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역천사우(嶧川祠宇) - 역천사(嶧川祠)
조선 인조(仁祖) 때 경상도 안의(安義)에 건립한 서원. 정유명(鄭惟明)ㆍ임득번(林得蕃)을 제향함.
1635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음 , 유적>건물>서원,향교
-
역통(易通) - 통서(通書)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인 주돈이(周敦頤)가 지은 책. 《태극도설(太極圖說)》과 표리(表裏)를 이루어 윤리적인 면이 강조됨.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역행(力行) - 왕역행(王力行)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주희(朱熹)의 제자.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역헌(櫟軒) - 이경장(李敬長)@이혼의아들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 이혼(李渾)의 아들로,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등을 지냄. 송기수(宋麒壽)의 《추파집(秋坡集)》에 그의 묘갈명(墓碣銘)이 실려 있음.
1482~1561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연안 , 인명>관인>문신
-
역훤(逆萱) - 견훤(甄萱)
후백제(後百濟)의 시조. 재위 892~935. 본래 성은 이씨(李氏)였으나 뒤에 견씨(甄氏)라 함.
867~936 한국>통일신라 , 전라도>전주ㅣ전라도>광산 , 인명>왕실>국왕
-
연(㬫) - 김연(金㬫)
고려 후기의 문신. 정포(鄭誧)의 《설곡집(雪谷集)》에 대서(代書)한 시(詩)가 전함.
한국>고려후기 , 인명>관인>문신
-
연(埏)@유연 - 유연(柳埏)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로, 경상도 관찰사(慶尙道觀察使)를 지낸 유영순(柳永詢)의 아버지. 배천 군수(白川郡守)ㆍ함흥 판관(咸興判官)을 지내고, 후에 좌찬성(左贊成)에 추증됨.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문신
-
연(埏) - 김연(金埏)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언양(彦陽). 김수겸(金守謙)의 아들로, 공조 좌랑(工曹佐郞)을 역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상주 , 인명>관인>문신
-
연(堜) - 임련(林堜)
조선 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회진(會津). 예문관 대제학(藝文館大提學) 임서(林㥠)의 아들이자, 임담(林墰)의 형으로, 승정원 우승지(承政院右承旨)를 지냄.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문신
-
연(堧) - 박연(朴堧)
조선 태종(太宗)~세종(世宗) 때의 문신ㆍ음률가(音律家). 세종 때 율관(律管)을 만들어 편경(編磬)을 제작하는 등 조선 초기 음악 정비에 많은 공헌을 함. 왕산악(王山岳)ㆍ우륵(于勒)과 함께 우리나라 3대 악성(樂聖)으로 일컬어짐.
1378~1458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영동 , 인명>예술인>음악인ㅣ인명>관인>문신
-
연(延)@이연 - 이연(李延)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사재 주부(司宰主簿) 등을 지냈으며, 지극한 효성에 대한 일화가 남효온(南孝溫)의 《추강냉화(秋江冷話)》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연(延) - 경연(慶延)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효행으로 천거되어 이산 현감(尼山縣監) 등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연(沇) - 권연(權沇)
조선 연산군(燕山君) 때의 유학.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김종직(金宗直)의 문인(門人)인 권경유(權景裕)의 아들. 아버지와 함께 무오사화(戊午士禍)에 연루되어 사형당함.
?~149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유학
-
연(涓) - 조연(趙涓)
고려 우왕(禑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한양(漢陽). 조선이 건국되자 왕을 호위하고, 제2차 왕자의 난 때 이방원(李芳遠)을 도와 좌명공신(佐命功臣)이 됨.
1374~1429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연(淵)@양연 - 양연(梁淵)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남원(南原). 양성지(梁誠之)의 손자로, 대사헌(大司憲)일 때 왕의 밀지를 받아 김안로(金安老)ㆍ채무택(蔡無擇)ㆍ허항(許沆) 등을 탄핵하여 처형시킴. 훈구파(勳舊派)의 중심인물로 사림파(士林派)를 배척함.
?~1542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남원 , 인명>관인>문신
-
연(淵)@한연 - 한연(韓淵)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무신. 본관은 청주(淸州)로, 서청군(西淸君) 한삼덕(韓參德)의 아들. 임진왜란 때 의주(義州)로 파천(播遷)하는 선조를 호종하여 사후에 호성공신(扈聖功臣)에 책록되었으며, 공조 정랑(工曹正郞)ㆍ사복시 정(司僕寺正) 등을 지냄.
1543~?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연(淵)@정연 - 정연(鄭淵)
조선 태종(太宗)~세종(世宗) 때의 문신. 정홍(鄭洪)의 아들이며, 안평대군(安平大君)의 장인으로, 음보(蔭補)로 벼슬에 오름. 장령(掌令)이 되었을 때 태종이 철원에 가려는 것을 간하다가 진산(珍山)에 유배됨.
1389~144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일 , 인명>관인>문신
-
연(淵)@신연 - 신연(申淵)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고령(高靈). 파주 목사(坡州牧使)를 지낸 신종옥(申從沃)의 아들로, 신숙주(申叔舟)의 증손(曾孫).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령 , 인명>관인>문신
-
연(淵)@탁연 - 탁연(卓淵)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광산(光山). 기자전 참봉(箕子殿參奉)을 지낸 탁룡(卓龍)의 아들로, 음직(蔭職)으로 훈도(訓導)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문사>유학
-
연(淵) - 공손연(公孫淵)
중국 삼국시대 위(魏) 나라의 문신. 위 나라를 도와 요동 태수(遼東太守)가 되었다가 자립하여 연(燕) 나라를 세우고 왕을 자칭하였으나, 위 나라 사마의(司馬懿)에 의해 토벌되어 멸망함.
?~238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