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언기(彦璣) - 김언기(金彦璣)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학자. 본관은 광산(光山).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도산(陶山) 근처에서 후진을 양성함. 이황이 죽은 후 여강(廬江)에 서원을 세우고, 백련사(白蓮寺)를 철거하는 등 숭유억불(崇儒抑佛)에 노력함.
1520~158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학자
-
언기(彦紀) - 남언기(南彦紀)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의령(宜寧). 김인후(金麟厚)ㆍ이황(李滉)의 문인(門人). 선조(宣祖) 초 영의정 이탁(李鐸)의 천거로 동몽교관(童蒙敎官)ㆍ빙고별좌(氷庫別坐)에 임명됨.
1534~?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동복ㅣ서울 , 인명>관인>문신
-
언눌(彦訥) - 이언눌(李彦訥)
조선 전기의 유학. 십성당(十省堂) 엄흔(嚴昕)의 죽마고우(竹馬故友).
1507~?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언달(彦達) - 모용언달(慕容彦達)
중국의 경서(經書) 주소가(註疏家). 《예기(禮記)》에 관한 주소(註疏)가 진호(陳澔)의 《예기집설(禮記集說)》에 인용되어 있음.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언덕(彦德) - 하상지(何尙之)
중국 남북조시대 송(宋) 나라 문제(文帝) 때의 문신. 학식과 덕망이 높아 문제에게 총애를 받았으며, 상서령(尙書令) 등을 지냄.
382~460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언도(彦道) - 원탐(袁耽)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무신. 왕이 그 재주 많음을 사랑하여 관직을 제수하였으나 요절함.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언량(彦良) - 장언량(張彦良)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무신. 본관은 풍덕(豊德). 정국 일등공신(靖國一等功臣) 하원군(河源君) 장정(張珽)의 아들로, 호조 판서(戶曹判書) 등을 역임하였음.
1491~1560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풍덕 , 인명>관인>무신
-
언령(鶠齡) - 구언령(具鶠齡)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능성(綾城). 구겸(具謙)의 아들이며, 백담(栢潭) 구봉령(具鳳齡)의 동생으로, 《백담집(栢潭集)》에 제문(祭文)이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능성 , 인명>문사>유학
-
언례(彦禮) - 윤사익(尹思翼)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무송(茂松). 윤징(尹澂)의 아들로, 판중추부사(判中樞府事) 등을 지냄.
1478~?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무장 , 인명>관인>문신
-
언로(彦老) - 김언로(金彦老)
조선 전기의 유학. 김세필(金世弼)의 《십청집(十淸集)》에 〈제김대년언로애경당(題金大年彦老愛敬堂)〉 2수가 전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언룡(彦龍)@고운 - 고운(高雲)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ㆍ화가. 본관은 장흥(長興). 고맹영(高孟英)의 아버지이며, 의병장 고경명(高敬命)의 할아버지. 형조 좌랑(刑曹佐郞)을 지낼 때 기묘사화(己卯士禍)에 연루되어 파직되었다가 후에 예조 참판(禮曹參判)으로 추증됨. 호랑이 그림을 잘 그림.
1495~?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장흥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언룡(彦龍) - 범운(范雲)
중국 남북조시대 제(齊)~양(梁) 나라의 문신ㆍ문인. 양 나라 무제(武帝) 때 이부 상서(吏部尙書)ㆍ상서 우복야(尙書右僕射)를 지냄. 문장에 능하여 임방(任昉)ㆍ심약(沈約)ㆍ소연(蕭衍) 등과 더불어 경릉팔우(竟陵八友)라 일컬어짐.
451~503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언륜(彦倫)@박옹 - 박옹(朴顒)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밀양(密陽). 1568년(선조 1) 증광시(增廣試)에 급제하여 장단 부사(長湍府使)를 지냄.
152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밀양 , 인명>관인>문신
-
언륜(彦倫)@김충효 - 김충효(金忠孝)
조선 전기의 유학. 고경명(高敬命)의 《제봉집(霽峯集)》에 〈서하석상집고구취증김언륜(棲霞席上集古句醉贈金彦倫)〉이라는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언륜(彦倫) - 주옹(周顒)
중국 남북조시대(南北朝時代) 제(齊) 나라의 문신. 공치규(孔稚圭)와 함께 종산(鍾山)에 은거하고 있었는데, 황제가 부르자 나아가 벼슬하다가 다시 돌아가려고 하니까 공치규가 북산이문(北山移文)을 지어 거절하였다고 함.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언륜(彦綸) - 권철경(權哲經)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이조 판서(吏曹判書)를 지낸 권예(權輗)의 아버지. 1483년(성종 14)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하고, 경상도 관찰사(慶尙道觀察使) 김안국(金安國)의 추천을 받았으나 벼슬하지 않음.
?~152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언린(彥潾) - 최언린(崔彥潾)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전주(全州). 선조(宣祖) 때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를 지낸 최복남(崔福男)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문사>유학
-
언림(彥霖) - 이주(李澍)@1534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 명종 때 성균관(成均館)의 유생(儒生)으로서 보우(普雨)의 처벌을 요구하는 상소를 올림. 아들 이광정(李光庭)의 공으로 영의정에 추증됨.
1534~1584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연안 , 인명>관인>문신
-
언림(彦霖) - 양응필(梁應畢)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제주(濟州)로, 학포(學圃) 양팽손(梁彭孫)의 아들. 건원릉 참봉((健元陵參奉)을 제수받았으나 출사하지 않고, 경학(經學)에 몰두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능성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언명(彦明) - 최해(崔瀣)@조선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수찬(修撰) 최희맹(崔希孟)의 아버지로, 공조 정랑(工曹正郞)ㆍ이조 참의(吏曹參議)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