왕수인(王守仁)의 저서. 1권. 주희(朱熹)도 말년에는 도문학(道問學)을 버리고 존덕성(尊德性)으로 회귀하였다는 주장을 담고 있어 나흠순(羅欽順) 등 주자학파들의 신랄한 비판을 받음.
중국>명 , 중국 , 문헌>서명
-
주자서절요(朱子書節要)
조선 명종(明宗) 때의 학자인 이황(李滉)이 주희(朱熹)의 《주자대전(朱子大全)》에 실린 서간문(書簡文) 가운데 정수(精髓)만을 모아 편집한 선집(選集). 1561년(명종 16) 황준량(黃俊良)이 성주(星州)에서 초간(初刊)하였으며, 이후 여러 차례 간행됨.
156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성주 , 문헌>서명
-
주자성서(朱子成書)
중국 원(元) 나라의 학자인 황서절(黃瑞節)의 저서. 10권. 여러 책 가운데 주희(朱熹)의 주석과 해설을 모아 편집하고 자기의 견해를 부록으로 붙임.
1341 중국>원 , 중국 , 문헌>서명
-
주자십회훈(朱子十悔訓)
중국 송(宋) 나라의 유학자인 주희(朱熹)가 남긴 학설. 사람이 일생을 살아가면서 하기 쉬운 후회 가운데 열 가지를 뽑아 제시함.
중국>송 , 중국 , 사상>이론>학설
-
주자어록(朱子語錄)
중국 송(南) 나라 영종(寧宗) 때의 문신ㆍ학자인 이도전(李道傳)이 주희(朱熹)와 문답한 문하생 33명의 대화 기록을 모아 엮은 책. 45권. 1215년에 지주(池州)에서 간행하였으며, 황간(黃榦)이 서문(序文)을 씀.
1215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주자어류(朱子語類)
중국 송(宋) 나라 도종(度宗) 때의 학자인 여정덕(黎靖德)이 이전까지 각각 따로 간행된 주희(朱熹)의 어록(語錄)과 어류(語類)를 집대성하여 정리한 책. 140권. 1270년에 처음 간행됨.
1270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주자어류소분(朱子語類小分)
조선 숙종(肅宗) 때의 문신ㆍ학자인 송시열(宋時烈)이 《주자어류(朱子語類)》를 유형별로 분류한 책. 1679년(숙종 5) 거제(巨濟)에 유배되었을 때 손자인 송주석(宋疇錫)과 함께 정리하고 산삭(刪削)하여 완성함.
1679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거제 , 문헌>서명
-
주자어류전해(朱子語類箋解)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ㆍ문인인 유희춘(柳希春)의 저서. 《주자어류(朱子語類)》에 대한 해설서로 추정되며, 지금은 산실(散失)되어 전하지 않음.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주장손(周長孫)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상주(尙州)로, 주상빈(周尙彬)의 아들이며 신재(愼齋) 주세붕(周世鵬)의 조부. 용양위 부호군(龍驤衛副護軍)을 지내고 병조 참의(兵曹參議)에 추증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상주 , 인명>관인>무신
-
주재(朱在)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 주희(朱熹)의 막내아들로, 《주문공문집(朱文公文集)》을 편찬하였으며, 공부 시랑(工部侍郞) 등을 역임함.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주전론(主戰論)
화전(和戰) 양론(兩論)에서 싸우기를 주장하는 논의. 대표적으로 조선 후기 병자호란 때 김상헌(金尙憲)과 홍익한(洪翼漢)ㆍ윤집(尹集)ㆍ오달제(吳達濟) 삼학사(三學士) 등이 최명길(崔鳴吉)을 중심으로 한 주화론(主和論)에 대응하여 주장함.
사상>기법>방법
-
주절휘요(朱節彙要)
조선 철종(哲宗) 때의 문신ㆍ학자인 유치명(柳致明)이 주희(朱熹)의 《주자대전(朱子大全)》 가운데 사상ㆍ학술적인 면에서 중요한 구절만을 뽑아 엮은 책. 4권 2책. 목판본. 1909년 간행됨.
