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양정(襄靖)@변협 - 변협(邊協)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무신. 본관은 원주(原州). 이이(李珥)로부터 《주역계몽(周易啓蒙)》을 강론받았으며, 천문ㆍ지리ㆍ산수에도 정통했음. 을묘왜변(乙卯倭變) 때 왜구를 격퇴한 공으로 장흥 부사(長興府使)가 되었고, 공조 판서ㆍ포도대장 등을 지냈음.
1528~1590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원주 , 인명>관인>무신
-
양정(襄靖)@함녕군 - 함녕군(咸寧君)
조선 제3대 태종(太宗)의 둘째 서자. 신빈(信嬪) 신씨(辛氏)의 소생으로, 세종(世宗) 때 계품사(計稟使)로서 중국에 가서 금ㆍ은의 공물을 면제받고 돌아옴.
1402~1467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왕자
-
양정(襄靖) - 김우(金宇)
조선 정종(定宗)~태종(太宗) 때의 무신. 본관은 희천(熙川). 제2차 왕자의 난 때 공으로 좌명공신(佐命功臣)에 책록되었으며, 좌군 도총제와 병조 판서를 역임하였음.
?~1418 한국>조선전기 , 평안도>희천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양정(襄靖)@성봉조 - 성봉조(成奉祖)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성엄(成揜)의 아들이며, 세조(世祖)의 동서(同壻)로, 성종 즉위 후 좌리공신(佐理功臣)에 책록되고 우의정 등을 역임함.
1401~147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양정(襄靖)@유습 - 유습(柳濕)
고려 후기~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고려 말 도첨의시중(都僉議侍中)을 지낸 유탁(柳濯)의 아들로, 전주유씨(全州柳氏)의 시조. 조선 건국 후 이조 전서(吏曹典書)ㆍ중군 도총제(中軍都摠制) 등을 지냄.
1367~1439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흥양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양정(襄靖)@채수 - 채수(蔡壽)
조선 세조(世祖)~중종(中宗) 때의 문신. 중종반정(中宗反正) 때 정국공신(靖國功臣)에 책록되어 인천군(仁川君)에 봉해지고, 패관소설인 《설공찬전(薛公贊傳)》을 지음.
1449~1515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양정(襄靖)@권경 - 권경(權擎)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계유정난(癸酉靖難)에 수양대군(首陽大君)을 도와 김종서(金宗瑞)ㆍ황보인(皇甫仁) 등 원로대신을 숙청함.
1429~148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양정(養正)@김양정 - 김양정(金養正)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선산(善山). 1577년(선조 10) 최인기(崔仁起)ㆍ정유성(鄭惟誠)ㆍ김안경(金安慶)ㆍ김안복(金安福)ㆍ김효원(金孝元) 등과 강원도 두타산(頭陀山)을 유람한 내용이 김효원의 《성암유고(省菴遺稿)》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선산 , 인명>문사>유학
-
양정(養正) - 김부륜(金富倫)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학자. 본관은 광산(光山). 이황(李滉)의 문인(門人)으로, 김성일(金誠一)ㆍ이발(李潑)과 도의를 강마하였으며, 만년에 설월당(雪月堂)을 지어 후진 양성에 힘씀.
1531~159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학자
-
양정(養靜)@곽준 - 곽준(郭䞭)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곽지완(郭之完)의 아들이며, 배신(裵紳)의 문인(門人). 임진왜란(壬辰倭亂)이 일어나자 김면(金沔)의 막하에 들어가 많은 공을 세웠으나, 정유재란(丁酉再亂) 때 황석산성(黃石山城)을 지키다 순국함.
1551~1597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현풍 , 인명>관인>문신
-
양정(養靜) - 서구연(徐九淵)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함양 군수(咸陽郡守)를 역임하였으며, 남계서원(灆溪書院)의 건립에 참여함.
1502~156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대구 , 인명>관인>문신
-
양정당(養正堂) - 김부신(金富信)
조선 명종(明宗) 때의 학자. 본관은 광산(光山). 이황(李滉)의 문인(門人). 유학(儒學)에 돈독한 뜻을 두었다는 이황(李滉)의 평을 받음.
1523~156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학자
-
양정재(養正齋) - 신내옥(辛乃沃)
조선 명종(明宗)~광해군(光海君) 때의 유학. 본관은 영월(寧越)로, 충좌위 부사직(忠佐衛副司直)을 지낸 신중곤(辛仲坤)의 아들.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출사(出仕)하지 않고 도학(道學)에 전념함. 유운룡(柳雲龍)ㆍ김성일(金誠一)ㆍ권호문(權好文) 등과 교유함.
1525~161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ㅣ강원도>영월 , 인명>문사>유학
-
양정재주인(養正齋主人) - 신내옥(辛乃沃)
조선 명종(明宗)~광해군(光海君) 때의 유학. 본관은 영월(寧越)로, 충좌위 부사직(忠佐衛副司直)을 지낸 신중곤(辛仲坤)의 아들.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출사(出仕)하지 않고 도학(道學)에 전념함. 유운룡(柳雲龍)ㆍ김성일(金誠一)ㆍ권호문(權好文) 등과 교유함.
1525~161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ㅣ강원도>영월 , 인명>문사>유학
-
양제(梁鵜) - 양제(梁悌)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제주(濟州)로, 학포(學圃) 양팽손(梁彭孫)의 고조(高祖). 판서운관사(判書雲觀事)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제주 , 인명>관인>문신
-
양졸당(養拙堂) - 이개립(李介立)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ㆍ의병장. 본관은 경주(慶州)로, 이해(李𥩲)의 아들. 박승임(朴承任)ㆍ김성일(金誠一)의 문인으로, 효행(孝行)과 유일(遺逸)로 천거되어 참봉(參奉)을 지냈으며, 임진왜란 때 의병을 일으켜 군량을 조달함.
1546~1625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용궁ㅣ경상도>영천(榮川) , 인명>관인>문신
-
양좌(良佐)@김양좌 - 김양좌(金良佐)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청풍(淸風). 1495년(연산군 1)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하여 전주 판관(全州判官) 등을 지냄. 전라도 장흥(長興)에서 남효온(南孝溫)ㆍ윤구(尹遘) 등이 회동할 때 참석한 내용이 《추강집(秋江集)》 〈조대기(釣臺記)〉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풍 , 인명>관인>문신
-
양좌(良佐)@사양좌 - 사양좌(謝良佐)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학자. 정호(程顥)ㆍ정이(程頤)의 제자로, 정좌(靜坐)와 거경(居敬)의 수양을 강조함. 북송(北宋) 말 구법당(舊法黨)에 대한 탄압 사건에 연좌되어 평민으로 폐해짐.
1050~1103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양좌(良佐)@박양좌 - 박양좌(朴良佐)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순천(順天). 박이장(朴而章)의 아버지로, 사마시(司馬試)에 합격하였으나 과거를 폐하였으며 훗날 경기전 참봉(慶基展參奉)ㆍ승선(承宣) 등을 지냄.
1521~1599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합천 , 인명>관인>문신
-
양좌(良佐)@나양좌 - 나양좌(羅良佐)
조선 숙종(肅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정(安定). 윤선거(尹宣擧)의 문인으로, 스승이 누명을 쓰자 상소하였다가 유배되기도 하였으며, 기사환국 때 자형 김수항(金壽恒)과 매제 이사명(李師命)이 극형을 당하자 먼 길을 달려가서 상을 치러줌.
1638~1710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비안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