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양의(楊醫) - 양예수(楊禮壽)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의관(醫官). 본관은 하음(河陰). 의술(醫術)에 능하고 박학하였으며, 태의(太醫)로 《동의보감(東醫寶鑑)》 편찬에 참여함. 박세거(朴世擧)ㆍ손사명(孫士銘) 등과 함께 《의림촬요(醫林撮要)》를 저술함.
?~1597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강화 , 인명>기술인>의원
-
양의(良毅) - 송분(宋玢)
고려 원종(元宗)~충숙왕(忠肅王) 때의 행신(倖臣). 임유무(林惟茂)를 제거하고 충렬왕(忠烈王)이 세자 시절 원(元) 나라에 인질이 되었을 때 공을 세웠으나, 충선왕(忠宣王)과 충숙왕(忠肅王) 부자 사이를 이간시키는 등 모략을 일삼다가 유배됨.
?~1318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여산 , 인명>관인>문신
-
양의(襄毅)@산운 - 산운(山雲)
중국 명(明) 나라 영종(英宗)~인종(仁宗) 때의 무신. 변방의 난을 진압하여 무공을 세우고, 도독첨사(都督僉事) 등을 지냄.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양의(襄毅) - 김경서(金景瑞)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무신. 본관은 김해(金海). 광해군(光海君) 때 명(明) 나라를 도와 후금(後金)을 치기 위해 부원수(副元帥)로 출정하였다가 패한 뒤 강홍립(姜弘立)과 함께 항복하였으며, 몰래 적정(敵情)을 기록하였다가 발각되어 처형됨.
1564~1624 한국>조선후기 , 평안도>용강 , 인명>관인>무신
-
양의(襄毅)@양박 - 양박(楊博)
중국 명(明) 나라 세종(世宗)~신종(神宗) 때의 문신. 세종을 보좌하여 내외직을 오가며 정무에 힘쓰고 외구 및 변방 수비에 공로를 세움. 이부상서(吏部尙書) 등을 지내며 좌도어사(左都御史) 갈수례(葛守禮)와 함께 당대 명신으로 불림.
?~1574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양의(襄毅)@정신 - 정신(程信)
중국 명(明) 나라 영종(英宗)~헌종(憲宗) 때의 문신. 정민정(程敏政)의 아버지로, 몽고족 와랄부(瓦剌部)의 침입을 막아내고 남만(南蠻)을 정벌하는 데 공을 세움. 남경 병부상서(南京兵部尙書) 등을 지냄.
1417~1479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양이(襄夷) - 한서귀(韓瑞龜)
조선 단종(端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무신. 본관은 청주(淸州)로, 중추원 부사(中樞院副使) 한승순(韓承舜)의 아들. 계유정난(癸酉靖難) 때 협력한 공으로 정난공신(靖難功臣)에 책록되었으며, 첨지중추원사(僉知中樞院事)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양이(養而) - 이지렴(李之濂)
조선 현종(玄宗)~숙종(肅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함풍(咸豊). 김집(金集)ㆍ송시열(宋時烈)의 문인으로, 학문이 뛰어나고 시와 글씨에 능하였으며, 흡곡 현령(歙谷縣令) 등을 지냄.
1628~1691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함평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양이지(楊頤止) - 양희지(楊熙止)
조선 세조(世祖)~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중화(中和). 문장에 뛰어나고 재주가 있었으나 임사홍(任士洪)ㆍ유자광(柳子光)ㆍ노공필(盧公弼) 등과 친하여 그 출처(出處)에 비난을 받기도 함.
1439~150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울산 , 인명>관인>문신
-
양인부(楊仁父) - 양의(楊誼)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청주(淸州)로, 십정헌(十淸軒) 김세필(金世弼)의 사위. 1531년(중종 26)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양일(楊一)@양주 - 양주(楊州)
경기도 중앙에 위치한 고을 이름. 조선 세조(世祖) 때 목(牧)으로 승격됨.
경기도>양주 , 지명>행정지명
-
양일(楊一) - 양주(揚州)
중국 강소성(江蘇省)의 중서부에 있는 고을 이름. 오대십국 중 오(吳) 나라의 수도였으며, 양자강(揚子江) 서쪽 기슭에 있어 수륙 교통이 편리함.
중국 , 지명>행정지명
-
양자(揚子) - 양웅(揚雄)
중국 전한(前漢) 말의 학자ㆍ문인. 사마상여(司馬相如)의 작품을 통하여 배운 문장력을 인정받아, 성제(成帝) 때 궁정문인의 한 사람이 됨.
B.C.53~A.D.18 중국>전한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문사>문인
-
양자(楊子)@양경지 - 양경지(楊敬之)
중국 당(唐) 나라의 문신ㆍ문인. 검교 공부상서(檢校工部尙書) 등을 지내고, 두 아들 양융(楊戎)ㆍ양대(楊戴)와 함께 문명(文名)을 떨침. 일찍이 〈화산부(華山賦)〉를 지어 한유(韓愈)ㆍ이덕유(李德裕) 등으로부터 칭탄을 받음.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양자(楊子) - 양기(楊耆)
중국 송(宋) 나라 때의 문인. 서촉(西蜀)의 수재(秀才)로, 소식(蘇軾)의 시에 빈궁한 선비로 거론됨.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양자(楊子)@양주 - 양주(楊朱)
중국 춘추전국시대 위(魏) 나라 초기의 도가 철학자. 이기적인 쾌락설을 주장하여 맹자가 이단성(異端性)을 지적함.
B.C.440~B.C.360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양자(楊子)@양진 - 양진(楊震)
중국 후한(後漢) 안제(安帝) 때의 문신. 아들 양병(楊秉), 손자 양사(楊賜), 증손자 양표(楊彪) 등 4세(世)에 걸쳐 태위(太尉)가 배출된 집안으로 유명함.
54~124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양자(羊子)@악양 - 악양(樂羊)
중국 춘추전국시대 위(魏) 나라 문후(文侯) 때의 장군. 악의(樂毅)의 선조로, 수많은 참소에도 흔들리지 않은 문후의 절대적 신임 속에 중산(中山)을 정벌하고 3년 만에 돌아왔으며, 영수(靈壽)에 봉해짐.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양자(羊子) - 양호(羊祜)
중국 남북조시대 서진(西晉)의 무신. 상서좌복야(尚書左伏射)로 형주(荊州)에 주둔하던 10년 동안 둔전을 실시하고 군량을 비축하는 등 오(吳) 나라를 치기 위한 준비를 했으나 실현하지 못함.
221~278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양자(襄子) - 조양자(趙襄子)
중국 춘추전국시대 진(晉) 나라의 정경(正卿). 조간자(趙簡子)의 아들로, 지(智)를 멸하고 한(韓)ㆍ위(魏)와 함께 진 나라의 영토를 삼분한 이른바 삼가분진(三家分晉)을 이룸.
?~B.C.425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