1909 한국>근대 , 문헌>서명
-
주조(周慥)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상주(尙州). 주세곤(周世鵾)의 아들이며 주세붕(周世鵬)의 조카로, 주세붕이 그를 엄하게 훈육하는 내용의 글이 《무릉잡고(武陵雜稿)》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상주 , 인명>문사>유학
-
주지번(朱之蕃)
중국 명(明) 나라 신종(神宗) 때의 문신. 한림원 수찬(翰林院修撰) 등을 지냈으며, 1606년(조선 선조 39)에 양유년(梁有年)과 함께 황제의 원손(元孫) 탄생을 알리는 조서를 가지고 조선에 사신으로 옴. 돌아갈 때 허난설헌(許蘭雪軒)의 《난설헌집(蘭雪軒集)》을 가지고 가서 명에서 간행함.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주천유고(舟川遺稿)
조선 명종(明宗) 때의 학자인 강유선(康惟善)의 시문집. 1책. 목판본. 아들인 강복성(康復誠)이 유문(遺文)을 정리하고, 1607년(선조 40) 한준겸(韓浚謙)ㆍ이심(李愖) 등이 선천(宣川)에서 초간(初刊)함.
1607 한국>조선후기 , 평안도>선천 , 문헌>서명
-
주초위왕(走肖爲王)
주초(走肖)는 조(趙)라는 글자를 나눈 것으로, 조(趙)씨가 왕이 된다는 뜻. 조선 중종(中宗) 때 훈구파(勳舊派)들이 신진사류(新進士流)인 조광조(趙光祖) 일파를 제거하려고 대궐 나뭇잎에 과즙으로 ‘주초위왕(走肖爲王)’이란 글자를 써서 벌레가 갉아먹게 한 후, 그것을 왕에게 바침으로써 기묘사화(己卯士禍)의 발단이 됨.
1519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사상>술어>핵심어
-
주탁(周倬)
중국 명(明) 나라의 문신. 1385년(우왕 11)에 우리나라에 사신 와서 공민왕(恭愍王)의 시호를 내리고 우왕(禑王)을 책봉하였으며, 권근(權近)ㆍ정도전(鄭道傳) 등이 사환시(使還詩)를 지었음.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주택(周澤)
중국 후한(後漢) 때의 문신. 태상(太常)의 관원이 되어서 종묘(宗廟)를 지켰는데 병이 들어서 재궁(齋宮)에 누워 있을 때 그의 처가 몰래 가서 엿보자 금법을 범하였다는 이유로 아내를 조옥(詔獄)에 내려 보냈다고 함.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주해(朱亥)
중국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 위(魏) 나라의 백정. 신릉군(信陵君)이 진(秦) 나라의 공격을 받은 조(趙) 나라를 구원하러 갔을 때, 따라가서 위 나라의 대장 진비(晉鄙)를 철퇴로 때려죽이고 조 나라를 구원하였음.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기술인>백정
-
주호(周護)
일본 실정시대(室町時代)의 승려. 성석린(成石璘)의 《독곡집(獨谷集)》에 그와 관련한 시가 실려 있음.
일본>실정시대 , 일본 , 인명>종교인>승려
-
주화론(主和論)
화전(和戰) 양론(兩論)에서 화의(和議)를 주장하는 논의. 대표적으로 조선 후기 병자호란 때 최명길(崔鳴吉) 등이 김상헌(金尙憲)을 중심으로 한 주전론(主戰論)에 대응하여 주장함.
사상>기법>방법
-
주휘(朱暉)
중국 후한(後漢) 때의 문신. 임회 태수(臨淮太守)로 있으면서 정사를 잘하여 그곳 관리와 백성들이 존경하고 사랑하여 노래를 지어 불렀음.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주흥사(周興嗣)
중국 남북조시대 양(梁) 나라 무제(武帝) 때의 문인. 박학다재(博学多才)하고 문사(文思)에 민첩하여, 무제의 명으로 하룻밤만에 사언고시(四言古詩) 250구의 《천자문(千字文)》을 지음.
