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여강(呂江) - 여강(驪江)
경기 여주(驪州)에서 여주 지역을 흐르는 한강(漢江)을 일컫는 이름.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원호(元豪)가 왜적을 격퇴한 곳.
경기도>여주 , 지명>자연지명
-
여강(廬江) - 여산(廬山)
경상도 안동(安東) 임하현(臨河縣)에 있는 고을 이름. 호계서원(虎溪書院)이 조선 선조(宣祖) 때 여강서원(廬江書院)이란 이름으로 창건된 곳.
경상도>안동 , 지명>자연지명
-
여강(驪江)@여주 - 여주(驪州)
경기도 동남부의 고을 이름. 고구려 때 골내근현(骨乃斤縣)이라 부른 이후, 여러 명칭으로 바뀌어 불리다가 1468년(예종 1) 여주라 하고 목(牧)으로 승격함.
경기도>여주 , 지명>행정지명
-
여강군(驪江君)@민무구 - 민무구(閔無咎)
조선 태조(太祖)~태종(太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 여흥부원군(驪興府院君) 민제(閔霽)의 맏아들이며, 태종비 원경왕후(元敬王后)의 동생. 동생 민무질(閔無疾) 등과 함께 태종의 외척이며, 정사(定社)ㆍ좌명(佐命)의 두 공신을 겸하였으나, 협유집권(挾幼執權)의 혐의로 참화를 당함.
?~1410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여강군(驪江君) - 이균(李勻)@김의정의사위
조선 전기의 문신. 잠암(潛庵) 김의정(金義貞)의 둘째 사위로, 여강군(驪江君)에 봉해짐.
한국>조선전기 , 인명>관인>문신
-
여강사(驪江寺) - 신륵사(神勒寺)
경기도 여주(驪州) 북내면(北內面)의 봉미산(鳳尾山)에 있는 사찰. 신라 진평왕(眞平王) 때 원효(元曉)가 창건하였다고 전해지며, 조선 성종(成宗)때 영릉(英陵)의 원찰(願刹)이 되면서 보은사(報恩寺)로 불림.
한국>신라 , 경기도>여주 , 유적>건물>사찰
-
여강서원(廬江書院) - 호계서원(虎溪書院)@안동
조선 선조(宣祖) 때 경상도 안동(安東)에 건립한 서원. 1576년(선조 9)에 여강서원(廬江書院)으로 창건되고, 1676년(숙종 2)에 호계서원(虎溪書院)이라 사액되었으며, 이황(李滉)ㆍ유성룡(柳成龍)ㆍ김성일(金誠一)을 배향함.
157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유적>건물>서원,향교
-
여강어부(驪江漁父) - 김구용(金九容)
고려 공민왕(恭愍王)~우왕(禑王) 때의 문신ㆍ문인ㆍ학자. 본관은 안동(安東). 우왕 때 삼사 좌윤(三司左尹)으로 이숭인(李崇仁)ㆍ정도전(鄭道傳) 등과 북원(北元) 사절의 영접을 반대하다 죽주(竹州)로 귀양 감. 사장(詞章)에 뛰어나고, 특히 시(詩)로 유명함.
1338~1384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여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여강원(廬江院) - 호계서원(虎溪書院)@안동
조선 선조(宣祖) 때 경상도 안동(安東)에 건립한 서원. 1576년(선조 9)에 여강서원(廬江書院)으로 창건되고, 1676년(숙종 2)에 호계서원(虎溪書院)이라 사액되었으며, 이황(李滉)ㆍ유성룡(柳成龍)ㆍ김성일(金誠一)을 배향함.
157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유적>건물>서원,향교
-
여강이씨(驪江李氏) - 여주이씨(驪州李氏)
고려 때의 인용교위(仁勇校尉) 이인덕(李仁德) 계통과, 중윤(中尹) 이은백(李殷伯) 계통과, 진사(進士) 이세정(李世貞) 계통 등 시조를 달리하는 세 계통을 아울러 이르는 성씨.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여주 , 인명>집단>성씨
-
여개(汝愷) - 강여개(姜汝愷)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사옹원 정(司饔院正) 강윤권(姜允權)의 아들로, 군수(郡守)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여건(汝乾) - 박인량(朴寅亮)@박진의아들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때의 문신. 본관은 밀양(密陽). 조식(曺植)과 이황(李滉)에게 수학하였으며, 원종공신(原從功臣)에 책록되고 가선대부(嘉善大夫)에 오름.
1546~1638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단성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여건(汝健) - 유극신(柳克新)
조선 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문화(文化). 이항(李恒)의 문인인 유몽학(柳夢鶴)의 아들.
1556~?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여견(汝見) - 유중룡(柳仲龍)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문화(文化). 유유춘(柳有春)의 아들이며, 오건(吳健)의 문인. 임진왜란과 정유재란 때 의병을 일으켜 김면(金沔)ㆍ곽재우(郭再祐)의 휘하에서 활약함. 성균관 사성(成均館司成) 등을 지냄.
1558~1635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문화 , 인명>관인>문신
-
여겸(汝兼) - 김남중(金南重)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울산(蔚山). 하서(河西) 김인후(金麟厚)의 손자이며, 고봉(高峯) 기대승(奇大升)의 사위. 선교랑(宣敎郞)에 올랐고, 1590년(선조 23) 종계변무(宗系辨誣)의 공이 인정되어 광국원종공신(光國原從功臣)에 추록(追錄)되었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울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여경(汝慶) - 김여경(金汝慶)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서장관(書狀官)으로 떠날 때 정탁(鄭琢)이 지어준 시가 《약포집(藥圃集)》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관인>문신
-
여경(礪卿) - 조빈(趙鑌)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배천(白川). 조양선(趙揚善)의 아들. 통훈대부(通訓大夫) 성균관 사예(成均館司藝)로, 시(詩)를 잘하여 조정에서 유명하였음.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배천 , 인명>관인>문신
-
여경(餘慶)@홍유손 - 홍유손(洪裕孫)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인. 본관은 남양(南陽). 김종직(金宗直)의 문인(門人)으로, 김수온(金守溫)ㆍ김시습(金時習)ㆍ남효온(南孝溫) 등과 교유하며 학문과 시율(詩律)을 논함. 무오사화 때 제주에 유배되었다가 중종반정으로 풀려남.
1452~1529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남양 , 인명>문사>문인
-
여경(餘慶)@이여경 - 이여경(李餘慶)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충청도 도사(忠淸道都事)를 지낸 이수원(李守元)의 아들로, 청도 군수(淸道郡守)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광주 , 인명>관인>문신
-
여경(餘慶) - 김현성(金玄成)
조선 명종(明宗)~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ㆍ서화가. 본관은 김해(金海). 시(詩)ㆍ서(書)ㆍ화(畵)에 두루 능하였으며, 숭인전비문(崇仁殿碑文) 등 서예 유작이 전해짐.
1542~1621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