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여신(如神) - 이함장(李諴長)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전의(全義). 부윤(府尹) 이사관(李士寬)의 아들이며, 황해도 관찰사(黃海道觀察使) 이수남(李壽男)의 아버지. 1457년(세조 3) 중시(重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예조 참판(禮曹參判)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전의 , 인명>관인>문신
-
여신(汝信) - 민여신(閔汝信)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 문천 군수(文川郡守) 민사용(閔思容)의 아들로, 1594년(선조 27)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였으며, 고산 찰방(高山察訪) 등을 지냄.
1554~?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여신(汝信)@성여신 - 성여신(成汝信)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학자. 본관은 창녕(昌寧). 조식(曺植)의 문인(門人)으로, 일찍부터 문명(文名)을 떨쳤으며, 저서에 《부사집(浮査集)》이 있음.
1546~1632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진주 , 인명>문사>학자
-
여신(汝愼) - 최명창(崔命昌)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개성(開城). 부사과(副司果) 최철손(崔鐵孫)의 아들로, 예조 참판(禮曹參判)ㆍ황해도 관찰사(黃海道觀察使)를 지내고, 청백리(淸白吏)에 녹선(錄選)됨.
1466~1536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관인>문신
-
여씨(呂氏) - 여대균(呂大鈞)
중국 송(宋) 나라 인종(仁宗)~신종(神宗) 때의 문신ㆍ학자. 여대방(呂大防)의 아우로, 장재(張載)에게 수학하고, 부연전운사(鄜延轉運使) 등을 지냄. 조선시대 향약의 기본이 된 여씨향약(呂氏鄕約)의 네 가지 강령을 제정함.
1031~1082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여씨(麗氏) - 고려(高麗)
왕건(王建)이 태봉(泰封)의 궁예(弓裔)를 추방하고 개성(開城)에 도읍하여 세운 나라. 태조(太祖)에서 공양왕(恭讓王)까지 34대 475년간 존속.
918~1392 한국>고려시대 , 시간>국명
-
여씨구약(呂氏舊約) - 여씨향약(呂氏鄕約)
중국 북송(北宋)의 여대충(呂大忠)ㆍ여대방(呂大防)ㆍ여대균(呂大勻)ㆍ여대림(呂大臨) 네 형제가 향촌을 교화ㆍ선도하기 위해 만든 자치적인 규약. 덕업상권(德業相勸)ㆍ과실상규(過失相規)ㆍ예속상교(禮俗相交)ㆍ환난상휼(患難相恤) 등 네 가지 강령으로 하며, 조선 후기에 실시된 향약의 모체가 됨.
중국>송 , 중국 , 법제>의례>향촌의례ㅣ문헌>서명
-
여씨약(呂氏約) - 여씨향약(呂氏鄕約)
중국 북송(北宋)의 여대충(呂大忠)ㆍ여대방(呂大防)ㆍ여대균(呂大勻)ㆍ여대림(呂大臨) 네 형제가 향촌을 교화ㆍ선도하기 위해 만든 자치적인 규약. 덕업상권(德業相勸)ㆍ과실상규(過失相規)ㆍ예속상교(禮俗相交)ㆍ환난상휼(患難相恤) 등 네 가지 강령으로 하며, 조선 후기에 실시된 향약의 모체가 됨.
중국>송 , 중국 , 법제>의례>향촌의례ㅣ문헌>서명
-
여약(呂約) - 여씨향약(呂氏鄕約)
중국 북송(北宋)의 여대충(呂大忠)ㆍ여대방(呂大防)ㆍ여대균(呂大勻)ㆍ여대림(呂大臨) 네 형제가 향촌을 교화ㆍ선도하기 위해 만든 자치적인 규약. 덕업상권(德業相勸)ㆍ과실상규(過失相規)ㆍ예속상교(禮俗相交)ㆍ환난상휼(患難相恤) 등 네 가지 강령으로 하며, 조선 후기에 실시된 향약의 모체가 됨.