?~521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주희(朱熹)
중국 송(宋) 나라의 유학자. 송대(宋代) 유학자들의 학설을 집성 정리해서 공전(空前)의 사변철학(思辨哲學)과 실천윤리(實踐倫理)의 체계를 확립하여 성리학(性理學)을 집대성함. 《사서집주(四書集注)》등 많은 저서가 있음.
1130~1200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죽계별곡(竹溪別曲)
고려 충숙왕(忠肅王)~충목왕(忠穆王) 때의 문신인 안축(安軸)이 지은 경기체가(京幾體歌). 전체 5장으로, 고향인 경상북도 풍기(豊基) 죽계(竹溪)의 경치를 읊었으며, 《근재집(謹齋集)》과 《죽계지(竹溪誌)》에 수록되어 있음.
한국>고려후기 , 문헌>작품명
-
죽계사(竹溪辭)
조선 중종(中宗) 때 풍기 군수(豐基郡守) 주세붕(周世鵬)이 순흥(順興)의 죽계(竹溪)에 문성공(文成公) 안향(安珦)의 사당을 세우고 지은 작품.
154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천(榮川) , 문헌>작품명
-
죽계세적(竹溪世蹟)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인인 안전(安瑑)과 그의 아들 안창국(安昌國)‚ 안창국의 조카 청계(淸溪) 안영(安瑛)의 시문집. 3권 1책. 목활자본. 1805년(순조 5)경 후손 안극창(安克昌)과 안환(安瓛)이 수습하여 간행함.
1805?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죽계육일(竹溪六逸)
중국 당(唐) 나라 천보(天寶) 연간에 태안부(泰安府) 조래산(徂徠山) 아래 죽계(竹溪)에 모여 날마다 술과 노래를 즐기며 세속을 초일(超逸)한 여섯 명의 문인. 이백(李白)ㆍ공소보(孔巢父)ㆍ한준(韓準)ㆍ배정(裵政)ㆍ장숙명(張叔明)ㆍ도면(陶沔)을 말함.
중국>당 , 중국 , 인명>집단>조직
-
죽도(竹島)
경상도 통영(統營)에 속해 있는 섬. 섬 내에 대나무가 많다 하여 대섬이라고 부름.
경상도>고성 , 지명>행정지명
-
죽령(竹嶺)
경상북도 영주(榮州)와 충청북도 단양(丹陽)의 경계에 있는 고개 이름. 소백산맥(小白山脈)이 영남(嶺南)과 호서(湖西)를 갈라놓는 길목으로, 순흥(順興)의 서쪽 통로에 해당함.
충청도>단양ㅣ경상도>풍기 , 지명>자연지명
-
죽림고회(竹林高會)
고려 후기에 명리(名利)를 떠나 망년지교(忘年之交)를 맺고 청담(淸談)을 즐기던 일곱 명의 선비. 이인로(李仁老)ㆍ오세재(吳世才)ㆍ임춘(林椿)ㆍ조통(趙通)ㆍ황보항(皇甫抗)ㆍ함순(咸淳)ㆍ이담지(李湛之)를 가리킴.
한국>고려후기 , 인명>집단>조직
-
죽림서원(竹林書院)
조선 인조(仁祖) 때 전라도 여산(礪山)에 건립한 서원. 1626년(인조 4) 황산사(黃山祠)로 창건되어 1665년(현종 6) 사액되었으며, 이이(李珥)ㆍ성혼(成渾)ㆍ김장생(金長生)ㆍ조광조(趙光祖)ㆍ이황(李滉)ㆍ송시열(宋時烈) 등을 배향함. 현재 충청남도 논산(論山)에 속함.
