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양호(養浩) - 최희맹(崔希孟)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이조 참의(吏曹參議) 최해(崔瀣)의 아들로, 1536년(중종 31)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수찬(修撰)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양호(養浩)@장양호 - 장양호(張養浩)
중국 원(元) 나라의 문신ㆍ문인. 한림 직학사(翰林直學士)ㆍ예부 상서(禮部尙書) 등을 지내고, 관잠서(官箴書)인 《삼사충고(三事忠告)》등의 저술을 남김. 중국 문학사에서 원대(元代) 산곡(散曲)의 대표 작가로 꼽힘.
1269~1329 중국>원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양호공(襄胡公) - 이효성(李孝誠)
조선 전기의 종친. 덕천군(德泉君) 이후생(李厚生)의 아들로, 중종반정(中宗反正) 때 진성대군(晉城大君)의 집을 시위한 공으로 정국공신(靖國功臣)에 책록됨. 활을 잘 쏘고 무예에 뛰어남.
1445~1518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왕실>종친
-
양호당(養浩堂) - 우현보(禹玄寶)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정종(定宗) 때의 문신. 정몽주(鄭夢周)의 시체를 거둬 장례를 치렀다가 탄핵을 받음. 조선 개국 후 2차 왕자의 난을 이방원(李芳遠)에게 알려준 공으로 공신에 책록됨.
1333~1400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충청도>단양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양화(楊花) - 양귀비(楊貴妃)
중국 당(唐) 나라 현종(玄宗)의 비(妃). 본래 현종의 아들인 이모(李瑁)의 비로 궁에 들어왔으나 현종의 사랑을 받아 현종의 비가 됨. 오빠인 양국충(楊國忠)과 함께 정사를 전횡하다가 안사(安史)의 난(亂) 때 국난 초래를 문책받아 죽음.
719~756 중국>당 , 중국 , 인명>왕실>후궁
-
양화진(楊花津) - 양화도(楊花渡)
서울과 경기도 금천(衿川)에 걸쳐 있던 나루 이름. 서울에서 강화(江華)로 통하는 교통의 요지였으며, 한강 조운(漕運)의 중심 지역 중 하나로서, 현재 서울 마포구(麻浦區)에 속함.
경기도>금천ㅣ서울 , 지명>행정지명
-
양황제(讓皇帝) - 영왕(寧王)
중국 당(唐) 나라 제6대 현종(玄宗)의 형. 처음에 황태자(皇太子)가 되었다가 뒤에 영(寧) 땅의 왕(王)으로 봉해짐. 아들은 ‘주중팔선인(酒中八仙人)’ 중의 한 사람으로 알려진 이진(李璡).
?~741 중국>당 , 중국 , 인명>왕실>왕자
-
양황후(楊皇后) - 공성인열양황후(恭聖仁烈楊皇后)
중국 송(宋) 나라의 제13대 영종(寧宗)의 비(妃). 의남매 사이인 양차산(楊次山)ㆍ예부 시랑(禮部侍郎) 사미원(史彌遠)과 결탁하여 권력을 잡아 이종(理宗)을 세우고 태후(太后)가 됨.
1162~1233 중국>송 , 중국 , 인명>왕실>왕비
-
양회(楊回) - 서왕모(西王母)
중국 고대 전설상의 선녀. 《산해경(山海經)》에서는 곤륜산(崑崙山)에 사는, 사람 얼굴에 표범 꼬리와 호랑이 이빨을 가진 신인(神人)이라고 하였으나, 일반적으로 불사약(不死藥)을 가지고 있는 선녀로 전해짐.
고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양효(良孝)@김영렬 - 김영렬(金英烈)
조선 태조(太祖)~태종(太宗) 때의 무신. 본관은 의성(義城). 제2차 왕자의 난 때 공을 세워 좌명공신(佐命功臣)에 책록됨.
?~140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의성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양효(良孝)@박간 - 박간(朴幹)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밀양(密陽). 판도판서(版圖判書)를 지낸 은산부원군(銀山府院君) 박영균(朴永均)의 아버지로, 평장사(平章事) 등을 역임함.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밀양 , 인명>관인>문신
-
양효(良孝) - 권호(權鎬)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길창부원군(吉昌府院君) 권준(權準)의 손자이며, 현복군(玄福君) 권렴(權廉)의 아들.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양효(良孝)@안맹담 - 안맹담(安孟耼)
조선 세종(世宗)의 부마ㆍ서예가. 본관은 죽산(竹山). 함길도 관찰사(咸吉道觀察使) 안망지(安望之)의 아들로, 세종의 딸 정의공주(貞懿公主)와 혼인함. 초서(草書)를 잘 쓰고 활쏘기와 말타기에 능하며, 음률(音律)ㆍ약물(藥物)에도 밝음.
1415~1462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죽산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왕실>인척
-
양효(襄孝) - 권공(權恭)
조선 세조(世祖) 때의 무신. 본관은 안동(安東). 태종(太宗)의 딸 숙근옹주(淑謹翁主)와 결혼하여 화천군(花川君)에 책봉됨.
?~146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무신ㅣ인명>왕실>인척
-
양효공(良孝公) - 안맹담(安孟耼)
조선 세종(世宗)의 부마ㆍ서예가. 본관은 죽산(竹山). 함길도 관찰사(咸吉道觀察使) 안망지(安望之)의 아들로, 세종의 딸 정의공주(貞懿公主)와 혼인함. 초서(草書)를 잘 쓰고 활쏘기와 말타기에 능하며, 음률(音律)ㆍ약물(藥物)에도 밝음.
1415~1462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죽산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왕실>인척
-
양효왕(梁孝王) - 유무(劉武)
중국 전한(前漢) 문제(文帝)의 둘째 아들. 양원(梁園)이라는 동산을 꾸미고 사마상여(司馬相如) 등 사방의 문장 호걸들을 초청하여 풍류를 즐겼으나, 율태자(栗太子)가 폐위된 후 원앙(袁盎) 등의 반대로 태자가 되지 못하자 후에 원앙 등을 죽임.
?~B.C.414 중국>전한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양후(楊后) - 공성인열양황후(恭聖仁烈楊皇后)
중국 송(宋) 나라의 제13대 영종(寧宗)의 비(妃). 의남매 사이인 양차산(楊次山)ㆍ예부 시랑(禮部侍郎) 사미원(史彌遠)과 결탁하여 권력을 잡아 이종(理宗)을 세우고 태후(太后)가 됨.
1162~1233 중국>송 , 중국 , 인명>왕실>왕비
-
양후(煬后) - 양제(煬帝)
중국 수(隋) 나라의 제2대 황제. 재위 604~618. 문제(文帝)의 둘째 아들로 형과 아버지를 살해하고 즉위함. 만리장성을 수축하고, 고구려를 침공했다가 대패함.
569~618 중국>수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양후(穰侯)@황감 - 황감(黃甘)
조선 전기의 문인 최연(崔演)의 〈국수재전(麴秀才傳)〉에 등장하는 가상의 인물.
한국>조선전기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양후(穰侯) - 위염(魏冉)
중국 춘추전국시대 진(秦) 나라의 외척이자 공신. 어린 소왕(昭王)을 대신해 정사를 돌보며 국토를 넓힌 후, 소왕이 범수(范睢)를 등용하자 관직을 떠나 봉읍(封邑)으로 돌아가 죽음.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무신ㅣ인명>왕실>인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