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양천정(陽川正) - 이성(李誠)
조선 전기의 종친. 파림군(坡林君) 이주(李珘)의 아들이며, 독송정(獨松亭) 김개(金鎧)의 둘째 사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양천허씨(楊川許氏) - 양천허씨(陽川許氏)
고려 태조(太祖) 때 공암촌주(孔巖村主)를 받은 허선문(許宣文)을 시조로 하는 성씨. 원래 수로왕(首露王)의 후예이나, 이때 이르러 양천을 관향(貫鄕)으로 삼음.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양천 , 인명>집단>성씨
-
양청(襄淸) - 허광(許礦)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양천(陽川). 우의정(右議政)을 지낸 허종(許琮)의 아들로, 정국공신(靖國功臣)에 책록되었고 강릉 부사(江陵府使) 등을 지냈음.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양천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양청(養淸) - 유우(柳藕)
조선 중종(中宗) 때의 학자. 본관은 진주(晉州). 갑자사화(甲子士禍)로 스승 김굉필(金宏弼)이 죽자 벼슬을 단념하고 학문과 교육에 전심함. 《주역(周易)》에 정밀하고, 천문ㆍ복서(卜筮)ㆍ음률ㆍ서화에도 정통함.
1473~153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문사>학자
-
양초산집(楊椒山集) - 초산집(椒山集)
중국 명(明) 나라 세종(世宗) 때의 문신인 양계성(楊繼盛)의 문집. 3권 1책.
중국>명 , 중국 , 문헌>서명
-
양촌(楊村) - 정엄(鄭淹)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光州)로, 정만종(鄭萬鍾)의 아들. 1558년(명종 13)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여산 군수(礪山郡守)ㆍ남원 부사(南原府使) 등을 지냈으며, 《명종실록(明宗實錄)》편찬에 참여함.
1530~1580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광주 , 인명>관인>문신
-
양촌(陽村) - 권근(權近)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ㆍ학자. 영가부원군(永嘉府院君) 권보(權溥)의 증손. 《예기(禮記)》를 중시하여 강상(綱常)의 확립을 통한 왕권 강화에 기여하고, 이황(李滉)ㆍ장현광(張顯光) 등에게 학문적으로 영향을 줌.
1352~1409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양촌문집(陽村文集) - 양촌집(陽村集)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ㆍ학자인 권근(權近)의 시문집. 40권 10책. 목판본. 초간본은 세종(世宗) 초년에 아들 권도(權蹈)가 편찬하였으나 간행자와 간행연대는 불분명함. 〈응제시(應制詩)〉ㆍ〈동국사략론(東國史略論)〉ㆍ〈동현사략(東賢事略)〉 등이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양촌선생문집(陽村先生文集) - 양촌집(陽村集)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ㆍ학자인 권근(權近)의 시문집. 40권 10책. 목판본. 초간본은 세종(世宗) 초년에 아들 권도(權蹈)가 편찬하였으나 간행자와 간행연대는 불분명함. 〈응제시(應制詩)〉ㆍ〈동국사략론(東國史略論)〉ㆍ〈동현사략(東賢事略)〉 등이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양촌자(陽村子) - 권근(權近)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ㆍ학자. 영가부원군(永嘉府院君) 권보(權溥)의 증손. 《예기(禮記)》를 중시하여 강상(綱常)의 확립을 통한 왕권 강화에 기여하고, 이황(李滉)ㆍ장현광(張顯光) 등에게 학문적으로 영향을 줌.
1352~1409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양총병(楊總兵) - 양소훈(楊紹勳)
중국 명(明) 나라 신종(神宗) 때의 무신.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요동광녕진수총병관(遼東廣寧鎭守總兵官)으로 아우 양소신(楊紹新)과 함께 이여송(李如松)을 따라 참전함.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양총병(楊總兵)@양원 - 양원(楊元)
중국 명(明) 나라 신종(神宗) 때의 무신.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부총병(副總兵)으로 이여송(李如松)을 따라 참전하였으며, 정유재란(丁酉再亂) 때 남원성(南原城) 전투에서 이복남(李福男)ㆍ오응정(吳應井) 등의 군사와 연합하여 왜적과 맞서 싸움.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양추(陽秋) - 춘추(春秋)
중국 춘추전국시대 때 공자(孔子)가 쓴 최초의 편년체(編年體) 역사서. 오경(五經)의 하나로, B.C.722년부터 B.C.479년까지 노(魯) 나라의 주요 사건들을 기록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문헌>서명
-
양춘(陽春) - 유양춘(柳陽春)
조선 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풍산(豊山). 유수창(柳壽昌)의 아들로 청송 부사(靑松府使)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양충(㔦忠) - 이양충(李㔦忠)
조선 전기의 유학. 김안국(金安國)의 《모재집(慕齋集)》에 그에 대한 자사(字辭)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양충(亮沖) - 황양충(黃亮沖)
고려 후기의 향리. 창원(昌原)에 정착하여 호장(戶長)을 지냄으로써 창원황씨(昌原黃氏) 호장공파(戶長公派)의 시조가 됨.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창원 , 인명>관인>아전
-
양충(養冲) - 이언호(李彦浩)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한산(韓山). 이유청(李惟淸)의 아들로, 대사간(大司諫) 등을 역임하였으며, 글씨에 능하여 전서(篆書)와 팔분체(八分體)를 잘 썼음.
1477~1519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한산 , 인명>관인>문신
-
양충장(楊忠壯) - 양조(楊照)
중국 명(明) 나라 세종(世宗) 때의 무신. 요동총병관(遼東總兵官) 등을 지내고, 달자(韃子)와 싸우다 전사했는데, 허봉(許篈)의 《조천기(朝天記)》에 그 전말이 자세함.
1524~1563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양태자(楊太子) - 양용(楊勇)
중국 수(隋) 나라의 태자. 문제(文帝)의 아들로, 황태자에 봉해졌으나, 후에 양제(煬帝)가 된 아우 양광(楊廣)의 방해로 폐서인(廢庶人)이 되었으며, 문제의 병이 위독할 때 양광의 조서(詔書) 위조로 인해 사사됨.
?~604 중국>수 , 중국 , 인명>왕실>왕자
-
양태진(楊太眞) - 양귀비(楊貴妃)
중국 당(唐) 나라 현종(玄宗)의 비(妃). 본래 현종의 아들인 이모(李瑁)의 비로 궁에 들어왔으나 현종의 사랑을 받아 현종의 비가 됨. 오빠인 양국충(楊國忠)과 함께 정사를 전횡하다가 안사(安史)의 난(亂) 때 국난 초래를 문책받아 죽음.
719~756 중국>당 , 중국 , 인명>왕실>후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