1626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여산 , 유적>건물>서원,향교
-
죽림칠현(竹林七賢)
중국 위(魏)ㆍ진(晉)의 교체기에 세상을 등지고 죽림(竹林)에 모여 청담(淸談)으로 세월을 보낸 일곱 명의 선비.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집단>조직
-
죽보상록(竹譜詳錄)
중국 원(元) 나라의 문신ㆍ서화가인 이간(李衎)의 화보(畵譜). 대나무의 생태, 묵죽(墨竹)에 대한 화법(畵法), 죽화가(竹畵家)들의 계보 등 대나무에 관한 모든 것을 포괄적으로 기록함.
1319 중국>원 , 중국 , 문헌>서명
-
죽서루(竹西樓)
고려 충렬왕(忠烈王) 때 이승휴(李承休)가 강원도 삼척(三陟) 성내동(城內洞)에 세운 누각. 관동팔경(關東八景)의 하나로, 조선 태종(太宗) 때 김효손(金孝孫)이 중수(重修)함.
1275 한국>고려후기 , 강원도>삼척 , 유적>건물>누정
-
죽수서원(竹樹書院)
조선 선조(宣祖) 때 전라도 능성(綾城)에 건립된 서원(書院). 건립된 해인 1570년(선조 3)에 사액되었으며, 조광조(趙光祖)ㆍ양팽손(梁彭孫)을 배향함. 현재 전라남도 화순군(和順郡)에 속함.
1570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능성 , 유적>건물>서원,향교
-
죽연정(竹淵亭)
조선 전기에 경상도 고령(高靈)에 건립한 누각. 박윤(朴潤)ㆍ조식(曺植)ㆍ배신(裵紳)ㆍ신계성(申季誠)ㆍ이희안(李希顔)ㆍ윤규(尹奎) 등이 이곳에서 도의(道義)를 강마(講磨)하며 음풍농월(吟風弄月)하였다고 하며, 이곳을 소재로 한 조식의 시가 있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령 , 유적>건물>누정
-
죽유집(竹牖集)
조선 명종(明宗)~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인 오운(吳澐)의 저서. 6권 3책. 목판본. 7세손 오사중(吳司重)이 편집한 것을 1783년(정조 7)에 간행하고, 이급(李級)과 이수정(李守定)의 서문, 한광선(韓光善)의 발문이 실려 있음.
1783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죽재집(竹齋集)@곽간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인 곽간(郭趕)의 시문집. 손자 곽집(郭㠎)이 유고를 수집하여 1613년(광해군 5)에 간행함.
1613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죽재집(竹齋集)@윤인함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서화가인 윤인함(尹仁涵)의 시문집.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죽정서원(竹亭書院)
조선 숙종(肅宗) 때 전라도 영암(靈巖)에 건립된 서원. 박성건(朴成乾)ㆍ박권(朴權)ㆍ박규정(朴奎精)ㆍ이만성(李晩成)ㆍ박승원(朴承源) 등을 배향함. 1868년(고종 5) 흥선대원군(興宣大院君)의 서원 철폐령으로 훼철되었다가 복원됨.
1681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영암 , 유적>건물>서원,향교
-
죽지사(竹枝詞)
중국 당(唐) 나라 덕종(德宗)~무종(武宗) 때의 문신ㆍ시인인 유우석(劉禹錫)이 지은 가요. 유우석이 귀양 간 파유(巴渝) 지방 민가(民歌) 중의 하나로, 농민의 생활 감정을 19장으로 노래함.
중국>당 , 중국 , 문헌>작품명
-
죽창유고(竹窓遺稿)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문인인 구용(具容)의 시집. 2책. 1605년(선조 38) 친구 권필(權韠)이 가장(家藏)되어 있던 시 100여 편을 1권으로 편차하고, 1648년(인조 26) 아버지 구사맹(具思孟)의 시문집인 《팔곡집(八谷集)》의 중간본에 부집하여 영천(榮川)에서 간행함.
