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여람(輿覽) - 동국여지승람(東國輿地勝覽)
조선 성종(成宗) 때 《팔도지리지(八道地理志)》에 우리나라 문사(文士)들의 시문(詩文)을 첨가하여 편찬한 관찬 지리서(官撰地理書). 50권. 조선 전기 지리지의 집대성.
1481 한국>조선전기 , 서울 , 문헌>서명
-
여량(汝樑)@신여량 - 신여량(申汝樑)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고령(高靈). 상호군(上護軍) 신한(申瀚)의 아들로, 한성 판관(漢城判官)ㆍ순천 군수(順川郡守)ㆍ내자시 첨정(內資寺僉正) 등을 지냄.
1505~1580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여량(汝樑) - 박여량(朴汝樑)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삼척(三陟)으로, 졸재(拙齋) 노상(盧祥)의 문인. 정인홍(鄭仁弘)ㆍ정온(鄭蘊)ㆍ오장(吳長)ㆍ박이장(朴而章) 등과 교유하고, 지평(持平)ㆍ문학(文學) 등을 지냄.
1554~1611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함양 , 인명>관인>문신
-
여량(汝良)@양산준 - 양산준(梁山浚)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제주(濟州). 학포(學圃) 양팽손(梁彭孫)의 손자이며, 병절교위(秉節校尉) 양응기(梁應箕)의 아들로, 예빈시 봉사(禮賓寺奉事)를 지냈으나 일찍 죽음.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능성 , 인명>관인>문신
-
여량(汝良) - 이사필(李師弼)
조선 연산군(燕山君) 때의 무신. 본관은 여주(驪州). 이증석(李曾碩)의 아들이며 월연(月淵) 이태(李迨)의 아버지. 교위(校尉)를 지냈으며, 무오사화(戊午士禍)가 일어나자 밀양(密陽)으로 퇴거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밀양 , 인명>관인>무신
-
여량(礪良) - 여산(礪山)
전라도 익산(益山)에 있던 옛 고을 이름. 조선 정종(定宗) 때 여량(礪良)과 낭산(朗山)의 이름을 합쳐 여산이라 칭했고, 세종(世宗) 때 군(郡)으로 승격함.
전라도>여산 , 지명>행정지명
-
여량군(礪良君)@송현수 - 송현수(宋玹壽)
조선 단종(端宗) 때의 문신. 단종의 장인. 본관은 여산(礪山). 1457년(세조 3) 금성대군(錦城大君)이 사사된 뒤 주살(誅殺)됨.
?~1457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여산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여량군(礪良君) - 송거신(宋居信)
고려 말~조선 세종(世宗) 때의 무신. 본관은 여산(礪山). 태종(太宗)이 잠저(潛邸) 시절 사냥에 나갔다가 위기에 빠지자 필사적으로 구출하였으며, 태종 즉위 후 좌명공신(佐命功臣)에 책록됨.
1369~1447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여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여량부원군(礪良府院君)@송현수 - 송현수(宋玹壽)
조선 단종(端宗) 때의 문신. 단종의 장인. 본관은 여산(礪山). 1457년(세조 3) 금성대군(錦城大君)이 사사된 뒤 주살(誅殺)됨.
?~1457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여산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여량송씨(礪良宋氏) - 여산송씨(礪山宋氏)
고려 때 진사(進士)를 지내고 추밀원 부사(樞密院副使)에 추증된 송유익(宋惟翊)을 시조로 하는 성씨.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여산 , 인명>집단>성씨
-
여려(汝礪)@김여려 - 김여려(金汝礪)
조선 세조(世祖) 때의 무신. 본관은 강릉(江陵). 부사(府使) 김숙(金淑)의 아버지로, 1455년(세조 1) 원종공신(原從功臣) 3등에 녹훈됨.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강릉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여려(汝礪) - 이상경(李商卿)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장수(長水). 이수림(李壽林)의 아들로, 1513년(중종 8)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남해 , 인명>문사>유학
-
여로(呂老) - 여이간(呂夷簡)
중국 송(宋) 나라 인종(仁宗) 때의 문신. 오랜 기간 재상(宰相)으로서 국정을 좌우하였으나 범중엄(范仲淹)ㆍ왕증(王曾) 등과 대립하다가 인종의 개혁 의지로 파면됨.
979~1044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여로(汝老) - 민여로(閔汝老)
조선 인조(仁祖)~현종(顯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 민재문(閔在文)의 아들로, 1642년(인조 20)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였으며, 장령(掌令)ㆍ목사(牧使) 등을 지냄.
1598~1671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공주 , 인명>관인>문신
-
여로(驪老) - 김안국(金安國)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의성(義城). 김굉필(金宏弼)의 문인으로 사림파(士林派)의 학통을 계승하고, 성리학을 이념으로서만이 아닌 실천적 학문으로서 중시함.
1478~1543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이천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여룡(汝龍) - 박여룡(朴汝龍)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면천(沔川)으로, 이이(李珥)의 문인. 임진왜란 때 행재소(行在所)를 호위하여 호성공신(扈聖功臣)에 책록되고, 1605년(선조 38) 선무 원종공신(宣武原從功臣)에 책록됨.
1541~1611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해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여릉(廬陵)@구양수 - 구양수(歐陽脩)
중국 송(宋) 나라 인종(仁宗)~신종(神宗) 때의 문신ㆍ문인. 한유(韓愈)로부터 큰 영향을 받아 고문(古文) 부흥에 힘씀. 추밀부사(樞密副使)ㆍ참지정사(參知政事) 등을 지냄.
1007~1072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여릉(廬陵) - 문천상(文天祥)
중국 남송(南宋) 때의 문신ㆍ시인. 지방관으로 있을 때 천도를 반대하는 글을 올려 면직됨. 송 나라 멸망 후 옥중(獄中)에서 지은 〈정기가(正氣歌)〉로 유명함.
1236~1282 중국>원ㅣ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여릉노쉬(廬陵老倅) - 구양수(歐陽脩)
중국 송(宋) 나라 인종(仁宗)~신종(神宗) 때의 문신ㆍ문인. 한유(韓愈)로부터 큰 영향을 받아 고문(古文) 부흥에 힘씀. 추밀부사(樞密副使)ㆍ참지정사(參知政事) 등을 지냄.
1007~1072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여릉송승상신국공문충렬선생전집(廬陵宋丞相信國公文忠烈先生全集) - 문산전집(文山全集)
중국 남송(南宋)의 문신이며 애국시인인 문천상(文天祥)의 시문집. 1552년 언무경(鄢懋卿)이 판각한 28권본 이래 여러 개의 판본이 전해짐. 송(宋)ㆍ원(元) 교체기의 시대적 배경으로 인해 비장하고 강개한 작품들이 대부분임.
1552 중국>명 , 중국 , 문헌>서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