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양진(楊津) - 광진(廣津)
조선시대 경기도 양주(楊州) 67리 지점인 한강변에 설치된 나루. 서울과 강남을 연결하는 교통의 요지로, 경관이 수려해 문인들이 즐겨 찾음. 현재는 서울시 광진구에 속함.
경기도>양주 , 지명>자연지명
-
양진(楊震)@김양진 - 김양진(金楊震)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풍산(豊山). 역학(易學)ㆍ음양(陰陽) 및 복서(卜筮)에 통달하였으며, 이행(李荇)ㆍ정희량(鄭希良)ㆍ권달수(權達手) 등과 교유가 깊었음.
1467~153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양진당(養眞堂)@남치형 - 남치형(南致亨)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학자. 본관은 영양(英陽)으로, 공보(公輔) 남신신(南藎臣)의 아들. 유일재(惟一齋) 김언기(金彦璣)의 문인(門人)으로, 동생 남치리(南致利)와 함께 평생 강학(講學)에 힘씀.
1540~1600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학자
-
양진당(養眞堂)@김사중 - 김사중(金士重)
조선 전기의 유학. 권호문(權好文)의 《송암집(松巖集)》에 차운한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양진당(養眞堂) - 강시(姜蓍)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조선이 건국될 때 직첩(職牒)을 회수당하고 유배됨.
1339~1400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양진재(養眞齋)@김시회 - 김시회(金時晦)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헌납(獻納) 김충갑(金忠甲)의 아들로, 《명종실록(明宗實錄)》 편찬에 참여했으며, 부평 부사(富平府使)를 지냄.
1542~158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양진재(養眞齋) - 김륵(金玏)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예안(禮安).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안집사(安集使)로 영남에 가서 민심을 수습하였고, 김직재(金直哉)의 무옥(誣獄)에 연루되어 강릉으로 유배됨.
1540~161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양진재(養眞齋)@김우홍 - 김우홍(金禹洪)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학자. 송순(宋純)의 《면앙집(俛仰集)》에 그의 행장(行狀)이 실려 있음.
1459~151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현풍 , 인명>문사>학자
-
양진정(楊津正) - 이신(李信)@이석근의아들
조선 전기의 종친. 태조(太祖)의 셋째 아들인 익안대군(益安大君) 이방의(李芳毅)의 손자이며, 익평부원군(益平府院君) 이석근(李石根)의 다섯째 아들.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양처(梁妻) - 맹광(孟光)
중국 후한(後漢) 때의 열녀(烈女). 양홍(梁鴻)의 아내로, 가시나무 비녀를 꽂고 무명 치마를 입는 등 검소하였으며, 남편을 지성으로 섬김.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기타인명>열녀
-
양처사(梁處士) - 양산축(梁山軸)
조선 선조(宣祖) 때의 효자. 본관은 제주(濟州). 송천(松川) 양응정(梁應鼎)의 넷째 아들. 정유재란(丁酉再亂) 때 진주 남쪽 삼향포(三鄕浦)에서 왜적을 만나 일가가 모두 순절함.
1571~1598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기타인명>효자
-
양천공(陽川公) - 허시(許時)
고려 후기의 유학. 본관은 양천(陽川). 개성 윤(開城尹) 허교(許喬)의 장남이자 문신 허응(許應)의 형.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양천 , 인명>문사>유학
-
양천군(陽川君) - 허응(許應)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본관은 양천(陽川). 고려 말에 이성계(李成桂)의 신진세력에 가담하여 시폐(時弊) 혁신과 전제(田制) 개혁을 주장하고, 조선 개국 후 배불정책(排佛政策)과 과부의 개가(改嫁) 금지 등을 주장함.
?~1411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양천 , 인명>관인>문신
-
양천군(陽川君)@허자 - 허자(許磁)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양천(陽川). 허원(許瑗)의 아들이며, 김안국(金安國)의 문인(門人). 이기(李芑) 등과 함께 대윤(大尹)을 제거하는 데 가담하여 위사공신(衛社功臣)에 책록되고, 이조 판서(吏曹判書) 등을 지냄.
1496~1551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양천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양천군(陽川君)@허종 - 허종(許琮)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양천(陽川). 허손(許蓀)의 아들이며 허침(許琛)의 형. 문무(文武)를 겸비하여 국방과 문예에 큰 공을 남기고, 의학(醫學)에도 조예가 깊었음. 우의정 등을 지내고, 청백리(淸白吏)에 녹선됨.
1434~1494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양천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양천문(梁千文) - 천자문(千字文)
중국 남북조시대 양(梁) 나라의 주흥사(周興嗣)가 글을 짓고 동진(東晉) 왕희지(王羲之)의 필적 중에서 해당 글자를 모아 만들었다는, 천(千) 자로 이루어진 사언고시(四言古詩).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문헌>서명
-
양천부원군(陽川府院君) - 허손(許蓀)
조선 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양천(陽川). 좌의정 허침(許琛)의 아버지로, 재령 군수(載寧郡守)를 지내고 보조공신(補祚功臣)에 추록되었으며, 양천부원군(陽川府院君)에 봉해짐.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양천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양천부원군(陽川府院君)@허종 - 허종(許琮)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양천(陽川). 허손(許蓀)의 아들이며 허침(許琛)의 형. 문무(文武)를 겸비하여 국방과 문예에 큰 공을 남기고, 의학(醫學)에도 조예가 깊었음. 우의정 등을 지내고, 청백리(淸白吏)에 녹선됨.
1434~1494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양천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양천부원군(陽川府院君)@강구만 - 강구만(姜九萬)
고려 전기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946년(광종 15)에 문과에 급제한 후 서경 유수(西京留守) 등을 지냈으며, 양천부원군(陽川府院君)에 봉해짐.
한국>고려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양천자(陽川子) - 허봉(許篈)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문인. 본관은 양천(陽川). 유희춘(柳希春)의 문인으로, 동인(東人)의 선봉이 되어 심의겸(沈義謙) 등 서인(西人)들과 대립하고, 이이(李珥)의 과실을 탄핵하였다가 갑산(甲山)에 유배됨. 후에 금강산에서 병사(病死)함.
1551~158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