1648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영천(榮川) , 문헌>서명
-
죽천집(竹川集)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의병장인 박광전(朴光前)의 시문집. 1책. 목판본. 문인 선정달(宣廷達)이 수집하고, 후손 박봉석(朴鳳錫) 등이 편차하였으며, 1754년(영조 30) 5대손 박내석(朴乃錫) 등이 간행함. 1809년(순조 9) 후손 박형덕(朴馨德) 등이 중간본을, 1929년 박태선(朴泰璿) 등이 삼간본을 간행함.
1754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준왕(準王)
고대 기자조선(箕子朝鮮)의 마지막 국왕. 망명하여 온 연(燕) 나라 사람 위만(衛滿)이 모반을 일으키자 마한(馬韓) 땅으로 도망하여 유민(流民)을 수습하고 한왕(韓王)이라 칭하였음.
고대 , 인명>왕실>국왕
-
준요록(遵堯錄)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인 나종언(羅從彦)의 저서. 8권. 송 나라 군신의 사적(事迹)에 비평을 가한 정치사상서.
1126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중^인(中^仁)
조선 제11대 국왕인 중종(中宗)과 제12대 국왕인 인종(仁宗)을 함께 부르는 말.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사상>술어>관용어
-
중강첩장도(重江疊嶂圖)
중국 원(元) 나라의 서화가ㆍ문인인 조맹부(趙孟頫)의 그림 작품.
1303 중국>원 , 중국 , 문헌>작품명
-
중경지(中京誌)
경기도 개성부(開城府)의 읍지. 11권 6책. 목활자본. 1824년(순조 24)에 유수(留守) 김이재(金履載)가 편찬하고, 1855년(철종 6) 조병기(趙秉夔) 등이 증보하여 간행함. 《송도지(松都誌)》를 저본으로 하여 개성의 역사ㆍ지리ㆍ사회ㆍ경제ㆍ행정ㆍ인물ㆍ고적 등을 상세하게 수록함.
1855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중국역대총론(中國歷代總論)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ㆍ학자인 오여벌(吳汝橃)이 지은 중국 역사서.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중긍(中亙)
고려 후기의 승려. 나이 들어서 내원당(內願堂)에서 물러나와 남원(南原)에 있는 승련사(勝蓮寺)에서 죽었는데, 졸암(拙菴) 연온(衍昷) 등이 그의 뜻을 이어 승련사를 증축하였음.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남원 , 인명>종교인>승려
-
중봉집(重峯集)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의병장인 조헌(趙憲)의 문집. 3책. 목판본. 안방준(安邦俊)이 정리하고, 송시열(宋時烈)이 저자의 증손이자 자신의 제자인 조광한(趙匡漢)과 함께 문집의 초본을 완성하였으며, 1666년(현종 7) 전라 감사인 민유중(閔維重)이 간행함.
1666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문헌>서명
-
중산보(仲山甫)
중국 주(周) 나라 선왕(宣王) 때의 현대부(賢大夫). 신백(申伯)과 함께 임금을 보좌한 어진 재상으로 알려져 있으며, 《시경(詩經)》 〈대아(大雅)〉에 그들을 찬미하는 내용이 실려 있음.
중국>주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중설(中說)
중국 수(隋) 나라의 유학자인 왕통(王通)의 저서. 《논어(論語)》를 본떠서 왕통이 문인(文人)들과 나눈 대화를 분류ㆍ정리한 책으로, 왕도(王道)ㆍ천지(天地)ㆍ사군(事君) 등으로 구성됨. 동생 왕응(王凝)과 아들 왕복치(王福畤)가 자신들의 의견을 첨가하여 편찬함.
중국>수 , 중국 , 문헌>서명
-
중순당집(中順堂集)
고려 공민왕(恭愍王)~우왕(禑王) 때의 무신인 나흥유(羅興儒)의 문집.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상주 , 문헌>서명
-
중암집(中菴集)
고려 충렬왕(忠烈王)~충혜왕(忠惠王) 때의 문신인 채홍철(蔡洪哲)의 문집.
