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여은정(麗隱亭) - 이사지(李思之)
고려 후기의 무신. 본관은 벽진(碧珍). 도원수(都元帥) 이희경(李希慶)의 아들로, 낭장(郞將)을 지냄. 고려가 망하자 두문동(杜門洞)에 들어가 절개를 지킴으로써 두문동칠십이현(杜門洞七十二賢) 중 한 사람이 됨.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성주 , 인명>관인>무신
-
여음로(汝陰老) - 왕질(王銍)
중국 송(宋) 나라 태종(太宗) 때의 학자. 저서로 《운계집(雲溪集)》ㆍ《묵기(默記)》ㆍ《사륙화(四六話)》등이 있음.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여음후(汝陰侯) - 하후영(夏侯嬰)
중국 전한(前漢) 고조(高祖) 때의 공신. 원래는 말을 관리하는 천역(賤役)에 종사하였으나, 소하(蕭何)ㆍ번쾌(樊噲)와 함께 유방(劉邦)을 도와 한(漢) 나라를 건국하는 데 큰 공을 세움. 개국 후 태복(太僕)을 지내고 여음후(汝陰侯)에 봉해짐.
?~B.C.172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관인>무신ㅣ인명>기타인명>공신
-
여응(汝膺) - 구찬록(具贊祿)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능성(綾城). 퇴계(退溪)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퇴계(退溪)가 그 학문에 뜻이 있음을 칭찬함. 벼슬은 감정(監正)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여응(汝膺)@김태복 - 김태복(金泰福)
조선 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부안(扶安). 창락도 찰방(昌樂道察訪) 김광(金光)의 아들로, 1585년(선조 18)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하였으며,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의병을 일으켜 영광성(靈光城)을 지킴.
1552~?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부안 , 인명>문사>유학
-
여의(與義) - 진여의(陳與義)
중국 송(宋) 나라 휘종(徽宗)~고종(高宗) 때의 문신ㆍ문인. 참지정사(參知政事)를 지내고, 시에 뛰어나 도연명(陶淵明)ㆍ유종원(柳宗元) 등과 비견됨.
1090~1138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여의보주(如意寶珠) - 여의주(如意珠)
용왕(龍王)의 뇌 속에서 나온 구슬. 사람이 이 구슬을 가지면 독(毒)이 해칠 수 없고, 불에 들어가도 타지 않으며, 중생의 소원을 성취시켜 주는 부처의 공덕(功德)이 있다고 전함.
물품>기타물품
-
여이(汝以) - 최천건(崔天健)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이조 판서 등을 지냄. 유영경(柳永慶)과 결탁한 일로 정인홍(鄭仁弘) 등의 모함을 받아 삭직되었다가 복관되었으나, 후에 김제남(金悌男)의 일파로 몰려 온양에 안치되었다가 죽음.
1568~1617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여이(與夷)@상공 - 상공(殤公)@춘추전국(송)
중국 춘추전국시대 송(宋) 나라의 제후. 재위 B.C.720~B.C.710. 대부 화독(華督)에게 시해됨.
?~B.C.710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여이(與夷) - 영공(靈公)@춘추전국(정)
중국 춘추전국시대 정(鄭) 나라의 제후. 재위 B.C.606~B.C.605. 재위 1년 만에 공자(公子)인 귀생(歸生)에게 시해당함.
?~B.C.605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여익(汝益)@권말경 - 권말경(權末卿)
조선 전기의 유학. 송암(松巖) 권호문(權好文)이 차운(次韻)한 시가 《송암집(松巖集)》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여익(汝益) - 조우인(曺友仁)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 광해군(光海君)을 풍자하는 시를 지어 투옥되었다가 인조반정(仁祖反正)으로 풀려나 우부승지(右副承旨) 등을 지냄. 시ㆍ글씨ㆍ그림에 능했음.
1561~1625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함창 , 인명>관인>문신
-
여익(汝益)@오윤겸 - 오윤겸(吳允謙)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해주(海州)로, 성혼(成渾)의 문인. 일본에 가서 임진왜란 때 잡혀갔던 포로 150여 명을 쇄환하고, 하극사(賀極使)로 명(明) 나라를 다녀옴. 영의정(領議政)을 지냄.
1559~1636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여익(汝翼) - 강문우(姜文佑)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서경덕(徐敬德)의 문인(門人)으로, 교서관 교리(校書館校理)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여익(汝翼)@송여익 - 송여익(宋汝翼)
조선 성종(成宗) 때의 유학. 본관은 은진(恩津). 송순년(宋順年)의 아들로, 1472년(성종 3) 사마시(司馬試)에 입격하였으나 과거에 뜻을 두지 않았으며, 의약(醫藥)에 조예가 깊고 부(富)를 축적하여 빈민을 구제함.
1454~1528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은진 , 인명>문사>유학
-
여익(汝翼)@이령 - 이령(李翎)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함안(咸安). 이인형(李仁亨)의 아들이며, 조광조(趙光祖)의 문인으로, 1519년(중종 14) 현량과(賢良科)에 급제하여 전적(典籍)이 되었으나,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삭출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여익(汝翼)@김진상 - 김진상(金鎭商)
조선 숙종(肅宗)~영조(英祖) 때의 문신. 신임옥사(辛壬獄事) 때 유배되었으나 영조 즉위 후 다시 등용되고, 병신처분(丙申處分) 뒤 윤선거(尹宣擧)의 서원과 문집목판의 훼철을 주장함.
1684~1755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여익(汝翼)@민여익 - 민여익(閔汝翼)
고려 우왕(禑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조선개국을 도와 개국공신에 책록되었고 전결(田結)과 노비를 받았으며, 육조(六曹)의 판서(判書)를 두루 역임했음.
1360~1431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여인(汝仁)@박선장 - 박선장(朴善長)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무안(務安). 남몽오(南夢鰲)의 문인으로, 예안 현감(禮安縣監)ㆍ경상 도사(慶尙都事) 등을 지냄.
1555~161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영천(榮川)ㅣ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여인(汝仁) - 정곤수(鄭崐壽)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청주(淸州). 퇴계(退溪)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수령을 지내면서 학문 진흥과 사풍(士風) 진작에 힘씀. 임진왜란 때 대명외교에서 큰 역할을 함.
1538~1602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성주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