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양후(良厚) - 이백유(李伯由)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조(太祖) 때의 문신. 이색(李穡)의 문인(門人)으로, 조선 건국 후 개국공신(開國功臣)에 책록되었으나, 제1차 왕자(王子)의 난(亂) 때 정도전(鄭道傳)의 일파로 지목되어 관작과 공신의 칭호를 삭탈당하고 유배되었다가 죽음.
?~1399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양후(襄厚) - 이종무(李從茂)
고려 우왕(禑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무신. 1400년(정종 2) 상장군으로 제2차 왕자의 난에 공을 세워 좌명공신(佐命功臣)에 녹훈되었고, 1419년(세종 1) 대마도(對馬島)를 정벌하여 찬성사(贊成事)에 올랐음.
1360~1425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장수 , 인명>관인>무신
-
양희(良僖) - 회안대군(懷安大君)
조선 제1대 태조(太祖)의 넷째 아들. 신의왕후(神懿王后) 한씨(韓氏)의 소생으로, 제1차 왕자(王子)의 난(亂) 때 정도전(鄭道傳) 일파를 제거하는 데 공을 세워 정사공신(定社功臣)에 책록되었으나, 제2차 왕자의 난을 일으킨 후 실패하여 토산(兎山)에 유배됨.
1364~1421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왕실>왕자
-
양희(襄僖) - 이흥상(李興商)
조선 단종(端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의금부 진무(義禁府鎭撫)로서 수양대군(首陽大君)을 도와 계유정난(癸酉靖難)에 공을 세움.
?~146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양희지(梁羲之) - 양희지(梁希志)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제주(濟州). 송천(松川) 양응정(梁應鼎)의 서자로 참봉(參奉)을 지냄. 문장에 능했으나 요절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능성 , 인명>관인>문신
-
양희지(楊熙祉) - 양희지(楊熙止)
조선 세조(世祖)~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중화(中和). 문장에 뛰어나고 재주가 있었으나 임사홍(任士洪)ㆍ유자광(柳子光)ㆍ노공필(盧公弼) 등과 친하여 그 출처(出處)에 비난을 받기도 함.
1439~150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울산 , 인명>관인>문신
-
양희지(楊稀枝) - 양희지(楊熙止)
조선 세조(世祖)~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중화(中和). 문장에 뛰어나고 재주가 있었으나 임사홍(任士洪)ㆍ유자광(柳子光)ㆍ노공필(盧公弼) 등과 친하여 그 출처(出處)에 비난을 받기도 함.
1439~150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울산 , 인명>관인>문신
-
어(圉) - 공어(孔圉)
중국 춘추전국시대 위(衛) 나라의 대부(大夫). 인물됨이 총명하면서도 배우기를 좋아하고, 아랫사람에게 묻는 것을 부끄럽게 여기지 않아 시호(諡號)가 문(文)이 되었다고 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어(魚) - 공리(孔鯉)
중국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 노(魯) 나라의 학자. 공자(孔子)의 아들이며, 공급(孔伋)의 아버지. 송(宋) 나라 때 문묘(文廟)에 종사됨.
B.C.532~B.C.482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어(𤥽) - 한남군(漢南君)
조선 제4대 세종(世宗)의 넷째 서자. 단종(端宗)을 봉양한 죄로 사사된 혜빈양씨(惠嬪楊氏)의 소생으로, 세조(世祖) 즉위 후 단종복위를 모의한 것이 발각되어 함양(咸陽)에 유배되었다가 죽음.
1429~1459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왕자
-
어^맹(語^孟) - 논^맹(論^孟)
사서(四書)의 하나인 《논어(論語)》와 《맹자(孟子)》를 함께 부르는 말. 유교(儒敎)의 경전(經典)을 가리킴.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문헌>기타문헌
-
어격고(於格高) - 어적현(禦敵峴)
전라도 무주(茂朱)에 있는 고개 이름. 구봉령(具鳳齡)이 읊은 칠언절구가 《백담집(栢潭集)》에 전함.
전라도>무주 , 지명>자연지명
-
어경유(魚景游) - 어운해(魚雲海)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함종(咸從)으로, 좌참찬(左參贊) 어계선(魚季瑄)의 아들. 1564년(명종 19)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하고, 과천 현감(果川縣監)ㆍ평창 군수(平昌郡守) 등을 지냄. 이이(李珥)ㆍ성혼(成渾) 등과 친분이 깊음.
1536~1585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어계(漁溪) - 조려(趙旅)
조선 단종(端宗)~세조(世祖) 때의 은자. 조안(趙安)의 아들. 조선 전기 생육신(生六臣) 중의 한 사람으로 수양대군(首陽大君)이 단종의 왕위를 찬탈하자 향리에 은거하면서 평생을 보냄.
1420~148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안 , 인명>기타인명>은자
-
어계선생집(漁溪先生集) - 어계집(漁溪集)
조선 단종(端宗)~세조(世祖) 때의 은자인 조려(趙旅)의 시문집. 3권 2책. 목판본. 초간본은 1516년(중종 11) 후손 조적(趙績)이 원집 1권을 편집, 간행함. 1742년(영조 18)에 9대손 조영석(趙榮祏)이 조야(趙埜)와 함께 목판으로 중간하고, 1901년에 후손 조석규(趙錫奎)가 속집(續集)을 간행함.
1516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어계은자(漁溪隱者) - 조려(趙旅)
조선 단종(端宗)~세조(世祖) 때의 은자. 조안(趙安)의 아들. 조선 전기 생육신(生六臣) 중의 한 사람으로 수양대군(首陽大君)이 단종의 왕위를 찬탈하자 향리에 은거하면서 평생을 보냄.
1420~148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안 , 인명>기타인명>은자
-
어계처사(漁溪處士) - 조려(趙旅)
조선 단종(端宗)~세조(世祖) 때의 은자. 조안(趙安)의 아들. 조선 전기 생육신(生六臣) 중의 한 사람으로 수양대군(首陽大君)이 단종의 왕위를 찬탈하자 향리에 은거하면서 평생을 보냄.
1420~148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안 , 인명>기타인명>은자
-
어구(禦寇) - 열어구(列禦寇)
중국 춘추전국시대 정(鄭) 나라의 사상가. 도가(道家)를 확립시킨 인물의 하나로 알려져 있으나, 실존하였는지는 확실치 않음.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어두(魚頭) - 노종도(魯宗道)
중국 송(宋) 나라 진종(眞宗)~인종(仁宗) 때의 문신. 명신인 여희철(呂希哲)의 외할아버지로, 정직함으로 인해서 노직(魯直)이라 불리기도 하고 어두참정(魚頭參政)이라 불리기도 함.
966~1029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어두참정(魚頭參政) - 노종도(魯宗道)
중국 송(宋) 나라 진종(眞宗)~인종(仁宗) 때의 문신. 명신인 여희철(呂希哲)의 외할아버지로, 정직함으로 인해서 노직(魯直)이라 불리기도 하고 어두참정(魚頭參政)이라 불리기도 함.
966~1029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