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어은(漁隱)@김한생 - 김한생(金漢生)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선산(善山). 온양 군수(溫陽郡守) 등을 역임하였으며, 서거정(徐居正)의 《사가문집(四佳文集)》에 그에 대한 기문(記文)이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선산 , 인명>관인>문신
-
어은(漁隱) - 민제(閔霽)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으로, 조선 태종의 장인. 고려 말에 여러 요직을 거치고 조선 개국 후 문하우정승(門下右政丞)ㆍ좌정승(左政丞)을 지냄.
1339~1408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
-
어은(漁隱)@염흥방 - 염흥방(廉興邦)
고려 공민왕(恭愍王)~우왕(禑王) 때의 문신. 본관은 서원(瑞原)으로, 곡성부원군(曲城府院君) 염제신(廉悌臣)의 아들. 지신사(知申事)로서 홍건적을 격파하는 공을 세웠으나, 비행을 일삼으며 국정을 문란하게 하여 최영(崔瑩)ㆍ이성계(李成桂)에 의해 살해됨.
?~1388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
-
어은(漁隱)@조려 - 조려(趙旅)
조선 단종(端宗)~세조(世祖) 때의 은자. 조안(趙安)의 아들. 조선 전기 생육신(生六臣) 중의 한 사람으로 수양대군(首陽大君)이 단종의 왕위를 찬탈하자 향리에 은거하면서 평생을 보냄.
1420~148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안 , 인명>기타인명>은자
-
어은(漁隱)@정희검 - 정희검(鄭希儉)
조선 연산군(燕山君) 때의 유학. 본관은 해주(海州)로, 부사(府使) 정연경(鄭延慶)의 아들이며 정희량(鄭希良)의 아우. 연산군의 정치가 혼란해지자 과거(科擧)를 단념한 채 시와 술을 즐기며 호(號)를 계양어은(桂陽漁隱)이라 함.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해주 , 인명>문사>유학
-
어은(漁隱)@임내신 - 임내신(任鼐臣)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중종실록(中宗實錄)》편찬에 참여함. 예조 참의(禮曹參議)ㆍ승정원 좌승지(承政院左承旨)를 지냄.
1512~158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인명>관인>문신
-
어은(漁隱)@정중건 - 정중건(鄭仲虔)
조선 전기의 유학. 김일손(金馹孫)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어을매(於乙買) - 덕원(德源)
함경도 문천(文川)ㆍ원산(元山) 일대에 있던 옛 고을 이름. 조선 태조(太祖)의 4대 선조인 목조(穆祖)ㆍ익조(翼祖)ㆍ도조(度祖)ㆍ환조(桓祖)의 고향이라 하여 도호부(都護府)로 승격시켜 부사(府使)를 두고 다스림.
함경도>덕원 , 지명>행정지명
-
어적산인(漁適散人) - 유중룡(柳仲龍)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문화(文化). 유유춘(柳有春)의 아들이며, 오건(吳健)의 문인. 임진왜란과 정유재란 때 의병을 일으켜 김면(金沔)ㆍ곽재우(郭再祐)의 휘하에서 활약함. 성균관 사성(成均館司成) 등을 지냄.
1558~1635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문화 , 인명>관인>문신
-
어정(魚鄭) - 정주(鄭注)
중국 당(唐) 나라 문종(文宗) 때의 문신. 환관 왕수징(王守澄)의 추천으로 관로에 나서고, 태화(太和) 연간에는 재상에 올랐으나 천성이 교활함. 문종이 왕수징을 제거하는 것을 돕고, 환관 세력을 일소하려 하였으나 실패하여 죽임을 당함.
?~835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어중(漁仲) - 정초(鄭樵)
중국 송(宋) 나라 고종(高宗) 때의 문신ㆍ학자. 추밀원 편수관(樞密院編修官) 등을 지내고, 천문ㆍ지리ㆍ방서 등에 박식하여 《통지(通志)》를 저술함.
1104~1162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어초사(漁樵史) - 전겸익(錢謙益)
중국 명(明)~청(淸) 나라의 문신ㆍ문인. 명 나라가 망하자 청조(淸朝)의 예부 우시랑(禮部右侍郞)이 되어 《명사(明史)》편찬에 참여함. 사후 건륭제(乾隆帝)로부터 불충지신(不忠之臣)으로 비난받아 저서의 판목(版木)이 모두 불태워짐.
1582~1664 중국>청ㅣ중국>명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어초은자(漁樵隱者) - 윤효정(尹孝貞)
조선 연산군(燕山君) 때의 유학. 본관은 해남(海南). 윤경(尹耕)의 아들로, 1501년(연산군 7)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하였으나, 무오사화(戊午士禍)와 갑자사화(甲子士禍) 이후로 숨어 살며 ‘어초은자(漁樵隱者)’라 자호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해남 , 인명>문사>유학
-
어촌(漁村)@공부 - 공부(孔俯)
고려 우왕(禑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소격전 제조(昭格殿提調)로서 중국에 가서 도교 의식을 배워오고, 검교 한성부 윤(檢校漢城府尹) 등을 지냈으나, 천추사(千秋使)로 중국에 갔다가 돌아오지 못하고 죽음.
?~1416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인명>관인>문신
-
어촌(漁村) - 심언광(沈彦光)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삼척(三陟). 주로 언관(言官)을 지내며 심정(沈貞) 등 권간들의 횡포를 탄핵하고, 일찍이 김안로(金安老)를 추천한 바 있으나 훗날 그에 대해 비판함.
1487~1540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어하(漁河) - 용지하(龍池河)
중국 계주(薊州)의 주성(州城) 남쪽에 있는 하천 이름. 노가령(蘆家嶺)의 어귀 사려하(舍黎河)에서 발원하여 옥전(玉田)을 거쳐 백룡항(白龍港)으로 흘러들어감.
중국 , 지명>자연지명
-
억(億) - 강억(姜億)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1544년(중종 39)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중종실록(中宗實錄)》기주관(記注官) 등을 지냄.
1498~155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억(億)@정억 - 정억(鄭億)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찰방(察訪)을 지낸 정윤석(鄭崙石)의 아들로, 수운판관(水運判官) 등을 지냄.
1487~154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억(憶) - 권억(權憶)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중종(中宗) 때 좌승지(左承旨)를 지낸 권기(權祺)의 아버지로, 광흥창 수(廣興倉守)를 지내고 병조 참판(兵曹參判)에 추증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억(抑)@성억 - 성억(成抑)
조선 태종(太宗)~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 성석인(成石因)의 아들이며 성녕대군(誠寧大君)의 장인. 태종으로부터 공신(功臣)의 예우를 받았으며, 중추원사(中樞院使) 등을 지냄.
1386~1448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