한국>고려후기 , 문헌>서명
-
중영설(仲英說)
고려 공민왕(恭愍王)~우왕(禑王) 때의 문신ㆍ학자인 이색(李穡)이 도(道)를 묻고 깨달음을 얻으려는 각웅(覺雄)을 위하여 지은 글.
한국>고려후기 , 문헌>작품명
-
중옹(仲雍)
중국 주(周) 나라 태왕(太王)의 둘째 아들. 어머니는 태강(太姜). 태왕이 셋째 아들인 왕계(王季)에게 전위(傳位)하려 하자 형 태백(太伯)과 함께 형만(荊蠻)으로 들어가 단발문신(斷髮文身)을 하고 오(吳) 나라를 건국함.
중국>주 , 중국 , 인명>왕실>왕자
-
중용(中庸)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학자인 공급(孔伋)이 저술한 유교 경전. 《예기(禮記)》의 제31편이었던 것을 송(宋) 나라의 주희(朱熹)가 따로 떼어서 사서(四書)에 포함시킴. 유교의 철학적 배경을 천명하여, 중화사상(中和思想)ㆍ성(誠) 등의 내용을 33장에 담고 있음.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문헌>서명
-
중용설(中庸說)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인 나종언(羅從彦)이 지은, 《중용(中庸)》에 대한 논설서.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중용의(中庸義)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인 진양(陳襄)이 지은, 《중용(中庸)》에 대한 강해서(講解書).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중용장구상설(中庸章句詳說)
중국 명(明) 나라 태조(太祖) 때의 학자인 유청(劉淸)이 지은, 《중용장구(中庸章句)》에 대한 해설서. 사백선(史伯璿)의 견해와 팽정견(彭廷堅)의 표제를 덧붙임.
중국>명 , 중국 , 문헌>서명
-
중유(仲由)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학자. 공자(孔子)의 제자. 공자의 훈계로 입문(入門)하여 헌신적으로 공자를 섬김. 정치(政治) 방면에 뛰어난 재능이 있어 노 나라와 위(衛) 나라에서 벼슬하였으나 괴외(蒯聵)의 내란 때 전사함.
B.C.543~B.C.480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중장묵(仲將墨)
중국 삼국시대 위(魏) 나라의 명필인 위탄(韋誕)이 만든 묵(墨).
중국>삼국시대 , 중국 , 물품>기타물품
-
중장통(仲長統)
중국 후한(後漢) 때의 학자. 학문을 좋아하고 문사(文辭)에 능하며 직언(直言)을 즐겨 비판정신이 투철하였으며, 저서로 《창언(昌言)》이 있으나 전하지는 않음.
179~220 중국>후한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중조산(中條山)
전라도 능성(綾城)에 있는 산 이름. 조광조(趙光祖)가 유배되었다가 사사(賜死)된 곳으로, 양팽손(梁彭孫)이 이곳에 조광조의 사당을 지어 추모하였으며, 산 아래에 학포당(學圃堂)을 짓고 은거함.
전라도>능성 , 지명>자연지명
-
중종(中宗)@당
중국 당(唐) 나라의 제4대 황제. 재위 683~684, 705~710. 고종(高宗)의 제7자로 어머니는 측천무후(則天武后). 제위(帝位)에 있는 동안 어머니와 황후인 위후(韋后)에게 휘둘려 이름뿐인 황제였음.
656~710 중국>당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중종(中宗)@조선
조선 제11대 국왕. 재위 1506~1544. 중종반정(中宗反正)으로 즉위하여 연산군의 폐정(弊政)을 개혁하고, 조광조(趙光祖) 등을 중용하여 왕도정치를 실시하였으나, 기묘사화(己卯士禍) 이후 정국이 혼미를 거듭하면서 별다른 치적을 남기지 못함.
