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언보(彦寶) - 안당(安瑭)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순흥(順興)으로, 우의정ㆍ영중추부사 등을 지냄. 신사무옥(辛巳誣獄)에 연루되어 아들 안처겸(安處謙)ㆍ안처근(安處謹)과 함께 사사(賜死) 되었으나, 명종(明宗) 때 복관됨.
1461~1521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언보(彦父)@최해 - 최해(崔瀣)@고려
고려 충렬왕(忠烈王)~충혜왕(忠惠王) 때의 문신ㆍ문인. 본관은 경주(慶州). 최백윤(崔伯倫)의 아들로, 성균관 대사성(成均館大司成) 등을 지냄. 말년에는 농사를 지으며 저술에 힘쓰고, 오랜 친구인 이제현(李齊賢)으로부터 문학이 탁월함을 인정받음.
1287~1340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언보(彦父) - 최표(崔彪)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탐진(耽津). 원(元) 나라 제과(制科)에 급제하였으며, 참지정사(參知政事) 등을 역임함. 이색(李穡)의 《목은고(牧隱藁)》에 그의 당호(堂號)에 대한 기문(記文)이 실려 있음.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강진 , 인명>관인>문신
-
언보(彦甫)@전성군 - 전성군(全城君)
조선 제11대 성종(成宗)의 열한 번째 서자. 귀인권씨(貴人權氏)의 소생으로, 어려서 죽어 소생이 없으므로 익양군(益陽君) 이회(李懷)의 아들인 광천군(廣川君) 이수기(李壽麒)가 후사를 이음.
1490~1505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왕자
-
언보(彦甫) - 최한경(崔漢卿)
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최문손(崔文孫)의 아들로, 1444년(세종 26)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이조 참판(吏曹參判)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언보(彦輔) - 악광(樂廣)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문신. 삼국시대 위(魏) 나라 하후현(夏侯玄)의 막료였던 악방(樂方)의 아들로, 명교(名敎)를 숭상하여 당대에 왕연(王衍)과 함께 중망을 받았으며, 왕융(王戎)의 천거로 수재(秀才)가 되고, 상서좌복야(尙書左僕射) 등을 역임함.
?~304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언보(彦輔)@이경충 - 이경충(李景忠)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군수(郡守) 이감(李鑑)의 아버지로, 남양도호부사(南陽都護府使) 등을 지냄.
1485~1537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문신
-
언보(彦輔)@윤시걸 - 윤시걸(尹時傑)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남원(南原). 윤은(尹訔)의 아들로, 형조 정랑(刑曹正郞)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언부(彦夫) - 서선(徐選)
조선 태조(太祖)~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이천(利川). 서원(徐遠)의 아들이며, 원천석(元天錫)의 문인. 1415년(태종 15) 서얼의 차별대우를 진언했으며, 두 차례 사신으로 명(明) 나라에 감. 우부대언(右副代言)ㆍ판한성부사(判漢城府使) 등을 지냄.
1367~1433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이천 , 인명>관인>문신
-
언부(彦孚) - 박언부(朴彦孚)
고려 문종(文宗) 때의 문신. 최충(崔冲)과 함께 태사(太師)를 지낸 후 문하시중(門下侍中)ㆍ도평의사(都評議事)에 이르렀으며, 밀성부원군(密城府院君)에 봉해짐.
한국>고려전기 , 경상도>밀양 , 인명>관인>문신
-
언부(彦溥) - 조효연(曺孝淵)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 조치우(曺致虞)의 아들이며 이우(李堣)의 문인. 함안 군수(咸安郡守) 등을 지냈으며, 시문(詩文)에 능했음. 퇴계(退溪) 이황(李滉)이 묘갈명(墓碣銘)을 씀.
1486~153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원 , 인명>관인>문신
-
언빈(彦彬) - 김중문(金仲文)
조선 전기의 유학. 소수서원(紹修書院)의 유사(有司).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문사>유학
-
언사(偃師) - 단언사(段偃師)
중국 당(唐) 나라 고조(高祖) 때의 문신. 단지현(段志玄)의 아버지로, 고조 이연(李淵)의 거병(擧兵)에 참여하여 영주 자사(郢州刺史)가 됨.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언상(彦庠) - 김언상(金彦庠)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서흥(瑞興). 김굉필(金宏弼)의 아들. 음보(蔭補)로 사헌부 감찰(司憲府監察)을 지냄.
1480~1540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서흥 , 인명>관인>문신
-
언상(彦祥) - 박언상(朴彦祥)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문의(文義). 유학 박훤(朴萱)의 아버지로, 교수(敎授)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문의 , 인명>관인>문신
-
언선(彥先) - 고등(高登)
중국 송(宋) 나라 때의 학자. 주자(朱子)가 지은 사당기(祠堂記)가 있음.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언선(彦先) - 고영(顧榮)
중국 남북조시대 서진(西晉)의 문신. 사마예(司馬睿)의 군사(軍司)를 맡아 동진(東晉)을 중흥시킨 공신.
?~312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언성(彦成) - 임운(林芸)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은진(恩津)으로, 이황(李滉)의 문인. 경사(經史)를 비롯한 여러 학문에 뛰어나고, 형 임훈(林薰)과 함께 효행으로 고향에 정문(旌門)이 세워짐.
1517~157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음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언성(彦盛) - 안경창(安慶昌)
조선 후기의 처사(處士). 천민 출신으로 어렸을 때 화장사(花庄寺)에서 공부하며 기이한 행적을 남기고, 이언적(李彦迪)ㆍ이황(李滉)ㆍ이이(李珥) 및 조식(曺植)ㆍ노사신(盧思愼) 등 당시 명유들과 교유하였다고 함.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언성(彦聖) - 김황(金黃)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김증손(金曾孫)의 아들로, 1504년(연산군 10)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함.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보은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