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연(演)@홍연 - 홍연(洪演)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으로, 홍척(洪陟)의 아들. 1444년(세종 26)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집의(執義)를 지냈으나 불교를 배척하다 파출되고, 이듬해 복직되었으나 단종(端宗)이 손위(遜位)하자 종신토록 자취를 감춤.
1403~?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관인>문신
-
연(演) - 최연(崔演)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ㆍ문인. 최세건(崔世楗)의 아들. 을사사화(乙巳士禍) 때 소윤(小尹)에 가담하여 위사공신(衛社功臣)에 책록되고, 동원군(東原君)에 봉해짐. 《무정보감(武定寶鑑)》을 편찬하고, 시문(詩文)에 능함.
1503~1549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강릉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연(演)@박연 - 박연(朴演)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인. 남효온(南孝溫)ㆍ강응정(姜應貞) 등과 함께 소학계(小學契)를 만들어 《소학(小學)》을 강론하였으며, 향약(鄕約)을 만듦.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문인
-
연(演)@하연 - 하연(河演)
조선 태조(太祖)~단종(端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정몽주(鄭夢周)의 문인으로, 불교의 일곱 종파를 선(禪)ㆍ교(敎) 양종으로 통합하고, 혁파된 사원의 토지와 노비를 국가에 환수하게 하였으며, 영의정 등을 역임하였고, 문종(文宗)의 묘정에 배향됨.
1376~145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연(璉)@탁련 - 탁련(卓璉)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탁중(卓中)의 둘째 아들로, 숙부인 탁평(卓平)의 양자로 들어갔으며, 정주(定州)로 유배되었다가 서용되어 기자전 참봉(箕子殿參奉)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평안도>정주 , 인명>관인>문신
-
연(璉) - 이연(李璉)
조선 전기의 종친. 본관은 전주(全州). 경원부수(慶源副守) 이인손(李仁孫)의 아들로, 밀산부수(密山副守) 이신손(李信孫)에게 출계함. 1528년(중종 23)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하였으며, 고산 현감(高山縣監)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연(璉)@조련 - 조련(趙璉)
고려 충선왕(忠宣王)~충숙왕(忠肅王) 때의 문신. 조인규(趙仁規)의 아들이며, 조선의 개국공신인 조준(趙浚)의 할아버지. 충숙왕 때 찬성사(贊成事)를 지냄.
?~1322 한국>고려후기 , 평안도>평양 , 인명>관인>문신
-
연(緣) - 김연(金緣)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김안로(金安老)의 미움을 받아 좌천되었다가 복귀하여 사간(司諫)을 지냄.
1487~154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인명>관인>문신
-
연(縯) - 유연(劉縯)
중국 후한(後漢) 광무제(光武帝)의 큰 형. 신(新) 나라 왕망(王莽)의 군대를 격파하는데 공로가 있었으나, 경시제(更始帝) 유현(劉玄)에게 죽임을 당함.
?~23 중국>신 , 중국 , 인명>왕실>종친
-
연(縯)@김연 - 김연(金縯)
조선 전기의 문인. 이현보(李賢輔)의 《농암집(聾巖集)》에 시(詩) 1수(首)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문인
-
연(衍) - 임연(林衍)
고려의 고종(高宗)~원종(元宗) 때의 무신. 본관은 진주(鎭州). 권신 최의(崔竩)를 죽여 그 공으로 위사공신(衛社功臣)이 되었음. 원종을 폐하고 안경공(安慶公) 창(淐)을 옹립하여 권력을 장악했으나 몽골의 위협에 다시 원종을 복위시킴.
?~1270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진천 , 인명>관인>무신
-
연(讌) - 권연(權讌)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안동(安東). 중종(中宗) 때의 유학 권진(權璡)의 아버지로 충의위 병절교위(忠義衛秉節校尉)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무신
-
연(連) - 이련(李連)
조선 전기의 종친. 세종(世宗)의 넷째 아들인 임영대군(臨瀛大君) 이구(李璆)의 증손이며, 봉림수(鳳林守) 이수인(李守仁)의 둘째 아들.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양유(養由) - 양유기(養由基)
중국 춘추전국시대 초(楚) 나라 공왕(共王) 때의 대부. 활솜씨가 매우 뛰어나 백 보(步) 밖에서 버드나무 잎을 쏘아 백발백중하였다 하며, 공왕이 죽은 후 오(吳) 나라가 침략하자 용포(庸浦)에서 크게 물리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양유기(養游基) - 양유기(養由基)
중국 춘추전국시대 초(楚) 나라 공왕(共王) 때의 대부. 활솜씨가 매우 뛰어나 백 보(步) 밖에서 버드나무 잎을 쏘아 백발백중하였다 하며, 공왕이 죽은 후 오(吳) 나라가 침략하자 용포(庸浦)에서 크게 물리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양음(亮陰) - 양암(諒闇)
천자(天子)나 왕(王)이 부모의 상(喪)을 당했을 때 거처하는 방. 은(殷) 나라 고종(高宗)이 아버지 소을(小乙)의 상에 상려(喪廬)에서 3년 동안 말하지 않았기에 후대에는 임금이 거상(居喪)할 때 3년 동안 말하지 않는 제도를 뜻하기도 함.
법제>의례>국가의례
-
양음(諒陰) - 양암(諒闇)
천자(天子)나 왕(王)이 부모의 상(喪)을 당했을 때 거처하는 방. 은(殷) 나라 고종(高宗)이 아버지 소을(小乙)의 상에 상려(喪廬)에서 3년 동안 말하지 않았기에 후대에는 임금이 거상(居喪)할 때 3년 동안 말하지 않는 제도를 뜻하기도 함.
법제>의례>국가의례
-
양읍(襄邑)@양양 - 양양(襄陽)
강원도 동부 해안에 접해 있는 고을 이름.
강원도>양양 , 지명>행정지명
-
양읍(襄邑) - 양주(襄州)
강원도 양양(襄陽) 일대에 속하는 옛 고을 이름.
강원도>양양 , 지명>자연지명
-
양의(楊意) - 양득의(楊得意)
중국 전한(前漢) 무제(武帝) 때의 문신. 구감(狗監)을 역임하였으며, 무제가 〈자허부(子虛賦)〉를 읽은 후 그 지은이와 동시대에 살지 못한 것을 안타까워하자, 지은이이자 자신의 벗인 사마상여(司馬相如)를 추천함.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