중국>송 , 중국 , 법제>의례>향촌의례ㅣ문헌>서명
-
여양(驪陽) - 여주(驪州)
경기도 동남부의 고을 이름. 고구려 때 골내근현(骨乃斤縣)이라 부른 이후, 여러 명칭으로 바뀌어 불리다가 1468년(예종 1) 여주라 하고 목(牧)으로 승격함.
경기도>여주 , 지명>행정지명
-
여양(黎陽) - 단목사(端木賜)
중국 춘추전국시대 위(衛) 나라의 학자. 공자(孔子)의 제자. 공문십철(孔門十哲)의 한 사람으로 재여(宰予)와 더불어 언어에 뛰어났으며, 노(魯) 나라와 위 나라에서 재상(宰相)을 지냄.
B.C.520?~B.C.456?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여양군(呂陽君) - 이자겸(李子謙)
조선 전기의 종친. 태종(太宗)의 둘째 아들인 효령대군(孝寧大君) 이보(李補)의 증손이며, 율원군(栗元君) 이종(李徖)의 아들.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여양군(礪良君)@송선 - 송선(宋璿)
고려 후기의 문신. 민제(閔霽)의 장인이며 삼한국대부인(三韓國大夫人) 송씨(宋氏)의 아버지로, 여양군(礪良君)에 봉해짐.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여산 , 인명>관인>문신
-
여양군(礪良君) - 송송례(宋松禮)
고려 원종(元宗)~충렬왕(忠烈王) 때의 문신. 원종 때 문하성 직사(門下省直事)로서 홍규(洪奎)와 함께 권신 임유무(林惟茂)를 죽이고 왕정(王政)을 복고시켰으며, 찬성사 중찬(贊成事中贊) 등을 역임함.
?~1289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여산 , 인명>관인>문신
-
여양군(驪陽君)@민인백 - 민인백(閔仁伯)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여흥(麗興). 성혼(成渾)의 문인으로 기축옥사(己丑獄事) 때 공을 세워 평난공신(平難功臣)에 책록되었고,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황주 목사(黃州牧使)로 임진강(臨津江)을 지킴.
1552~1626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여양군(驪陽君) - 진총후(陳寵厚)
고려 인종(仁宗) 때의 무신. 여양진씨(驪陽陳氏)의 시조로, 매호(梅湖) 진화(陳澕)의 증조부. 대장군(大將軍)으로서 이자겸(李資謙)의 난을 토평하는 데 공을 세움.
한국>고려전기 , 충청도>홍주 , 인명>관인>무신
-
여양군왕(汝陽郡王) - 이진(李璡)
중국 당(唐) 나라 영왕(甯王)의 맏아들. 활쏘기를 잘하였고, 하지장(賀知章)과 시주(詩酒)로 교유함. 술을 좋아하여 ‘주중팔선인(酒中八仙人)’ 중의 한 사람으로 일컬어짐.
?~750 중국>당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여양부원군(礪良府院君) - 송서(宋瑞)
고려 공민왕(恭愍王)의 문신. 본관은 여산(礪山). 송분(宋玢)의 아들로, 조일신(趙日新)이 인사를 천단할 때 우정승(右政丞)을 지냄.
?~1353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여산 , 인명>관인>문신
-
여양부원군(驪陽府院君) - 민유중(閔維重)
조선 효종(孝宗)~숙종(肅宗) 때의 문신. 숙종의 비 인현왕후(仁顯王后)의 아버지로 남인(南人)이 집권할 때 흥해(興海)로 유배되었다가, 남인이 실각하자 금위영(禁衛營)의 창설을 주도하여 병권과 재정권을 모두 관장함.
1630~1687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여양왕(汝陽王) - 이진(李璡)
중국 당(唐) 나라 영왕(甯王)의 맏아들. 활쏘기를 잘하였고, 하지장(賀知章)과 시주(詩酒)로 교유함. 술을 좋아하여 ‘주중팔선인(酒中八仙人)’ 중의 한 사람으로 일컬어짐.
?~750 중국>당 , 중국 , 인명>왕실>제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