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여천군(驪川君) - 민여익(閔汝翼)
고려 우왕(禑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조선개국을 도와 개국공신에 책록되었고 전결(田結)과 노비를 받았으며, 육조(六曹)의 판서(判書)를 두루 역임했음.
1360~1431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여천군(驪川君)@이몽가 - 이몽가(李蒙哥)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 이행(李行)의 아들로, 계유정난(癸酉靖難)에 가담한 공으로 정난공신(靖難功臣)에 책록되었으며, 지중추원사(知中樞院事) 등을 역임함.
1405~1487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여천부원군(驪川府院君)@민형남 - 민형남(閔馨男)
조선 선조(宣祖)~효종(孝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 좌찬성(左贊成) 민효증(閔孝曾)의 증손이며, 풍저창 수(豊儲倉守) 민복(閔福)의 아들로, 이조 판서(吏曹判書)ㆍ우찬성(右贊成) 등을 지냄. 1613년(광해군 5) 익사(翼社)ㆍ형난(亨難)의 두 공신에 책록(策錄)됨.
1564~1659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여천부원군(驪川府院君) - 민여익(閔汝翼)
고려 우왕(禑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조선개국을 도와 개국공신에 책록되었고 전결(田結)과 노비를 받았으며, 육조(六曹)의 판서(判書)를 두루 역임했음.
1360~1431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여천위(驪川尉) - 민자방(閔子芳)
조선 제6대 성종(成宗)의 부마. 본관은 여흥(驪興). 현령(縣令)을 지낸 민종원(閔宗元)의 아들로, 성종의 다섯째 딸인 경숙옹주(敬淑翁主)와 혼인함.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여주 , 인명>왕실>인척
-
여철(汝哲) - 신여철(申汝哲)
조선 효종(孝宗)~숙종(肅宗) 때의 무신. 본관은 평산(平山)으로, 돈녕부 도정(敦寧府都正) 신해(申垓)의 아들. 경신대출척(庚申大黜陟) 때 서인(西人) 편에 서서 활동했으며, 공조 판서(工曹判書) 등을 지냄.
1634~1701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평산 , 인명>관인>무신
-
여첨(汝瞻) - 유태두(柳泰斗)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서산(瑞山). 유경지(柳瓊枝)의 아들.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서산 , 인명>문사>유학
-
여충(汝忠) - 황우한(黃佑漢)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상주(尙州). 삼사(三司)의 요직을 두루 지내고 성절사(聖節使)가 되어 명(明) 나라에 다녀옴. 호조 참판(戶曹參判)ㆍ병조 참판(兵曹參判)ㆍ대사헌(大司憲) 등을 지냄.
1541~1606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여치(呂雉) - 여후(呂后)
중국 한(漢) 나라 고조(高祖) 유방(劉邦)의 황후. 고조가 죽자 여씨정권(呂氏政權)을 수립하여 횡포를 일삼음.
B.C.241~B.C.180 중국>전한 , 중국 , 인명>왕실>왕비
-
여태후(呂太后) - 여후(呂后)
중국 한(漢) 나라 고조(高祖) 유방(劉邦)의 황후. 고조가 죽자 여씨정권(呂氏政權)을 수립하여 횡포를 일삼음.
B.C.241~B.C.180 중국>전한 , 중국 , 인명>왕실>왕비
-
여택(汝宅) - 주맹헌(周孟獻)
조선 효종(孝宗)~숙종(肅宗) 때의 문인. 본관은 상주(尙州)로, 주세붕(周世鵬)의 현손이자, 주진원(周震元)의 아들. 허목(許穆)ㆍ조임도(趙任道)에게 수학하고 학문에 힘썼으며, 덕연서원(德淵書院)을 중건하여 사액(賜額)을 받음.
1617~1703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상주 , 인명>문사>문인
-
여패(汝珮) - 안수(安璲)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순흥(順興). 안처명(安處明)의 아들로, 1549(명종 4)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홍문관 박사(弘文館博士) 등을 지냄.
1521~?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광주 , 인명>관인>문신
-
여평(驪平) - 민효증(閔孝曾)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경연(經筵)의 필요성 등을 건의하고, 사창(社倉)을 설치하여 민폐(民弊)를 줄일 것을 주장하였으며, 중종반정(中宗反正) 때 정국공신(靖國功臣)에 책록됨.
1448~1513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여평군(驪平君) - 민효증(閔孝曾)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경연(經筵)의 필요성 등을 건의하고, 사창(社倉)을 설치하여 민폐(民弊)를 줄일 것을 주장하였으며, 중종반정(中宗反正) 때 정국공신(靖國功臣)에 책록됨.
1448~1513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여평부원군(驪平府院君) - 민효증(閔孝曾)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경연(經筵)의 필요성 등을 건의하고, 사창(社倉)을 설치하여 민폐(民弊)를 줄일 것을 주장하였으며, 중종반정(中宗反正) 때 정국공신(靖國功臣)에 책록됨.
1448~1513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여필(汝佖) - 이여필(李汝佖)
조선 전기의 유학. 우봉 현령(牛峯縣令) 민계량(閔季良)의 셋째 사위.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여필(汝弼)@한여필 - 한여필(韓汝弼)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경성 판관(鏡城判官) 한효윤(韓孝胤)의 아버지이며 의성부정(義城副正) 이강(李鋼)의 장인. 음보(蔭補)로 빙고 별제(氷庫別提)가 되고, 문천 군수(文川郡守) 등을 지냄.
1505~1571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원주 , 인명>관인>문신
-
여필(汝弼) - 장필(張弼)
중국 명(明) 나라 헌종(憲宗) 때의 문신ㆍ서예가. 남안지부(南安知府) 등을 역임했으며, 시문에 능했고 초서(草書)에 뛰어나 서웅(書雄)으로 칭해짐.
중국>명 , 중국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여필(汝弼)@윤여필 - 윤여필(尹汝弼)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윤보(尹甫)의 아들이며, 중종 계비(繼妃) 장경왕후(章敬王后)의 아버지로, 중종반정에 참여하여 정국공신(靖國功臣)에 책록되고, 판돈녕부사(判敦寧府事) 등을 역임함.
1466~1555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여필(與弼) - 오여필(吳與弼)
중국 명(明) 나라 때의 은자. 명(明) 영종(英宗)이 불러 좌유덕(左諭德)의 벼슬을 제수했지만 사양하고 낙향(落鄕)하였으며, 천문(天文)ㆍ병법(兵法)ㆍ음양(陰陽) 등에 통달함.
중국>명 , 중국 , 인명>기타인명>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