1488~154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국왕
-
중종반정(中宗反正)
조선 연산군(燕山君) 12년(1506)에 박원종(朴元宗) 등이 연산군을 폐위시키고 진성대군(晉城大君)을 왕으로 추대한 사건.
1506 한국>조선전기 , 사건>기타사건
-
중종실록(中宗實錄)
조선 제11대 중종(中宗) 재위 39년간의 편년체(編年體) 기록. 이기(李芑) 등이 주관하여 1550년(명종 5)에 간행함.
1550 한국>조선전기 , 서울 , 문헌>서명
-
중주집(中州集)
중국 금(金) 나라 말기의 시인인 원호문(元好問)이 편집한 시집. 금 나라 때의 시들을 수록하였는데, 첫머리의 현종(顯宗)의 시 2수, 장종(章宗)의 시 1수는 권수에 넣지 않고, 나머지는 10권으로 구성되어 십간(十干) 체제로 배열됨.
1249 중국>금 , 중국 , 문헌>서명
-
중준(重俊)
일본 실정시대(室町時代)의 거사(居士). 김종직(金宗直)에게 자(字)를 지어받기를 청했는데, 그에 관한 자설(字說)이 《점필재집(佔畢齋集)》에 실려 있음.
일본>실정시대 , 일본 , 인명>기타인명>은자
-
중추첩(中秋帖)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서예가인 왕헌지(王獻之)의 행초체(行草體) 법첩(法帖). 왕희지(王羲之)의 쾌설첩(快雪帖), 왕순(王珣)의 백원첩(伯遠帖)과 함께 청(淸) 나라 고종(高宗)의 《삼희당법첩(三稀堂法帖)》에 들어감.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문헌>작품명
-
중현(重顯)
중국 송(宋) 나라 운문종(雲門宗)의 승려. 성도 보안원(成都普安院)의 인선(仁銑)과 지문 광조(智門光祚)에게 사사하였으며, 저서에는 《설두송고(雪竇頌古)》와 《설두칠부집(雪竇七部集)》 등이 있음.
980~1052 중국>송 , 중국 , 인명>종교인>승려
-
중화양씨(中和楊氏)
고려 고종(高宗) 때 정승(政丞)을 지낸 당악군(唐岳君) 양포(楊浦)를 시조로 하는 성씨.
한국>고려후기 , 평안도>중화 , 인명>집단>성씨
-
즉묵(卽墨)
중국 춘추전국시대 제(齊) 나라의 고을 이름. 현재 산동성(山東省) 동부(東部)에 위치함. 전단(田單)이 연(燕) 나라와의 전쟁 중에 거(莒)와 즉묵(卽墨) 두 성을 근거로 하여 잃어버린 70여 성을 모두 회복하여, 이후 나라를 회복시키는 근거지를 의미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지명>행정지명
-
증^맹(曾^孟)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학자인 증삼(曾參)과 사상가인 맹자(孟子)를 함께 부르는 말. 유학에서 말하는 사성(四聖)에 속하는 인물들로, 성인을 가리킴.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증^민(曾^閔)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학자인 증삼(曾參)과 민손(閔損)을 함께 부르는 말. 공자(孔子)의 제자로서 효행이 뛰어난 사람을 가리킴.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증^사(曾^思)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학자인 증삼(曾參)과 공급(孔伋)을 함께 부르는 말.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증^사^맹(曾^思^孟)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 학자ㆍ사상가인 증삼(曾參)과 공급(孔伋), 맹자(孟子)를 함께 부르는 말.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증공(曾鞏)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문인. 당송팔대가(唐宋八大家)의 한 사람으로, 저서에 《금석록(金石錄)》과 시문집 《원풍유고(元豊遺藁)》가 있음.
1019~1083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증공량(曾公亮)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 정도(丁度) 등과 함께 《무경총요(武經總要)》를 찬술하였고, 《신당서(新唐書)》를 편찬하는 일을 총재하였음.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