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언월(偃月) - 이임보(李林甫)
중국 당(唐) 나라의 재상. 환관과 비빈들을 매수하여 현종(玄宗)의 총애를 얻어 양국충(楊國忠)과 더불어 정권을 전단함. 현명한 사람을 미워하고 능력 있는 사람을 질투하여, 구밀복검(口蜜腹劍)이란 고사가 유래함.
?~752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언월당(偃月堂) - 이임보(李林甫)
중국 당(唐) 나라의 재상. 환관과 비빈들을 매수하여 현종(玄宗)의 총애를 얻어 양국충(楊國忠)과 더불어 정권을 전단함. 현명한 사람을 미워하고 능력 있는 사람을 질투하여, 구밀복검(口蜜腹劍)이란 고사가 유래함.
?~752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언위(彦偉) - 원사용(元士容)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원주(原州). 원붕(元鵬)의 아들로, 1569년(선조 2) 알성시(謁聖試)에 급제하였으며, 영천 군수(永川郡守) 등을 역임함.
한국>조선후기 , 강원도>원주 , 인명>관인>문신
-
언위(彦威) - 습착치(習鑿齒)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학자. 박학다문(博學多聞)하고 불교 이론에 밝아 승려 도안(道安)과 친교(親交)하였고, 촉(蜀)을 정통(正統)으로 하는 역사서 《한진춘추(漢晉春秋)》를 저술함.
317~?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언유(言游) - 언언(言偃)
중국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 노(魯) 나라의 학자. 공자(孔子)의 제자. 공문십철(孔門十哲)의 한 사람. 노 나라 무성(武城)에서 예악(禮樂)으로 고을을 잘 다스림. 자하(子夏)와 더불어 문학에 뛰어났고 예(禮)의 사상이 투철함.
B.C.506~B.C.445?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언윤(彦潤) - 유덕종(柳德種)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문화(文化). 선무랑(宣務郞) 유영석(柳永錫)의 아들로, 1573년(선조 6)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정랑(正郞) 등을 지냄.
1532~?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충주 , 인명>관인>문신
-
언의(彦毅) - 정희홍(鄭希弘)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동래(東萊). 정수(鄭琇)의 아들로, 1526년(중종 21)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한 후 목사(牧使) 등을 지냄.
149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동래 , 인명>관인>문신
-
언의(彦毅)@오언의 - 오언의(吳彦毅)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고창(高敞)으로, 현감(縣監)을 지낸 오석복(吳碩福)의 아들. 이우(李堣)의 문인이며, 지방관으로 있으면서 치적을 많이 쌓았음.
1494~156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안 , 인명>관인>문신
-
언이(彦而) - 박영준(朴永俊)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고령(高靈)으로, 진위 현령(振威縣令)을 지낸 무숙(茂叔) 박조(朴稠)의 아들. 육조(六曹)의 판서(判書)를 번갈아 지냈으며, 좌찬성(左贊成)에 오름.
1510~1576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언장(彦章)@손홍륜 - 손홍륜(孫弘綸)
조선 전기의 유학. 김인후(金麟厚)의 《하서집(河西集)》에 화답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언장(彦章) - 문걸(文傑)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감천(甘泉). 문숭질(文崇質)의 아들로, 양양 부사(襄陽府使)를 지냈음.
?~150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용궁 , 인명>관인>문신
-
언장(彦章)@서환 - 서환(徐煥)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주희(朱熹)의 문인(門人)으로, 주희와 편지를 주고받으며 학문을 논함.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언장(彦章)@이의 - 이의(李漪)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진보(眞寶). 퇴계(退溪) 이황(李滉)의 셋째 형으로, 일찍 죽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유학
-
언적(彦迪) - 이언적(李彦迪)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여주(驪州). 중종 때 김안로(金安老)의 등용을 반대하다가 숙청되고, 명종 때 양재역벽서사건(良才驛壁書事件)에 연루되어 배소에서 죽음. 성리학에 조예가 깊어 이황(李滉)의 사상에 큰 영향을 끼침.
1491~155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언정(彦廷) - 이언정(李彦廷)
조선 전기의 종친. 의흥위 호군(義興衛護軍) 김봉서(金鳳瑞)의 셋째 사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언정(彦精) - 김연광(金鍊光)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김해(金海)로, 심적당(心適堂) 김이상(金履祥)의 아들.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회양 부사(淮陽府使)로서 왜적의 침범을 당하게 되자, 절개를 지켜 도망하지 않고 적에게 참살당함.
1524~1592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관인>문신
-
언정(彦鼎) - 기언정(奇彦鼎)
조선 영조(英祖)~정조(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행주(幸州). 고봉(高峯) 기대승(奇大升)의 6대손이며, 덕창군(德昌君) 기정후(奇挺後)의 아들. 대사헌ㆍ공조 판서 등을 역임함. 《양선생왕복서(兩先生往復書)》를 중간(重刊)함.
1716~1797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언주(彦冑) - 박소(朴紹)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반남(潘南). 조광조(趙光祖)의 문인으로, 조광조 등 신진사류(新進士類)와 더불어 왕도정치(王道政治) 구현을 위하여 힘씀.
1493~153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합천ㅣ서울 , 인명>관인>문신
-
언주(彦胄) - 박소(朴紹)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반남(潘南). 조광조(趙光祖)의 문인으로, 조광조 등 신진사류(新進士類)와 더불어 왕도정치(王道政治) 구현을 위하여 힘씀.
1493~153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합천ㅣ서울 , 인명>관인>문신
-
언중(彦仲) - 이영준(李英俊)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안(鎭安)으로, 이인현(李仁賢)의 아버지. 1507년(중종 2)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전라 도사(全羅都事)ㆍ예조 정랑(禮曹正郞)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진안 , 인명>관인>문신